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094B1 -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094B1
KR100328094B1 KR1019990017609A KR19990017609A KR100328094B1 KR 100328094 B1 KR100328094 B1 KR 100328094B1 KR 1019990017609 A KR1019990017609 A KR 1019990017609A KR 19990017609 A KR19990017609 A KR 19990017609A KR 100328094 B1 KR100328094 B1 KR 10032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iner
pressing
curling
mo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403A (ko
Inventor
철 양
Original Assignee
철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철 양 filed Critical 철 양
Priority to KR101999001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0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용기를 성형하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일측에 종이용기의 컬링부를 압착하여 납작하게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면에 뚜껑지가 부착되는 납작컬링부를 구비한 종이용기를 한 대의 종이용기 성형장치에서 제작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매의 옆지(2)가 적치되는 옆지적치대(7)를 구비하고, 그 일측에는 옆지적치대(7)에 적치된 옆지(2)를 수평이송시키는 옆지이송장치(8)가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옆지이송장치(8)의 말단부에는 옆지이송장치(8)를 통하여 공급된 옆지(2)를 원뿔대관 형태로 감으면서 옆지(2)의 측면을 부착시키는 옆지성형 봉합구(9)를 구비한 옆지성형장치(10)와, 보빈에 감겨진 밑지원단(11)을 원뿔대관 형태로 성형된 옆지(2)의 하단에 삽입되도록 원형으로 재단한 뒤에 외주연을 수직으로 절곡시키는 밑지재단장치(12)와, 다수 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되며 클릭식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 테이블(13)의 안치구멍으로 삽입된 원뿔대관 형태의 옆지(2) 하단에 상기 밑지재단장치(12)에서 성형된 밑지(4)를 삽입시키는 밑지삽입장치(14)와, 다수 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측방에서 클릭식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 테이블(15)의 안치구멍에 상기 밑지삽입장치(14)에 의하여 옆지(2)의 하단에 밑지(4)가 삽입된 반제품 형태의 종이용기(1)가 삽입된 상태에서 클릭식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반제품 형태의 종이용기(1) 하단부는 널링작업으로 압착 부착시키고 옆지(2)의 상단부는 컬링가공하는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16)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전방에는 컬링부 압착장치(17)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18)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18)의 중앙부에는 모터(20)가 상향 설치되는 모터설치대(19)가 수평 설치되며, 상기 모터설치대(19)에 상향 설치된 모터(20)의 모터축(21)에는 다수 개의 종이용기착탈구(22)가 일정각도로 배열 설치된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고,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는 제3회전 테이블(23)의 하측으로 하향 설치되는 눌림부(26)의 중앙 상측에 눌림봉(25)이 상향 돌출되며, 제3회전 테이블(23)의 상측에 고정된 고정판과 볼트로서 연결 고정된 종이용기홀더(24)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대(19)의 전방 하측에는 양측에 캠(28)이 설치된 회전축(27)이 구동모터(M)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7)의 상측에는 캠(28)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대(29)가 설치되며, 이 승하강대(29)의 상부에는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이용기(1)의 컬링부(3) 하단을 지지하는 누름구(31)를 구비한 하부압착구(3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7)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캠(28)의 회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더(32)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2)의 상단부에는 종이용기착탈구(22)의 눌림봉(25)을 눌러주는 누름구(33)가 하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The formation apparatus of a paper receptacle installed compression device of curling part}
본 발명은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용기를 성형하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일측에 종이용기의 컬링부를 압착하여 납작하게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를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서, 상면에 뚜껑지가 부착되는 납작컬링부를 구비한 종이용기를 한 대의 종이용기 성형장치에서 제작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종이용기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뿔대관 형태로 옆지(2)를 만들고, 이 원뿔대관 형태로 형성된 옆지(2)의 하단부 내측에는 외주연 전둘레가 소정의 높이 만큼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밑지(4)가 삽입되어 널링작업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옆지(2)의 상단부 전둘레에는 외측으로 둥글게 컬링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둥근 컬링부(3)를 구비한 종이용기(1)는 커피나 음료수 등을 마실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종이용기(1)의 상면은 둥근 컬링부(3)로 말미암아 뚜껑지(5)를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면적이 선접촉형태로 좁아서 뚜껑지(5)를 부착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뚜껑지(5)를 부착할 수 없는 종이용기(1) 외에 상면에 뚜껑지(5)를 부착하는 종이용기(1)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뚜껑지(5)가 부착되는 종이용기(1)는 종이용기(1)의 상면이 납작하게 형성되어서 뚜껑지(5)를 부착시킬 수 있는 접촉면적을 확대시킨 것으로 이와 같이 뚜껑지(5)를 부착시킬 수 있는 종이용기(1)는 컵라면이나 죽, 스프 등을 담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뚜껑지(5)가 부착되는 종이용기(1)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컬링부(3)가 형성된 종이용기(1)를 먼저 제작한 다음, 이와 같이 제작된 종이용기(1)의 컬링부(3)만을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여 납작하게 압착시키므로서, 뚜껑지(5)를 부착시킬 수 있는 종이용기(1)로 제작하게 되며, 뚜껑지(5)가 부착되는 종이용기(1)를 한 대의 기계에서 바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아직까지 개발된 사례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뚜껑지(5)가 부착되는 종이용기(1)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성형장치로서 컬링부(3)를 구비한 종이용기(1)를 1차적으로 제작한 뒤에, 2차로 둥근 컬링부(3)를 눌러서 납작하게 해야 하므로서 두 종류의 기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종이용기(1)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두 종류의 기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은 기계의 구입비용 상승과, 기계 설치공간의 추가확보 등과 같은 또 다른 문제점들을 유발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는 종이용기를 성형하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일측에 종이용기의 컬링부를 압착하여 납작하게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면에 뚜껑지가 부착되는 납작컬링부를 구비한 종이용기를 한 대의 종이용기 성형장치에서 제작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컬링부가 형성된 종이용기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밑지삽입장치의 전방에는 컬링부 압착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의 중앙부에는 모터가 상향 설치되는 모터설치대가 수평 설치되고, 상기 모터설치대에 상향 설치된 모터의 모터축에는 다수 개의 종이용기착탈구가 일정각도로 배열 설치된 제3회전 테이블이 클릭식으로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며, 상기 종이용기착탈구는 제3회전 테이블의 하측으로 하향 설치되는 눌림부의 중앙 상측에 눌림봉이 상향 돌출되고, 제3회전 테이블의 상측에 고정된 고정판과 볼트로서 연결 고정된 종이용기홀더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설치대의 전방 하측에는 양측에 캠이 설치된 회전축이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는 캠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대가 설치되고, 이 승하강대의 상부에는 상기 종이용기착탈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이용기의 컬링부 하단을 지지하는 누름구를 구비한 하부압착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캠의 회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더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부에는 종이용기착탈구의 눌림봉을 눌러주는 누름구가 하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상태를 도시한 평면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컬링부 압착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컬링부 압착장치의 측면구조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일반적인 종이용기와 본 발명에 의해 컬링부가 납작해진 종이용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이용기 2. 옆지 3. 컬링부
4. 밑지 5. 뚜껑지 6. 납작컬링부
7. 옆지적치대 8. 옆지이송장치 9. 옆지성형 봉합구
10. 옆지성형장치 11. 밑지원단 12. 밑지재단장치
13. 제1회전 테이블 14. 밑지삽입장치 15. 제2회전 테이블
16.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 17.컬링부 압착장치 18. 틀체
19. 모터설치대 20. 모터 21. 모터축
21. 모터축 22. 종이용기착탈구 23. 제3회전 테이블
24. 종이용기홀더 25. 눌림봉 26. 눌림부
27. 회전축 28. 캠 29. 승하강대
30. 하부압착구 31. 누름구 32. 슬라이더
33. 누름구 34. 배출누름구 M. 구동모터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는, 컬링부(3)가 형성된 종이용기(1)를 제작하는 일반적인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일측에 컬링부(3)를 납작하게 눌러주는 컬링부 압착장치(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옆지(2)를 원뿔대관 형태로 형성하는 옆지성형장치(10)와, 밑지(4)를 성형하는 밑지재단장치(12)와, 원뿔대관 형태로 형성된 옆지(2)의 하단에 밑지(4)를 삽입시키는 밑지삽입장치(14)와, 옆지(2)와 밑지(4)의 접합부위를 널링 접착하고 옆지(2)의 상단 전둘레에 걸쳐 둥글게 컬링부(3)를 형성하는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16)와, 컬링부(3)를 납작하게 눌러주는 컬링부 압착장치(17)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옆지성형장치(10)는 본체의 일측방에 위치하며 상부에 다수 매의 옆지(2)가 적치되는 옆지적치대(7)를 구비하고, 그 일측에는 옆지적치대(7)에 적치된 옆지(2)를 수평이송시키는 옆지이송장치(8)가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옆지이송장치(8)의 말단부에는 옆지이송장치(8)를 통하여 공급된 옆지(2)를 원뿔대관 형태로 감으면서 옆지(2)의 측면을 부착시키는 옆지성형 봉합구(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후방측에는 원뿔대관 형태로 성형된 옆지(2)의 하단에 밑지(4)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보빈에 감겨진 밑지원단(11)을 원형으로 재단한 뒤에 외주연을 수직으로 절곡시켜서 밑지(4)를 성형하는 밑지재단장치(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옆지성형장치(10)의 일측과 밑지재단장치(12)의 전방에는 밑지삽입장치(14)가 설치되며, 상기 밑지삽입장치(14)는 옆지성형장치(10)에서 원뿔대관 형태로 성형된 옆지(2)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된 제1회전 테이블(13)이 클릭식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16)는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측방에 위치하면서 다수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된 제2회전 테이블(15)이 클릭식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이 제2회전 테이블(15)의 안치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옆지(2)의 하단에 삽입된 밑지(4)와 옆지(2)의 접촉부위를 널링 접착시키는 널링장치와, 옆지(2)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둥글게 컬링부(3)를 형성하는 컬링부가공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전방에는 본 발명의 요부인 컬링부 압착장치(17)가 설치되며, 상기 컬링부 압착장치(17)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중앙부 전방측에 결합되는 틀체(18)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인 컬링부 압착장치(18)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상기 틀체(18)의 중앙부에는 모터(20)가 상향 설치되는 모터설치대(19)가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설치대(19)에 상향 설치된 모터(20)의 모터축(21)에는 다수 개의 종이용기착탈구(22)가 일정각도로 배열 설치된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는 하측에 공간부를 구비한 눌림부(26)가 제3회전 테이블(23)의 하측으로 하향 설치되고, 이 눌림부(26)의 중앙 상측에는 눌림봉(25)이 제3회전 테이블(23)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상향 설치되며, 눌림부(26)의 하측 공간부에는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된 종이용기홀더(24)가 제3회전 테이블(23)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눌림봉(25)에는 눌림봉(25)을 누름에 따라 눌림부(26)이 하강하였다가 원위치로 상승되게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설치대(19)의 전방 하측에는 양측에 캠(28)이 설치된 회전축(27)이 구동모터(M)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7)의 상측에는 캠(28)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대(29)가 설치되고, 이 승하강대(29)의 상부에는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이용기(1)의 컬링부(3) 하단을 지지하는 누름구(31)를 구비한 하부압착구(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압착구(30)를 승하강대(29)의 전방측에 3개의 갯수로 설치하여 3차에 걸쳐 컬링부(3)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하부압착구(30)를 2개만 설치하여 2차에 걸쳐 컬링부(3)를 압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7)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캠(28)의 회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더(32)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2)의 상단부에는 종이용기착탈구(22)의 눌림봉(25)을 눌러주므로서 성형이 완료된 종이용기(1)를 취출하는 누름구(33)가 하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구(33)의 설치위치는 하부압착구(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마지막 하부압착구(30)의 다음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첫번째 하부압착구(30)의 전번 종이용기착탈구(22)의 상측에는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가 정지하였다가 재가동될 경우에 성형되는 종이용기(1)를 배출시키는 배출누름구(34)가 하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이용기의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뒤에 본 발명의 요부인 컬링부 압착장치(17)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옆지적치대(7)에 적치된 다수 매의 옆지(2)는 호형상으로 전개된 상태이며, 옆지이송장치(8)에 의하여 옆지성형 봉합구(9)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옆지성형 봉합구(9)측으로 이동된 옆지(2)는 옆지성형 봉합구(9)에 의하여 원뿔대관 형태로 말아지게 됨과 동시에 겹쳐지는 양측 부분은 열접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옆지(2)가 1차로 성형되는 동안에 본체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밑지재단장치(12)에서는 옆지(2)의 하부개구된 구멍에 삽입될 밑지(4)가 성형되게 되는데, 이는 보빈에 감겨져 있던 밑지원단(11)이 밑지재단장치(12)로부터 풀려나오면서 원형으로 재단되고, 이와 같이 재단된 원판형 밑지(4)의 외주연을 소정의 높이로 절곡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가 개구된 원뿔대 형태로 옆지(2)가 1차 성형되고, 밑지(4)가 재단된 뒤에는, 1차 성형된 옆지(2)가 클릭식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1회전 테이블(13)의 안치구멍에 먼저 삽입되며, 제1회전 테이블(13)이 클릭식으로 회전하다가 순간적으로 정지하는 동안에 상기 안치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옆지(2)의 하단부에 밑지재단장치(12)에서 성형된 밑지(4)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밑지(4)가 끼워진 옆지(2)는 제2회전 테이블(15)의 안치구멍에 이동하여 삽입되게 되며, 제2회전 테이블(15)에 삽입된 반제품 상태의 종이용기의 하단부를 널링장치로서 압착하여 옆지(2)의 하단부와 밑지(4)의 수직하게 절곡된 절곡부를 부착하게 되며, 그 다음에는 옆지(2)의 상부는 컬링장치에 의해 외측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컬링부(3)를 형성하게 된다.(도 7a는 종이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16)의 제2회전 테이블(15)에서 종이용기(1)의 성형작업이 완료된 뒤에는 성형완료된 종이용기(1)가 제2회전 테이블(15)의 안치구멍에서 제3회전 테이블(23)의 하측에 고정된 종이용기홀더(24)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종이용기(1)가 끼워진 제3회전 테이블(23)은 클릭식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제3회전 테이블(2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7)은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27)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7)의 양측에 설치된 캠(28)도 회전축(27)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캠(28)의 캠홈에는 승하강대(29) 하측의 안내핀이 삽입되어 안내되어 승하강대(29)가 간헐적으로 승하강한다.
상기와 같은 승하강대(29)의 상승시에는 승하강대(29)의 상측에 수직 설치된 하부압착구(30)의 상단 누름구(31)가 종이용기홀더(24)에 끼워져 있는 종이용기(1)의 컬링부(3) 저면을 상부로 압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누름구(31)의 상면과 눌림부(26)의 저면 사이에서 둥글게 말린 컬링부(3)가 납작하게 눌려지게 되므로서 도 7b와 같이 납작컬링부(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3개의 하부압착구(30)가 수직 설치된 승하강대(29)는 캠(28)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승하강하게 되므로서, 납작컬링부(6)는 3개의 하부압착구(30)에 의하여 1,2,3차로 눌려져서 형성되며, 계속적으로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하여 하부압착구(30)가 설치된 구간을 지나면 회전축(27)의 단부에 설치되어 승하강하는 슬라이더(32)의 상부에 하향 설치된 누름구(33)가 하강하면서 마지막 하부압착구(30)를 지난 종이용기착탈구(22)의 눌림봉(25)을 눌러주게 되므로서 납작컬링부(6)의 성형이 완료된 종이용기(1)를 하측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는 눌림봉(25)의 말단부가 납작컬링부(6)를 형성하게 하는 눌림부(26)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종이용기(1)가 끼워지는 종이용기홀더(24)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눌림봉(25)이 눌려짐에 따라 눌림부(26)가 하강하여 종이용기(1)의 납작컬링부(6)를 내려누르게 되므로서 종이용기홀더(24)에 끼워져 있던 종이용기(1)가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를 가동시키다가 가동이 정지된 뒤에 재가동시키게 되면, 통상적으로 2∼3개 종이용기가 접착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를 감안하여 기계가 정지되었다가 재가동할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그 해당 종이용기를 취출해 폐기시켜 왔으나, 이는 인력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어서 기계가 정지되었다가 재가동할 경우에 배출누름구(34)를 하강시켜서 불량이 예상되는 종이용기를 취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출누름구(34)는 실린더를 사용하고, 3∼5개의 종이용기를 연속해서 취출시킬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숫자의 종이용기가 취출된 뒤에는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배출누름구(34)의 동작을 정지시킨 다음 납작컬링부(6)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는, 종이용기를 성형하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의 일측에 종이용기의 컬링부를 압착하여 납작하게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상면에 뚜껑지가 부착되는 납작컬링부를 구비한 종이용기를 한 대의 종이용기 성형장치에서 제작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 대의 종이용기 성형장치로서 컬링부를 납작하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서, 종래의 두 대의 기계가 소요되었던 경우와는 달리 공장의 설치면적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정정) 다수 매의 옆지(2)가 적치되는 옆지적치대(7)를 구비하고, 그 일측에는 옆지적치대(7)에 적치된 옆지(2)를 수평이송시키는 옆지이송장치(8)가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옆지이송장치(8)의 말단부에는 옆지이송장치(8)를 통하여 공급된 옆지(2)를 원뿔대관 형태로 감으면서 옆지(2)의 측면을 부착시키는 옆지성형 봉합구(9)를 구비한 옆지성형장치(10)와,
    보빈에 감겨진 밑지원단(11)을 원뿔대관 형태로 성형된 옆지(2)의 하단에 삽입되도록 원형으로 재단한 뒤에 외주연을 수직으로 절곡시키는 밑지재단장치(12)와,
    다수 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되며 클릭식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 테이블(13)의 안치구멍으로 삽입된 원뿔대관 형태의 옆지(2) 하단에 상기 밑지재단장치(12)에서 성형된 밑지(4)를 삽입시키는 밑지삽입장치(14)와,
    다수 개의 안치구멍이 일정각도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측방에서 클릭식으로 회전하는 제2회전 테이블(15)의 안치구멍에 상기 밑지삽입장치(14)에 의하여 옆지(2)의 하단에 밑지(4)가 삽입된 반제품 형태의 종이용기(1)가 삽입된 상태에서 클릭식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반제품 형태의 종이용기(1) 하단부는 널링작업으로 압착 부착시키고 옆지(2)의 상단부는 컬링가공하는 널링 및 컬링부 성형장치(16)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밑지삽입장치(14)의 전방에는 컬링부 압착장치(17)를 설치하기 위한 틀체(18)가 설치되고, 상기 틀체(18)의 중앙부에는 모터(20)가 상향 설치되는 모터설치대(19)가 수평 설치되며, 상기 모터설치대(19)에 상향 설치된 모터(20)의 모터축(21)에는 다수 개의 종이용기착탈구(22)가 일정각도로 배열 설치된 제3회전 테이블(23)이 클릭식으로 회전 자재토록 설치되고,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는 제3회전 테이블(23)의 하측으로 하향 설치되는 눌림부(26)의 중앙 상측에 눌림봉(25)이 상향 돌출되며, 제3회전 테이블(23)의 상측에 고정된 고정판과 볼트로서 연결 고정된 종이용기홀더(24)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대(19)의 전방 하측에는 양측에 캠(28)이 설치된 회전축(27)이 구동모터(M)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7)의 상측에는 캠(28)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대(29)가 설치되며, 이 승하강대(29)의 상부에는 상기 종이용기착탈구(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종이용기(1)의 컬링부(3) 하단을 지지하는 누름구(31)를 구비한 하부압착구(30)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7)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캠(28)의 회동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더(32)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2)의 상단부에는 종이용기착탈구(22)의 눌림봉(25)을 눌러주는 누름구(33)가 하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2.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하부압착구(30)에 대응하는 종이용기착탈구(22)의 전번 종이용기착탈구(22) 상측에는 종이용기 성형장치가 정지하였다가 재 가동될 경우 성형된 종이용기(1)를 배출시키는 배출누름구(34)가 하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KR1019990017609A 1999-05-17 1999-05-17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KR100328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609A KR100328094B1 (ko) 1999-05-17 1999-05-17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609A KR100328094B1 (ko) 1999-05-17 1999-05-17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03A KR19990068403A (ko) 1999-09-06
KR100328094B1 true KR100328094B1 (ko) 2002-03-09

Family

ID=3747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609A KR100328094B1 (ko) 1999-05-17 1999-05-17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000A (zh) * 2018-12-20 2019-05-07 浙江新发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纸容器盘身成型装置
KR102639722B1 (ko) * 2023-07-24 2024-02-22 손주현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03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56259A (ja) 紙蓋成形装置
CN107425207B (zh) 一种绝缘片上料装置及其电芯组装系统
CN114291323B (zh) 一种茶饼包纸机及其包装方法
KR100328094B1 (ko) 컬링부 압착장치가 장착된 종이용기 성형장치
EP0804893A1 (en) Brew system for beverage packets: single or linked together
CN109986772A (zh) 一种衣架金属夹片覆膜设备
CN110642022A (zh) 上盖装置和餐饮机
CN112477274A (zh) 一种纸筒上料装置
CN207874121U (zh) 用于吸管压入杯盖的装置
KR100496959B1 (ko) 이중종이컵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EP0954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cting and winding flat stock
CN208712657U (zh) 一种豆浆机内胆的二次翻边冲压模具
CN210914422U (zh) 上盖装置和餐饮机
CN218966283U (zh) 一种纸杯生产用卷边装置
KR950007085Y1 (ko)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컵배출 및 불량컵 회수장치
CN217262912U (zh) 一种圆盖输送装置
CN111369736A (zh) 一种出料压合装置及自动售卖机
CN219253871U (zh) 一种冲床用可调整模具座
JP2592383Y2 (ja) キャッピングマシン
CN210848084U (zh) 半导体封装件的引脚成型装置
KR200380610Y1 (ko) 종이컵 성형기의 성형몰드 구조
KR100589658B1 (ko) 종이컵 성형기의 성형몰드 구조
CN214984066U (zh) 一种印刷用的包装盒烫印装置
CN217114332U (zh) 一种匹配多尺寸扩片环的扩膜装置
CN220409806U (zh) 一种纸盒生产设备的纸盒对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