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22B1 -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22B1
KR102639722B1 KR1020230095758A KR20230095758A KR102639722B1 KR 102639722 B1 KR102639722 B1 KR 102639722B1 KR 1020230095758 A KR1020230095758 A KR 1020230095758A KR 20230095758 A KR20230095758 A KR 20230095758A KR 102639722 B1 KR102639722 B1 KR 10263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ase paper
currying
gold foil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현
Original Assignee
손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주현 filed Critical 손주현
Priority to KR102023009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9/00Simultaneous forming of cylindrical and conical shapes by winding separate webs, e.g. form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36Moistening and heating webs to facilitate mechanical deformation and drying deform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5/00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 B31F5/006Attaching together sheets, strips or webs; Reinforcing edges using a strip, e.g. prof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7/00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종이 패키지의 단부를 용이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는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개시한다.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은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종이 패키지를 제작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으로서 원지와 종지 재질의 원판 및 종이 재질의 지관을 준비하는 과정과, 원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를 부착하는 과정과,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재단장치를 이용하여 금박띠가 부착된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과, 재단된 원지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원지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과, 롤 형상의 원지의 일단부를 관통된 내측으로 말아 커링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종이 재질의 원판을 커링부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과, 원판이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의 내부에 종이 재질의 지관을 삽입하고 원지의 내주면에 지관을 접합시키는 과정과,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커링부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하고 커링부의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도록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Paper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paper package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이 패키지의 단부를 용이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는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다양한 소비분야에서 편의성을 추구하고 있고, 특히 최근 들어 배송 분야에 있어 많은 편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 및 업체들은 고객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다양한 상품을 배송하고 있으며, 그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새벽 배송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 공산품에서 나아가 식품의 배송에도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음식 배달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에 힘입어 대부분의 음식이나 식재료를 스마트폰의 터치 몇 번으로 하루 만에 배송 받을 수 있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상품과 음식물의 배송에 관한 물류, 배송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기반시설이나 업체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서 물류, 배송 산업의 증가와 함께 상품이나 음식물의 포장에 이용되는 케이스나, 완충재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있어 문제가 된다.
배송 상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 케이스, 완충재 등의 포장재는 연질의 플라스틱이나 펄프,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전술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상기 재료들을 이용하는 것이 제도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서는 이러한 포장재의 재질이나 구조 등에 대한 제약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이러한 규제와 제약은 계속되거나 강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조에 대응하여 친환경적인 재료를 이용한 포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종이를 이용하여 포장 케이스를 제조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종이 포장 케이스는 상부에 돌출된 컬링부분이 운반 과정 중에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므로 사용자가 제품을 수령하였을 때 불쾌감을 조성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종이 포장 케이스는 그 내구성이 약하여 제품을 온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9-0119398
본 발명은 종이 패키지의 단부를 용이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는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은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종이 패키지를 제작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으로서, 원지와 종지 재질의 원판 및 종이 재질의 지관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원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를 부착하는 과정; 상기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재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 재단된 상기 원지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상기 원지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일단부를 관통된 내측으로 말아 커링(Curling)부를 형성하는 과정; 종이 재질의 상기 원판을 상기 커링부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 상기 원판이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내부에 종이 재질의 상기 지관을 삽입하고 상기 원지의 내주면에 상기 지관을 접합시키는 과정; 상기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커링부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하고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원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를 부착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모서리에서 유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금박띠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에 부착된 상기 금박띠가 상기 원지와 함께 기 설정된 길이로 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원지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원지에 부착된 상기 금박띠가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금박띠의 양측단을 붙이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는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상기 금박띠에 접하도록 상기 커링부를 프레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커링부를 프레싱하는 과정은,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외측면과 상기 원판의 하부면과 상기 지관의 내측면에 접합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개방된 타단부에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의 하부금형부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하부금형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의 상부금형부를 이동시켜 롤 형상의 상기 원지 및 상기 원판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상부금형부에 형성된 띠형상의 상부홈과 상기 상부홈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홈에 상기 커링부가 채워지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 및 상기 원판의 상면에 접촉된 상기 상부금형부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커링부에서 상기 원판에 인접한 제1 파트의 외주면이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상부금형부가 이동하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파트의 외주면이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 파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3 파트의 외주면이 상기 제1 파트와 선대칭된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3 파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지의 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금박띠에 인접하는 제4 파트가 상기 제3 파트와 선대칭되고 상기 제2 파트와 점대칭된 라운드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커링부에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점점 더 강하게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원지와 종지 재질의 원판 및 종이 재질의 지관을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외주면 일부에 부착 가능한 덮개종이를 준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커링부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 이후, 상기 덮개 종이를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에서 상기 금박띠의 하측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종이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덮개종이의 메인층 외측 표면에 이물성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보호층이 2-메틸-2-프로페노익 엑시드 메틸 에스터 폴리머 위드 부틸 2-프로페노에이트(2-Methyl-2-propenoic acid methyl ester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코팅제와,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은, 상기 재단장치에 구비된 광조사부가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로 빛을 조사하는 과정; 상기 재단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원지로 조사되어 상기 금박띠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원지에서 금박띠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된 상기 금박띠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원지가 말려 상기 커링부가 형성될 길이만큼 상기 금박띠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원지를 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재질의 지관은, 널빤지 형상으로 제작된 카드보드(Cardboard)로 제작되고, 상기 카드보드는, 상기 지관의 외면을 이루는 제1 종이재, 상기 지관의 내면을 이루는 제2 종이재 및 상기 제1 종이재와 상기 제2 종이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종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종이재, 상기 제2 종이재 및 상기 완충종이재 중 적어도 하나는, 페이퍼플로워; 상기 페이퍼플로워 상에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코팅플로워; 상기 코팅플로워 상에 무기물 또는 무기산화물로 증착되는 배리어플로워; 및 상기 배리어플로워 상에 알칼리불용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프로텍트플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플로워는, 건조상태에서 0.1~50㎛의 두께로 제작되며, 상기 프로텍트플로워는, 건조 상태에서 0.1~100㎛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기 완충종이재는,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종이 재질의 원판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받침페이퍼시트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입부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적정 수준으로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출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상기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주름을 형성시켜 주름페이퍼를 가공하며,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가 서로 다르게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을 가공f하여 각층의 전용 릴(Reel)에 권취하는 과정과, 상기 각 층의 권취 릴(Reel)로부터 상기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의 주름페이퍼를 인출하여 합지롤러에 공급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해 합지시트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합지시트를 건조기에 의해 최종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최종 건조된 합지시트를 펀칭방식 또는 재단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판 형상의 상기 원판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완전 건조를 기준으로 70~80% 수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도록 열풍공급기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각을 20~3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상면층, 하면층, 중간층의 순으로 상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하고, 상기 굴곡의 피치는 상기 중간층, 상면층, 하면층의 순으로 상기 피치가 좁아지도록 가공되고,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상기 굴곡은 상기 실린더의 인출부로부터 가이드롤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속도를 통해 상기 주름페이퍼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의 굴곡 높이와 피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원판의 상면층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친환경의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착색제 등을 스프레이 코팅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날두께(C)는 1~2㎜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금형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승강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부에 의해 상기 커링부의 가압이 완료된 롤 형상의 상기 원지를 상기 하부금형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부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 형상의 상기 원지에 접촉된 상태에서 자전되며 상기 원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상부홈을 형성하는 내벽체 중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제1 곡률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링부의 제1 파트를 형성하는 제1 홈부재; 상기 제1 홈부재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원지의 두께 및 상기 지관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커링부의 제2 파트를 형성하는 제2 홈부재; 상기 제2 홈부재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곡률과 동일한 제2 곡률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링부의 제3 파트를 형성하는 제3 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을 가지는 상기 제1 홈부재는, 그 연장되는 각도(α1)가 95°초과 내지 105°미만이고, 상기 제1 홈부재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제1 곡률(K1)이 연산되고,
[수학식 1]
Figure 112023081028312-pat00001
(여기서, K1은 제1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금형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의 외측을 이루며, 그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몰되고, 함몰된 부분을 이루는 내벽체의 상단부에 제1 곡률 및 제2 곡률과 동일한 제3 곡률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와 연동하여 상기 커링부의 제4 파트를 형성하는 제1 하부금형부재; 상기 하부금형부의 내측을 이루도록 상기 제1 하부금형부재의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제1 하부금형부재의 내벽체와 상기 원지의 두께 및 상기 지관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이격되며, 그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1 하부금형부재의 상부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2 하부금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금형부재는,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그 내부로 오목하게 인입된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2 하부금형부재의 수납홈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분리부실린더;
상기 분리부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내부에 접착된 상기 지관에 접촉 가능한 분리부롤러;
상기 분리부롤러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리부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분리부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롤러는,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
상기 한쌍의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허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
상기 한쌍의 허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을 상기 패시브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 및
복수의 상기 패시브롤러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한쌍의 허브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 및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패시브롤러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패시브롤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는, 제1 허브부재와, 상기 제1 허브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부재는,
상기 제1 허브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브부재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서 상기 제2 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부재는,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 및
상기 어드헤시브층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헤시브층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고,
상기 앱솔션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패키지의 단부의 커링된 부분을 가압하여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이에, 종이 패키지가 운반될 때, 상술한 커링된 부분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키지를에 부착된 금박띠를 기준으로 종이 패키지를 재단하므로, 종이 캐키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재단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지기가 내부에 수용된 제품으로부터 유출된 수분 및 외부으 l수분 등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의 수행하는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을 통해 제조된 종이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시스템의 프레스 성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장치에 롤 형상의 원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장치가 롤 형상의 원지를 가압하여 종이 패키지를 제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가 프레스 성형장치에서 종이 패키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롤 종이 패키지의 지관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부의 제1 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관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제조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형성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의 수행하는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을 통해 제조된 종이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시스템의 프레스 성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장치에 롤 형상의 원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장치가 롤 형상의 원지를 가압하여 종이 패키지를 제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가 프레스 성형장치에서 종이 패키지를 분리시키기 위해 롤 종이 패키지의 지관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금형부의 제1 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관의 단면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제조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이 형성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롤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은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그 단부에 마감 처리가 된 종이 패키지를 제작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이 패지키를 제조하는 종이 패지키 제조 시스템(100)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은 재단장치(110) 및 프레스 성형장치(120)를 포함한다. 한편, 재단장치(110)는 재단부(111), 구동부(112), 광조사부(113), 센서부(114) 및 컨트롤러부(115)를 포함한다.
재단부(111)는 그 단부에 커터날을 구비하며, 구동부(112)에 의해 상하방향(도 2 참조)으로 이동하며 원지를 커팅할 수 있다.
구동부(112)는 그 하부에 재단부(111)가 결합되며, 재단부(1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2)는 원지(1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도 2 참조) 및 원지(10)의 폭을 따르는 폭방향(도 2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12)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112)가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자전하며 다양한 위치에서 재단부(111)의 재단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12)는 상하방향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구동부재(112a), 길이방향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 구동부재(112b), 폭방향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3 구동부재(112c) 및 제3 구동부재(112c)에 연결되어 자전되며 그 하부에 재단부(111)가 결합되는 제4 구동부재(112d)로 구성될 수 있다.
광조사부(113)는 원지(10)에 부착된 금박띠(L)가 원지(10) 내에서 어느 위치에 부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조사부(113)는 원지(10)로 빛을 조사하고, 금박띠(L)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원지(10)에서 금박띠(L)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광조사부(113)는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센서 및 레이서센서에서 조사한 광을 수광하기 위해 센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조사부(113)는 원지(10)에서 금박띠(L)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따라 구동부(11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성형장치(100)는 하부금형부(121), 상부금형부(122), 승강부(123) 및 분리부(124)를 포함한다.
하부금형부(121)는 종이 패키지를 제조할 때, 원지(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금형부(121)는 제1 하부금형부재(121a) 및 제2 하부금형부재(121b)를 포함한다.
제1 하부금형부재(121a)는 하부금형부(121)의 외측을 이루며, 그 중심부가 내측으로 함몰되고, 함몰된 부분을 이루는 내벽체의 상단부에 제1 곡률(K1) 및 제2 곡률과 동일한 제3 곡률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진 하부홈(121aa)을 형성하고, 상부금형부(122)와 연동하여 커링부(11)의 제4 파트(11d)를 형성한다.
제2 하부금형부재(121b)는 하부금형부(121)의 내측을 이루도록 제1 하부금형부재(121a)의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고, 그 외주면이 제1 하부금형부재(121a)의 내벽체와 원지(10)의 두께 및 지관(30)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이격되며, 그 상면의 높이가 제1 하부금형부재(121a)의 상부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한편, 제2 하부금형부재(121b)는 그 내부에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그 내부로 오목하게 인입된 수납홈(121ba)을 구비한다. 제2 하부금형부재(121b)는 그 내부에 분리부(124)가 설치된다.
상부금형부(122) 종이 패키지를 제조할 때, 원지(10)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부금형부(122)는 상부홈(122a), 제1 홈부재(122b), 제2 홈부재(122c) 및 제3 홈부재(122d)를 포함한다.
제1 홈부재(122b)는 상부홈(122a)을 형성하는 내벽체 중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고, 제1 곡률(K1)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형성되어 커링부(11)의 제1 파트(11a)를 형성한다.
제2 홈부재(122c)는 제1 홈부재(122b)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 연장되는 길이가 원지(10)의 두께 및 지관(30)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커링부(11)의 제2 파트(11b)를 형성한다.
제3 홈부재(122d)는 제2 홈부재(122c)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제1 곡률(K1)과 동일한 제2 곡률을 가지며 라운드면으로 형성되어 커링부(11)의 제3 파트(11c)를 형성한다.
한편, 제1 곡률(K1)을 가지는 제1 홈부재(122b)는 그 연장되는 각도(α1)가 95°초과 내지 105°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재(122b)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제1 곡률(K1)이 연산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23081028312-pat00002
(여기서, K1은 제1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승강부(123)는 상부금형부(122)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상부금형부(122)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승강부(123)는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분리부(124)는 하부금형부(12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금형부(122)에 의해 커링부(11)의 가압이 완료된 롤 형상의 원지(10)를 상기 하부금형부(1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부금형부(121)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롤 형상의 원지(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자전되며 원지(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리부(124)는 분리부실린더(124a), 분리부롤러(124a) 및 분리부모터(124c)를 포함한다.
분리부실린더(124a)는 제2 하부금형부재(121b)의 수납홈(121ba)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분리부롤러(124a)는 분리부실린더(124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롤 형상의 원지(10)의 내부에 접착된 지관(30)에 접촉 가능하며, 후술되는 분리부모터(124c)에 의해 회전되며, 커링부(11)의 가압이 완료된 롤 형상의 원지(10)를 하부금형부(12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분리부롤러(124a)는 허브(124aa), 패시브롤러(124ab), 구동롤러샤프트(124ac), 지지링(124ad), 회전유도체(124ae) 및 타이어부재(124af)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부롤러(124a)는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124aa), 한쌍의 허브(124aa)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허브(124aa)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124ab),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한쌍의 허브(124a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24ac), 한쌍의 허브(124aa)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시브롤러(124ab)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시브롤러(124a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124ad), 지지링(124ad)을 패시브롤러(124ab)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124ae)를 포함한다.
한편, 회전유도체(124ae)는 한쌍의 허브(124aa)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124aea) 및 회전유도체샤프트(124aea)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회전유도체샤프트(124aea)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지지링(124ad)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124aeb)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링(124ad)은 패시브롤러(124ab)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패시브롤러(124ab)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124ada)을 형성하고 함몰홈(124ada)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된다.
또한, 한쌍의 허브(124aa)는 제1 허브부재(124aaa)와, 제1 허브부재(124aa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124aa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허브부재(124aaa)는 제1 허브부재(124aaa)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허브부재(124aaa)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124aaaa), 그 내부에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24ac)가 삽입되고 복수의 가이드슬릿(124aaa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124aaab) 및 복수의 가이드슬릿(124aaaa)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베어링(124aaab) 각각을 지지하며, 복수의 가이드슬릿(124aaaa)에서 제2 베어링(124aaa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슬릿(124aaa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124aaac)를 포함한다.
타이어부재(124af)는 트레드부(124afa), 사이드월부(124afb), 비드부(124afc), 카카스층(124afd), 비드 코어(124afe), 벨트층(124aff)을 포함한다.
트레드부(124afa)는 레일유닛바디(121)의 상부와 접하는 부분으로, 레일유닛바디(121)에 쌓일 수 있는 먼지 및 불순물로부터의 충격, 외상으로부터 패시브롤러(124a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24afa)의 표면에는 타이어의 배수성 향성을 위해 그루브(groove)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블록들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4afb)는 트레드부(124afa)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부재(124af)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주행 중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작용을 견디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24afd)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24afc)는 사이드월부(124afb)의 양단에 구비되어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비드부(124afc)는 링 형태의 강선재를 포함하는 비드 코어(124afe)를 포함한다.
즉, 좌우 한 쌍의 비드부(124afc) 사이에는 카카스층(124afd)이 위치하며 타이어부재(124af) 내부에서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카카스층(124afd)이 비드 코어(124afe) 주위를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아 올라가고 있다.
카카스층(124afd)의 내측의 일면상에는 내부고무층(124afg)이 위치한다.
트레드부(124afa)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24afd)의 외측면에는 트레드부의 탄성을 높이고, 조종성 및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보강층으로서 벨트층(124aff)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타이어부재(124af)는 내부고무층(124afg), 내부고무층(124afg)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124afh) 및 어드헤시브층(124afh)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124afi)을 더 포함한다.
어드헤시브층(124afh)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편,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다.
또한, 앱솔션층(124afi)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분리부모터(124c)는 분리부롤러(124a)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며, 분리부롤러(124a)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종이 패키지(1)를 제작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은 원지(10)와 종지 재질의 원판(20) 및 종이 재질의 지관(30)을 준비하는 과정(S110), 원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L)를 부착하는 과정(S120),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의 재단장치(110)를 이용하여 금박띠가 부착된 원지(10)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S130), 재단된 원지(10)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원지(10)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S140), 롤 형상의 원지(10)의 일단부를 관통된 내측으로 말아 커링(Curling)부(이하 커링부(11)라 함)를 형성하는 과정(S150), 종이 재질의 원판(20)을 커링부(11)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1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S160), 원판(20)이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10)의 내부에 종이 재질의 지관(30)을 삽입하고 원지(10)의 내주면에 지관을 접합시키는 과정(S170),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의 프레스 성형장치(120)를 이용하여 커링부(11)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하고 커링부(11)의 일부가 롤 형상의 원지(10) 측부로 돌출되도록 커링부(11)를 가압하는 과정(S180)을 포함한다.
먼저, 원지(10)와 종지 재질의 원판(20) 및 종이 재질의 지관(30)을 준비할 수 있다(S110).
여기서, 원지(10)를 준비함에 있어서, 원지(10)의 외주면 일부에 부착 가능한 덮개종이(12)를 더 준비할 수 있다. 이때, 덮개종이(12)를 준비함에 있어서, 덮개종이(12)의 메인층(12a) 외측 표면에 이물성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층(12b)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12b)은 2-메틸-2-프로페노익 엑시드 메틸 에스터 폴리머 위드 부틸 2-프로페노에이트(2-Methyl-2-propenoic acid methyl ester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코팅제와,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이 재질의 지관(30)은 널빤지 형상으로 제작된 카드보드(Cardboard)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보드는 지관의 외면을 이루는 제1 종이재(미도시), 지관의 내면을 이루는 제2 종이재(미도시) 및 제1 종이재와 제2 종이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종이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종이재와 제2 종이재와 완충종이재 중 적어도 하나는 페이퍼플로워(31), 페이퍼플로워(31) 상에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코팅플로워(32), 코팅플로워(32) 상에 무기물 또는 무기산화물로 증착되는 배리어플로워(33) 및 배리어플로워(33) 상에 알칼리불용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프로텍트플로워(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팅플로워(32)는, 건조상태에서 0.1~50㎛의 두께로 제작된다.
여기서, 프로텍트플로워(34)는 건조 상태에서 0.1~100㎛의 두께로 제작된다.
여기서, 완충종이재(미도시)는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된다. 이에, 지관(30)이 외부로부터의 기체와 수분 투과의 차단 및 내부로부터의 기체와 수분 방출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원판(20)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받침페이퍼시트(21)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받침페이퍼시트(21)를 회전하는 실린더(24)의 인입부로 공급하는 과정과, 회전하는 실린더(24)에 열풍을 분사하여 실린더(24)의 표면에 부착된 받침페이퍼시트(21)를 적정 수준으로 건조시키는 과정과, 회전하는 실린더(24)의 인출부에 설치된 블레이드(25)를 통해 받침페이퍼시트(21)를 실린더(24)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주름을 형성시켜 주름페이퍼(26)를 가공하며, 주름페이퍼(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가 서로 다르게 상면층(26a), 중간층(26b) 및 하면층(26c)을 가공하여 각층의 전용 릴(Reel)에 권취하는 과정과, 각 층의 권취 릴(Reel)로부터 상면층(26a), 중간층(26b) 및 하면층(26c)의 주름페이퍼를 인출하여 합지롤러(26d)에 공급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해 합지시트(26e)를 제조하는 과정과, 합지시트(26e)를 건조기(28)에 의해 최종 건조시키는 과정과, 최종 건조된 합지시트(26e)를 펀칭방식 또는 재단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판 형상의 원판(20)로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25)는 블레이드몸체(25a), 받침페이퍼시트(21)에 저촉되는 블레이드접촉부(25b) 및 주름종이를 커팅하는 블레이드날면(25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24)의 표면에 부착된 받침페이퍼시트(21)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완전 건조를 기준으로 70~80% 수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도록 열풍공급기(27)의 구동조건을 설정하여 건조될 수 있다.
한편, 합지시트(26e)는 건조기(28)에서 최종적으로 건조된 후 감김릴(29)에 권취된다.
또한, 주름페이퍼(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는 블레이드(25)의 접촉각을 20~3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주름페이퍼(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는 상면층(26a), 하면층(26c), 중간층(26b)의 순으로 상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하고, 굴곡의 피치는 중간층(26b), 상면층(26a), 하면층(26c)의 순으로 피치가 좁아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26b)에 형성된 굴곡은 실린더(24)의 인출부로부터 가이드롤러(22) 사이의 구간에서 가이드롤러(22)의 회전속도를 통해 주름페이퍼(26)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인장력에 의해 중간층(26b)의 굴곡 높이와 피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받침페이퍼시트(21)는 실린더(24)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반건조 상태를 유지하고, 실린더(24)의 표면에는 분사장치(23)를 통해 박리제가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원판(20)의 상면층(26a)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친환경의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착색제 등을 스프레이 코팅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25)의 날두께(C)는 1~2㎜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후, 원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L)를 부착할 수 있다(S120). 이때, 원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L)를 부착함에 있어서, 원지(10)의 모서리에서 유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금박띠(L)를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격 거리는 커링부(11)가 형성되기 위한 길이일 수 있다.
이후,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의 재단장치(110)를 이용하여 금박띠가 부착된 원지(10)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할 수 있다(S130). 즉, 원지(10)에 부착된 금박띠(L)가 원지(10)와 함께 기 설정된 길이로 커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단장치(110)에 구비된 광조사부(113)가 금박띠(L)가 부착된 원지(10)로 빛을 조사하고, 재단장치(110)의 센서부(114)가 원지로 조사되어 금박띠(L)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원지에서 금박띠(L)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금박띠(L)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지(10)가 말려 커링부(11)가 형성될 길이만큼 금박띠(L)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원지를 커팅할 수 있다.
이후, 재단된 원지(10)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원지(10)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S140). 즉, 작업자가 재단된 원지(10)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원지(10)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원지(10)에 부착된 금박띠(L)가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금박띠(L)의 양측단을 붙일 수 있다.
이후, 롤 형상의 원지(10)의 일단부를 관통된 내측으로 말아 커링부(11)를 형성할 수 있다(S150).
이후, 종이 재질의 원판(20)을 커링부(11)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10)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S160).
이후, 원판(20)이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원지(10)의 내부에 종이 재질의 지관(30)을 삽입하고 원지(10)의 내주면에 지관을 접합시킬 수 있다(S170).
이후,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100)의 프레스 성형장치(120)를 이용하여 커링부(11)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하고 커링부(11)의 일부가 롤 형상의 원지(10) 측부로 돌출되도록 커링부(11)를 가압할 수 있다(S180). 보다 구체적으로, 커링부(11)를 가압함에 있어서, 원지(10) 측부로 돌출되는 커링부(11)의 일부가 금박띠(L)에 접하도록 커링부(11)를 프레싱할 수 있다. 즉, 롤 형상의 원지(10)의 외측면과 원판(20)의 하부면과 지관(30)의 내측면에 접합도록 롤 형상의 원지(10)의 개방된 타단부에 프레스 성형장치(120)의 하부금형부(121)를 삽입시키고, 하부금형부(121)의 맞은편에 배치된 프레스 성형장치(120)의 상부금형부(122)를 이동시켜 롤 형상의 원지(10) 및 원판(20)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상부금형부(122)에 형성된 띠형상의 상부홈(122a)과 상부홈(122a)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하부금형부(121)의 하부홈(121aa)에 커링부(11)가 채워지도록 롤 형상의 원지(10) 및 원판(20)의 상면에 접촉된 상부금형부(122)의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종이 패키지(1)의 단부가 매끄럽게 마감처리될 수 있다.
한편, 프레스 성형장치(120)를 이용하여 커링부(11)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되고 커링부(11)의 일부가 롤 형상의 원지(10) 측부로 돌출되도록 커링부(11)를 가압하고 나서, 미리 준비한 덮개종이(12)를 롤 형상의 원지(10) 측부에서 금박띠(L)의 하측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처럼, 종이 패키지의 단부의 커링된 부분을 가압하여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이에, 종이 패키지가 운반될 때, 상술한 커링된 부분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키지를에 부착된 금박띠를 기준으로 종이 패키지를 재단하므로, 종이 캐키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 및 모양으로 재단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지기가 내부에 수용된 제품으로부터 유출된 수분 및 외부으 l수분 등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원지 20: 원판
30: 지관 100: 종이패키지 제조 시스템
110: 재단장치 120: 프레스 성형장치

Claims (3)

  1.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종이 패키지를 제작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으로서,
    원지와 종지 재질의 원판 및 종이 재질의 지관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원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를 부착하는 과정;
    상기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재단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
    재단된 상기 원지가 원통의 롤 형상이 되도록 상기 원지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일단부를 관통된 내측으로 말아 커링(Curling)부를 형성하는 과정;
    종이 재질의 상기 원판을 상기 커링부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
    상기 원판이 지지되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내부에 종이 재질의 상기 지관을 삽입하고 상기 원지의 내주면에 상기 지관을 접합시키는 과정;
    상기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의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커링부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하고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금박띠를 부착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모서리에서 유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금박띠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에 부착된 상기 금박띠가 상기 원지와 함께 기 설정된 길이로 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원지를 감아 그 양측단을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은, 상기 원지에 부착된 상기 금박띠가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금박띠의 양측단을 붙이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는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상기 금박띠에 접하도록 상기 커링부를 프레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커링부를 프레싱하는 과정은,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외측면과 상기 원판의 하부면과 상기 지관의 내측면에 접합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의 개방된 타단부에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의 하부금형부를 삽입시키는 과정;
    상기 하부금형부의 맞은편에 배치된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의 상부금형부를 이동시켜 롤 형상의 상기 원지 및 상기 원판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과정;
    상기 상부금형부에 형성된 띠형상의 상부홈과 상기 상부홈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홈에 상기 커링부가 채워지도록, 롤 형상의 상기 원지 및 상기 원판의 상면에 접촉된 상기 상부금형부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상기 커링부에서 상기 원판에 인접한 제1 파트의 외주면이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파트에서 상기 상부금형부가 이동하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파트의 외주면이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제2 파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3 파트의 외주면이 상기 제1 파트와 선대칭된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3 파트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원지의 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금박띠에 인접하는 제4 파트가 상기 제3 파트와 선대칭되고 상기 제2 파트와 점대칭된 라운드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커링부에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점점 더 강하게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지와 종지 재질의 원판 및 종이 재질의 지관을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원지의 외주면 일부에 부착 가능한 덮개종이를 준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커링부의 상측 일부를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커링부의 일부가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링부를 가압하는 과정 이후, 상기 덮개 종이를 롤 형상의 상기 원지 측부에서 상기 금박띠의 하측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종이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기 덮개종이의 메인층 외측 표면에 이물성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보호층이 2-메틸-2-프로페노익 엑시드 메틸 에스터 폴리머 위드 부틸 2-프로페노에이트(2-Methyl-2-propenoic acid methyl ester polymer with butyl 2-propenoate) 코팅제와,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를 기 설정된 길이로 재단하는 과정은,
    상기 재단장치에 구비된 광조사부가 상기 금박띠가 부착된 상기 원지로 빛을 조사하는 과정;
    상기 재단장치의 센서부가 상기 원지로 조사되어 상기 금박띠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반사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원지에서 금박띠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된 상기 금박띠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원지가 말려 상기 커링부가 형성될 길이만큼 상기 금박띠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원지를 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 재질의 지관은, 널빤지 형상으로 제작된 카드보드(Cardboard)로 제작되고,
    상기 카드보드는, 상기 지관의 외면을 이루는 제1 종이재, 상기 지관의 내면을 이루는 제2 종이재 및 상기 제1 종이재와 상기 제2 종이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종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종이재, 상기 제2 종이재 및 상기 완충종이재 중 적어도 하나는,
    페이퍼플로워;
    상기 페이퍼플로워 상에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코팅플로워;
    상기 코팅플로워 상에 무기물 또는 무기산화물로 증착되는 배리어플로워; 및
    상기 배리어플로워 상에 알칼리불용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프로텍트플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플로워는, 건조상태에서 0.1~50㎛의 두께로 제작되며,
    상기 프로텍트플로워는, 건조 상태에서 0.1~100㎛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기 완충종이재는,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종이 재질의 원판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받침페이퍼시트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입부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적정 수준으로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출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상기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주름을 형성시켜 주름페이퍼를 가공하며,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가 서로 다르게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을 가공f하여 각층의 전용 릴(Reel)에 권취하는 과정과,
    상기 각 층의 권취 릴(Reel)로부터 상기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의 주름페이퍼를 인출하여 합지롤러에 공급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해 합지시트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합지시트를 건조기에 의해 최종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최종 건조된 합지시트를 펀칭방식 또는 재단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판 형상의 상기 원판으로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완전 건조를 기준으로 70~80% 수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도록 열풍공급기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각을 20~3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상면층, 하면층, 중간층의 순으로 상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하고, 상기 굴곡의 피치는 상기 중간층, 상면층, 하면층의 순으로 상기 피치가 좁아지도록 가공되고,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상기 굴곡은 상기 실린더의 인출부로부터 가이드롤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속도를 통해 상기 주름페이퍼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의 굴곡 높이와 피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원판의 상면층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친환경의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착색제 등을 스프레이 코팅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날두께(C)는 1~2㎜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KR1020230095758A 2023-07-24 2023-07-24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KR10263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758A KR102639722B1 (ko) 2023-07-24 2023-07-24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758A KR102639722B1 (ko) 2023-07-24 2023-07-24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722B1 true KR102639722B1 (ko) 2024-02-22

Family

ID=9005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758A KR102639722B1 (ko) 2023-07-24 2023-07-24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72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03A (ko) * 1999-05-17 1999-09-06 양철 컬링부압착장치가장착된종이용기성형장치
KR20030021191A (ko) * 2003-01-25 2003-03-12 박하령 지관을 이용한 포장용 용기의 제조방법.
JP2012250366A (ja) * 2011-05-31 2012-12-20 Toppan Printing Co Ltd フランジ付き紙カップ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5003448A (ja) * 2013-06-21 2015-01-08 東京特種紙業株式会社 容器の製造方法
KR20190119398A (ko) 2018-04-12 2019-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공기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KR20220000190A (ko) * 2020-06-25 2022-01-03 오종석 연속적인 자동화 장치를 이용한 지관 패키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관 패키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03A (ko) * 1999-05-17 1999-09-06 양철 컬링부압착장치가장착된종이용기성형장치
KR20030021191A (ko) * 2003-01-25 2003-03-12 박하령 지관을 이용한 포장용 용기의 제조방법.
JP2012250366A (ja) * 2011-05-31 2012-12-20 Toppan Printing Co Ltd フランジ付き紙カップ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5003448A (ja) * 2013-06-21 2015-01-08 東京特種紙業株式会社 容器の製造方法
KR20190119398A (ko) 2018-04-12 2019-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공기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공기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KR20220000190A (ko) * 2020-06-25 2022-01-03 오종석 연속적인 자동화 장치를 이용한 지관 패키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관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452B2 (en) Recyclable surface covering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recyclable surface covering
CA12156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ultiple ply paperboard
EP3212390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 a noise reducing element to a tyre for vehicle wheels
US20140260019A1 (en) Drywall Corner Bead
US948698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mposite building boards using dissolvable films
US7550051B2 (en) Method of making pre-shrunk drywall trim device
EP2079638A1 (en) Multi-layered container having interrupted corrugated insulating liner
US11752738B2 (en) Recycled rubber backed cushioned vinyl
JP2011020479A (ja) 制音体付空気入りタイヤ
KR102639722B1 (ko) 종이 패키지 제조 시스템을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작방법
CN103922172A (zh) 一种复合包装纸的生产设备
US20040074350A1 (en) Paper pipe-cutting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1306580A (zh) 用于制造充气轮胎的方法
HU209004B (en) Method for continuous covering at least two neighbouring plates of building panels
JP2005178909A (ja) 複数重ね部からなる直線引出し支柱
US7744150B2 (en) Roof liner and procedure for obtaining a roof liner for vehicles
US9340970B2 (en) Recycled rubber backed cushioned vinyl
US8257534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grooved substrate
US200401039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cellular structural panels
CN114206734A (zh) 可拉伸的运输/托盘包裹件及其使用方法
WO2004076177A1 (en) Back grooved wood flooring composed of hpl, waterproof plywood and soundproof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227383A2 (en) Process and machine for forming boxes
JP2009149084A (ja) パンクシーラント事前組立体構成要素を組み立て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66615A (ko) 트림용 복합재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3922197U (zh) 一种复合包装纸的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