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743B1 -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743B1
KR100331743B1 KR1019970074460A KR19970074460A KR100331743B1 KR 100331743 B1 KR100331743 B1 KR 100331743B1 KR 1019970074460 A KR1019970074460 A KR 1019970074460A KR 19970074460 A KR19970074460 A KR 19970074460A KR 100331743 B1 KR100331743 B1 KR 100331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vehicle
customs
tubula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601A (ko
Inventor
김종수
강정길
장인성
이욱현
허승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1997007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7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장치는,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 유니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냉각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제 1 세관부를 구비하여, 이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방열부와, 자동차의 축전지에 설치된 제 2 세관부를 구비하여, 축전지의 방전열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수열부와, 제 1 세관부와 제 2 세관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제 3 세관부를 구비한 연결부와, 제 1 세관부, 제 2 세관부 및 제 3 세관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2상 응축성 작동액을 구비한 히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축전지의 방전열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난방을 할 수 있으므로, 난방을 위하여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서 전기 자동차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of electronic automobi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전지의 방전열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실화 현상에 의거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업체와 자동차 관련 기관에서는 공해 발생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가솔린 자동차를 대신할 수 있는 무공해 자동차 즉,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동차 등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무공해 자동차 중에서 가장 개발이 앞서고 있는 것이 전기 자동차이다. 이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공기조화장치는 현재 가솔린 엔진 차량과 같이 엔진 냉각수에 의한 가열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냉동 사이클과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사용하거나, 히트 펌프(heat pump)의 원리를 이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난방시 열원으로 사용되는 히터로는 PCT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cy) 히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히터는 소비전력이 매우 커서 자동차의 전기 에너지 손실이 크므로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압축기를 구동해야 하는 등 별도의 구동전력이 필요하므로,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난방을 위한 열원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의 방전열을 이용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은 도 1의 공기조화장치의 히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히터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순화된 작동 상태도로서, 도 3는 작동전의 상태를 도 4는 작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도 2의 공기조화장치의 히터에 역지밸브가 설치된 것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한 단순화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기조화장치의 히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히터의 압출튜브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6의 히터의 압출튜브의 횡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6의 히터의 압출튜브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12...송풍기 유니트
14...응축기20...방열부(제 1 세관부)
30...수열부(제 2 세관부)40...연결부(제 3 세관부
22,32,42...세관 파이프24,97...방열핀
50...히터61,...증기포
62...액상 작동액70...역지 밸브
90...압출튜브95...유로
100...축전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 유니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냉각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제 1 세관부를 구비하여, 이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방열부와, 자동차의 축전지에 설치된 제 2 세관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전지의 방전열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수열부와, 상기 제 1 세관부와 제 2 세관부를 서로 연통시키는제 3 세관부를 구비한 연결부와, 상기 제 1 세관부, 제 2 세관부 및 제 3 세관부의 내부를 유동하는 2상 응축성 작동액을 구비하여서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냉각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하는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세관부, 제 2 세관부 및 제 3 세관부는 각각 다수개의 세관파이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세관파이프는 상호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폐쇄 루프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세관부의 복수개의 세관파이프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적층되고, 이 세관파이프 사이에 방열핀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세관부에 1 또는 2 이상의 역지밸브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 연결부 및 수열부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압출튜브가 마련되어서, 상기 유로가 각각 상기 제 1 세관부, 제 2 세관부 및 제 3 세관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로가 서로 연통되어 1개의 단일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압출튜브의 수열부 방향의 단부 및 방열부 방향의 단부에서 인접하는 유로가 교호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출튜브의 제 1 세관부가 복수겹 이상 구부러지져서 적층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인접하는 층 사이에 방열판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이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송풍기 유니트(12)와, 그 내부에 증발기(14) 및 히터(50)의 방열부(20)가 설치된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공기유입구(I)와 공기유출구(U)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공기유입구(I)와 공기유출구(U) 사이의 공기 유동경로를 한정한다. 상기 공기유입구(I)는 도어(17)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자동차 외부의 공기 또는 자동차 내부의 공기를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유출구(U)의 하류측에는 자동차의 실내와 통하는 복수의 배출구(V,W,X,Y,Z)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송풍기 유니트(12)와, 증발기(14)와, 히터(50)의 방열부(20; 후술함)가 공기유입구(I)와 공기유출구(U)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 내에는 상기 방열부(20)의 전면에 도어(18)가 설치되어 증발기(14)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방열부(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된 축전지(100)에는 히터(50)의 수열부(30)가 형성되고, 이 수열부(30)는 상기 방열부(20)와 연통되어서, 수열부(30)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부(20)로 수송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실내 냉방시에는, 도어(18)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50)가 설치된 경로를 폐쇄하게 되고, 저온의 냉매(B)가 증발기(14) 내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유입구(I)로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기(12)에 의해 가속되어 증발기(14) 측으로 유동하고, 그 증발기(14)내의 냉매(B)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된 공기는 히터(50)를 우회하는 경로를 경유하여 공기유출구(U)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 냉방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 실내 난방시에, 상기 도어(18)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20)가 설치되지 않은 경로를 폐쇄하게 되며, 증발기(14) 내로는 냉매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유입구(I)로 유입되어 송풍기(12)에 의해 가속된 공기는 미작동의 증발기(14)를 경유하여 히터(50)의 방열부(20)를 통과한다. 이 방열부(20)에는 고온의 작동액(후술함)이 흐르고 있으므로, 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이 작동액과 열교환되어 가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는 공기유출구(U) 및 복수의 배출구(V,W,X,Y,Z)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 난방을 행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히터(50)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50)는 케이스(10) 내부의 송풍기(12)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이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방열부(20)와,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100)에 설치되어 축전지의 방전열을 전달받는 수열부(30)와, 상기 수열부(30) 및 가열부(20)를 연통시키는 연결부(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히터(5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20) 및 수열부(30)는 각각 작은 직경의 관을 복수개 구비하여 이루어진 제 1 세관부(20) 및 제 2 세관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제 1 세관부(20)와 제 2 세관부(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제 3 세관부(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세관부(20,30,40)의 관 내부에는 2 상 응축성 작동액(후술함)이 유동된다.
상기 수열부 즉 제 2 세관부(30)는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에(100)에 설치된다.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축전지(100)는 자동차 중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전기자동차 특성상 축전지(100)가 상시 작동되고, 이 축전지(100) 작동시에 그 방전열량이 상당히 크다. 상기 제 2 세관부(30)에는 복수개의 세관파이프(32)가 구비되는데, 이 세관파이프(32)가 축전지(100)의 외면에 감겨져서, 축전지(100)의 방전열이 세관파이프(32) 내부에 흐르는 저온의 작동액으로 전달된다.
도면에서는 5개의 세관파이프(32; 정확히 말하면 작동액이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5쌍의 세관파이프)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개수를 세관파이프가 설치된 것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관파이프 쌍의 개수는 작동액의 턴(turn)수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히터의 열교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부(20)는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 즉 제 1세관부(20)는 복수개의 세관파이프(22)를 구비하는데, 이 복수개의 세관파이프(2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적층되고, 각 세관파이프(22) 사이에 방열핀(24)이 형성되어, 세관파이프(22) 내부의 작동액과 방열부(20)로 유입되는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세관부(20)의 세관파이프(22)의 개수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세관부(3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부 즉 제 3 세관부(40)는 역시 복수개의 세관파이프(42)를 구비하고, 이 세관파이프(42)의 양단부가 각각 제1 세관부(20) 및 제 2 세관부(30)의 세관파이프(22,32)에 기밀성있게 연통된다. 따라서 제 1, 제2 및 제3 세관부의 세관파이프(22,32,42)가 서로 연결되어 1개의 긴 세관파이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세관부(20) 및 제 2 세관부(30)의 복수개의 세관파이프(22,32)가 상호 연결되어서, 전체적으로 1개의 폐쇄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것은 히터(50)의 세관파이프 연결상태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 3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즉 방열부(20) 및 수열부(30)에서 복수개의 세관파이프(22,32)를 상호 교호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폐쇄 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0)의 세관파이프(42)는 외부와 열교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단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특히 히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1, 제 2 및 세 3 세관부(20,30,40)의 세관파이프(22,32,42)의 내경은 약 0.1mm-5.0mm 로서, 그 내부에 봉입되는 작동액(예를 들면 물)은 관내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플러그(plug) 상태의 액상부분(62)과, 진공부에 작동액의 증기가 확산 충만하여 된 증기포 상태의 기상부분(61)이 교대로 또한 무작위의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히터(50)의 미작동상태 즉 축전지(100)가 방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의 액상상태와 기상상태가 평형을 유지한다.
전기 자동차가 주행을 시작하여 축전지(100)가 방전하면, 축전지(100) 내부에서 방전열이 발생하여 축전지(100)의 외면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축전지(100) 표면이 뜨거워지고, 수열부(30)에서 축전지(100) 외면으로부터 제 2 세관부의 세관파이프(32) 내부의 작동액으로 열교환이 발생한다. 한편 방열부(20)에서 제 1 세관부의 세관파이프(22) 내부의 작동액으로부터 주위의 공기로 열교환이 시작된다. 그러면, 상기의 평형상태가 깨져서 상기 작동액의 액상부분(62)과 기상부분(61)이 모두 예민하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수열부(30)의 열이 방열부(20)로 수송되는 방식은, 액상 작동액(즉 액상부분;62) 또는 증기포(즉 기상부분;61)의 순환 및 축방향 진동에 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열수송은 액상 작동액(62)의 수열 및 방열에 의한 현열수송과 증기포(61)의 발생과 응축에 의한 잠열 수송의 쌍방에 의하여 행해진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액의 순환은 수열부(30)의 세관파이프(32)에서 차례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포(61a)가 방열부(20)의 응축에 의해 저온 저압화하여 용적이 축소된 증기포(61b)를 향해 추진됨으로써, 발생한다. 순환추진력은 순환방향의 전후 양방향으로 발생하는데, 루프 전체로서 저항이 적은 방향을 향하는 추진력이 저항이 큰 방향을 향하는 추진력을 극복하여 순환이 발생하므로, 순환속도는 비교적 느리다.
한편 작동액의 진동은 비등 증기포(61a)의 급격한 발생과 그 순간에 발생하는 압력파가 루프내로 전파되어, 세관파이프(22,32,42) 내의 모든 증기포에 탄성적이고 간헐적인 압축작용을 미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열부의 제 2 세관부(30)는 복수 쌍의 세관파이프(3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세관파이프(32)의 턴부에서 위상이 다른 다수의 압력파가 발생하여, 루프 전체로 전파되어 서로 상쇄되거나 증폭되어 진동을 활발하게 한다. 따라서 세관파이프의 턴수가 많을수록 히터의 성능이 향상되며, 이에 의하여 세관형 열교환기의 특징이 잘 발휘될 수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상기의 루프형의 경우에 열량 수송양의 대부분이 작동액의 축방향의 진동에 의한 것으로서, 작동액의 순환은 느리기 때문에 그 열량수송성능에 대한 기여율은 미소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히터의 세관파이프에 역지밸브(70)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역지밸브(70)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한하는 요소로서, 연결부(40)의 세관파이프(42)의 유체통로상에 배치된다. 히터에 역지밸브(70)가 1개 또는 2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역지밸브의 수가 많을수록 작동액의 순환이 빠르고 강해진다. 이러한 역지밸브(70)는 밸브 시트(valve seat)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세관파이프(42)의 내벽에 삽입 고정되는 박판의 링(71)과, 상기 링(71)의 구멍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구형의 밸브 몸체(73)와, 개방상태에서 밸브 몸체(73)를 지지하는 스토퍼(75)를 구비한다.
역지밸브(70)가 설치된 히터(50)에서는, 작동액의 순환추진력 및 축방향의 진동의 모든 것이 일정한 방향(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규제되고, 반대방향(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향하는 순환추진력 및 축방향 진동 에너지는 역지밸브(70)에 의해 역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에너지의 모든 것은 액상의 작동액(62) 및 증기포(61)을 소정의 방향(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힘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역지밸브(70)가 구비된 히터(50)에서의 열수송은 작동액의 순환만으로 행해지는데, 이러한 순환추진력은 상당히 강력하고 순환속도도 역지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것보다 훨씬 빠르다.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의 전체적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은 방열부의 제 1 세관부(20), 수열부의 제 2 세관부(30) 및 연결부의 제 3 세관부(40)를 형성하는 방법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는 점이다.
즉 제 1 세관부(20), 제 2 세관부(30) 및 제 3 세관부(40)를 구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95)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개의 격벽(96)이 형성된 판상의 압출튜브(90; 도 7 및 도 8 참조)를 마련한다. 이 압출튜브(90)의 각 유로(95)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관파이프(22,32,42)에 대응한다. 그리고 이 압출튜브(90)가 방열부(20), 연결부(40) 및 수열부(30)에 걸쳐서 연장되어서,이에 대응하는 압출튜브(90)의 각각의 부분(92,94,93)각각 제 1 세관부, 제 3 세관부 및 제 2 세관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압출튜브의 유로(95)에 채워지는 작동액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2 상 응축성 작동액이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유로(90)를 서로 연통시켜서 압출튜브(90) 내부의 전체의 유로(90)가 전체적으로 1개의 단일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압출튜브(90)의 양단부 즉 수열부 방향의 단부(93) 및 방열부 방향의 단부(92)에 교호적으로 연통홀(93a,92a)이 형성되어서, 인접되는 유로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홀(93a,92a)은 유로를 한정하는 격벽(95)의 단부를 일정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와는 달리 작동액이 유동되는 유로(90)가 폐쇄루프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액상 작용액이 순환이 불가능하고 축방향으로만 진동한다. 한편 증기포는 수열부(30)에서 순차 발생하는 증기포에 밀려, 축방향 진동을 하면서 방열부(20)로 이동하여 차례로 응축되어 소멸한다. 따라서 작동액의 진동에 의한 현열수송 뿐만 아니라. 증기포의 응축에 의한 잠열수송도 행해지므로, 제 1 실시예의 폐쇄루프형 공기조화장치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작동액(60)의 순환운동이 불가능하므로, 그 사행 턴수가 적은 경우에는 축방향의 자유도가 저하되어 진동의 활성이 감소되므로,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유로가 충분한 사행 턴수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튜브(90)의 제 2 세관부(30)에 해당하는 부분(93)은 전기 자동차의 축전지(100)의 외면에 1회 또는 2 이상의 횟수만큼 감아서, 축전지의 방전열이 압출튜브의 부분(93)의 유로(95)를 유동하는 작동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압출튜브(90)의 제 1 세관부(20)에 해당하는 부분(92)은 U자 형상으로 여러번 절곡되어 적층된 형상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절곡된 층 사이에 방열판(97)이 설치하여 열교환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압출튜브의 부분(92)의 유로(90)를 유동하는 작동액과 송풍기(1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압출튜브(92)가 2개 이상 구비된 것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의 기본원리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공기조화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의 압출튜브는 특히 성형이 용이하고, 제품에 조립하기가 편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축전지의 방전열을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 난방을 할 수 있으므로, 난방을 위하여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서 전기 자동차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 유니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냉각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하는 증발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제1 세관부를 구비하고, 이 공기와 열교환하는 방열부와,
    자동차의 축전지에 설치된 제2 세관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전지의 방전열을 흡수하는 수열부와,
    상기 제1 세관부와 제2 세관부를 서로 연통시키며, 내외부가 상호 단열된 제3 세관부를 구비한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세관부, 제2 세관부 및 제3 세관부의 내부에 2상 응축성 작동액이 주입되어 상기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자동차 실내로 공급하는 히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세관부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관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세관부는 세관파이프가 방열핀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며,
    상기 세관파이프들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관부에는 상기 2상 응축성 작동액을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지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 연결부 및 수열부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압출튜브가 마련되어서, 상기 유로가 각각 상기 제1 세관부, 제2 세관부 및 제3 세관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로가 서로 연통되어 1개의 단일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압출튜브의 수열부 방향의 단부 및 방열부 방향의 단부에서 인접하는 유로가 교호적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관부는 복수겹이상 구부려지고, 그 사이에 방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KR1019970074460A 1997-12-26 1997-12-26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KR100331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60A KR100331743B1 (ko) 1997-12-26 1997-12-26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60A KR100331743B1 (ko) 1997-12-26 1997-12-26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01A KR19990054601A (ko) 1999-07-15
KR100331743B1 true KR100331743B1 (ko) 2002-05-09

Family

ID=3747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460A KR100331743B1 (ko) 1997-12-26 1997-12-26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7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0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1503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испаритель (аккумулятор) всасывающий контур радиатора-отопителя (варианты)
US6935129B2 (en) Heat exchanger and combined cycle system using the same
EP0930477B1 (en) Liquid cooled, two phase heat exchanger
CN114857963A (zh) 一种特斯拉阀冷凝器低温环路热管
KR101756213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0331743B1 (ko) 전기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JP4609316B2 (ja) 冷蔵庫
MXPA05000727A (es) Sistema de refrigeracion.
KR100331744B1 (ko) 자동차의좌석냉난방장치
KR200271004Y1 (ko) 자동차의공기조화장치
KR101150933B1 (ko)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CN111354995B (zh) 用于车辆的电池热管理系统和车辆
KR20110100002A (ko)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이중 증발기
JP2003240457A (ja) 給湯用熱交換器
KR100545273B1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냉각장치
CN110274330A (zh) 一种太阳能节能空调器
CN217764599U (zh) 特斯拉阀冷凝器低温环路热管
JP2004177006A (ja) 内部熱交換器
KR102250179B1 (ko) 열교환기
KR100583449B1 (ko)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열펌프
KR100290800B1 (ko) 열교환기
KR200323530Y1 (ko)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열펌프
KR20210108521A (ko) 열교환장치
KR20230088233A (ko)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우회밸브
Vasiliev Heat pipe thermal control for sorption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