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56B1 - 차량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56B1
KR100329556B1 KR1019990053204A KR19990053204A KR100329556B1 KR 100329556 B1 KR100329556 B1 KR 100329556B1 KR 1019990053204 A KR1019990053204 A KR 1019990053204A KR 19990053204 A KR19990053204 A KR 19990053204A KR 100329556 B1 KR100329556 B1 KR 10032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onnecting member
housing
holder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504A (ko
Inventor
이헌효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센터 훼이서 패널에 설치되는 컵 홀더를 사용할 때 컵 홀더 부재가 기어 쉬프트 레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터 훼이서 패널(1)에 개방부(15')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15) 내에 가이드 수단(16) 및 록킹 수단(17)을 구비한 연결부재(18)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8)의 전방 내측에 컵 지지홀(4)이 형성된 컵 홀더 부재(20)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재(18) 및 컵 홀더 부재(20)의 일측을 스프링(21) 부설 지지핀(22)으로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재(18)의 타측 상부에 호상의 유도홀(23)을 형성하여 컵 홀더 부재(20)에 형성된 지지돌기(24)를 끼워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컵 홀더는 차량 운행 중에 차내에서 음료 등을 먹기 위하여 센터 훼이서 패널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컵 홀더는 도 1에서 참조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훼이서 패널(1)에 개방부(2')가 노출되는 하우징(2)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내에 컵 지지홀(4)이 형성된 컵 홀더 부재(3)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 내의 양측면에 가이드(5)를 형성하고, 상기 컵 홀더 부재(3)의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컵 홀더 부재(3)의 내측 후방에 판스프링(6)을 권회한 롤러(7)를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6)의 단부를 하우징(2) 전방의 바닥면에 스크류(8)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컵 홀더 부재(3)의 후미에 컵 홀더 부재(3)를 선택적으로 하우징(2)에 록킹시키기 위한 스트라이커(9)를 형성하여 하우징(2) 내벽에 설치된 래치(10)와 선택적으로 걸리게 한 것이다.
상기한 컵 홀더 부재(3)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컵 홀더 부재(3)를 하우징(2) 내측으로 밀어넣어 하우징(2)에 록킹되게 하는 것인 바, 상기 컵 홀더 부재(3)를 밀어넣음과 동시에 롤러(7)에 권회된 판스프링(6)이 풀리게 되고, 컵 홀더 부재(3)의 가이드 홈은 하우징(2)의 가이드(5)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컵 홀더 부재(3)의 스트라이커(9)는 래치(10)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스트라이커(9)가 래치(10)에 접촉됨과 동시에 끼워지게 되면 래치(10)는 스트라이커(9)를 압착 지지하게 되므로써 컵 홀더 부재(3)를 하우징(2)에 록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컵 홀더 부재(3)의 컵 지지홀(4)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컵 홀더 부재(3)를 하우징(2) 내측으로 한번 밀어 하우징(2)과의 록킹이 해제되게 하는 것인 바, 상기 컵 홀더 부재(3)를 밀게되면 스트라이커(9)를 압착하고 있던 래치(10) 자체가 확개됨과 동시에 판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트라이커(9)가 래치(10)에서 분리되게 되고, 컵 홀더 부재(3)는 판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2)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하우징(2)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컵 홀더 부재(3)는 판스프링(6)과 스크류(8)에 의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컵 홀더는,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컵 홀더 부재(3)가 하우징(2) 전방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기어 쉬프트 레버에 간섭되어 설계의 자유도에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센터 훼이서 패널에 설치되는 컵 홀더를 사용할 때 컵 홀더 부재가 기어 쉬프트 레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설계의 자유도를 제공토록 한 차량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터 훼이서 패널에 개방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내에 가이드 수단 및 록킹 수단을 구비한 연결부재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 내측에 컵 지지홀이 형성된 컵 홀더 부재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재 및 컵 홀더 부재의 일측을 스프링 부설 지지핀으로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상부에 호상의 유도홀을 형성하여 컵 홀더 부재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끼워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컵 홀더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 평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5: 하우징 18: 연결부재 20: 컵 홀더 부재 22: 지지핀
23: 유도홀 24: 지지돌기 29: 판스프링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훼이서 패널(1)에 개방부(15')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15) 내에 가이드 수단(16) 및 록킹 수단(17)을 구비한 연결부재(18)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18)의 전방에 공동부(19)를 형성하여 공동부(19)에 컵 지지홀(4)이 형성된 컵 홀더 부재(20)를 삽입하며, 상기 공동부(19)에 끼워진 컵 홀더 부재(20)의 일측과 연결부재(18)를 스프링(21) 부설 지지핀(22)으로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18)의 타측 상부에 컵 홀더 부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호상의 유도홀(23)을 형성하여 컵 홀더 부재 (20)에 형성된 지지돌기(24)를 끼워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지지핀(22)을 이용한 연결부재(18)와 컵 홀더 부재(20)의 결합은 연결부재(18)의 상하부에 제1 홀(25)을 형성함과 아울러 컵 홀더 부재(20)에 제2 홀(26)을 형성하여 제1 홀(25) 및 제2 홀(26)에 지지핀(22)을 끼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인 바, 상기 제1 홀(25) 및 제2 홀(26)에 지지핀(22)을 끼울 때 스프링(21)의 상단을 연결부재(18)의 공동부(19) 상측에 걸리게 하고, 스프링(21)의 하단을 컵 홀더 부재(20)의 상면에 걸리게 하여 컵 홀더 부재(20)가 지지핀(22)을 지점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수단(16)은 연결부재(18)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27)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홈(27) 대응 위치인 하우징(15)에 가이드(28)를 형성하여 가이드 홈(27)을 가이드(28)에 대응시키고, 연결부재(18)의 내측 후방에 판스프링(29)이 권회된 롤러(30)를 설치하여 판스프링(29)의 단부를 하우징(15) 전방 바닥면에 스크류(8)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록킹 수단(17)은 연결부재(18)의 후미에 연결부재(18) 록킹용 스트라이커(31)를 형성하여 하우징(15) 내벽에 설치된 래치(10)에 록킹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32는 기어 쉬프트 레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컵 홀더 부재(20)의 컵 지지홀(4)을 사용하지 않을때는 컵 홀더 부재(20)를 하우징(15) 내측으로 밀어넣어 하우징(15)에 연결부재 (18)가 록킹되게 하는 것인 바, 상기 컵 홀더 부재(20)를 밀어넣음과 동시에 연결부재(18)의 롤러(30)에 권회된 판스프링(29)이 풀리게 되고, 연결부재(18)의 가이드 홈(27)은 하우징(15)의 가이드(28)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연결부재(18)의 스트라이커(31)는 래치(10)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스트라이커(31)가 래치(10)에 접촉됨과 동시에 끼워지게 되면 래치(10)는 스트라이커(31)를 압착 지지하게 되므로써 연결부재(18)를 하우징(15)에 록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컵 홀더 부재(2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컵 홀더 부재(20)를 하우징 (15) 내측으로 한번 밀어 연결부재(18)와 하우징(15) 간에 록킹되지 않게 하는 것인 바, 상기 컵 홀더 부재(20)를 밀게되면 연결부재(18)의 스트라이커(31)를 압착하고 있던 래치(10) 자체가 확개됨과 동시에 판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트라이커(31)가 래치(10)에서 분리되게 되고, 연결부재(18)는 판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15)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연결부재(18)가 하우징(15)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적정위치에 도달되면 판스프링(29)과 스크류(8)에 의해서 위치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연결부재(18)의 위치이동 정지와 동시에 컵 홀더 부재 (20)는 하우징(15) 전방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지지핀(22)을 지점으로 스프링(21)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한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서 회전되는 컵 홀더 부재(20)는 연결부재(18)의 유도홀(23)에 끼워진 지지돌기(24)에 의해서 적정 각도로 회전되면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연결부재(18)의 슬라이딩 정지와 동시에 컵 홀더 부재(20)가 지지핀(22)을 지점으로 회전되게 되어 센터 훼이서 패널(1) 전방측인 컵 홀더 부재 (20)의 돌출부분 중심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인 바, 상기 여유공간의 확보로 인해서 그 부분에 위치된 기어 쉬프트 레버(32)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위치이동 정지와 동시에 컵 홀더 부재가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컵 홀더 부재의 컵 지지홀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음과 아울러 하우징 전방에 위치된 기어 쉬프트 레버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많아지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의 가이드 홈이 하우징의 가이드에 대응되게 되어 연결부재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고, 연결부재에 설치된 롤러 및 판스프링에 의해서 연결부재 자체의 위치이동이 가능해지며, 연결부재의 스트라이커에 의해서 연결부재의 록킹 및 언록킹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3)

  1. 센터 훼이서 패널에 개방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내에 가이드 수단 및 록킹 수단을 구비한 연결부재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 내측에 컵 지지홀이 형성된 컵 홀더 부재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재 및 컵 홀더 부재의 일측을 스프링 부설 지지핀으로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상부에 호상의 유도홀을 형성하여 컵 홀더 부재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끼워 설치한 차량용 컵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홈 대응 위치에 가이드를 형성하여 가이드를 가이드 홈에 삽입하고, 연결부재의 내측에 판스프링이 권회된 롤러를 설치하여 판스프링의 단부를 하우징에 고정한 차량용 컵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록킹 수단은 연결부재의 후미에 스트라이커를 형성하여 하우징에 설치된 래치에 록킹되게 한 차량용 컵 홀더.
KR1019990053204A 1999-11-26 1999-11-26 차량용 컵 홀더 KR10032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04A KR10032955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204A KR10032955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컵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504A KR20010048504A (ko) 2001-06-15
KR100329556B1 true KR100329556B1 (ko) 2002-03-23

Family

ID=1962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204A KR100329556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5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504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123Y1 (ko) 누름버튼식 평면핸들장치
US9074389B2 (en) Lock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member
US7766409B2 (en) Lid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20050183940A1 (en) Cov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7708357B2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used in guide rail for drawer
US20120167643A1 (en) Cylinder lock, clutch device and unlock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US7334441B1 (en) Electronic vehicle key and housing assembly
JPS62500763A (ja) 計器盤に取付けた自動車用ラジオのような装置に用いるハンドル及びロックの組合せ機構
KR100329556B1 (ko) 차량용 컵 홀더
CN107542326B (zh) 滑动钥匙
US20090031771A1 (en) Cylinder lock and unlocking device comprising thereof
KR100683201B1 (ko)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128709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US20090212576A1 (en) Dual Backset latch Assembly for Auxiliary Lock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JP3791984B2 (ja) ドア錠
KR100860400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0337777B1 (ko) 차량용 컵 홀더
US20070205606A1 (en) Dual backset latch assembly for lock
CN217028464U (zh) 一种方便斜舌换向的门锁
JP4181538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US20230111658A1 (en) Button assembly for a release system comprising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US20040201225A1 (en) Lever lock
JP2000087604A (ja) シリンダ錠
JP4206173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リッド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