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628B1 -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628B1
KR100330628B1 KR1020000011955A KR20000011955A KR100330628B1 KR 100330628 B1 KR100330628 B1 KR 100330628B1 KR 1020000011955 A KR1020000011955 A KR 1020000011955A KR 20000011955 A KR20000011955 A KR 20000011955A KR 100330628 B1 KR100330628 B1 KR 10033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tape
thickness
fiber mesh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8767A (ko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000011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62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용융시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가 침투, 도포된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하고 유리섬유망포의 일측표면에는 폴리에틸렌수지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고, 유리섬유망포의 다른 표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망포가 가열로울러로 압착시켜 유리섬유망포의 두께는 원래의 두께보다 10~25% 얇게 변형시킨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는 두께를 얇게 변형시킨 유리섬유망포를 테이프의 기재로 하므로서 테이프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테이프의 두께를 줄여 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유리섬유망포의 두께가 줄어드는데 따라 유리섬유망포의 망목 사이를 채워주는 점착제층의 두께도 줄여줄 수 있게 되므로 점착제 도포 회수를 1회로 줄여줄 수 있고 건조시간도 단축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과 전자제품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Adhesive tape for adhere to the braun tube having glass fiber network as tape base}
본 발명은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기구로 사용되는 브라운관을 밴드형 철제 브라켓(Bracket)과 접착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은 유리로 되어 있고 그 내부는 진공으로 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파손될 위험이 많으므로 직접 케이싱이나 하우징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금속으로된 브라켓을 브라운관의 외주에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킨 다음 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영상 기구의 케이싱 또는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일반화되어 있다.
철제브라켓을 브라운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착테이프로서는 철제브라켓(鐵製 band)을 400~500℃로 가열한 상태에서 부라운관 외주면에 장착시키고 냉각 수축력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에 단단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을 수축고정방법(shrinkage법)이라고 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테이프를 일명 방폭테이프라고도 한다.
철제 브라켓을 브라운관에 접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양면 접착테이프, 일면에 열융착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테이프 및 열경화성 접착테이프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4248호에는 유리섬유로된 직포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같은 상온 비점착성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다른면에는 열용융성 점착제층을 형성한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브라운관이 공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직포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수지피막층을 형성할 때는 폴리에틸렌 용융액을 직포의 일면에 도포융착시켜 피막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브라운관 접착용 방폭테이프에 사용하는 직포는 신축성이 적은 유리섬유망포이고 이 유리섬유망포의 표면은 실란(Silane)같은 이형성(離型性)이 큰 실리콘 수지류로 처리되어 있어 폴리에틸렌수지와의 접착력이 약하여 폴리에틸렌 피막이 직포와 접착되지 않고 박리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그 결과 직포 이면에 열용융성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박리된 부분에는 열용융성 접착제가 직포 이면까지 누출되어 접착제층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91-9770호에는 유리섬유망포의 일측 표면에는 비접착성 폴리에틸렌 피막층을 형성하고 망포의 타측 표면에는 열용융성 점착제층이 가열용융시 망목을 통하여 피막층이 형성된 망포 표면까지 누출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고 여기에서는 폴리에틸렌 피막층을 형성하기전의 망포를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 에멀죤으로 처리하여 망포의 섬유가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로 피복되도록 한 다음 폴리에틸렌 용융액을 처리하여 피막층을 형성시켜주는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망포는 유리섬유를 직조(織造)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직조되는 유리섬유는 여러가닥의 유리 단섬유(glass fiber monofilament)를 연사(撚絲)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테이프를 접거나 변형시켜 사용할 때 유리 단섬유의 풀림이 일어나서 유리단섬유가 파손되면서 유리가루가 날리거나 유리섬유의 보풀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시켜 주기 위하여 유리섬유의 표면을 유리와 접착력이 우수한 실란(Silane)과 같은 실리콘계 화합물로 처리하여 주고 있다.
그러나 실란화합물은 이형성이 좋은 실리콘계 화합물이므로 폴리에틸렌 수지와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고가의 물질이므로 전체 테이프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91-9770호에서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실리콘 망포간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피막층을 형성시켜 주기 이전에 실란화합물로 처리된 유리망포를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 에멀젼으로 처리하여 유리섬유를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로 피복시키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는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에멀젼으로 처리하여 주는 이유는 유리망포와 폴리에틸렌수지와의 접착력을 개선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유리섬유의 표면이 실란화합물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프라이머가 유리 단섬유 가닥 사이에는 침투되지 않는다. 유리섬유는 유리 단섬유의 속(束)으로 되어 있고 유리섬유의 내부는 유리로만 되어 있어 유리 단섬유가 끊어지거나 노출된 부분에서는 유리섬유가 파손되면서 유리 입자가 비산(飛散)되게 된다.
상기한 테이프는 접어서 사용하거나 테이프를 절단해서 사용하는 경우 유리 단섬유가 끊어진 부분에서 유리입자가 비산하게 되고 이 유리입자는 브라운관을 접착 고정시 불량품 제공의 원인이 되고 있다.
브라운관의 브라켓 접착용 방폭테이프에 있어서, 기재는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고 접착제층이 폴리에틸렌수지로 구성된 것을 선호하는 이유는 망포중 유리섬유망포가 내열성이면서 인장강도가 크기 때문이며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축고정방법으로 고정시킬 때 접착성이 우수하고 융점이 낮아 가공이 용이하면서 값도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다.
브라운관의 브라켓 접착용 방폭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고 폴리에틸렌수지층으로 구성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유리섬유와 폴리에틸렌수지는 접착성이 나쁘므로 이 접착성의 개선을 위하여 유리섬유의 망포를 구성하는 유리 단섬유 가닥 사이에 가열용융시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를 침투시켜 준 유리섬유망포를 테이프의 기재로 사용하므로서 유리섬유와 폴리에틸렌수지와의 접착력을 개선하는 테이프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두께가 얇을수록 좋다. 두께가 얇을수록 유연성이 좋게 되므로 굴곡면 접착시 면접착을 용이하게 하여 줄수 있고 운반이나 보관도 편리해질 뿐아니라 전자제품의 경량화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5)를 도포시킨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고 유리섬유망포(1)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수지층(3)을 형성시키고 다른 일면에는 점착제층(4)을 형성시켜서 된 점착테이프는 그 전체 두께가 0.25±0.01mm의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를 도포시킨 유리섬유망포를 테이프의 기재로 하고 유리섬유망포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수지층을 시키고 다른 일면에는 점착제층을 형성시켜서 된 브라운관 고정용 테이프에 있어서, 테이프이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15~25% 얇게 유지하면서 인장강도 등의 강도는 종래와 같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수지층과 결착된 유리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수지층과 결착된 유리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리섬유망포 2 : 유리섬유 3 : 폴리에틸렌수지층
4 : 유리 단섬유 5 :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
6 : 점착제층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이하 열가소성수지라 한다)(5)를 도포하여서 된 섬유망포(1)를 테이프의 기재로 하고 유리섬유망포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수지층(3)을 다른 일면에는 점착제층(4)을 형성시켜서 된 브라운관 고정용 테이프에 있어서 두께를 얇게 변형시켜 준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므로서 테이프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15~25% 얇게 유지하면서 종래와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고정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 고정용 테이프에 있어서 일정한 강도는 유지하면서 그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얇은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여야 한다.
테이프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소는 폴리에틸렌수지, 유리섬유망포 및 점착제층으로 구성되는데 이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수지와 같은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를 헥산과 톨루엔으로 조성된 혼합용제에 용해시켜 수지용액을 얻은 후 여기에 유리섬유망포를침시킨 후 건조시켜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망포를 얻고 상기 유리섬유망포의 일면에 폴리에틸렌을 압출기로 압출하면서 필름상으로 도포시키고 다른 일면에는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코터(Coater)로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접착테이프를 제조한다.
이때 점착제는 유기용제에 용해시켜서 된 점주액 상태로 유리섬유망포에 도포해 주게 되는데 브라운관 접착용 테이프의 기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일반적으로 섬유 직경 180~200㎛(0.18~0.20mm)의 것이 사용되며 이 유리섬유망포의 망목사이를 상기 점착제로 채워주게 된다.
이때 테이프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건조후의 점착제가 유리섬유망포의 망목사이를 완전하게 채워지도록 하여주지 않으면 안되는데 건조후 점착제층의 두께를 유리섬유의 직경인 180~200㎛ 두께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1회 도포로는 불가능하며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나누어 도포해 주어야 하고 점착제는 건조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건조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테이프의 두께를 줄여주는데 있어서 폴리에틸렌수지는 이미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량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착제도 유리섬유망포의 표면까지 표출되어 있어야만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섬유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는한 테이프 전체의 두께를 줄여줄 수 없게 된다.
종래 유리섬유는 실란화합물로 코팅되어 있었고 실리콘 계열의 실란화합물은 경질이어서 유리섬유망포의 두께를 얇게하여 주기 위하여 유리섬유망포를 압착해 주게 되면 유리섬유망포는 유리단섬유(Glass fiber monofilament)(4)의 속(束)으로 되어 있고 유리섬유 내부는 유리로만 되어 있어 유리 단섬유의 풀림이 일어나면서 단섬유가 끊어지거나 노출된 부분에서 유리섬유가 파손되면서 유리입자가 비산(飛散)되게 된다.
그러나 접착수지를 도포시킨 유리섬유망포는 접착수지가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이고 열가소성수지는 가열시 가소성을 가지므로 유리망포를 가열 압착시켜 주면 유리섬유의 손상없이 유리망포의 두께를 줄여 줄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rene-Isoprene-Styrene) 수지 100중량부와 석유수지(Petroleum resin) 20중량부를 헥산(Hexane) 200중량부와 톨루엔(Toluene) 180중량부로 조성된 혼합용제 380중량부에 용해시킨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수지와 석유수지는 가열용융시 폴리에틸렌수지와의 상용성이 있다.
상기 혼합물을 용해조에서 50℃ 정도로 가열 용해시켜 상기 혼합용제에 용해된 수지용액을 얻는다. 이 수지용액에 실란화합물 등으로 처리하지 않은 유리섬유망포를 약 30초 정도 침지시킨 후 80~100℃의 건조실에서 용제를 건조시킨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섬유망포는 섬유망포의 내 외부에 혼합수지가 도포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유리섬유망포는 두께 200㎛의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유리섬유망포를 80~90℃로 가열된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로울러를 가압하여 유리섬유망포의 두께가 160㎛가 되도록 압착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로울러의 가압정도를 조정하여 유리섬유의 두께를 150~180㎛의 범위로 조절하여 줄수 있다.
두께 200㎛의 섬유망포를 두께 150~180㎛로 줄여주면 테이프 전체의 두께도 250㎛에서 190~220㎛ 정도로 얇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테이프는 두께를 얇게 변형시킨 유리섬유망포를 테이프의 기재로 하므로서 테이프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테이프의 두께를 줄여 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유리섬유망포의 두께가 줄어드는데 따라 유리섬유망포의 망목 사이를 채워주는 점착제층의 두께도 줄여줄 수 있게 되므로 점착제 도포 회수를 1회로 줄여줄 수 있고 건조시간도 단축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과 전자제품의 경량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폴리에틸렌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열가소성수지(5)가 도포된 유리섬유망포(1)를 기재로하고 유리섬유망포의 일측표면에는 폴리에틸렌수지 피막층(3)이 형성되어 있고, 유리섬유망포의 다른 표면에는 점착제층(6)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운관 고정용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상기의 유리섬유망포가 가열로울러로 압착시켜 유리섬유망포의 두께를 원래의 두께보다 10~25% 얇게한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KR1020000011955A 2000-03-10 2000-03-10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KR10033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955A KR100330628B1 (ko) 2000-03-10 2000-03-10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955A KR100330628B1 (ko) 2000-03-10 2000-03-10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767A KR20010088767A (ko) 2001-09-28
KR100330628B1 true KR100330628B1 (ko) 2002-03-29

Family

ID=1965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955A KR100330628B1 (ko) 2000-03-10 2000-03-10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6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767A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3876C (en) Filament reinforced tape
CN1298800C (zh) 用于包裹细长材料特别是电缆束的包含织物基材的胶粘带
JP2001294827A (ja) ケーブル包帯用テープとしての粘着テープの使用
CA2205313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plastic component which is insensitive to the elements, and a plastic component so manufactured
JPS6217632B2 (ko)
FR2483628A1 (fr) Fibre optique pour lumiere infrarouge
Nelyub Adhesive-Strength Evaluation via the Pull-Out Method in a Binder—Elementary-Filament System at Various Treatments of Filaments
KR100330628B1 (ko) 유리섬유망포를 기재로 하는 브라운관 고정용 접착테이프
CN107100103A (zh) 一种阻燃反光警示带的制作方法
KR100314897B1 (ko) 브라운관의 브라켓 접착용 방폭 테이프
JPH0338308B2 (ko)
WO1988010191A1 (en) Decorative article and production thereof
JP4317827B2 (ja) 高離型性シリコーンゴ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10009770B1 (ko) 브라운관의 브라켓트 접착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970000184B1 (ko) 브라운관 고정용 단면 점착테이프
KR200264818Y1 (ko) 브라운관용 방폭 보강 테이프
JPH06322330A (ja) 交織布基材防爆用粘接着テープ
KR950006910B1 (ko) 점, 접착성(粘,接着性) 테이프
JPS60215088A (ja) 陰極線管の補強に用いる防爆用粘着テ−プ
JPH085809A (ja) カプセル型再帰反射性シート
JPH06158004A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51119A (ja) プリプレグシ−トの製造法
JPS6071551A (ja) 光学ガラスフアイバ用被覆材料
JPH01259081A (ja) 布粘着テープ用基材の製造方法
KR100247488B1 (ko) 도전성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