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656B1 - 표면,특히유조선의갑판으로부터물과오일의배출을위한장치 - Google Patents

표면,특히유조선의갑판으로부터물과오일의배출을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656B1
KR100328656B1 KR1019950703282A KR19950703282A KR100328656B1 KR 100328656 B1 KR100328656 B1 KR 100328656B1 KR 1019950703282 A KR1019950703282 A KR 1019950703282A KR 19950703282 A KR19950703282 A KR 19950703282A KR 100328656 B1 KR100328656 B1 KR 10032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il
outlet
valv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789A (ko
Inventor
헤르만손 한스
Original Assignee
헤르만손 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르만손 한스 filed Critical 헤르만손 한스
Publication of KR96070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06Liquids separated from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906Aerial or water-supported [e.g., airplane or ship,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표면, 특히 유조선(1) 의 갑판(4) 으로 부터 2개의 혼화하지 않는 액체, 특히 오일과 물의 분리배출을 위한 장치이다. 본 장치는 사용상 표면(4) 으로 부터 근본적으로 넘쳐 들어오는 상부 가장자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 1출구수단(13)이 제 2출구수단(14) 보다 낮은 수준으로 되어 있는 제 1 (13) 및 제 2 (14) 출구수단으로 상부에 구비된 윗쪽으로 개방된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11)로 구성되어 있다. 콘테이너(11)에는 콘테이너(11)의 바닥(12)에서 하부 개방 끝부와 콘테이너(11)의 벽을 통해 밀봉방식으로 갖추어져 있고 제 1출구수단(13)에 연결된 상부끝을 갖춘 내부튜브(15)로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표면, 특히 유조선의 갑판으로 부터 물과 오일의 배출을 위한 장치
제 1도는 본발명에 따른 2개의 장치가 구비된 배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배의 측면도,
제 3도는 본발명에 따른 2개의 장치를 갖춘 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 4도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제 5도 및 제 6도는 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축소된 제 4도와 상응하는 측면도,
본발명은 표면으로 부터 특히 유조선의 갑판으로 부터 액체, 특히 물과 오일과 같은 다른비중을 가진 2개의 혼화되지 않는 액체의 배출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조선이 오일을 취급할때, 오일은 일반적으로 소위 선미 트림(trim)에 항상 놓이는데, 즉, 선수 보다 큰 홀수(draft) 의 선미에 놓인다. 더욱이, 이러한 배는 갑판 곡선으로 건조되는데, 즉 갑판은 중앙선 쪽으로 상향으로 구부러지고 그리고 양쪽에서 배의 측면 쪽으로 하향으로 구부러진다. 이것은 갑판상의 빗물 및 오수가 선미쪽으로 그리고 측면 쪽으로 흐르게 한다. 또한, 유조선은 길이방향으로 양쪽에서 갑판에 용접된 평평한 수직강철 스트립을 갖추고 있다. 이 스트립은 그 전체적인 길이를 따라서 약 150mm 높이이며 오일이 배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화물을 취급하는 경우와 다른 경우에는 갑판에서 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스트립은 전체적인 길이를 따라서 소위 배수구라고 하는 복수의 배출 구멍을 갖추고 있다.
화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배수구는 폐쇄되는 것이 요구된다. 선미 트림에서 액체는 선미 쪽으로 그리고 측면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스트립은 매우 알맞은 기능을 한다. 배의 후방 상부구조에 의해 흐름이 멈추어지는 갑판의 후방 가장자리에서 액체는 양측면의 쐐기형 저수부에 모아진다. 계속되는 흐름으로, 액체수위는 선미쪽으로 가장 멀리 스트립의 상부 가장자리 까지 상승하고, 그리고 액체는 배 밖으로 흐른다. 갑판상에 오일 누출이 발생할때 물이 갑판의 후방 가장자리에 타나면, 오일은 물의 상부로 흐르고 그리고 배 밖으로 흐른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비오는 날이면, 갑판은 최후방의 배수구를 개방하여 계속해서 배출하여야 한다.
오일 누출이 발생하면, 오일은 배수구를 통해 배 밖으로 흐른다. 오일 누출시에 갑판이 건조하다면, 오일이 스트립 위로 상승하여 배 밖으로 흐르기 전에 오일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되면, 누출된 오일을 배의 적절한 탱크에 배출시키기 위해 소형의 공압 구동펌프를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준비는 빈 윤활유 드럼, 삽, 그리고 톱밥 등으로 한정된다. 이것은 대량의 오일 누출의 경우 종종 매우불충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하고, 그리고 간단하지만 충분한 방식으로 표면으로 부터, 특히 유조선의 갑판으로 부터 오일과 물의 분리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타입의 장치로 달성되는데, 이것은 본발명에 따라서, 사용상 상기 표면으로 부터 근본적으로 넘쳐 들어오는 상부 가장자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 1 출구수단이 제 2출구수단 보다 낮은 수준으로 되어 있는 제 1 및 제 2출구수단으로 상부에 구비된 윗쪽으로 개방된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와, 콘테이너내에 배치되고 콘테이너의 바닥 수준에 있는 하부 개방 끝부와 콘테이너의 벽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갖추어져 있고 제 1 출구수단에 연결된 상부 끝을 갖춘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통하는 용기의 원리에 근거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예를들면 물과 같은 동일한 액체를 담고 있는 한쌍의 연통 용기에서 양용기에서 동일한 수준의 정확한 균형이 달성된다. 하나의 용기에서 물의 상부에 오일이 채워지면, 오일이 물 보다 가벼우므로, 균형은 이러한 용기에서 더 높은 수준에서 달성된다.
그러므로 2개의 용기에서 액체 기둥 사이의 무게 균형은 오일을 담고 있는 용기에서 다소 더 높은 수준에서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향으로 개방되고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는 그 상부 끝이 콘테이너의 하부 출구수단에 연결되는 내부 튜브를 갖추고 있는데, 이 수단은 장치가 배에 설치될때 바닥쪽으로 출구를 형성한다. 내부 튜브는 물로 채워져 있고 그리고 출구의 하부 가장자리는 상기 튜브에서 물 기둥의 수준 조절 작용을 한다. 콘테이너의 상부 출구수단은 작동 동안에 콘테이너에서 물위에 떠 있는 오일을 위한 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출구의 하부 가장자리는 내부 튜브의 출구수단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물 출구와 오일 출구의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수직거리는 취급하는 해당 오일의 비중과 콘테이너의 깊이에 의존한다.
본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출구수단은 셧오프 밸브로 구비된 출구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는 아래로 부터 그리고 상향으로 폐쇄된 댐퍼를 갖춘 게이트 밸브가 될 수 있어서, 댐퍼의 상부 가장자리는 밸브의 출구 수준을 결정한다.
이러한 밸브에 의해, 장치는 다른 비중의 오일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른 비중을 가진 2개의 임의의 혼화되지 않는 액체의 분리 배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첫번째로 유조선의 갑판에서 누출된 오일과 물의 배출을 위한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도 및 제 2도는 본발명에 따른 2개의 장치가 장치된 유조선(1) 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배는 전방 적재면적(2) 과 후방 상부구조(3) 를 갖추고 있고 그리고 장치(10)가 배의 양쪽에 적재면적의 최외부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취급하는 동안 배는 선미 트림 전방 보다 큰 홀수 선미를 갖추고 있고, 더욱이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갑판 곡선을 갖추고 있어서 갑판(4) 상의 액체는 선미쪽으로 흐르고 장치(10)가 설치된 구역으로 모인다. 각각의 배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오일이 배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앞서 언급한 평평한 강철 스트립은 제 3도에서 5로 표시되어 있다.
제 3도의 단면도에서, 2개의 장치(10)는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6) 의 상부 구역에 설치되어 각각의 슬로프(slop) 탱크(7) 로 오일을 유도한다.
본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실시예가 제 4도를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장치(10)는 예를들면 스틸 플레이트로 하부(12)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적절한 치수의 스틸 튜브 (직경 D) 의 형태인 콘테이너(11)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에 있어서 튜브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갑판(4) 에서 넘쳐 흐르는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 (용접으로)되어 있어서, 이것은 "배수구통" 이라는 적절한 통을 형성한다. 상부 부분에서 튜브(11)는 바닥(12)으로 부터 높이(H1) 에서 제 1출구수단(13), 그리고 바닥으로 부터 높이(H2)에서 제 2 출구수단(14)으로 구비되고, H1< H2이어서 출구수단들 사이에 적절한 수준 차이가 있다. 튜브(11)내에서, 바닥(12)으로 부터 적절한 높이에서 하부개구부와, 튜브(11)의 벽 사이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갖추어지고 제 1출구수단(13)에 연결된 상부 끝을 갖춘 내부튜브(15)가 장치되어 있다. 제 1출구수단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셧오프 밸브(17)를 통해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의 측면에서 개구부(18)로 유도되는 출구튜브(16)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출구수단(14)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셧오프 밸브(20)를 통해 그리고 액체트랩(21)을 통해 적절한 오일 수집 탱크 (슬롭탱크(7))에 연결되는 출구튜브(19)로구성되어 있다.
출구튜브(19)는 튜브(11)의 외부벽의 적절한 구멍에 용접되어 있고, 제 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튜브끝(22)의 가장 긴 부분이 최상부에 위치하도록하여 튜브(11)내로 일정거리 돌출해 있고 경사져서 절단되어 있다. 이것은 물이 배의 갑판으로부터 출구내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으로서, 그 측면과 상부면에서 튜브(19)의 끝 외부로 돌출한 적절한 립을 장치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적절히 아래로 기울어 물의 유입에 대하여 출구를 덮어 보호한다.
제 4도에서 내부튜브(11)와 오일출구튜브(19)는 동일한 직경(D1)을 갖춘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필요는 없다.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11)의 상부 개구부는 실제 편리하게 보호 격자(도시생략) 에 의해 덮힐 것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때 뚜껑으로 덮을 수 있다. 콘테이너의 하부끝에서, 청소등을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 개구부는 예를들면 콘테이너 벽에 볼트 체결되는 15×l5cm의 적절한 셔터로 덮힐 수 있다.
장치의 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 5도 및 제 6도를 참조하는데, 제 5도는 사용전의 처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 즉 콘테이너(11)와 내부튜브(15)는 여기에서 밸브(17, 20)가 개방된 후 수준(H1) 까지 물로 채워져 있고 또한 액체 트랩(21)은 물 (또는 오일) 로 채워져 있다. 물 (빗물) 의 추가적인 채움으로 수준은 다소 상승하지만, 물은 계속해서 물 출구 튜브(16)를 통해 배출되어 시스템에서 균형 또는 평형상태가 된다.
오일이 외부튜브(11)내에 채워지면, 대응하는 물기둥 무게는 내부튜브(15)를 통해서 물출구튜브(16)로 배출될 것이다. 오일이 가벼울 수록, 외부튜브에서 오일 기둥과 내부튜브에서 물 기둥 사이의 높이 차이는 더 커질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오일이 "포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오일의 추가적인 공급으로, 오일이 수준(H2) 까지, 즉 오일출구튜브(19)의 하부 가장자리까지 상승할때 외부와 내부튜브 사이에 최종적으로 균형을 이룬다. 추가적인 오일공급으로, 튜브(11)에서 오일수준이 상승하고 오일은 출구튜브(19)를 통해 흘러나감과 동시에 물은 출구튜브(16)를 통해 밀려나간다. 동시에, 액체트랩(21)에서 물의 대응하는 체적이 오일로 대체된다. 이러한 상황이 제 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물은 오일 보다 흐린 명암으로 도시되어 있고, 오일 기둥의 바닥위의 내부튜브(15)의 물 기둥은 추가적으로 음영이 되어 도시되어 있다.
배 위에 오일이 누출된 경우에, 이것을 선원이 발견하였고, 그리고 물 출구밸브(17)는 안전을 위해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오일은 오일 수집 탱크로 직접 배출된다.
장치의 사용후에, 콘테이너(11)는 적절한 펌프에 의해 비워진다.
장치의 구조에서 중요한 변수는 액체 트랩 기둥의 길이(L) 와 높이(H1, H2) 이다.
일예로서, 오일이 출구를 통해 흘러나가기 시작할때 높이(H2) 는 반은 물이고 반은 오일이라고 가정하자, 오일 (예를들면 디젤오일) 의 비중이 0.8 이면:
H1×1.0 = H2/2×1.0 + H2/2×0.8
즉 H1= 0.9 H2
H2= 2.5m 의 구조를 선택하면, H1= 2.25m이다. 그리고 구조는 물의 비중이 1.0, 오일의 비중이 0.8 인 것에 맞춘 치수로 되어 있다.
오일의 비중이 변할지라도 높이(H2)에 걸쳐 오일과 물 기둥 사이의 비율을 변경시키지 않기 위해서 물 출구밸브(17)가 H1과 H2사이의 높이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비중이 0.8 이상인 오일을 위한 조절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밸브는 유리하게 아래로 부터 그리고 위쪽으로 폐쇄되도록 장치된 스퀘어(sguare) 댐퍼를 갖춘 게이트 밸브이다. 밸브는 알려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타입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히는 뒤집어 설치되는 스핀들 작동 게이트 밸브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H1과 H2사이의 차이는 감소되는데, 이것은 원칙적으로 비중이 0.8 이상인 오일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액체 트랩은 오일 수집 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적인 압력과 관련하여 치수가 결정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물과 해당 오일 사이의 비중차에 따라서 밸브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는 눈금이 있는 고정 스케일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액체 트랩 높이(L) 는 오일 수집 탱크를 위해 사용되는 안전밸브(P/V밸브,도시생략) 의 세팅, 즉 과압력과 부압력을 위한 세팅에 의존한다. 이러한 압력은 과압력 측에서 최대 2100mm WC 그리고 부압력 측에서 최대 700mm WC가 될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 세팅은 각각 1400과 350mm WC이다. 그리고 L은 약 700 + 175 = 875mm가 되고 출구측에서 전체 높이는 적어도 2배가 된다. 오일의 경우 0.8 로 나눈다.
본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기구는 국부적 사용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유니트 또는 모듈로서 유리하게 조립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것은 상황에 따라 조립될 수 있는데, 즉 유조선과 같이 사용장소에 개별적인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다. 원한다면 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는 여러개의 제 1 및 여러개의 제 2출구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각각의 제 1출구수단은 콘테이너에서 결합된 내부 튜브에 연결된다.

Claims (8)

  1. 표면, 특히 유조선(1) 의 갑판(4) 으로 부터 물과 오일과 같은 다른 비중을 가진 특히 2개의 혼화되지 않는 액체의 배출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상 상기 표면(4)으로 부터 근본적으로 넘쳐들어오는 상부 가장자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 1출구수단(13)이 제 2출구수단(14) 보다 낮은 수준으로 되어 있는 제 1 (13) 및 제 2 (14) 출구수단으로 상부에 구비된 윗쪽으로 개방된 통을 형성하는 콘테이너(11)와, 콘테이너(11)내에 배치되고 콘테이너(11)의 바닥(12) 수준에 있는 하부개방 끝부와 콘테이너의 벽을 통해 밀봉방식으로 갖추어져 있고 제 1출구수단(13)에 연결된 상부 끝을 갖춘 튜브(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출구수단(13)은 셧오프 밸브(17)로 구비된 출구튜브(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밸브(17)는 아래로 부터 그리고 상향으로 폐쇄되도록 배치되어 댐퍼의 상부 가장자리가 밸브(17)의 출구수준을 결정하는 댐퍼를 갖춘 게이트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밸브(17)는 배출되는 2개의 액체 사이의 비중차에 따라서밸브(17)의 조절을 위해 눈금이 있는 고정 스케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 2출구수단(14)은 셋오프 밸브(20)로 구비된 출구튜브(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출구튜브(19)는 액체트랩(21)을 통해서 수집탱크(7) 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출구튜브(19)는 콘테이너(11)내에 일정거리 돌출해 있고 경사져서 절단되어 튜브끝(22)의 가장 긴 부분이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콘테이너(11)는 여러개의 제 1 및 여러개의 제 2출구수단으로 구비되는데, 각각의 제 1출구수단은 콘테이너에서 결합된 내부튜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배출장치.
KR1019950703282A 1993-02-08 1994-02-03 표면,특히유조선의갑판으로부터물과오일의배출을위한장치 KR100328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30434A NO176827C (no) 1993-02-08 1993-02-08 Anordning for bortledning av olje og vann fra en overflate, særlig fra dekket på et tankfartöy
NO930434 1993-02-08
PCT/NO1994/000030 WO1994017890A1 (en) 1993-02-08 1994-02-03 An apparatus for drainage of oil and water from a surface, especially from the deck of a tan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789A KR960700789A (ko) 1996-02-24
KR100328656B1 true KR100328656B1 (ko) 2002-09-04

Family

ID=1989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282A KR100328656B1 (ko) 1993-02-08 1994-02-03 표면,특히유조선의갑판으로부터물과오일의배출을위한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725011A (ko)
EP (1) EP0682553B1 (ko)
JP (1) JP3480935B2 (ko)
KR (1) KR100328656B1 (ko)
CN (1) CN1066068C (ko)
DE (1) DE69428269T2 (ko)
DK (1) DK0682553T3 (ko)
ES (1) ES2165383T3 (ko)
FI (1) FI953746A0 (ko)
HR (1) HRP940064B1 (ko)
NO (1) NO176827C (ko)
PL (1) PL310166A1 (ko)
PT (1) PT682553E (ko)
RU (1) RU2130799C1 (ko)
SG (1) SG54320A1 (ko)
WO (1) WO199401789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0B1 (ko) * 2007-12-06 2010-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10058499A (ko) * 2009-11-26 2011-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분리 기능을 구비한 드레인 박스
KR20110058317A (ko) * 2009-11-26 2011-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의 배수 트렌치
KR101276127B1 (ko) 2011-10-13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7064B2 (en) * 2003-10-03 2006-06-2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Decanting device for use on vessels with spill rails
KR101348418B1 (ko) * 2013-05-06 2014-02-17 한병숙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CN109018202B (zh) * 2018-09-12 2019-08-0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货船上层建筑舱壁的冷凝水泄放装置
CN110155298B (zh) * 2019-05-30 2021-08-17 广船国际有限公司 液货船甲板污油水回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47A (en) * 1889-06-11 Fluid-separator
US616661A (en) * 1898-12-27 glenn
US1627569A (en) * 1925-01-29 1927-05-10 Massicks Thomas Kitchin Oil separator
BE550679A (ko) * 1955-08-29
NO894341L (no) * 1988-03-02 1989-10-31 Hill Venning John Oljefelle.
US4960347A (en) * 1989-07-31 1990-10-02 Strange Booth B Ship-borne emergency oil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0B1 (ko) * 2007-12-06 2010-03-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빗물 처리 시스템
KR20110058499A (ko) * 2009-11-26 2011-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분리 기능을 구비한 드레인 박스
KR20110058317A (ko) * 2009-11-26 2011-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의 배수 트렌치
KR101630695B1 (ko) * 2009-11-26 2016-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의 배수 트렌치
KR101692990B1 (ko) * 2009-11-26 2017-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수분리 기능을 구비한 드레인 박스
KR101276127B1 (ko) 2011-10-13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용 기름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8269T2 (de) 2002-06-27
NO930434L (no) 1994-08-09
CN1066068C (zh) 2001-05-23
SG54320A1 (en) 1998-11-16
CN1118996A (zh) 1996-03-20
JPH08506544A (ja) 1996-07-16
NO176827C (no) 1995-06-07
EP0682553A1 (en) 1995-11-22
US5725011A (en) 1998-03-10
ES2165383T3 (es) 2002-03-16
HRP940064B1 (en) 2002-02-28
PL310166A1 (en) 1995-11-27
FI953746A (fi) 1995-08-07
EP0682553B1 (en) 2001-09-12
DK0682553T3 (da) 2001-12-17
NO930434D0 (no) 1993-02-08
WO1994017890A1 (en) 1994-08-18
KR960700789A (ko) 1996-02-24
NO176827B (no) 1995-02-27
RU2130799C1 (ru) 1999-05-27
PT682553E (pt) 2002-02-28
JP3480935B2 (ja) 2003-12-22
HRP940064A2 (en) 1996-08-31
FI953746A0 (fi) 1995-08-07
DE69428269D1 (de)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161B2 (en) Fuel tank with trash and water separation/containment device
KR100328656B1 (ko) 표면,특히유조선의갑판으로부터물과오일의배출을위한장치
NO153586B (no) Fluidaktuator for trinnvis regulering av ventiler.
US4409919A (en) Ship&#39;s double bottom and bag segregated ballast system
US1406950A (en) Waste-fuel-oil-salvaging barge
KR100310898B1 (ko) 제수형격벽을구비한유조선
US4487694A (en)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surface of liquids
KR101167917B1 (ko) 선박의 빌지 시스템
US4580592A (en) Float controlled separator valve
GB2174347A (en) Liquid ballasting and de-ballasting systems for a vessel
NL202615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a substance from a liquid surface
US4319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cking and undocking in lighter-aboard-ship vessels of the floater type
US3422628A (en) Offshore storage tank system
US5467890A (en) Container for collecting leaking hydrocarbons
US4203842A (en) System for oil and water separation
RU9511999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ренажа жидкостей
NO146943B (no) Tankskip for transport av flytende last.
EP1764315B1 (en) Oil storage method and system
DK150351B (da) Anlaeg til opsamling af olieudslip paa vand
JPS6343277B2 (ko)
NO344226B1 (en)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s
EA000603B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WO2012010175A1 (en) Method and vessel for collection of oil from the sea
CN218900923U (zh) 一种废气泄放装置
GB2130303A (en) Stripper for tank holds of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