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488B1 - 도전성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도전성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488B1
KR100247488B1 KR1019970071953A KR19970071953A KR100247488B1 KR 100247488 B1 KR100247488 B1 KR 100247488B1 KR 1019970071953 A KR1019970071953 A KR 1019970071953A KR 19970071953 A KR19970071953 A KR 19970071953A KR 100247488 B1 KR100247488 B1 KR 10024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dhesive tape
conductive adhesive
mesh cloth
fibe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475A (ko
Inventor
이용인
Original Assignee
이용인
신화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신화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1997007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4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과 같은 영상기구를 조립할 때 브라운관(Braun tube)를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면서 브라운 외주면에 집적(集積)되는 정전기를 통전(通電)시키는데 사용되는 도전성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유리섬유 등의 섬유망포를 기재로 하고, 섬유망포의 일면에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다른 일면에는 합성수지 필름층이 형성되도록 구성시키고 합성수지 필름층과 섬유망포 사이에 도전성 세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섬유망포와 도전성 세선이 도전성 점착제층에 몰입되어 일체화 되도록 형성시켜 점착테이프의 인장력과 도전성을 향상시킨 도전성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전성 점착테이프
본 발명은 도전성(導電性) 점착(粘着)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점착테이프는 전기, 전자제품을 포함하여 통전성(通電性)을 부여하면서 접착, 고정시키는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전성 점착테이프는 텔레비젼 같은 영상기구를 조립할때 브라운관(Braun tube)을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면서 브라운관 외주면에 집적(集積)되는 정전기를 통전(通電)시켜 제거시키는데, 전자파의 발산을 막아주는데 또는 전자빔(beam)의 편향(偏向) 정도를 조절(調節)하여 주기 위한 자석(磁石)을 브라운관 외주면에 부착시키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을뿐 아니라 전자 제품의 조립공정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은 유리로 되어 있고 내부가 진공이어서 외부충격으로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직접 케이싱이나 하우징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철제(鐵製)밴드 브랑켓(Blanket)을 브라운관의 외주에 완충역활을 하도록 점착 고정시킨 다음 이 브랑켓을 이용하여 케이싱 또는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완충 점착제 테이프를 사용하여 브라운관을 브랑켓에 고정시켜 주므로서 브라운관의 파손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이나 사고에 의하여 브라운관 폭발하는 경우에도 파편의 비산범위를 극소화시킬 수 있다. 철제 브랑켓을 브라운관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점착테이프로서 도전성 테이프를 사용하는 이유는 브라운관 외연부에 집적되는 정전기를 도전성 점착테이프를 통하여 "어스회로"와 연결하여 제거시키고 전자파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한 것이다.
텔레비젼과 같은 영상기구에 사용하는 브라운관은 영상을 형성시키는 방법 때문에 내부에 극히 높은 전압을 걸어주어야 한다. 그 결과 외연부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정전기를 연속적으로 제거시켜주지 못하게 되면 정전기의 집적 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전자파도 계속 발산되게 된다.
브라운관의 용도가 확대됨에 따라 사용자가 만지거나 직접 접촉하게 되는 기회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정전기의 집적 현상은 인체에는 물론 브라운관의 기능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용자가 정전기와 과대하게 접촉하게 되면 통전(通電)으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정전기에 의한 전자 회로의 난조(亂調)와 극단적으로는 화상이 떨리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전기의 집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의 방법이 도전성 점착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철제브랑켓으로 브라운관을 직접 고정시켜 주고 유리섬유망포를 사용하지 않은 은박이나 동박으로된 테이프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브라운관 외면과 철제 브랑켓에 연결하여 정전기의 집적을 부분적으로는 제거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자파는 전여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전자파를 전부 흡수시키려면 브라운관 외연부 전면과 철제브랑켓 전면을 접착시켜 주어야 하나 이와같은 방법은 도전성 테이프 접착작업과 전자파 흡수작업을 2중으로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브라운관 조립공정의 비용을 증대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용도의 도전성 점착테이프로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금속세사(金屬細絲)를 유리섬유와 합사하여 구성시킨 섬유망포를 기재로 하고 섬유망포(3)의 일면에는 도전성 점착제층(4)을, 다른 일면에는 아크릴수지 또는 고무계수지 등에 동, 알루미늄, 닉켈 등의 도전성 금속 분말을 첨가하여서 된 도전성 접착제층이나 열용융성필름층(2)을 형성시켜서 된 도전성 점착테이프가 있다(대한민국특허공보 공고번호 96-7185호, 96-7186호, 대한민국특허번호 121193호).
이러한 도전성 점착테이프에서 도전성 점착제는 고무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유기용제에 용해시켜서 된 점착성 물질에 일정량 이상의 도전성 금속분말을 첨가하여 첨가된 금속분말의 양에 따라 적절한 도전성을 보유하게 한 점착제를 사용한다.
동, 알루미늄, 닉켈, 크롬, 흑연 등의 도전성 금속분말의 첨가량은 점착성물질 약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메쉬 이하 크기의 도전성 금속분말 50∼200중량부 정도 첨가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테이프는 금속 분말간의 접촉 정도와 섬유망포의 금속세사의 전도성에 따라 도전성능이 결정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분말간의 접촉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부분적으로 통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도전성이 균일하고 안정적인 제품의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금속세사와 유리섬유를 합사하여 섬유망포를 구성시켜 주는 것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점착테이프가 도전성이 떨어져서 브라운관의 외주면에 집적되는 정전기를 완전하게 제거시켜 주지 못하게 되면 텔레비젼과 같은 영상기구 자체에 결정적인 결함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없에줄 수 있고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도 절감시켜 주면서 완전한 통전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도전성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 등의 섬유망포를 기재로 하고, 섬유망포의 일면에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다른 일면에는 합성수지 필름층이 형성되도록 구성시킨 도전성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합성수지 필름층과 섬유망포 사이에 도전성 세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섬유망포와 도전성 세선이 도전성 점착제층에 몰입되어 일체화 되도록 형성시켜 도전성 점착테이프의 인장력과 도전성을 향상시키고저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전성 점착테이프에서 사용되는 금속세사와 섬유사를 합사하여 제조한 섬유망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의 개요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테이프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형지 2 : 열용융성 수지필름층 3 : 섬유망포
4 : 도전성 점착제층 5 : 도전성 세선 6, 8, 8' : 압압로울러
7, 7' : 바코터(bar coater) 9 : 건조기 10 : 권취로울러
A : 열용융성 수지필름형성재 B : 도전성 점착제 형성재
본 발명은 섬유 망포(3)를 기재(基材)로 하고 섬유망포의 일면에는 도전성 점착제층(4)을 다른 일면에는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의 열용융성 합성수지 필름층(2)을 형성시키되 도전성 점착제층과 섬유망포 사이에 도전성 세선(導電性細線)(5)을 일정간격으로 배열시켜 테이프 전체가 잘 통전되게 하여준 도전성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도전성 도전성 세선은 섬유망포의 섬유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배열시키고, 도전성 세선으로서는 동, 알루미늄, 닉켈, 크롬, 카본섬유 등의 세선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섬유망포는 나일론섬유, 아크릴섬유, 유리섬유, 폴리에스텔섬유 또는 면섬유로 된 망포이거나 상기 섬유들을 합사하여서 된 혼방섬유망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점착제층(4)은 이미 이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 아크릴 점착제(고형분 40%) 100중량부
- 평균입도 100메쉬의 닉켈 분말 100중량부
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킨다.
도전성 세선은 10∼20㎛ 굵기의 세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섬유망포는 30∼40목(目)/inch의 망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전성 세사는 4∼16목/inch 정도가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때 도전성 점착제가 섬유망포의 망목 사이로 침투되므로 도전성 점착제와 섬유망포와 도전성 세선이 일체화 되면서 섬유망포와 도전성 세선이 도전성 점착제내에 몰입되어 있는 상태의 점착테이프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도전 점착테이프의 제조공정을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컨베이어 벨트(Conveyer belt)상에 이형지(1)를 놓고 그 위에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의 열용융성 수지필름형성재(A)를 도포하여 열용융성 수지필름층(2)을 형성시킨다. 컨베이어 벨트가 전진하면서 압압롤러(8)(8')를 통과하는 지점에서 열용융성 수지필름층(2) 위에 도전성 세선(5)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삽입시키고 그 위에 유리섬유 망포(3)가 적층되도록 한다.
다음 유리섬유 망포상에 도전성 점착제 형성재(B)로 바코터(7')를 이용하여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이를 건조기(9)를 통과시켜 건조후 권취로울러(10)로 권취하면 본 발명의 도전성 점착테이프의 제조 공정이 완성된다.
이와같이 형성시켜준 도전성 점차테이프는 도전성 세선과 도전성 점착제층을 통하여 통전되므로 균일하고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고 유리섬유 망포를 테이프의 기재(基材)로 하고 있어 인장강도가 크고 금속세사나 유리섬유를 합사하여 구성시키는 섬유망포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우수한 통전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도전성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점착테이프에 있어서, 섬유망포를 기재로 하고 섬유망포의 일면에는 열용융성필름층을, 다른 일면에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도전성 점착제층과 섬유망포 사이에 도전성 세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한 도전성 점착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세선이 동, 알루미늄, 닉켈, 크롬 등의 금속세선이거나 카본 섬유 중에서 선택된 도전성 점착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섬유망포가 나이론섬유, 아크릴섬유, 유리섬유, 폴리에스텔섬유, 면섬유로 된 망포이거나 상기 섬유를 합사하여서 된 혼방섬유망포인 도전성 점착테이프.
KR1019970071953A 1997-12-22 1997-12-22 도전성점착테이프 KR10024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953A KR100247488B1 (ko) 1997-12-22 1997-12-22 도전성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953A KR100247488B1 (ko) 1997-12-22 1997-12-22 도전성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475A KR19990052475A (ko) 1999-07-05
KR100247488B1 true KR100247488B1 (ko) 2000-03-15

Family

ID=1952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953A KR100247488B1 (ko) 1997-12-22 1997-12-22 도전성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26Y1 (ko) * 2004-08-24 2005-01-07 조인셋 주식회사 양면 접착이 가능한 다목적 점착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47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2267B1 (en) EMI shielding gasket having a consolidated conductive sheathing
US5804762A (en) EMI shielding gasket having shear surface attachments
CN100499986C (zh) 具有传导或吸收电磁波特性的结构体
KR20170136064A (ko) 플렉시블 전자파 차폐시트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CN101472455A (zh) 电磁屏蔽衬垫和用于填充电磁屏蔽系统中的间隙的方法
JP2011179162A (ja) 電磁波シールド織物、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電磁波シールド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ケーシング
KR102564763B1 (ko) 전자파 차폐 필름
KR100247488B1 (ko) 도전성점착테이프
KR20000076836A (ko) 음극선관 내파 방지 접착 망사 테이프 및 그의 용도
US20050260908A1 (en) Electroconductive adhesive tape
JPH06240533A (ja) 導電性テープ用基材及びこれを含む導電性粘着テープ
KR100267813B1 (ko) 도전성점착테이프
US20060199004A1 (en) Electroconductive adhesive tape
US20150014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tection
KR0121193B1 (ko) 도전성 점착테이프
KR950009830B1 (ko) 도전성 점착테이프
KR100314897B1 (ko) 브라운관의 브라켓 접착용 방폭 테이프
JPH08153987A (ja) シ−ルド用テ−プ及びシ−ルド構造
KR960007186B1 (ko) 테이프용 기재(基材)
JPH10163674A (ja) 導電性ストレッチテープ
JPH10325031A (ja) 導電性の糸
JP2590341Y2 (ja) 電磁波シールド性ガスケット
JP4188465B2 (ja) 導電性複合体シートの接続方法およびこの接続方法に よる導電性構造物
JP3528257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
KR940009303A (ko) 도전성 점착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