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008B1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008B1
KR100327008B1 KR1019970068113A KR19970068113A KR100327008B1 KR 100327008 B1 KR100327008 B1 KR 100327008B1 KR 1019970068113 A KR1019970068113 A KR 1019970068113A KR 19970068113 A KR19970068113 A KR 19970068113A KR 100327008 B1 KR100327008 B1 KR 100327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hotocoupler
transformer
output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214A (ko
Inventor
최상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6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0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02M1/09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signals being transmitted optic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1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wherein the phase of the control voltage is adjustable with reference to the AC source
    • H02M1/08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wherein the phase of the control voltage is adjustable with reference to the AC source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83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by adding a controlled rectifier in parallel to a first rectifier feeding a smoothing capacitor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집적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집적도를 향상시키고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복귀될 때, 자동적으로 복귀되도록 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입력전압을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하는 집적회로부, 상기 변압부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어 출력전압이 발생되는 정류평활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부는 상기 정류평활부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1 포토커플러 그리고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전원과 소프트스타트단 사이에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마트집적소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생되었던 과전류가 정상전류로 복귀될 때 보호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귀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우트북(Note Book) 컴퓨터에 적용되는 전원공급장치는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셧다운모드(Shut Down Mode)로 되어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이 차단되도록 되었으며, 상기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전원공급장치는 그 후에 상기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복귀되면, 전원공급장치도 동시에 정상적으로 복귀되어 출력전압이 발생되도록 개선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는, 입력전압(Vi)을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T), 상기 변압부(T)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하는 집적회로부(15), 상기 변압부(T)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어 출력전압(Vo)이 발생되는 정류평활부(13)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부(15)는 상기 정류평활부(13)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포토커플러(OP) 그리고 상기 포토커플러(OP)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마트집적소자(Smart IC)(1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는, 입력되는 입력전압이 변압부의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되고, 상기 변압부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집적회로부에서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변압부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는 정류평활부에서 출력전압으로 발생되는데, 상기 집적회로부는 상기 정류평활부에서 출력전압이 검출되도록 포토커플러(OP)가 구비되고, 상기 포토커플러(OP)로 인가되는 출력전압에 의하여 스마트집적소자(10)의 궤환입력단(4)으로 출력전압으로부터의 과전류 등이 검출된다.
상기 스마트집적소자(10)는 형명 KAIM0680이고, 입력전압이 스위칭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스위치소자가 펄스폭변조로 제어되도록 제어부가 실장되는 것이고, 일종의 주문형 반도체(ASIC)인 상기 스마트집적소자(10)를 사용함으로써, 집적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서 전원공급장치의 크기가 저감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마트집적소자가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는, 6암페어(A) 100와트(W) 이상의 정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복귀되어도 과전류로부터 발생되는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이 차단되는 래치에서부터 정상적으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마트집적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집적도를 향상시키고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복귀될 때, 자동적으로 복귀되도록 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스마트집적소자 13, 23 : 정류평활부
15, 25 : 집적회로부 28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전압을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하는 집적회로부, 상기 변압부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어 출력전압이 발생되는 정류평활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부는 상기 정류평활부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1 포토커플러 그리고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전원과 소프트스타트단 사이에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마트집적소자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는, 입력전압(Vi)을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T), 상기 변압부(T)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하는 집적회로부(25), 상기 변압부(T)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어 출력전압(Vo)이 발생되는 정류평활부(23)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부(25)는 상기 정류평활부(23)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Vo)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1 포토커플러(OP1) 그리고 상기 제 1 포토커플러(OP1)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전원(Vcc)과 소프트스타트단(SS) 사이에 제어부(28)가 구비되는 스마트집적소자(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8)는 출력전압(Vo)에서 검출되는 전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 2 포토커플러(OP2)와, 상기 제 2 포토커플러(OP2)의 접지에 연결되는 일단에 대한 타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되고, 애노드는 스마트집적소자(20)의 소프트스타트단(SS)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와, 콜렉터는 접지되고, 상기 다이오드(D)의 캐소우드에 베이스가 연결되며, 스마트집적소자(20)의 전원(Vcc)에 연결되는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저항(R)이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소자(Q)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류평활부(23)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o)에서 과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과전류는 제어부(28)의 제 2 포토커플러(OP2)를 통하여 제어부(28)로 인가되고, 상기 과전류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 2 포토커플러(OP2)에 의하여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스위치소자(Q)의 베이스에 낮은 전위가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소자(Q)는 턴온된다.
상기 턴온되는 스위치소자(Q)에 의하여 스마트집적소자(20)의 전원(Vcc)이 상기 스위칭소자(Q)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집적소자(20)는 래치되어서 동작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집적소자(20)는 상기 출력에서부터 유기되는 과전류에 의하여 짧은 시간 동안만 동작을 멈추게 되고, 다이오드(D)와 저항(R)을 통하여 스마트집적소자(20)의 소프트스타트단(SS)으로부터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일정한 전위에 의하여 다시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출력전압(Vo)에서부터 발생된 과전류 등에 의하여 짧은 시간동안 래치되었다가 소프트스타트단에서 공급되는 전위에 의하여 다시 정상적으로 복귀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100와트 이상의 큰 정격으로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에서, 과전류가 정상적으로 복귀됨에 따라서 전원공급장치가 래치에서부터 정상적으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3)

  1. 입력전압을 1차측권선에서 2차측권선으로 유기시키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1차측권선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펄스폭변조로 스위칭하는 집적회로부, 상기 변압부의 2차측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정류 및 평활되어 출력전압이 발생되는 정류평활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적회로부는 상기 정류평활부에서 검출되는 출력전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 1 포토커플러; 그리고 상기 제 1 포토커플러의 출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전원과 소프트스타트단 사이에 제어부가 구비되는 스마트집적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전압에서 검출되는 전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 2 포토커플러; 상기 제 2 포토커플러의 접지에 연결되는 일단에 대한 타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되고, 애노드는 스마트집적소자의 소프트스타트단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콜렉터는 접지되고,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우드에 베이스가 연결되며, 스마트집적소자의 전원에 연결되는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저항이 연결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치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9970068113A 1997-12-12 1997-12-12 전원공급장치 KR10032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113A KR100327008B1 (ko) 1997-12-12 1997-12-12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113A KR100327008B1 (ko) 1997-12-12 1997-12-12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214A KR19990049214A (ko) 1999-07-05
KR100327008B1 true KR100327008B1 (ko) 2002-06-20

Family

ID=3747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113A KR100327008B1 (ko) 1997-12-12 1997-12-12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78B1 (ko) * 2003-12-05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모드형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21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699B1 (ko) 전원장치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GB2334160A (en) Power saving in a power supply
KR960027297A (ko) 스위칭 전원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칭 전원장치
JP200609467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27008B1 (ko) 전원공급장치
KR0113208Y1 (ko) 전원회로의 아크 방지회로
JP200215918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KR20020008666A (ko) 과전류 보호기능을 구비한 스위칭모드형 전원공급장치
KR100258374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9990052738A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200145144Y1 (ko) 전원장치의 과도상태 안정화회로
KR20000007851A (ko) 양전원을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2000350460A (ja) 電源装置
KR0129031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100895014B1 (ko) 링거 전원 장치의 과전류 보호 회로
KR200158248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100327007B1 (ko) 전원공급장치
KR200152723Y1 (ko) 전압출력 제어회로
JPH1030466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316096B1 (ko) 전원공급장치의 저전압 보호회로
JPH11168878A (ja) 電源装置
KR19990055317A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KR19990070322A (ko) 전원공급장치의 전류제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