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644B1 -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 Google Patents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644B1
KR100327644B1 KR1019990002937A KR19990002937A KR100327644B1 KR 100327644 B1 KR100327644 B1 KR 100327644B1 KR 1019990002937 A KR1019990002937 A KR 1019990002937A KR 19990002937 A KR19990002937 A KR 19990002937A KR 100327644 B1 KR100327644 B1 KR 10032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unk
blast furnace
twir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215A (ko
Inventor
호리류이치
Original Assignee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마모토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구마모토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6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Blast Furna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트와이어 외주면의 Cu 온도가 그 융점보다 높게 과열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트와이어 손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에 견딜수 있는 고로의 송풍트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 트와이어는 트와이어 몸체의 냉각실 2와 트와이어 노우즈의 냉각실 3을 갖는 트와이어 트렁크로 구성된다.
또한 고로안으로 돌출되는 부위의 외주면의 전체중 적어도 상반부 또는 외주면의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반부 전체를 고로에서 용탕금속온도와 Cu 융점보다도 높은 융점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외피층 5으로 피복한다. 더욱이, 고로속으로 트와이어를 삽입할 때에 받는 기계적충격으로부터 트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제 쟈켓 4이 외피층의 바깥쪽 위로 부착된다.

Description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Blast Tuyere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제선용 고로와 비철용 용광로, 큐폴라와 같은 용광로 등의 송풍트와이어(blast tuyere)에 관한 것이다.
송풍트와이어(이후 '트와이어'라 칭함)는 통상 고로의 경우, 복부(belly)와 저부(bottom)사이의 경계부에 설치된다. 많은 경우 트와이어의 선단측의 400-600 mm 길이부분이 고로속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 트와이어에 의해 냉각송풍 또는 열간송풍이 선단부(tip portion : nose)로부터 고로의 안쪽으로 취입되는데, 열간송풍온도는 최고 1,250℃ 까지 상승하고, 트와이어 전면의 불꽃온도는 최고 2,450℃ 까지 상승한다. 게다가 고로 내부는 1,500℃ 이상에서 용융된 선철(pig iron)과 슬라그가 탕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혹한 온도조건하에서도 트와이어는 그 원형을 유지해야만 하고 동시에 열간송풍을 계속 송풍되도록 해야하는데,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트와이어를 고순도의 동(Cu)으로 제조하여 내고온성과 양호한 열전도성을 갖도록 하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냉각수를 위한 환상의 순환수통로(circular flowing route)는 트와이어 몸체에 형성되고, 냉각수는 트와이어를 냉각시키기 위해 고유속으로 순환수통로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일본 실용신안 등록출원공개공보 제 3-29310호에 잘 소개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고로가 생긴이래 트와이어의 손상은 계속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이어왔다. 다시말해, 트와이어 냉각방법이 향상되면 고로의 작업조건은 그만큼 더욱 가혹해지므로 계속적으로 트와이어의 손상을 가져왔고, 이러한 악순환은 되풀이되어 왔다.
그러나 트와이어트렁크, 즉 트와이어 몸체의 외면의 손상빈도는 특히 외표면의 상부외면에서의 손상의 빈도는 트와이어내면과 반대로 줄어들지 않았다. 이는 1,500℃ 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가진 금속용탕이 하강하기 때문인데, 이는 로의 상부로부터 트와이어 몸체의 외표면상으로 직접 하강하므로써 트와이어를 구성하는 동제금속과 접촉하여 Cu를 녹여버려 문제를 발생시키는 현상은 여전하였던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트와이어 바로 위로부터 1,500℃ 이상의 온도를 가진 슬라그용탕이 떨어지더라도 그 속에서 트와이어 몸체부의 상부표면이 Cu의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지만 않는다면 Cu제 트와이어는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열간금속 슬라그의 유동표면이 올라가게 되어 1,500℃ 이상의 용융체가 트와이어 몸체부의 저면을 접촉하게 되더라도 그 속에서 Cu제 트와이어 몸체부가 Cu의 융점이상으로만 가열되지 않는다면 트와이어는 손상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용탕금속 또는 슬라그가 트와이어에 직접 접촉될 경우 그 부분의 트와이어몸체의 온도를 융점아래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실질적인 냉각기구가 없으므로 트와이어 몸체의 외표면에서의 잦은 고장이라는 문제는 여전히 심히 해결못한 채 남아 있는 것이다.
제 1A도는 본 발명상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 횡단면도
제 1B도는 제 1A도에서 A역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제 2A도는 본 발명상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 횡단면도
제 2B도는 제 2A도에서 B역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확대도
제 3도는 본 발명상의 제 3실시예로서의 트와이어 횡단면도
제 4도는 온도구배(경사)선이 중첩되는 본 발명상의 일실시예로서의 트와이어 부분 횡단면도주요부호 :1. 송풍트와이어트렁크 2. 냉각실 3. 냉각실(트와이어노우즈부)4. 금속쟈켓 5. 외피층 또는 각층 6. 주물 7. 스터드(stud)8. 요철면 PW : 송풍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트와이어의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가 트와이어트렁크, 즉 트와이어몸체의 외표면의 동(Cu)의 온도를 과열시키지 않도록 트와이어 외표면을 그 융점 이하로 유지하므로써 트와이어 손상을 막고 영구히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데 목적이 있다.이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본 발명상의 고로송풍트와이어는 Cu제의 트와이어 트렁크 (tuyere trunk)를 구비한 것으로, 이 트와이어 트렁크는 트와이어 몸체냉각실과 트와이어 선단냉각실 또는 노우즈(nose)부의 냉각실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가진 트와이어트렁크에서 용광로 내부에 돌출한 부분의 외주면의 전부 또는 최선단부를 제외한 부분 중 적어도 상반부는 Cu의 융점보다도 높은 융점 및 용광로 내부의 용선의 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지는 각층(shell layer), 즉 외피층으로 피복된다.더욱이, 이 외피층의 바깥쪽에는 상기 트와이어를 상기 고로속으로 삽입할 때에 받는 기계적충격이 심하므로 상기 트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금속제 쟈켓 (jacket)을 이 외피층에 꼭 맞도록 장착한다.상기 트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제 쟈켓을 장착하면, 고로용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트와이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은 용융점을 갖는 재료로 만든 외피층의 내열효과와 각 냉각실을 통해 냉각수통과에 의해 강력한 냉각효과의 상승작용으로 그 수명을 더욱 길게 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충격으로부터 외피층을 보호하는 기능은 충분해지고, 외피층의 본래의 내열성, 내열기능은 처음에 설계한 바와 같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본 발명에 따라 고로 내에 삽입되는 트와이어는 몸체냉각실 및 선단냉각실에 냉각수를 고압, 고유속으로 통수시켜서 고온하에서도 트와이어 트렁크가 Cu의 융점 아래의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되게 하므로 결코 트와이어트렁크, 즉 몸체를 로내용선온도보다 낮은 Cu제로 하더라도 결코 용손되는 일이 없다. 한편, 냉각능력 이상의 열용량으로 용융한 용선슬라그가 트와이어에 접촉한 경우에는,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용융온도가 높은 외피층이고 Cu제의 몸체부분이 격리되어 있으므로, 이 Cu제의 본체부분을 항상 융점 이하로 계속 유지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고, 냉각수에 의한 냉각작용과 외피층에 의한 내열보호작용이 서로 어울려 트와이어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외피층은 본 발명에서는 5~10m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한편, 외피층을 구성하는 물질로서는 내용선슬라그성이 높은 세라믹스재질이 바람직스럽다. 예컨대 고순도알루미나로 트와이어본체를 피복하면 약 2,000℃의 고온까지 내성이 있다. 또한, 이 고순도알루미나는 트와이어본체의 Cu와는 저융점합금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바람직스러운 물질이다. 다만, 이 세라믹스외피층으로 피복된 트와이어의 문제점은 기계적 충격에 취약하다는 점으로서, 특히 고로내에 트와이어를 삽입하여 취부할 때에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므로써 세라믹스의 파손이 쉽고, 균열이 생기기도 하며, 부분적으로 박리되기도 하므로 내열보호기능을 상실하여 내부의 Cu제층을 단기적으로 용손시키기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잦다.따라서, 본 발명은 외피층의 바깥쪽에 금속제쟈켓을 장착시킨 구성으로 하므로써, 고로내에 삽입할 때 받는 기계적 충격을 직접 외피층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외피층에 대한 내충격보호기능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쟈켓의 재질은 Cu가 바람직하다. Cu 외에도 트와이어삽입시에 불가피하게 되는 기계적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금속이라면 열전도성이 불량하지 않는 한 그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금속제 쟈켓은 삽입후 조업중에 용융 등으로 소실되어도 하등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하여, 외피층 및 금속제 쟈켓은 트와이어 본체의 상반면만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장착시 및 조업시에 트와이어 트렁크의 하반면부의 기계적, 열적인 파손이 충분히 염려되는 경우에는 고로내에 돌출되는 부분의 외주면 전둘레에 걸쳐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본 발명은 트와이어 트렁크에 있어 외피층에 접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스터드를 여기저기 산재하여 설치하고, 또는 얕은 요철(凹凸)면을 형성하여서 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하므로써 트와이어 트렁크 동제부와 외피층과의 접착성이 강고하게 되고, 따라서 조업중 가혹한 사용조건하에서도 외피층이 박리됨이 없게 되어 일층 긴 수명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발명의 실시형태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제 1A도는 본 발명상의 제 1실시예로서의 트와이어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 1B도는 제 1A도의 원으로 둘러싼 A 역의 확대도이다.
이 제 1A도에서 트와이어트렁크 1은 트와이어몸체부 1A(몸체실)와 트와이어노우즈 즉, 트와이어선단부 1B(노우즈 실)를 동(Cu)제로 만든 것으로, '노즐형 트와이어(nozzle type tuyere)'라 부르는 트와이어를 구성한다. 이 트와이어트렁크 1에서 트와이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원형 흐름루트(circular flowing route)는 트와이어몸체의 냉각실 2을 포함구성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냉각실은 트와이어몸체부 1A의 주위방향으로 동일하게 구분되어 트와이어몸체 1A가 나누어지도록 배열설치된다. 그리고 냉각실 2과 노우즈 1B의 환상으로 이루어진 선단냉각실 3을 포함 형성된다. 원형 흐름루트의 예컨데 연결구(口)등과 같은 구조상세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냉각수는 트와이어트렁크 1의 기초부측(제 1A도의 우측)에서 물공급구(water supply mouth)로 부터 하나 걸러 절반이 트와이어트렁크(몸체)냉각실 2로 들어가서 확산전진해가면서, 트와이어트렁크 1A의 거의 반에 이르는 부위(half)를 냉각시키며, 이 상태가 계속 진행된다. 다음, 이 냉각수는 연통구를 통해 트와이어 노우즈의 냉각실 즉, 선단냉각실 3속으로 들어가서 고압과 고유속으로 한번 돌아 트와이어 노우즈 1B를 냉각시킨 후, 다른 연통구를 통해 나머지 반수가 트와이어 트렁크냉각실 2에 들어가 확산전진하면서, 트와이어 몸체 1A의 약 반부위(半部位)를 냉각시키고, 트와이어 트렁크 1의 기초부측의 배수구 (drainage mouth)로부터 유출되도록 하므로써, 트와이어 트렁크 1이 고속, 고유속으로 냉각수에 의해 강하게 냉각되게 되어 트와이어 용손을 막게된다. 한편, 통상적인 냉각수압은 20Kg/cm2G 이상으로 설정하고 유속은 15m/s 이상으로 설정한다.
Cu제 트와이어 트렁크 1에서, 고로내로 돌출한 부위의 외주면은 각층 또는 외피층, 예컨데 고순도의 세라믹과 같은 세라믹제 외피층 5으로 피복된다. 또한 금속제 쟈켓 4은 외피층 5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로내로 돌출하는 트와이어 부분은 3층구조, 즉 Cu 층, 외피층 5과 쟈켓 4의 3개층으로 이루어지고 안쪽으로부터 차례로 이 순서대로 층을 이루어 정렬구성된다.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속제 쟈켓이 외피층의 바깥쪽에 결합되므로, 트와이어를 고로에 삽입할때에 기계적충격이 있더라도 외피층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충격으로 부터의 외피층 보호기능이 만족스럽게 될 수 있다. 쟈켓의 재료로서는 Cu 가 바람직스럽다. 그러나 트와이어 삽입시 불가피한 기계적충격에 대한 금속저항은 금속이 Cu 가 아니더라도 허용가능하다. 또한 금속제쟈켓이 삽입된 후, 용융등의 이유로 손상된 것도 허용가능하다.본 발명에서 외피층과 쟈켓은 트와이어트렁크의 상반부에만 적용된다. 트와이어트렁크의 하반부가 삽입시 조업시 기계적 또는 열적으로 손상될 염려가 많으면 고로속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의 외주면 전체위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스터드를 트와이어트렁크에 분산배치시켜 심든가 또는 얕은 요철면을 트와이어트렁크의 외주면상에 다수 정렬시켜 형성한다.
제 1도에서의 실시예는 고로 안쪽으로 돌출한 부위의 외주면의 최선단부를 제외하고 전체면이 외피층 5으로 피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 안에서 트와이어가 설치되는 로 중에는, 그러나 로내의 용탕금속이 외주면의 하반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외주면의 상반부에만 외피층 5으로 피복되게 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전술한 일실시예에서 이 외피층은 금속슬라그에 대하여 높은 저항을 가지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이에 대응하여 쟈켓 4도 외주면의 상반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외피층 5과 쟈켓 4을 취부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동(Cu)과 같은 금속제의 원통형 또는 반원통형 쟈켓 4을 트와이어 트렁크 1의 몸체의 외주면 위로 맞추어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약 5-10mm 빈틈이 유지되도록 하고 다음 이 빈틈 안으로 세라믹을 캐스터방식으로 충전시킨다. 이 경우 세라믹은 쟈켓 4의 한쪽 단부의 하부측에 세라믹의 주입구를 만들고 다른쪽 단부의 상부측에 압력해제구를 취부하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세라믹을 압력으로 도입하면 세라믹은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충전된다.이 세라믹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각각 Al2O375%, SiC 17%, SiO24%의 성분비율로 되어 있는 시멘트형 반죽된 세라믹(cement form kneaded ceramic)을 들 수 있다. 그 반면, 쟈켓 4의 재질로서는 바람직스러운 것으로 동(Cu)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로 안으로 트와이어를 삽입할 때 생기는 기계적충격에 견딜수 있다면 그 어떠한 금속도 종류를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로내의 일정위치속으로 설치한 후에 용융되므로써 비로소 원형이 상실되는 재료라도 사용가능하다.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층은 세라믹 또는 고순도의 알루미나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피층은 5-10mm의 두께를 가진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와이어트렁크와 상기 외피층 사이의 부착성(adhesion)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터드 (stud)가, 상기 트와이어트렁크로 되고 상기 5~10mm두께의 외피층과 접촉하는 부위의 외주면상에 분산배치한다.
본 발명 실시예상의 도 1에서는 트와이어 트렁크 1의 Cu 부위와 외피층 5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트와이어 트렁크 1의 몸체의 외면에 스터드 7를 분산배치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나 있다. 이 스터드 7의 기능은 필라 (pillar)와 비슷하다. 스터드 7와 외피층 5의 세라믹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대한다는 견지에서 트와이어 트렁크 1와 상기 외피층 5이 접촉하는 부위의 주위면으로 분산되어 'Y'자형으로 형성한 Cu, Fe 등의 금속선이 일실시예로 나타나 있다. 그 외에도 나선상 금속선(spiral metal line)이 사용되기도 한다.
실시예에서는 내화물을 재료로 하여 주조 성형한 캐스터링 6이 트와이어의 내벽 위로 또한 부착되므로써 트와이어의 내면의 마모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 및 내충격성 구조를 가지는 트와이어를 형성하게 한다.실시예에서는 또한 상기 트와이어트렁크와 외피층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간 요철면을 트와이어트렁크 외주면과 외피층의 접촉면에, 즉 양자가 접촉하는 부위의 경계면 주위를 연속되는 요철면으로 각각 형성한다.제 2A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 2B도는 제 2A도의 원으로 둘러싸인 B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제 2A도에 나타나 있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는 제 1 실시예상의 형태에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부호를 대응부재에 적용하고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트와이어는 소위 라발노즐형 트와이어(Laval nozzle type tuyere)라 하는 것인데 이는 수축통형 트와이어와 확산통형 트와이어를 조합시킨 것으로 그 기본구조와 송풍특성은 알려져 있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에 기초를 둔 외피층(shell)5, 쟈켓 4 그리고 주물 6은 이 라발노즐형 트와이어에도 부착된다. 물론 그들의 효과와 장점도 제 1실시예에서의 그것과 같이 나타난다.
제 2B도에서 나타나 있듯이, 제 2실시예도 트와이어 트렁크 1의 Cu 부위와 외피층 5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와이어 트렁크 1의 몸체의 외주를 얕은 요철면 8 으로 형성하는 구조를 갖게 하고 있다.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요철면 8이 파져서 움푹 들어간 홈(groove)으로 되어 트와이어트렁크(몸체)의 외주면의 축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요철면 8, 예컨데 단추형 또는 바둑판무늬형 요철면을 가지도록 가공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상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 3도에 도시된 이 제 3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는 제 2실시예와 유사하다. 여기에서도 동일부호를 대응부재에 붙이고 동일상세설명은 생략하였다.
제 3실시예의 구조는 쟈켓 4과 외피층 5이 트와이어 트렁크 1에서 적어도 전 외주면중 상반부상에 형성되고, 고로속으로 돌출한 전면부까지 포함구성하는 특징을 갖는다.(도시된 트와이어에는 거의 전 외주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 쟈켓 4와 외피층 5는 전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반부 상에서 형성되며, 한편 전면부의 외주면이 본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외피층 5으로 피복된다. 또한 쟈켓 4도 외피층 5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이는 용탕금속 또는 슬라그에 의해 전면부가 손상됨을 방지하도록 해 준다. 다른 구조와 효과도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다.
트와이어 몸체의 외면에 관한 그러한 구조를 가진 각 실시예에 따르면 용탕금속 또는 슬라그가 낙하되어 생기는 트와이어 손상은 외피층 5을 형성하므로써 확실히 방지가능하다. 그리고 트와이어 몸체의 내면에 관해서 본다면, 매우 미세한 석탄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마모손상은 캐스터링 6의 설치로 방지가능하다.
더욱이 트와이어 트렁크 1의 과열 또한 캐스터링 6 그 자체의 단열효과로 억제가능하다.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 또한 외피층 5으로 피복되고 따라서 Cu 부에 대한 용탕금속 또는 슬라그의 직접접촉으로 트와이어 손상이 일어남을 방지해 주게된다. 그외에도 트와이어의 전면부가 레일을 타고 온 코크스에 의해 마모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트와이어 전면부는 종래의 경화육성수단(hard-facing means) 예컨데 Ni-Cr층의 육성을 행하는 수단을 병용하여 트와이어 전면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제 4도는 본 발명상의 실시예에 따른 트와이어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트와이어의 온도구배(경사)선이 그려져 있다. Cu제 트와이어 트렁크 1의 Cu부(두께 25mm)의 열전도율이 300kcal/m·hr·deg, 외피층 5의 알루미나(두께 5mm)의 열전도율을 1.20kcal/m·hr·deg, 금속제 외측쟈켓 4는 소실된다고 가정하여, 트와이어 냉각수 온도는 30℃, 냉각수 유속은 15m/sec, 외피층 5의 알루미나에 떨어지는 용탕금속 9의 온도는 1600℃로 하여 열전달의 동적상태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즉 트와이어 트렁크 1의 Cu부와 알루미나제 외피층 5사이의 경계선에서의 온도는 32℃로 나온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트와이어 손상은 본 발명으로 확실히 방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트와이어 몸체의 냉각실과 트와이어 노우즈의 냉각실을 가지는 Cu금속제의 트와이어 트렁크(tuyere trunk)로 구성되는 고로의 송풍트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고로안으로 돌출되는 상기 트와이어 트렁크(tuyere trunk) 외주면의 전체 또는 상기 고로의 노우즈부를 제외한 적어도 상반부는 또한 상기 외피층의 바깥쪽에는 고로속으로 상기 트와이어를 삽입할 때 받는 기계적충격으로 부터 상기 트와이어의 외피층을 보호하기 위한 금속제 쟈켓(jacket)이 상기 외피층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A blast tuyer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shell layer)은 용탕금속 또는 슬라그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진 세라믹으로 제조되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고순도의 알루미나로 제조되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층은 5-10mm 의 두께를 가지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
  5.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트와이어 트렁크와 상기 외피층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와이어트렁크와 상기 외피층이 접촉하는 부위의 주위면으로 스터드(stud)를 분산배치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트와이어 트렁크와 상기 외피층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트와이어트렁크와 상기 외피층이 접촉하는 부위의 경계면 주위를 요철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에서의 송풍트와이어
KR1019990002937A 1998-01-30 1999-01-29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KR100327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18815A JPH11217611A (ja) 1998-01-30 1998-01-30 溶鉱炉送風羽口
JP1998-18815 1998-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15A KR19990068215A (ko) 1999-08-25
KR100327644B1 true KR100327644B1 (ko) 2002-03-08

Family

ID=1198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37A KR100327644B1 (ko) 1998-01-30 1999-01-29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89488A (ko)
JP (1) JPH11217611A (ko)
KR (1) KR100327644B1 (ko)
DE (1) DE1990386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270900A (en) * 1999-02-05 2000-08-25 Mannesmannrohren-Werke Ag Blow form for shaft furnaces, especially blast furnaces or hot-blast cupola furnaces
KR100838841B1 (ko) * 2001-12-24 2008-06-17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돌기형 풍구
AU2003229198A1 (en) 2002-05-30 2003-12-19 Dofasco Inc. Tuyere cooling system
JP2005153632A (ja) * 2003-11-21 2005-06-16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衝撃吸収体
KR20060070024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포스코 정형 내화물이 장착된 고수명 제철제강용 노즐
JP4739920B2 (ja) * 2005-07-14 2011-08-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炉熱変動の小さい高炉操業方法
JP5407460B2 (ja) * 2009-03-18 2014-0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内部水冷式高炉羽口
KR101275505B1 (ko) * 2011-07-26 2013-06-20 조선내화 주식회사 탄화규소 타일을 부착한 고 단열성 풍구노즐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11114737B3 (de) * 2011-09-26 2012-12-20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ofenblasform
RU2676382C1 (ru) 2017-09-15 2018-12-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дногорский Медно-Серный Комбинат" Фурма для донной и боковой продувки
JP2020152962A (ja) * 2019-03-20 2020-09-24 日本製鉄株式会社 羽口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042A (en) * 1898-10-25 Twyer-cooler
US2497000A (en) * 1948-03-17 1950-02-07 American Steel & Wire Co Tuyere structure
JPS5119802A (en) * 1974-08-09 1976-02-17 Mitsui Mining & Smelting Co Koshino shoriho
JPS53138905A (en) * 1977-05-12 1978-12-04 Kawasaki Steel Co Blast furnace exit
JPS594037Y2 (ja) * 1979-02-24 1984-02-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炉送風羽口
JPS6055562A (ja) * 1983-09-06 1985-03-30 Sony Corp デイスク・プレ−ヤのクロツク再生回路
US4898368A (en) * 1988-08-26 1990-02-06 Union Carbide Corporation Wear resistant metallurgical tuyere
JPH0717458Y2 (ja) * 1989-07-20 1995-04-26 東芝機械株式会社 簡易金型交換装置を設けた射出成形機
JP2527229Y2 (ja) * 1991-05-28 1997-02-26 株式会社戸畑製作所 高炉羽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215A (ko) 1999-08-25
JPH11217611A (ja) 1999-08-10
DE19903865A1 (de) 1999-08-19
US5989488A (en) 1999-11-23
DE19903865C2 (de) 200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644B1 (ko)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JPH026073A (ja) プラズマトーチ
US4628516A (en) Electrode arrangement in heat run vessels
KR100342274B1 (ko) 용광로용냉각판
CA2018703A1 (en) Channel structure for flow of molten pig iron
US8480951B2 (en) Tuyere structure of melting furnace
JP2901998B2 (ja) 高炉への微粉炭吹込み方法
US6446565B2 (en) Blast tuyere for shaft furnaces, in particular blast furnaces or hot-blast cupola furnaces
CN220767050U (zh) 一种高炉风口小套底部防烧熔结构
KR100368274B1 (ko) 코렉스 용융로용 노즐
KR910000484B1 (ko) 고로의 송풍노즐
JPS638735Y2 (ko)
JP2003171708A (ja) 冶金炉用羽口の保護装置
CN215975882U (zh) 一种高炉炉缸冷却结构
KR100321048B1 (ko) 세라믹이 선단에 내장된 코렉스 용융로 노즐
KR100962168B1 (ko) 열손방지용 고로 풍구
JPH017704Y2 (ko)
JPS6022557Y2 (ja) 炉用水冷電極
JPH09296205A (ja) 高炉炉壁用冷却板
KR100222016B1 (ko)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JPH0216986Y2 (ko)
JPH05331521A (ja) 製鋼用精錬炉の出鋼口
JPS6340664A (ja) 金属溶解精錬用水冷鋳型
JP3247855B2 (ja) 金属精錬炉用水冷パネル及び金属精錬炉
JPH02267489A (ja) 直流アーク炉の炉壁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