KR100332350B1 - 운반 캐리지 - Google Patents

운반 캐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50B1
KR100332350B1 KR1020000016501A KR20000016501A KR100332350B1 KR 100332350 B1 KR100332350 B1 KR 100332350B1 KR 1020000016501 A KR1020000016501 A KR 1020000016501A KR 20000016501 A KR20000016501 A KR 20000016501A KR 100332350 B1 KR100332350 B1 KR 10033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rriage
transfer ring
wir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177A (ko
Inventor
유제철
Original Assignee
유 제 철
주식회사 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제 철, 주식회사 영광 filed Critical 유 제 철
Priority to KR102000001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지점 사이에 고정된 케이블을 타고 왕복하는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와이어로 이동과 짐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운반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된 두지점 사이의 고정케이블을 타고 왕복 이동되는 캐리지에 있어서, 본체 하측으로 하부몸체를 힌지 고정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이송환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이송환의 상부는 본체 내부에서 가이드롤러와 받침롤러를 거친 와이어에 고정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일측이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한쌍의 고정체를 설치하고, 고정체의 타측은 전자밸브 또는 기계식 밸브가 달린 에어실린더에 힌지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운반 캐리지{Transport carriage}
본 발명은 두지점 사이에 고정된 케이블을 타고 왕복하는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와이어로 이동과 짐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운반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를 시설하기 위해 송전탑을 산에 건설하는 경우 송전탑 건설 부자재를 차량으로 운반하기 위해 산에 임도를 건설하고 있으나, 임도건설은 건설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산림파괴가 발생하고 원상회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도 7 과 같이 송전탑 설치장소와 산아래 지점에 고정대(1a)(1b)를 설치하여 고정케이블(1)로 연결하되 중간에 받침대(1c)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케이블(1)에 짐을 매달 수 있는 캐리지(1e)를 설치하여 케이블카와 같이 왕복 이동되게 하므로써 임도를 내지 않고도 송전탑 건설 부자재를 운반할 수 있으나, 기존 방식은 두지점 사이에 고정 설치된 고정케이블(1)을 필요로 하고, 상기 고정케이블(1)에 걸린 캐리지(1e)에 두개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캐리지(1e)에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는 산아래에서 송전탑 건설위치까지 캐리지(1e)를 당기기 위한 당김와이어이고, 또 하나의 와이어는 캐리지(1e)에 물건을 싣는 후크 또는 캐비티를 지상으로 내려준 후 물건이 실리면 캐리지(1e)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권양와이어이다.
당김와이어와 권양와이어를 설치하면 와이어 무게에 의해 고정케이블(1)에 고장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송전탑 설치장소에서는 각각의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기 위한 2개의 윈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고정케이블(1)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1c)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두지점 사이에 설치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왕복되게 설치된 케리지에 있어서, 케리지를 당기는 당김 와이어와 물건을 들어 올리는 권양와이어를 사용치 않고 하나의 와이어로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캐리지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된 두지점 사이의 고정케이블을 타고 왕복 이동되는 캐리지에 있어서, 본체 하측으로 하부몸체를 힌지 고정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하측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이송환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이송환의 상부는 본체 내부에서 가이드롤러와 받침롤러를 거친 와이어에 고정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일측이 힌지 고정되어 회동되는 한쌍의 고정체를 설치하고, 고정체의 타측은 전자밸브 또는 기계식 밸브가 달린 에어실린더에 힌지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건을 매달기 위해서는 고정체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에 묶인 이송환을 하강시켜 물건을 매단 후 다시 와이어로 이송환을 상승시켜 이송환이 고정체에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당기면 캐리지가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송환의 삽입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이송환의 해제시 초기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린더 내부 단면도
도 7 은 기존의 고정케이블 설치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고정케이블 설치상태도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내부 정면도도 11 은 본 발명의 스프링 고정통 단면도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케이블 2 : 지지몸체 3 : 지지롤러
7 : 와이어 10 : 본체 11,12 : 후크
14 : 받침롤러 20 : 하부몸체 21 : 고정체
22 : 걸림편 23 : 가이드편 24 : 실린더
25 : 실린더축 26 : 스프링 28 : 전자밸브
30 : 이송환 31 : 고정턱
본 발명은 고정케이블(1)에 끼워지는 지지몸체(2)하부에 본체(10)를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본체(10)하부에 한쌍의 고정체(21)가 끼워진 하부몸체(20)를 힌지 결합시키며, 상기 하부몸체(20)에는 본체(10)내부를 통하여 끼워진 와이어(7)에 결합된 이송환(30)이 끼워지게 구성된다.
지지몸체(2)는 본체(10)의 상부 양측으로 힌지 결합되고 내측으로 고정케이블(1)에 얹혀지는 지지롤러(3)가 끼워지며 일측으로 케이블끼움편(4)을 형성시켜 고정케이블(1)에 지지몸체(2)를 끼울 때 상기 케이블끼움편(4)을 벌려 끼우고 고정시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본체(10)는 상측에 지지몸체(2)가 힌지 결합되고 하측으로 하부몸체(20)가 힌지 결합되며, 본체(10)의 양측으로 후크(11)(12)를 고정시켜 이동 끝지점에 설치된 고정후크(5)(6)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후크(5)(6)는 지상에서 끈(5c)(6c)을 이용하여 후크(11)(12)와의 결합을 해제시키거나, 원격조정되는 전자식 마그네트밸브(5b)(6b)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해제시키도록 하되
상기 고정후크(5)(6)는 고정케이블(1)의 선단에 고정된 고정체(5a)(6a)에 결합되어 끈(5c)(6c) 또는 원격조정되는 전자식 마그네틱밸브(5b)(6b)또는 기계식 수동 밸브에 의해 해제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가이드롤러(13)를 설치하여 와이어(7)가 중간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와이어(7)는 받침롤러(14)에 지지되어 정중앙 하부를 향하게 한다.
하부몸체(20)는 본체(10)의 중앙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 와이어(7)가끼워지는 가이드편(23)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걸림편(22)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체(21)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체(21)는 하측이 힌지 고정되고 걸림편(22)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측에는 실린더축(25)이 힌지 결합된다.
실린더(24)는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24)에서 배출된 에어는 에어배출관(27)을 타고 원격조정되는 전자밸브(28)또는 기계식 밸브에서 배출이 선택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밸브(28)는 조작자에 의해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전자밸브(28)의 조작에 따른 전원은 본체(10)에 고정되는 밧데리에 의해 공급된다.
실린더(24)는 실린더축(25)이 내부로 밀려들어올 때 스프링(26)을 압착시키면서 내부공기를 에어배출관(27)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에서 끼워지는 이송환(30)은 상측이 와이어(7)에 결합되고 하부에 물건이 실리는 캐비티가 연결된다.
이송환(30)은 상부가 매끄러운 반구형상을 갖고 고정턱(31)이 형성되며 몸체는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7)는 산정상에 설치된 윈치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된다.또한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20)의 일측에 스프링(41)에 탄지된 해제구(40)를 설치하되 상기 해제구(40)는 지상에서 당김끈(43)을 당겨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제구(40)의 일측에는 해제핀(42)을 형성시켜 고정체(21)에 형성된 해제공(44)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며,상기 고정체(21)는 스프링 고정통(47)에 내삽된 탄지 스프링(46)으로 로드(45)가 탄지되게 하여 고정체(21)는 항시 서로 마주보는 쪽으로 움직이는 힘을 받도록 한다.상기된 구성은 지상에서 당김끈(43)을 당겨 해제구(40)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환(30)이 고정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캐리지가 하강되어 산밑의 고정후크(5)에 후크(1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송환(30)이 지면가까이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캐리지 이송과 이송환의 하강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송환(30)이 하강되어 있으면 이송환(30)하부에 결합된 캐비티에 물건을 싣거나 이송환(30)하부에 후크를 이용하여 이송물건을 걸어준다.
물건의 적재가 완료되면 산위의 조작자에게 무전연락하여 윈치를 구동시켜 와이어(7)를 감도록 한다.
와이어(7)가 윈치에 감기면 이송환(30)이 올라가게 되고 이송환(30)이 하부몸체(20)에 끼워져 고정체(21)를 양쪽으로 밀게 된다.
이때 고정체(21)가 이송환(30)의 상부에 의해 밀리면 실린더축(25)이 실린더(24)내부로 밀리며 스프링(26)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내부공기를 에어배출관(27)에서 전자밸브(28)또는 기계식 밸브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때 전자밸브(28)는 개방시킨 상태로 놓여있게 된다.
이송환(30)이 고정체(21)를 밀면서 끼워질 때 고정턱(31)이 걸림편(22)을 지나는 순간 밀렸던 고정체(21)가 원위치되면서 걸림편(22)이 고정턱(31)에 끼워진다.
즉 이송환(30)의 상부가 고정체(21)의 걸림편(22)을 밀게 되나 고정턱(31)이 걸림편(22)을 지나는 순간 고정체(21)를 밀지 못하고 반대로 압축되었던 스프링(26)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체(21)가 윈위치되면서 고정턱(31)에 걸림편(22)이 걸린 상태가 된다.
이상태가 되면 즉시 밸브(28)가 자동작동되어 잠가주게 되고 밸브(28)가 잠기면 이송환(30)이 상승되면 힘이 가해지더라도 실린더(24)내부의 에어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걸림편(22)에 걸린 이송체(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이송환(30)은 하부몸체(20)에 끼워져 내려가지도 않고 더 이상 올라가지도 않는다.
이상태에서 줄(5c)을 당기거나 전자식 마그네트밸브(5b)를 열어 고정후크(5)에서 후크(12)를 해제시킨 후 산위의 윈치를 작동시켜 와이어(7)를 당기면 본체(10)는 고정케이블(1)을 타고 산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하나의 와이어(7)를 이용하여 물건도 싣고 캐리지도 이송시킬 수 있어 두개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대비 고정케이블(1)에 걸리는 하중을 줄여주게 되므로 도 8 과 같이 고정케이블(1)을 고정시키는 고정대(1a)(1b)만 필요하게 중간을 받쳐주는 받침대(1c)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캐리지가 산위에 도착하면 후크(11)가 고정후크(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가 되고, 이상태에서 전자밸브(28)또는 기계식 밸브를 조작하여 개방시킨 후 이송환(30)을 상부로 당기면 이송환(30)의 몸체에 의해 걸림편(22)이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이송환(30)의 상부가 가이드편(23)에 부딪힐때까지 상승시킨 후 다시 전자밸브(28)또는 기계식 밸브를 닫아주면 고정체(21)는 벌어진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게 되고, 이상태는 고정턱(31)이 빠져나오기 충분한 공간이다.
이상태에서 윈치를 역회전시켜 이송환(30)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캐비티에 담긴 물건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송환(30)이 하부몸체(20)에서 빠져나오면 전자밸브(28)는 개방상태이며 고정체(21)은 실린더 내부의 스프링(26)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러면 이송환(30)에 걸린 물건을 내려놓고 이송환(30)을 상부로 끌어올릴때 실린더(24)에서 고정체(21)에 복원력을 가하여 이송환(30)이 고정체(21)의 걸림편(22)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다시 이송환(30)이 고정체(21)에 끼워지면 고정후크(6)를 작동시켜 후크(11)를 해제시킨 후 윈치를 역회전시키면 캐리지는 자중에 의해 산밑으로 이동하여 후크(12)가 고정후크(5)에 끼워진다.
그러면 다시 전술된 바와 같이 이송환(30)을 내리고 물건을 실으면 된다.한편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환(30)을 상부로 당기면 이송환(30)은 고정체(21)를 양측으로 벌리며 삽입되어 이송환(30)이 고정체(21)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이송환(3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이송환(30)을 상부로 당겨 고정체(21)를 양측으로 벌려준 상태에서 당김끈(43)을 당기면 된다.그러면 당김끈(43)에 의해 해제구(40)가 회동하면서 해제핀(42)이 해제공(44)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부터 고정체(21)는 탄지 스프링(46)의 힘이 작용하고 있더라도 모아지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이송환(30)을 하강시키면 이송환(30)이 고정체(21)에 관계없이 하강하게 된다.당김끈(43)을 놓게 되면 해제구(40)가 스프링(41)에 의해 원위치 되어 진다.이러한 본 발명은 지상에서 당김끈(43)을 당겨 이송환(30)이 하강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지점 사이에 고정된 고정케이블을 타고 왕복이송되며 물건을 실어나르는 캐리지에 있어서, 하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물건을 싣기 위한 이송환을 지면에 내리거나 올려주는 한편 캐리지를 원하는 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와이어를 사용하므로써 당김와이어와 권양와이어를 별도로 사용하는 기존 방식 대비 와이어를 한개로 줄일 수 있어 고정케이블의 장력부담을 줄여주고, 하나의 윈치만 설치하면 되므로 윈치설치에 따른 어려움도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두지점 사이에 설치된 고정케이블(1)에 지지몸체(2)의 지지롤러(3)가 2개이상 끼워지고, 상기 지지몸체(2)하부에 양측으로 후크(11)(12)가 고정된 본체(10)를 힌지 고정시킨 캐리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하부몸체(20)를 힌지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고정체(21)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체(21)의 하측은 하부몸체(20)에 힌지고정시키는 한편 상측은 실린더축(25)에 힌지 결합시키며,
    실린더축(25)이 내삽되는 실린더(24)는 하부몸체(20)에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본체(10)의 가이드롤러(13)와 받침롤러(14)를 거친 와이어(7)는 하부몸체(20)의 가이드편(23)을 통과시키며,
    상기 와이어(7)에 이송환(30)을 연결하여 이송환(30)이 하부몸체(20)에 끼워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캐리지.
  2. 제 1 항에서, 하부몸체(20)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24)의 에어배출관(27)은 사용자에 의해 원격조작되는 전자밸브(28)또는 기계식 밸브에서 에어의 배출 및 차단이 되고, 실린더(24)에 끼워진 실린더축(25)은 스프링(26)에 탄지되게 구성한 운반 캐리지.
  3. 제 1 항에서, 이송환(30)은 상부에 고정턱(31)을 형성시켜 고정체(21)의 걸림편(22)에 걸려지게 하고, 이송환(30)의 몸체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캐비티가 부착되고 상부에는 받침롤러(14)에서 가이드편(23)을 관통한 와이어(7)를 결합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캐리지.
  4. 제 1 항에서, 고정케이블(1)은 두지점에 고정된 고정대(1a)(1b)에 설치되고, 고정케이블(1)을 받치는 받침대(1c)를 사용치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캐리지.
KR1020000016501A 2000-03-30 2000-03-30 운반 캐리지 KR10033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01A KR100332350B1 (ko) 2000-03-30 2000-03-30 운반 캐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01A KR100332350B1 (ko) 2000-03-30 2000-03-30 운반 캐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77A KR20010068177A (ko) 2001-07-23
KR100332350B1 true KR100332350B1 (ko) 2002-04-12

Family

ID=1966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501A KR100332350B1 (ko) 2000-03-30 2000-03-30 운반 캐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29U (ko) 2017-02-02 2018-08-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부유체의 외부 데크상 물자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6850B (zh) * 2010-09-19 2012-08-29 湖南路桥建设集团公司 轨索车
CN103552960B (zh) * 2013-11-08 2015-11-04 上海同新机电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钢丝绳直线牵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29U (ko) 2017-02-02 2018-08-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부유체의 외부 데크상 물자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177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732B2 (en) Lifting systems
RU24708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омоздких грузов
CN108100872B (zh) 一种机械吊装装置
CN109982958A (zh) 具有锁定系统的可延伸吊杆和用于操作起重机的可延伸吊杆的方法
US10801567B2 (en) Line brakes
CN105620493B (zh) 一种新型快装货运索道
JPH05229779A (ja) 遠隔操作つき駆動化荷物係合装置
EP1758810B1 (en) Lifting apparatus
KR100332350B1 (ko) 운반 캐리지
EP0592135B1 (en) Luffing jib backstop assembly
CN103496628B (zh) 一种钢卷翻转吊具
JP4360935B2 (ja) 荷掛け・荷卸し装置
JP2011240998A (ja) 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荷の吊り上げ搬送方法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2009154973A (ja) チェー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連続搬送装置
CN201296598Y (zh) 一种便捷安全式吊装工具
KR200360434Y1 (ko) 시멘트 운반용 버킷
JP2612431B2 (ja) 玉外しフック
WO2010029960A1 (ja) チェーン及びチェーン搬送装置
KR20060101575A (ko) 이동식 호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장치와 그립퍼
CN221761566U (zh) 一种可升降的立杆
CA1151144A (en) Pipe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FI4082953T3 (fi) Aukikelausapu, aukikelausjärjestely aukikelausavun kera ja menetelmä aukikelausavun käyttämiseksi
JP2019034849A (ja) ジブ係留方法およびジブ係留装置
CN218371389U (zh) 一种限位缆索吊装置及缆索吊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