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508B1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508B1
KR100331508B1 KR1019950019603A KR19950019603A KR100331508B1 KR 100331508 B1 KR100331508 B1 KR 100331508B1 KR 1019950019603 A KR1019950019603 A KR 1019950019603A KR 19950019603 A KR19950019603 A KR 19950019603A KR 100331508 B1 KR100331508 B1 KR 10033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gnetic plate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76A (ko
Inventor
사카타즈요시
아라이다츠야
마츠오즈토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2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전기커넥터는 에지부에 복수의 패드를 배열한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스프링성이 있는 도전재료의 시트로부터 펀칭 및 접어굽힘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접촉단자가 프리로드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각 접촉단자의 상접점부와 하접점부와의 사이에 자기판의 에지부를 제로삽입력으로 삽입한 후 자기판을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각 대응하는 패드부에 대하여 각 접점부가 소정의 접촉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자기판의 안정한 접속이 얻어짐과 동시에 자기판의 끼우고 빼기에 대하여도 튼튼하고 파손되기 어려운것으로 될수있어 동시에 매우 경제적이고 염가인 전기커넥터가 될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에지부에 복수의 패드를 배열한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수직, 경사, 또는 평행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년, 메모리가 탑재되는 수의 증대에 의하여 메모리모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저배의 실장()이 필요한 전용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저배화(低背化)에 대응하여 접속스프링으로 안정한 접속을 얻는데는 종래있던 직접 삽입형 커넥터로서는 낮은 높이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삽입후 회전시켜 접촉시키는 회전식 제로 삽입력 커넥터가 가지각색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회전식 제로 삽입력 소켓의 일예로서는 일본 특개소 60-230378호 공보나 일본 특개소 63-193473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들의 전기커넥터에서는 C자형으로 펀칭가공 형성된 접촉단자를 사용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와같이 C자형으로 펀칭가공된 접촉단자는 작은 삽입력으로 해결된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허용공차의 최대두께를 갖는 PC 기판이 채용될때 그 접촉자는 PC 기판을 제거하였을때 그것이 장전되지 않은 최초로 되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탄성한계를 넘어서 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와같은 C자형 접촉단자는 보통 워크로부터 펀칭가공되므로, 매우 큰 스프링 정수를 갖는다. 따라서 최소두께의 PC 기판에 대하여 확실하고 충분한 접촉력이 얻어지도록 그 스프링정수를 선정해두면, 최대두께의 프린트회로에 대하여 과대한 접촉력이 생겨, 파손이 생기거나 부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들 C자형 접촉단자는 프레스의 펀칭가공으로 형상을 만드므로 상당량의 희소금속재료를 쓸데없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대하여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2-78168호 공보에 개시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와 같이 프레스의 굽힘가공으로 형상을 만든 접촉단자를 사용하는 것도 개발되고는 있다. 이와같이 프레스의 굽힘가공으로 형상을 만든 접촉단자에서는 상술의 프레스의 펀청가공에 의하여 형상을 만든 C자형 접촉단자에 있어서 문제로 되었던 것과 같은 것을 피할수는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스의굽힘가공으로 형상을 만든 접촉단자로서는 지금까지는 가혹한 사용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개평 2-78168호 공보에 개시된 전기커넥터의 접촉단자에 예를들면 소정의 삽입각도로부터 작은 힘으로 삽입하고, 회전에 의하여 스프링을 변위시켜 소정의 접촉력을 얻기위해서는 개구치수를 크게하므로 매우 큰 스프링정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판두께의 변화에 대하여 접촉력이 크게 변하고 품질의 안정에 영향을 부여하므로 기판사이즈의 허용범위를 넓게잡을수 없다라는 문제가 있다.
본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안정한 접속이 얻어지는 스프링구조를 갖고, 동시에 경제적인 접촉단자를 배열설치한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발명에 의하면, 에지부에 복수의 패드를 배열한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접속하기 위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모기판상에 재치되는 절연하우징과, 그 절연하우징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접촉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하우징에는 자기판의 상기 에지부를 전방 경사방향으로 부터 받아들여 해당 에지부를 중심으로한 해당 자기판의 상기 모기판에 대한 접속위치로의 후방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해당 개구부의 전측벽, 아랫부분(저부)벽 및 후측벽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단자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접촉단자의 각각은 스프링성이 있는 도전재료의 시트로부터 펀칭 및 접어굽힘(절곡)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각접촉단자는 각 대응하는 상기 전측벽의 단자 수용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아랫부분벽의 단자 수용홈을 통하여 연장하여 상기 모기판의 대응하는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전측벽의 단자수용홈을 통하여 약간 연장한후 상기 개구부 내쪽으로 접어굽혀 되돌려져서 하접점부를 부여하는 역 U자부와, 상기 하접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더욱 해당 아랫부분벽의 단자 수용홈을 따라 상기 후측벽의 단자 수용홈쪽으로 연장하고 더욱 상방으로 상기 후측벽의 단자 수용홈을 따라 연장하여 스토퍼부를 부여하는 J자부와, 해당 스토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동시에 상기 개구부내로 접어굽혀 되돌려져서 상접점부를 부여하는 C 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역 U 자부, J 자부 및 C 자부는 상기 고정부를 지점으로하고 동시에 상기 상접점부를 자유끝으로한 탄성스프링을 구성하고, 상기 후측벽의 단자수용홈의 상기 개구부측에는 대응하는 접촉단자의 상기 스토퍼부를 걸어맞춤시켜, 상기 탄성스프링을 프리로드 상태로 해당 접촉단자를 해당 단자 수용구내에 유지시키는 훅부가 설치되고, 상기 각 단자수용홈에 유지된 각 접촉단자의 상기 상접점부와 상기 하접점부의 사이에 상기 자기판의 상기 에지부의 받아들임 방향으로 부터 본 간격은 상기 자기판의 상기 에지부의 두께와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지만 상기 자기판을 상기 후방회전운동시킬때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프리로드상태보다 더 로드가 걸리게된 상태로 탄성편이하게 되어 상기 자기판의 상기 에지부의 각 대응하는 패드부에 대하여 각 상접점부가 소정의 접촉력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자기판의 상기 에지부에는 양면공통 패드가 설치되어 상기 각 접촉단자의 상기 상접점부와 상기 하접점부는 상기 자기판이 상기 모기판에 대하는 접속위치로 후방회전운동하게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자기판의 대응하는 양면공통패드를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또, 본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각 접촉단자의 상기 역 U자부의 상기 고정부에 이어지는 연장부분은 부분변단면으로서 스프링정수를 조절가능으로 하고 있다.
더욱 또, 본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각 접촉단자의 상기 하접점부는 그 굴곡부의 곡률을 가공한도까지 작게하고 있다.
또 본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상기 각 접촉단자의 상기 하접점부는 딤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에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도는 본발명의 1실시예로서의 전기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파단사시도이다.
제1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1실시예로서의 전기커넥터(20)는 실제 장치기판인 모기판(10)상에 재치되는 절연하우징(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절연하우징(21)의 하부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한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5)는 메모리모듈을 탑재하는 프린트회로기판인 자기판(30)의 에지부를 전방경사방향에서 받아들여 동시에 그 에지부를 중심으로한 자기판(30)의 모기판(10)에 대하여 수직한 위치로의 후방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자기판(30)의 에지부에는 소정의 배열피치로 양면공통패드(32)가 배열되어 있다.
이들 패드(32)는 이 자기판(30)의 탑재되는 메모리등의 각종소자의 대응하는 단자에 대하여 자기판(30)에 형성된 소망의 도체패턴(제1 도에는 도시안됨)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자기판(30)자체의 구성은 본발명의 중요부분이 아니고, 종래의 것으로 있을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전기커넥터(20)의 절연하우징(21)에는 개구부(25)의 전측벽, 아랫부분벽 및 후측벽에는 이하 상술하는 바와같은 단자수용홈(2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단자수용홈(26)은 자기판(30)의 에지부에 배열된 패드(32)의 배열피치와 같은 배열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각 단자수용홈(26)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은 접촉단자(40)가 각각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전기커넥터(20)의 절연하우징(21)의 양단에는 개구부(25)의 양단근방의 외측의 위치에서 직립하도록하여 래치레버(22)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래치레버(22)의 상부끝에는 래치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절연하우징(21)의 후벽의 래치레버(22)의 근방에는 접속된 자기판(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자기판(30)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어맞춤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모기판(10)에 재치된 전기커넥터(20)에 대하여 자기판(30)을 접속하는데는 자기판(30)의 에지부를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에 대하여 전방경사 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 자기판(30)을 그 삽입된 에지부를 중심으로하여 후방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한다.
그리하면 자기판(30)의 각 옆가장자리가 각 대응하는 래치레버(22)의 래치부(23)의 전면부에 걸어맞춤하기 시작한 곳에서 각 래치레버(22)가 그 캠작용에 의하여 외측으로 열리도록 탄성편이하게 되고 이로서 자기판(30)의 각 옆가장자리가 각 래지부(23)를 타고 넘을수가 있다. 그리하여 자기판(30)의 각 옆가장자리가 각 래치부(23)를 타고 넘으면 자기판(30)의 각 걸어맞춤구멍(31)내에 돌기부(24)가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각 래치레버(22)가 그 탄성에 의하여 본래의 직립위치로 되돌아가므로 자기판(30)의 각 옆가장자리의 전면이 각 래치부(23)의 후면에 의하여 눌려지는 상태로된다.
이로서, 전기커넥터(20)에 대한 자기판(30)의 접속동작이 완료하고 이 접속완료상태를 제1 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접속상태에서 자기판(30)을 떼는데는 래치레버(22)를 외측으로 열도록 편이시키면 된다. 그리하면, 자기판(30)은 후술하는 바와같은 각 접촉단자(40)의 스프링력을 받아 각 옆가장자리가 각 래치부(23)를 넘도록하여 전방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개구부(25)로부터 용이하게 에지부를 뽑아낼수 있다.
다음에, 본발명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접촉단자(40)의 구성 및 이들 접촉단자(40)를 배열설치하기 위한 절연하우징(21)에 설치하는 단자수용홈(26)의 구성에 대하여 제2 도에서 제5 도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2 도는 접촉단자(40)중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이 접촉단자(40)는 스프링성이 있는 도전재료의 시트로부터 펀칭 및 접어굽힘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단자(40)는 거의 보통 금속스프링재료인 시트재로부터 잘라내어져 그 시트재 평면으로부터 접어굽혀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촉단자(40)는 절연하우징(21)에 형성된 단자수용홈(26)중 개구부(25)의 전측벽의 단자수용홈에 고정되는 고정부(46)와, 이 고정부(46)로부터 하방으로 아랫부분벽의 단자 수용홈을 통하여 연장하여 모기판(10)의 대응하는 도체(도시안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48)와, 고정부(46)로부터 상방으로 전측벽의 단자 수용홈을 통하여 약간 연장한후 개구부(25)내의 쪽으로 접어굽혀 되돌려져서 하접점부(44)를 부여하는 역 U 자부와, 하접점부(4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더욱 아랫부분벽의 단자수용홈에 따라 후측벽의 단자수용홈쪽으로 연장하고 더욱더 상방으로 후측벽의 단자수용홈에 따라서 연장하여 스토퍼부(42)를 부여하는 J자부(43)와, 스토퍼부(4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동시에 개구부(25)내로 접어굽혀 되돌려져서 상접점부(41)을 부여하는 C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3 도는 제2 도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같은 접촉단자(40)를 절연하우징(21)의 각 단자수용홈(26)내에 배열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4 도는 그 상태의 부분평면도이다. 이들 제3 도 및 제4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단자(40)는 그 고정부(46)를 절연하우징(21)의 전측벽의 단자수용홈(26)에 압입고정하고 한편 그 스토퍼부(42)가 절연하우징(21)의 후측벽의 단자수용홈(26)내에 삽입되어 이 단자수용홈(26)의 개구부(25)에 면한 측에 형성된 훅부(26A)에 걸리도록하여 각 대응하는 단자수용홈(26)에 배열설치된다. 이때, 제3 도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접촉단자(40)의 접속부(48)는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의 아랫부분벽의 단자수용홈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6)로부터 접속부(48)로의 연장부(47)의 길이를 변경한 2종류의 접촉단자(40)를 형성하여 단자수용홈(26)의 하나 건너에 다른 종류의 접촉단자(40)를 배열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함으로써 전기커넥터(20)의 접속부(48)의 배열은 지그재그 형상의 2열 배열로 된다.
또, 제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하우징(21)의 단자수용홈(26)내에 배열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사이의 자기판(30)의 삽입방향으로 부터 보았을때의 간격(D2)은, 자기판(30)의 에지부의 두께와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그 간격(D2)은 단자수용홈에 배열설치되지 않은 상태인 제2 도에 도시한 상태의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사이의 간격(D1)보다 소정량만큼 크게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접촉단자(40)의 상술의 하접점부(44)를 포함하는 역 U자부, 스토퍼(42)부를 포함하는 J자부(43)및 상접점부(41)를 포함하는 C자부는, 고정부(46)를 지점으로하고 동시에 상접점부(41)를 자유끝으로한 탄성스프링을 구성하고 있고, 이 탄성스프링을 프리로드한 상태에서 각 접촉단자(40)는 단자수홈(26)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이 실시예에서는 각 접촉단자(40)의 역 U자부의 고정부(46)에 계속하는 연장부분(45)은 부분 변단면으로서 스프링 정수를 조절가능하게 한다. 즉, 연장부분(45)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타의 부분보다 판두께가 얇게되도록 프레스가공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같은 전기커넥터(20)에 대하여 자기판(30)을 접속하는 경우에 있어서 동작에 대하여 특히 제3 도와 제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3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자기판(30)의 에지부를 전기커넥터(20)의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에 대하여 전방경사방향에서 삽입하여 간다.
이때,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의 양단근방의 전측상부에 형성된 경사가이드면(25A)에 따라 자기판(30)의 에지부의 전면을 미끄러져간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와같은 자기판(30)의 전방경사의 삽입방향에서 보았을때의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사이의 간격(D2)은 자기판(30)의 에지부의 두께와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으므로 이들 접촉단자(40)에 의한 자기판(30)의 삽입에 대한 저항력은 거의 없고, 자기판(30)은 개구부(25)에 대하여 제로삽입력으로 삽입할수가 있다.
이와같이 제로삽입력으로 자기판(30)을 개구부(25)내에 삽입하여가면, 자기판(30)의 하단면이 개구부(25)의 아랫부분벽에 형성된 사면(25B)에 충접(衝接)한다.
이와같은 충접후에 자기판(30)을 개구부(25)의 후측벽쪽으로 개구부(25)을 중심으로하여 즉 사면(25B)과 자기판(30)의 하단면과의 충접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키도록 한다. 즉,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의 근방부분이 자기판(30)의 에지부의 후면에 의하여 눌려지므로서 각 접촉단자(40)의 역 U자부, J 자부(43)및 C자부로 이루어지는 탄성스프링은 프리로드한 상태에서 더욱 로드를 걸게된 상태로 탄성편이하게 되어간다.
이와같은 탄성스프링의 탄성편이력에 저항하여 자기판(30)의 후방으로의 회전운동을 계속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자기판(30)의 양측가장자리가 각 래치레버 (22)의 래치부(23)를 타고 넘도록 함으로써 제1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래치상태로 할수 있다.
제5 도는 전기커넥터(20)에 대하여 자기판(30)이 이와같이 래치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접촉단자(40)와 자기판(30)의 에지부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자기판(30)의 하단면은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의 아랫부분벽의 평탄면(25C)의 위에 타고 있고, 자기판(30)의 에지부의 각 대응하는 양면공통패드부(32)에 대하여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가 끼워 넣어지도록하여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는 탄성스프링이 프리로드된 상태에서 더욱 로드를 걸리게된 상태로 됨으로써 소정의 접촉력으로 각 대응하는 패드부(32)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즉, 제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하우징(21)에 대하여 배열설치되어 있지않는 상태에서의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사이의 간격(D1)보다, 제3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하우징(21)에 배열설치된 상태에서의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사이의 간격(D2)의 쪽이 크게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3 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각 접촉단자(40)의 고정부(46)가 절연하우징(21)의 개구부(25)의 전측벽의 단자 수용홈(26)에 압입고정되고, 동시에 스토퍼부(42)가 개구부(25)의 후측벽의 단자수용홈(26)의 전면의 훅부(26A)(제4 도 참조)에 걸어맞춤되어있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각 접촉단자(40)를 절연하우징(21)에 배열설치 할때에는 제2 도에 도시하는 간격(D1)이 제3 도에 도시하는 간격(D2)으로 되도록 역 U자부, J 자부(43)및 C자부로 이루어지는 탄성스프링을 넓히도록하여 스토퍼부(42)가 훅부(26A)에 걸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배열설치상태에 있어서는 각 접촉단자(40)의 탄성스프링은 제2 도의 간격(D1)에서 제3 도의 간격(D2)으로 탄성편이력에 저항하여 넓혀진 분만큼 프리로드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프리로드 상태로부터 더욱, 제5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접촉단자(40)의 상접점부(41)가 자기판(30)에 의하여 탄성편이하게 되므로서 탄성스프링에 더욱 로드가 걸리게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제3 도의 상태에 있어서 상접점부(41)의 위치로부터 제5 도의 상태에 있어서 상접점부(41)의 위치까지의 편이량이 비교적 작더라도 상접점부(41)의 패드부(32)에 대한 접촉력을 소정의 강한 것으로 할수 있는 것이다.
더욱더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접촉단자(40)의 역 U자부의 고정부(46)에 계속하는 연장부분(45)는 상술한 바와같이 프레스가공등으로 타의 부분보다 판두께가 얇아지도록 부분변단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접촉단자(40)의 탄성스프링이 제3 도의 상접점부(41)의 위치로부터 제5 도의 상접점부(41)의 위치까지 탄성적으로 편이하게 될때에는 그 판두께를 얇게된 연장부분(45)이 그 편이력의 영향을 가장 강하게 받아 그 연장부분(45)은 고정부(46)를 지점으로하여 개구부(25)의 후측벽쪽으로 약간 편이하게 되도록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하접점부(44)가 자기판(30)의 에지부의 전면의 패드부(32)에 대하여 억눌리게되도록 하므로, 상접점부(41)의 탄성편이에 의하여 하접점부(44)가 패드부(32)로부터 벌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낮은 높이의 제약에 있어서, 상접점부(41)와 하접점부(44)와의 차이를 극소로 하기 위하여 하접점부(44)의 굴곡부의 곡율(R)을 가공한도까지 작게 함으로서, 자기판(30)으로의 접점높이의 차이에 의한 부하를 최소로하고 각 패드(32)로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또, 각 접촉단자(40)의 하접점부(44)는 가공경화를 피하기 위하여 상위에 설치한 딤플에 의하여 컨택트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술한 실시예는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속하는 형의 전기커넥터였지만 본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접속할수 있도록 할수있어 예를들면 자기판의 평면이 모기판의 평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평행이 되도록 자기판을 모기판에 대하여 접속할수 있도록 할수 있다.
제1 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전기커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 사시도,
제2 도는 제1 도의 전기커넥터에 배열설치되는 접촉단자중 하나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제3 도는 제2 도의 접촉단자를 제1 도의 전기커넥터의 절연하우징의 각 단자수용홈내에 배열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4 도는 제2 도의 접촉단자를 제1 도의 전기커넥터의 절연하우징의 각 단자수용홈내에 배열설치한 상태의 부분확대 평면도,
제5 도는 제1 도의 전기커넥터에 대하여 자기판(子基板)이 래치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접촉단자와 자기판의 에지부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제3 도와 꼭같은 부분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기판(母墓板) 20: 전기커넥터
21: 절연하우징 22: 래치레버
23: 래치부 24: 돌기부
25: 개구부 25A: 경사가이드면
25B:사면 25C:평탄면
26: 단자수용홈 26A:훅부
30: 자기판 31: 걸어맞춤구멍
32: 패드부 40: 접촉단자
41: 상접점부 42: 스토퍼부
43: J 자부 44: 하접점부
45: 변단면 () 연장부분 46: 고정부
47: 연장부 48: 접속부
본발명의 전기커넥터의 각 접촉단자는 금속시트재로부터 펀칭 및 굽힘가공되어 있고, 동시에 프리로드 상태로 절연하우징에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접촉단자의 제조공차에 의한 접촉력의 변동을 최소로 억제할수 있어 따라서 접촉단자의 제조허용차를 크게 할수있어 대규모 대량생산금형의 실현이 용이하게 된다.
또 프레스의 펀칭에 의하여 형상이 만들어지는 프레스 펀칭형의 접촉단자와 달리 재료의 스크랩 부분을 최소한으로 할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염가인 것으로 할수있어 에너지 절약자원에 기여할수가 있다.
펀칭굽힘가공에 의하여 형상을 만들고 있으므로 자기판의 패드부와의 접촉부(상접점부 및 하접점부)를 금속시트재의 신뢰성이 있는 압연면으로 부여할수 있으므로 항상 양호한 접촉을 향하게 할수 있다.
프레스펀칭에 의하여 형상을 만드는 형의 접촉단자와는 달리 펀칭 굽힘가공에 의하여 형상을 만드는 형의 접촉단자는 다수의 접촉단자를 릴형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준비해 두는 것이 좋으므로 절연하우징에 다수의 접촉단자를 일괄하여 압입 배열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전기커넥터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접촉단자의 상접점부와 하접점부와의 높이의 차이의 간격을 축소하고 접촉력을 보다 균일화함으로서 래치상태로 접속유지된 자기판에 인가되는 회전모멘트를 극소화할수 있다.
각 접촉단자의 상접점부 및 하접점부의 스프링정수를 가변조정가능(금형의 부분조정)으로함으로서 자기판의 뒤틀림에 의한 접촉력의 변동, 부접등을 흡수하여 충분한 특성을 내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각 접촉단자는 그 고정부를 절연하우징의 개구부의 전측벽의 단자수용홈내로 동시에 그 스토퍼부를 절연하우징의 개구부의 후측벽의 단자수용홈내로 절연하우징의 상방에서 밀고들어가도록 한것만으로 절연하우징에 배열설치되므로 그 조립공정을 간단화할수 있다. 그 위에 각 접촉단자는 고정부의 압입개소와 스토퍼부와 훅크부와의 걸어맞춤부와 절연하우징에 대하여 단단히 유지된 형으로 되므로 자기판의 개구부로의 끼우고 빼낼시에 과대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더라도 접촉단자가 파손되거나 변형해 버리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

Claims (6)

  1. 에지부에 복수의 패드를 가진 자기판을 모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모기판에 재치되는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판을 받아들이고 래치 위치로 향하도록 하는 개구부로서, 전측벽, 아랫부분벽, 및 후측벽을 가진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전측벽, 아랫부분벽, 및 후측벽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수용홈;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 수용홈에 배치된 복수의 접촉단자로서, 상기 각각의 접촉단자는 스프링성의 도전성 시트를 펀칭 및 접어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측벽의 단자 수용홈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모기판의 도체에 전기적 접속을 위해서 상기 고정부의 낮은 단부로부터 가로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상기 아랫부분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접속부, 하접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전측벽 단자 수용홈의 고정부의 높은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에 하방으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연장되는 역 U 자부, 상기 하접점으로부터 상기 아랫부분벽 단자 수용홈의 후측벽을 향하여 가로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상기 후측벽의 상기 수용홈을 따라서 연장되어 스토퍼부를 부여하는 J 자부 및 상접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가로로 연장되는 C 자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접촉단자;
    자유단부의 상기 상접점은 상기 고정부를 지점으로 하여 휠 수 있는 스프링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역 U 자부, 상기 J 자부, 상기 스토퍼부 및 상기 C 자부;
    프리로드 상태에서의 상기 스프링 유닛에서 상기 접촉 단자를 상기 단자 수용홈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개구부의 후측벽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훅부; 및
    상기 자기판이 상기 래치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프리로드 상태에서의 상기 스프링 유닛을 휘게 할 때 상기 상접점이 소정의 접촉력으로 상기 에지부의 패드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단자 수용홈에 배치되는 접촉단자의 상기 상접점부와 상기 하접점부사이의 상기 자기판의 에지부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큰 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판의 에지부에는 양면 공통 패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기판이 상기 모기판에 래치될 때 상기 상접점 및 하접점은 상기 자기판의 양면 공통패드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역 U 자부의 연장 부분은 상기 스프링 부분의 스프링 정수를 조절하기 위해서 변화되는 절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의 상기 하접점은 가공한도까지 최소화된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단자의 상기 하접점은 딤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판은 상기 모기판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컨넥터에 래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KR1019950019603A 1994-12-09 1995-07-05 전기커넥터 KR100331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06237 1994-12-09
JP6306237A JP3051313B2 (ja) 1994-12-09 1994-12-09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76A KR960027076A (ko) 1996-07-22
KR100331508B1 true KR100331508B1 (ko) 2002-11-01

Family

ID=1795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603A KR100331508B1 (ko) 1994-12-09 1995-07-05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95353A (ko)
JP (1) JP3051313B2 (ko)
KR (1) KR100331508B1 (ko)
CN (1) CN1042474C (ko)
TW (1) TW266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25266D0 (en) * 1995-12-11 1996-02-07 Amp Great Britai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ard connector
JP3232239B2 (ja) * 1996-04-26 2001-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232240B2 (ja) * 1996-04-26 2001-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117000A (ja) * 2000-10-05 2002-04-19 Hitachi Ltd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接続部材
US6804120B2 (en) * 2001-12-18 2004-10-12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for a sensor assembly
US6859057B2 (en) * 2002-09-17 2005-02-22 Aehr Test Systems Die carrier
TW576563U (en) * 2003-01-28 2004-02-11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al connector
CN2772061Y (zh) * 2005-02-04 2006-04-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74692B2 (ja) *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1626118B (zh) * 2008-07-07 2012-02-08 莫列斯公司 卡缘连接器
JP5388565B2 (ja) * 2008-12-25 2014-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メス端子の構造
KR101532165B1 (ko) * 2014-01-27 2015-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계 plc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전자식 전력량계의 plc 모뎀 접속부
KR102165751B1 (ko) * 2016-08-04 2020-10-14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콘택트
JP6477660B2 (ja) * 2016-10-20 2019-03-0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11183788B2 (en) * 2020-04-01 2021-11-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75819D1 (de) * 1984-04-06 1990-03-08 Molex Inc Elektrischer stecker mit geringer notwendiger einsteckkraft und mit beanspruchungsueberwachten kontakten.
EP0350710A3 (en) * 1988-07-11 1990-12-12 VERSATILE ENGINEERING COMPANY, INC. (a California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US5085593A (en) * 1991-01-14 1992-02-04 Kenny Tuan Elasticity-enhanced contact element of electrical connector
US5100337A (en) * 1991-01-22 1992-03-31 Lee Chao Kuei L Electrical connector for exerting multiple elastic forces
US5151046A (en) * 1991-09-27 1992-09-2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overstress protection
US5199895A (en) * 1992-02-04 1993-04-06 Chang Lien Ker Low insertion force, self-locking connecting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memory modules to a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66336B (en) 1995-12-21
CN1124414A (zh) 1996-06-12
US5695353A (en) 1997-12-09
CN1042474C (zh) 1999-03-10
KR960027076A (ko) 1996-07-22
JP3051313B2 (ja) 2000-06-12
JPH08162226A (ja) 199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508B1 (ko) 전기커넥터
US5647755A (en) Electrical connector
US7402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liably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2547943Y2 (ja) ラッチ付き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0673306B2 (ja) 電気コネクタ
US549817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leg retention feature
US5135412A (en) Hold-down terminal
US4984996A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US556717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US6881085B2 (en) Connector for plate object with terminals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US5692920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US20220328994A1 (en) Connector
US6149468A (en) Card edge connector
US5791929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JPH11502053A (ja) 電気リセプタクル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ばねコンタクト
US5588861A (en) ZIF chip socket
US4232923A (en) Electrical connector
JP3232240B2 (ja) 電気コネクタ
US6030243A (en) Plug connector for card-edge mounting
JP3232239B2 (ja) 電気コネクタ
US7775832B2 (en) Holding structure of a contact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151046A (en) Electrical terminal which has overstress protection
US6068510A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932653B2 (en)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