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125B1 -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125B1
KR100326125B1 KR1019997001892A KR19997001892A KR100326125B1 KR 100326125 B1 KR100326125 B1 KR 100326125B1 KR 1019997001892 A KR1019997001892 A KR 1019997001892A KR 19997001892 A KR19997001892 A KR 19997001892A KR 100326125 B1 KR100326125 B1 KR 10032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gnal
delete delete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487A (ko
Inventor
요시다다카야스
다나카마사토시
니시오카미노루
반나이다쓰시
니시노마사카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8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recurring cycl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 H04N19/6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involving the insertion of resynchronisation markers into the bit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수단(4)으로 압축하여 일정한 단위마다 출력하여, 이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 이에 동기신호부가수단(5)으로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출력신호를 전송로(6)에 송신한다.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단위의 정보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를 제거하여,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 중 압축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신장수단(11)으로 1단위마다 신장한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1 개의 집합단위에 다수의 정보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정보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SYSTEM, SENDING METHOD, RECEIVING METHOD, AND TRANSMITTING METHOD}
종래, 디지털영상·음성 등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장치,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특개평 2-27043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도 32는 종래의 디지털 신호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이용한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103은 합성회로로서, 디지털오디오 신호입력단자(101)에 공급되는 16비트길이의 데이터와, 컨트롤 신호입력단자(102)에 공급되는 복수의 컨트롤신호를 각 비트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로 바꾸어 나열한다. 104는 부호화회로이다. 이 부호화회로(104)에서는 계 17비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8 비트의 에러검출 및 정정부호를 생성하고, 일정한 영역에 부가하여 25비트의 시리얼데이터를 생성한다. 105는 변조·동기부가회로이며, 상기 25비트의 시리얼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시리얼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변조·동기부가회로(105)에 있어서, 우선 패리티체크비트 P가 생성부가된 후, 바이페이즈 마크(byphase mark) 변조가실시되고, 또한 동기신호로서 프리앰블 SYNC가 부가되어, 포맷화된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단자(101,102) 및 각 회로(103,104,105)에 의하여 디지털신호송신장치 A가 구성되어 있다.
106은 전송로이며,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 혹은 광파이버케이블이다. 107은 동기검출·복조회로이며, 상기 전송로(106)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여기서는 동기프리앰블신호 SYNC가 검출됨과 동시에 클럭이 거기에서 발생되고, 이 클럭을 이용하여 복조가 이루어진다. 그 복조데이터에 대해서는 패리티 체크비트 (P)를 이용하여 에러검출이 행해진다. 108은 복호화회로이다. 이 복호화회로(108)는 에러정정부호체크를 이용하여 전송로(106)상에서 생긴 에러를 정정하고, 또한 에러를 검출할 수 있었으나 정정할 수 없는 에러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보간(補間)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플래그를 출력한다.
109는 분리회로이며, 여기서, 디지털오디오샘플과 컨트롤신호가 분리되고, 각각의 출력단자(110,111)로부터 출력된다. 동기검출복조회로(107), 복호화회로 (108), 분리회로(109) 및 출력단자(110,111)가 디지털신호 수신장치 B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전송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다수의 정보신호를 포함할 수 없으므로, 정보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영상·음성 등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그 디지털신호를 취급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이들로 이루어지는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5 : (A)는 비압축계에서 1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
(B)는 압축계에 있어서 1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소의 정방형의 영역을 1개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
(C)는 압축계에 있어서 1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소의 1라인의 영역을 1개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
(D)는 압축계에 있어서 1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면전체의 영역을 1개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28)에 있어서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입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39)에 있어서 ECC 엔코더(12)가 출력한 출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28)에 있어서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입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송신측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39)에 있어서 ECC 엔코더(12)가 출력한 출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수신측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 또는 제8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별도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28)에 있어서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입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20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송신측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시간정보부가수단(39)에 있어서 ECC 엔코더(12)가 출력한 출력신호의 시간정보를 취급하는 경우),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수신측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데이터형식을 도시한 도면 : (A)는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의 압축신호의 데이터형식의 도면,
(B)는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예의 비압축신호의 데이터형식의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26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C2V 동축케이블의 케이블길이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로 사용한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13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신호의 지터의 상세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리드솔로몬부호의 에러정정능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제14의 실시예인 전송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4의 실시예인 전송시스템의 수신측의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32는 종래의 전송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에 의해 정보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송신방법 및 장치로는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다수의 정보를 포함시킨다. 그 때문에, 이 송신방법 및 장치는 각각,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것 및 그를 위한 압축수단,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음과 동시에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것 및 그를 위한 동기신호부가수단, 또한 상기 동기신호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것 및 그를 위한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방법 및 수신장치는 각각,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신호 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것 및 그를 위한 동기신호제거수단,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 중 압축된 영상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것 및 그를 위한 신장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상기의 송신방법, 수신방법, 송신장치, 수신장치가 적당히 조합에 의하여 전송방법 및 전송 시스템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간」의 단어를 특히 「시각」을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할 때는, 「시각」,「시점」,「타이밍」,「시간의 위치」 또는 「시간위치」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시간」의 단어를 특히 「시간의 길이」를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할 때는, 「시간의 길이」, 「시간길이」, 「시간기간」또는 「시간의 기간」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다. 전송 시스템 및 그 송신장치,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의 실시예는 각 변형 또는 발전형인 제2이하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본인 것이다.
도 1의 상반부의 부분은 송신방법을 하는 송신장치의 파트이다. 본 실시예의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에 있어서, 이산 코싸인변환(DCT)수단(1)은, 입력된 디지털의 영상입력신호를, 압축처리의 단위인 1 DCT 블록(본 실시예에서는 1DCT 블록은 64바이트이다)마다, 직교변환의 일종인 이산 코싸인변환(DCT(Discrete Cosine Trans form)(공간좌표치의 주파수로의 변환)을 하여 출력한다. 이산 코싸인변환의 앞에 랜덤하게 분포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소치(예컨대, 휘도의 값)는 변환후에는 저주파성분에 에너지의 분포가 집중하는 성질이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이산 코싸인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한 뒤 고주파항을 제거하는 조작을 하여, 그에 의하여 정보압축(콤프레스)을 한다. 양자화(量子化)수단(2)은 입력된 이산 코싸인 변환수단 (1)의 출력신호를 1 블록마다 양자화(단어길이의 중단)하기 위한 부분이며, 이산 코싸인변환수단(1)의 출력신호의 각 계수를 어느 한 제수(이 경우 양자화 스텝에 해당한다)로 나눗셈하여, 나머지를 잘라 버리는(뭉치는)(rounding하는)조작을 한다. 가변장부호화수단(3)은 입력된 양자화수단(2)의 출력신호를 가변장부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이 가변장부호화수단(3)은, 양자화수단(2)의 출력신호를, 미리 출현확률 등에 따라서 결정되어 있는 바의, 1단위의 길이가 일정치 않은 가변장부호로 변환한다.
상기의 이산 코싸인변환수단(1), 양자화수단(2), 가변장부호화수단(3)은, 입력된 디지털영상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4)을 구성하고 있다. 동기신호부가수단(5)은, 입력된 가변장부호화수단의 출력신호를 복수블록만큼 모으고, 이에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복수블록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한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그것을 전송로인 동축케이블(6)에 출력(송신)한다.
도 1의 하반부의 부분은 수신장치의 파트이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에 있어서, 동기신호제거수단(7)은 입력(수신)된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 중 동기신호를 제거한다. 가변장복호화수단(8)은 입력된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변장부호)를 가변장부호화되기 전의 디지털신호로 복호한다. 이 가변장복호화수단(8)에 의해,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변장부호)는, 미리 출현확률에 따라서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가변장부호화의 전의 디지털영상신호로 복호화된다.
역양자화수단(9)은, 그에 입력된 가변장복호화수단(8)의 출력신호를, 그 1 블록마다 역양자화(단어길이를 원래의 것으로 되돌리는 것)한다. 이 역양자화수단 (9)은 가변장복호화수단(8)의 출력신호의 1 블록마다 역양자화한다. 이산 코싸인 역변환[IDCT(l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수단(10)은, 입력된 역양자화수단(9)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이산 코싸인역변환(주파수를 공간좌표치로 변환)을 하여 출력한다. 이 가변장복호화수단(8), 역양자화수단(9), 이산 코싸인 역변환수단 (10)에 의해 신장수단(11)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실시예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1개의 동기신호 및, 일정한 정보단위, 즉 1 블록의 정보신호인 영상신호를 복수개 집합시켜, 이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출력(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정보신호로서 디지털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이 디지털영상신호의 정보량의 압축(콤프레스)을 하고 있다.
이 제1실시예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있어서는, 1개의 동기신호 및 일정한 정보단위, 즉 1 블록의 정보신호인 영상신호를 복수개 집합시켜, 이것을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입력(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서는, 정보신호로서 디지털영상신호를 사용하여, 이 디지털영상신호의 신장(디콤프레스)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그들 사이의 전송로에 의하여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이하에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의 (A)에 있어서, 정보신호 a(영상신호 a), 정보신호 b(영상신호 b), 정보신호 c(영상신호 c) 및 정보신호 d(영상신호 d)는 각각 영상입력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것이며, 각 정보신호 a, b, c, d가 1 블록의 정보신호를 표시하고 있다. 이 1 블록의 정보신호를 다시 여러개 모아,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도면에서는 좌단)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가 형성된다. 또, 도 2의 (A)의 예에서는 1개의 동기신호와 4개의 정보신호가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과 다르고, 도 2의 (B)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동기신호와 소정수의 정보신호로 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집합정보단위 내에 동기신호와 정보신호와 이들 이외에 영상신호자체가 아니지만 필요한 정보를 보조 데이터신호(도 2(C)의 좌단)로서 포함시켜, 이 집합정보의 단위마다 송수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블록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것에 의하여,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다수의 정보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고,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 코싸인변환수단(1), 양자화수단(2) 및 가변장부호화수단(3)에 의해 압축수단(4)을 구성하였지만, 정보신호를 압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타입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로로서 동축케블(6)을 사용하였으나, 광파이버, 평행 피더, 그 밖의 도선 등의 다른 유선에 의한 것이라도 무선에 의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신호로서 영상신호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정보신호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그 송신장치, 수신장치를 나타낸 도면, 또, 전번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송신장치부에서 수신장치부에 전송되는 신호에 또한 에러정정부호(ECC)를 덧붙여 에러 정정을 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ECC(error correction code)엔코더(12)는 입력된 가변장부호화수단(3)의 출력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1 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 (ECC)(error correction code, 이하 ECC로 약칭)를 부가하는 것이며, 이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서 수신장치는 부호에러를 검출 또는 정정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에러정정부호(ECC)로서 리드 솔로몬부호(Reed Solomon Code)를 사용하고 있다. 동기신호부가수단(13)은 입력된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복수블록만큼 모아, 이에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것이며, 복수블록의 영상신호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한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전송로인 동축케이블(6)에 출력(송신)한다.
ECC(error correction code)디코더(14)는 입력된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1 블록마다의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서 부호화된 영상신호의 에러를 검출·정정한다. 가변장복호화수단(15)은 입력된 ECC 디코더 (14)의 출력신호(가변장부호)를 받아 가변장부호화되기 전의 디지털신호에 복호한다. 가변장복호화수단(15)은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가변장부호)를, 미리 출현확률에 따라서 결정된 규칙에 따라서, 가변장부호화되기 전의 디지털영상신호로 복호한다.
이 제2실시예의 송신장치 또는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입력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4),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n 단위(n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본 실시예로서는 n=1로 하고있다) 모아 에러정정부호(ECC)를 부가하는 ECC 엔코더(12),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음과 동시에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을 구비한 장치로, 동기신호부가수단(13)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요약하면, 본 제2실시예에 의한 송신은, 소정의 단위의 정보신호(본 실시예에서는, 1 블록의 영상신호)에 그 n 단위(n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n=1로 하고있다)마다 에러정정신호를 부가하여 소집합정보단위로 하고, 또한 1개의 동기신호와 이 소집합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제2실시예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의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제거수단(7),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ECC)가 부가된 소집합정보단위마다 해당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에러 정정을 하는 ECC 디코더(14),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영상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11)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더욱 요약하면, 이 제2실시예에 의한 수신은 하나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 복수개 모은 것을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소정의 단위의 정보신호(본 실시예에서는, 1 블록의 영상신호)를 에러 정정신호가 부가된 단위마다(본 실시예에서는, 1 블록마다)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정정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그들 사이의 전송로에 의한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4의 (A)에서, 정보신호 a(영상신호 a), 정보신호 b(영상신호 b), 정보신호 c(영상신호 c) 및 정보신호 d(영상신호 d)는 영상입력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것이며, 각각이 1 블록의 정보신호를 표하고 있다. 이 1 블록의 정보신호의 각각에 에러 정정신호(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것을 복수개 모아,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4의 (A)에 있어서는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 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 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동기신호, 정보신호, 에러 정정신호, 보조 데이터신호를 포함해서 송수신하여도 좋다. 또 이 보조 데이터신호는 영상신호자체는 아니지만 필요하게 되는 정보를 보내는 신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하는 빈도를 저하시켜, 정보신호를 압축하지 않고서 신호를 출력(송신)하는 경우(이하, 비압축계를 쓴 경우라 함), 약간의 에러는 시각상으로는 깨닫기 어렵다. 그러나 정보신호를 압축하여 신호를 출력(송신)하는 경우(이하, 압축계를 쓴 경우), 무시할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와 같은 에러의 발생의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1 영역의 1개소에 에러가 생긴 경우, 비압축계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 개소가 1개의 점이며, 이 에러는 시각상 깨닫기 어렵다. 그러나 압축계에서는 도 5(B), 도 5(C) 및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러 개소가 1 영역의 전체에 미쳐, 에러를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또, 도 5의 (A)는 비압축계에 있어서 1 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B)는 압축계에서 1 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소의 정방형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의 (C)는 압축계에 있어서 1 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소의 1 라인의 영역을 1개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의 (D)는 압축계에서 1 개소에서 에러가 일어난 경우로서, 화면전체의 영역을 1개의 영역으로서 취급한 경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어느 쪽 도면에서도, 흑점은 에러가 일어난 개소를 나타내며, 망걸림부분(하프톤메슈드파트)은 에러가 일어난 부분[흑사각점부분(블랙스퀘어스폿파트)]에 의해서 영상에 영향을 받은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특히, 유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하, 유선계라 함)을 대표하는 동축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에 있어서, 전송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빈도는 일반적으로 1×10-12라 되어 있고, 종래, 비압축계에 있어서는 시각상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에러 프리)고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본 실시예2에 있어서는, 압축된 신호에 에러가 생겼을 때의 상기한 바와 같이 1개의 에러가 다른 영역에 영향하는 것을 고려하여, 더욱 에러 발생 빈도를 낮추고, 이러한 만일의 에러의 영향을 실질상 무시할수 있는 정도에까지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 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였지만, 도 4의 (D), (E)와 같이 정보신호 2 블록(2단위, 즉, n= 2)마다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예 등, 복수단위마다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및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 또, 전번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며, 송신측에는 복수의 압축수단과의 합성수단을 구비하고, 수신측에는 분배수단과 복수의 신장수단을 구비하였다. 이렇게 하여 복수의 압축된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여 1개의 전송계에서 전송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6의 상반부의 부분은 송신장치의 파트이다. 본 실시예의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에 있어서, 1a, 1b, 1c는 각각이 도 1 및 도 3에 관해서 설명한 것으로 같은 이산 코싸인 변환수단이며, 2a, 2b, 2c는 각각이 동일한 양자화수단이며, 3a, 3b, 3c는 각각이 동일하게 가변장부호화수단이며, 이들에 의해 각각 압축수단(4a∼4c)이 구성된다. 16은 입력된 가변장부호화수단(3a,3b,3c)의 출력신호를 각각 일단 축적하고, 차차 가변장부호화수단(3a,3b,3c)의 출력신호를 순차 선택하여, 타임 시퀀셜로 하여 출력하는 합성수단이다. 17은 합성수단(16)의 출력신호중 일정한 정보단위인 1 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부가하는 ECC(error correction code)엔코더이며, 이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수신장치는 부호에러를 검출 또는 정정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에러정정부호로서 리드 솔로몬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도 6의 하반부의 부분은 수신장치의 파트이다. 본 발명의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에 있어서, 19a, 19b, 19c는 각각이 도 1 및 도 3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가변장복호화수단이며, 9a, 9b, 9c는 각각 같이 역양자화수단이며, 10a, 10b, 10c는 각각 동일하게 이산 코싸인역변환수단이며, 이들에 의해 각각 신장수단(11a, 11b,11c)이 구성된다. 18은 타임 시퀀셜로 입력된 ECC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합성수단(16)이 선택한 것과 같은 규칙에 따라서 순서대로 각 신장수단에 분배하는 분배수단이다. 19a∼l9c는 분배수단(18)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변장부호)를 송신장치내에서의 가변장부호화전의 디지털신호로 복호하기 위한 가변장복호화수단이다. 가변장복호화수단(19a∼l9c)은, 분배수단(18)의 출력신호(가변장부호)를 미리 출현확률 등에 따라서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서 가변장부호화되기 전의 디지털영상신호로 복호한다.
이 본 실시예3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4a,4b,4c)을 복수개 가지며, 이들 복수의 압축수단(4a∼4c)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블록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 출력하는 합성수단(16)과, 상기 합성수단(16)의 출력신호를 n 단위(n은 1이상의 자연수) 모아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ECC 엔코더(17)와, 상기 ECC 엔코더(17)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음과 동시에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의하여, 상기 동기신호부가수단(13)의 출력신호를 송신한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에서는,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복수종류 존재하는 것을 송신할 수 있다.
이 본 실시예3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영상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제거수단(7),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을 하는 ECC 디코더(14),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서 분배하는 분배수단(18), 분배수단(18)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영상신호를 1정보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11a∼11c)에 의해 수신한다. 그 수신장치, 수신방법은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복수종류 존재하는 것을 수신하고, 각각의 신호로 원상회복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수신방법, 그들 사이의 전송로에 의한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6과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3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각각 별개의 디지털영상입력신호 a∼c가 평행하여 각 압축수단(4a∼4c)에 입력되어, 각각의 입력신호 a∼c의 정보량이 압축되고, 또한 각각이 그것들의 각 블록마다 출력할 수 있다. 압축수단(4a∼4c)의 각각의 출력신호는 합성수단(16)에 의해 일단 축적되어, 블록마다 차차 선택되며, 직렬로 ECC 엔코더(17)로 출력할 수 있다. 합성수단(16)의 출력신호에는 ECC 엔코더(17)에 의해 n 단위의 블록마다 에러정정부호가 첨부되어,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의해 동기신호가 부가된다.
이 실시예3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중 동기신호제거수단 (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되고,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는 분배수단(18)에 의해 합성수단(16)이 선택한 규칙에 따라서 각 신장수단에 분배되어, 평행으로 각각 신장수단 (11a∼11c)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분배수단(18)의 출력신호는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a∼c)가 된다.
이러한 전송 시스템 혹은 전송방법 및 이것 구성하는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과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의하여 송수신 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정보신호 a(영상신호 a), 정보신호 b(영상신호 b), 정보신호 c(영상신호 c)는 영상입력신호 a, 영상입력신호 b, 영상입력신호 c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복수의 일정 길이의 블록들로 나눈 신호이며, 1 블록의 정보신호를 표시하고 있다. 이 1 블록의 정보신호의 각각에 에러 정정신호(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것을 복수개 모아,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7의 (A)예에 있어서는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지 않지만, 도 7의 (B)의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 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의 (C)의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동기신호, 정보신호, 에러 정정신호 및 이들 이외에 보조 데이터신호를 포함해서 송수신하여도 괜찮다. 또 이 보조 데이터신호는 영상신호자체는 아니지만 필요하게 되는 정보신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정보(신호)근원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포함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합성수단(16)은 디지털영상입력신호(a∼c)의 어느 영상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것인가 식별하는 식별신호를 소정의 단위인 블록마다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분배수단(18)은 합성수단(16)이 블록마다 붙인 식별신호에 따라서 영상신호(a∼c)를 분배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도 7의 (A)∼(C)의 예에서는 정보신호의 1 블록(1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였지만, 이것과는 다르고, 도 7의 (D), (E)와 같이 예를 들면 정보신호의 2 블록(2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등, 정보신호의 복수블록(복수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2의 타입에 따른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이것과는 다르고,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1의 타입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전번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송신측에서는 셔플링 (shuffling)의 수법으로, 압축된 정보와 비압축정보를 보내고, 한편 수신측에서는 디셔플링(deshuffling)의 수법으로 압축정보와 비압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셔플링수단(20)은 1 플레임단위당 디지털음성입력신호를 그 1 플레임단위 안에서 시계열(時系列)적인 배열을 교체시켜 출력하는 것이며, 이것이 비압축부(26)를 형성하고 있다. 합성수단(21)은 입력된 가변장부호화수단(3)의 출력신호와 셔플링수단(20)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여, 차차 선택하고, 직렬(타임 시퀀셜)로 하여 출력한다.
분배수단(23)은 입력된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합성수단(21)이 선택한 규칙에 따라 디셔플링수단(24) 또는 신장수단(11)으로 분배한다. 디셔플링수단(24)은, 입력된 분배수단(23)의 출력신호으로서 1 플레임단위당 디지털음성입력신호를, 그 1 플레임단위 안에서 시계열적인 배열을 바꿔 넣은 음성 데이터를 원점으로 되돌리는 것이며, 이것이 비신장부(27)를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제4실시예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입력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4)과, 입력된 정보신호인 음성신호를 압축하지 않고서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26)와, 압축수단(4) 및 비압축부(26)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마다 선택하여 또한 직렬출력하는 합성수단(21)과, 합성수단(21)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이상의 자연수) 모아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ECC 엔코더(22)와, ECC 엔코더(22)의 출력신호를 복수블록 모아 이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을 구비하고 있다. 동기신호부가수단(13)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집합정보단위의 출력신호는, 출력전송로로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송신측의 특징은 출력할 수 있는 집합정보단위의 신호의 속에, 정보량이 압축되어 일정한 정보단위를 갖는 블록인 압축정보신호와,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고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갖는 블록인 비압축정보신호와의 양자가 포함되고 있는 것에 있다.
이 제4실시예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있어서는,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블록의 압축정보신호 및 비압축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한다. 수신장치에는 수신된 1집합정보단위의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제거수단(7),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을 하는 ECC 디코더(14),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서 분배하는 분배수단(23), 분배수단(23)부터의 출력신호중의 압축정보신호를 1 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11), 및 분배수단(23)부터의 출력신호중의 비압축정보신호즉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수신측의 특징은, 수신하는 집합정보단위의 신호속에, 정보량이 압축되어 일정의 정보단위를 갖는 블록인 압축정보신호와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고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갖는 비압축정보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를 분리하여 복호하여 집어내는 점에 있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그것들의 사이의 전송로에 의한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에,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의하여 송수신 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8과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4의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한편 디지털음성입력신호는,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고 셔플링수단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압축수단(4) 및 셔플링수단(20)의 출력신호는 합성수단(21)에 의해 일단 축적되어, 차차 선택되고, 직렬로, 즉 타임 시퀀셜로 ECC 엔코더(22)에 출력할 수 있다. 합성수단(21)의 출력신호에는, ECC 엔코더(22)에 있어서 에러정정부호(ECC)가 첨부되고, 또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의해 동기신호가 부가된다.
이 실시예4의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중 동기신호제거수단 (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되고,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는 합성수단(21)이 선택한 규칙에 따라서 분배수단(23)에 의해 신장수단(11) 또는 디셔플링수단(24)에 분배되어, 평행하게 신장수단(11) 또는 셔플링수단(24)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분배수단(23)의 출력신호중 영상신호는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되고, 음성신호는 신장되지 않고 디지털음성출력신호로 된다.
이러한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에 있어서, 압축정보신호 a(영상신호 a), 압축정보신호 b(영상신호 b), 압축정보신호 c(영상신호 c)는, 각각 영상입력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신호이며, 각각이 1 블록의 정보신호이다. 한편, 비압축정보신호(음성신호)는 음성입력신호를 비압축으로 블록화한 신호이며, 1 블록의 정보신호이다. 이들 각각의 1 블록의 정보신호의 각각에 에러 정정신호(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것을 복수개 집합시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9의 (A)에 있어서는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 도 9의 (A)와는 달리,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기신호와 에러 정정신호를 가한 정보신호가 1개의 집합정보단위의 전부를 차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동기신호, 정보신호, 에러 정정신호와 이들 이외에 영상신호자체는 아니지만 필요하게 되는 정보를 보조 데이터신호로서 포함시켜 송수신하여도 좋다.
도 9의 (A), (B), (C)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정보(신호)근원을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포함시키는 수 있어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단(21)이, 디지털영상입력신호(a∼c)의 어떤 영상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신호를 소정의 단위인 블록마다 부착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더욱 분배수단(23)은 합성수단(21)이 블록마다 붙인 식별신호에 따라서 영상신호(a∼c)를 분배하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으로도 좋다.
또한 도 9의 (A), (B), (C)와 같이 1 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것과 다르게, 도 9의 (D),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신호 2 블록(2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등 복수단위마다의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도 좋다. 그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4에서는 실시예2의 구성에 근거하여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한 예를 개시하였는데, 그것과 다르게, 에러정정부호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1의 구성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도 10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다. 또, 전번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5의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송신측에서는, 시간정보를 데이터압축된 정보신호에 부가하고, ECC 엔코드하고, 또한 버퍼로 일단 축적한 후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수신측에서는, 시간정보를 재생한다. 이 시간정보에 근거하여, 수신측에서는 버퍼를 제어하고, 정보신호의 각 블록을 송신측에서의 ECC 엔코드전의 시간간격의 상태로 되돌리도록 지연을 하여 출력하고, 신호의 전송효률을 높인다.
도 10에 있어서, 상반부는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파트이다. 시간정보부가수단(28)은 ECC 엔코더(12)에의 입력신호가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시각정보(Time Stamp)라 함(이하, TS라 함))를 일정한 정보단위(이하, 블록이라 함)마다 인식하여 부가한다. 이렇게 하여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한 뒤에 ECC 엔코더(12)에 입력한다. ECC 엔코더(12)는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의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고, 이렇게 하여 시각정보가 부가된 블록마다,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신호를 버퍼(29)에 출력한다. 버퍼(29)는 ECC 엔코더(12)와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 버퍼(29)는 ECC 엔코더 (12)의 출력신호를 축적하고, 일정 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일정시간을 1라인주기로 선택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떨어져, 버퍼(29)에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해당하는 양의 정보가 축적되었을 때, 그 집합정보단위를 한묶음으로 하여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변형예로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시각정보부가수단(28)이,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인식하는 구성으로 하여,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그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한 뒤에 버퍼(29)로 출력한다. 이 경우 버퍼(29)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치해 둔다. 따라서, 버퍼(29)내에서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여,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도 10에 있어서 하반부는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이다. 시각정보재생수단 (30)은 시각정보부가수단(28)에 의해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30)의 지시에 따라 버퍼(31)는 그 속에 축적된 정보신호를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신장수단(11)에 블록마다 출력한다. 31은 ECC 디코더(14) 와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기 위해서 설정된 버퍼이다.
변형예로서,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한다. 시각정보재생수단(30)은, 시각정보부가수단(28)에 의해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3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정보신호)가 그 속에 축적된 버퍼(31)는, 그 속에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해당한 타이밍으로 출력한다. 이 경우 버퍼(31)는 동기신호제거수단(7)과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한다.
즉, 상술한 도 10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파트에서는,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있어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압축수단(4)으로부터 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간, 또는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엔코더(12)에 신호가 입력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블록마다 인식(검출)한다. 그리고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의 블록마다,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의 블록마다 각각 시간정보를 부가한다. 이 실시예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가장 특징으로 하는 곳은,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는 구성을 취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도 10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있어서,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 또는 ECC 디코더(14)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에, 포함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그리고, 이들 시각정보에 따라서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또한 ECC 디코더(14)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블록마다 지연한다. 이 실시예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가장 특징으로 하는 곳은, 블록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또는 ECC 디코더(14)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블록마다 지연하여 출력하는 구성을 잡은 것이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그것들의 사이의 전송로에 의한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1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파트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되어, 일정 정보단위에 블록화되어 출력할수 있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는 ECC 엔코더(12)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정보부가수단(28)은 그 때, 즉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부가한다(도 11의(b)). 여기서는, 정보신호1∼정보신호3의 각각에 시각정보1(TS1)∼시각정보3(TS3)까지를 부가하고 있다.
다음에, ECC 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정보신호1∼정보신호3과 시각정보1 (TS1)∼시각정보3(TS3)에 에러정정부호가 첨부된다.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도 11의 (c)참조)는 버퍼(29)에 축적된다. 일정시간내(본 실시예에서는 1 라인주기에 해당한다.)에 축적된 정보는,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할 수 있다. 버퍼(29)의 출력신호(도 11의 (d))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할 수 있고, 거기서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에 전송로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5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로서는, 수신신호중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다. 그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11의 (e))는,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가 블록마다 부가된다. 이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 시각정보재생수단(30)은,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도 11의 (f)) 중의 시각정보1 (TS1)∼시각정보3(TS3)에 따라서 정보신호1∼정보신호3을 버퍼(31)에 의해서 지연하여, 출력한다(도 11의 (g)). 그 지연은, 정보신호1∼정보신호3이 송신시에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것과 같은 시간간격이 되도록 행하여진다. 이다음, 버퍼(31)의 출력신호는, 신장수단(11)에 의해서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잡는 것에 의해, 수신측에 버스트적으로 보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측의 시각정보부가수단(28)의 입력단의 위치에서의 시간적인 간격을 재생한다. 이렇게 하여 시각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정보신호를 바른 시간간격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또는 실시예2에 시각정보부가수단(28)을 설치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실시예1, 2이외의 다른 실시예에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전번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6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송신측에서는 데이터압축되어 ECC 엔코드된 정보신호에 시각정보를 부가하고, 또한 버퍼에 일단 축적한 뒤, 전송로에 출력한다. 한편 수신측에서는 시각정보를 재생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버퍼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ECC 엔코드 후의 시간간격을 재현하여 후신호의 ECC 디코드와 신장을 행한다.
도 12에 있어서, 상반부는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파트이다. 그 속에서 시각정보부가수단(39)은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TS)를 일정한 정보단위(이하, 블록이라 함)마다 인식하여 부가한다. 이렇게 하여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의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에 출력한다.버퍼(29)는 ECC 엔코더(12)와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 버퍼(29)는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축적하여,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일정시간을 1 라인주기라고 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떨어저, 버퍼(29)에,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해당하는 일정량의 정보가 축적되었을 때, 그 집합정보단위를 한묶음으로 하여 동기신호부가수단 (13)에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변형예로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시각정보부가수단(39)이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 (TS)를 블록마다 인식하는 구성으로 하고,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로 출력한다. 이 경우 버퍼(29)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치해 둔다. 따라서,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척하고, 일정 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 (13)으로 출력한다.
도 12에 있어서, 하반부는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이다. 시각정보 재생수단(40)은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 의하여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4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 축적된 버퍼(31)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가 축적된 버퍼(31)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ECC디코더(14)와의 사이에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화기 위하여 설치된 버퍼이다.
변형예로서, ECC 디코더(14)를 이용하지 않는 변형예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시각정보재생수단(40)은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 의하여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4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 축적된 버퍼(31)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출력한다. 버퍼(31)는 동기신호제거수단(7)과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한다.
즉, 상술한 도 12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파트에서는, 전술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있어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가, 각각 출력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블록마다 인식(검출)한다. 그리고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의 블록마다,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는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의 블록마다, 각각 시각정보를 부가한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가장 특징으로 하는 곳은, 정보신호가 블록마다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압축수단(4)으로부터, ECC 엔코더(12)을 사용하는 경우는 ECC 엔코더(12)로부터, 각각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를 부가하는 구성으로 한 점이다.
한편, 상술한 도 12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있어서 시각정보에 따라서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블록마다 지연한다. 그리고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가장 특징으로하는 곳은 블록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블록마다 지연하여 출력하는 점이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그것들의 사이의 전송로에 의한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 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을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송신장치 또는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되어, 일정한 정보단위로 블록화되어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는 ECC 엔코더(12)로 출력할 수 있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는 ECC 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정보신호1∼정보신호3에 에러정정부호가 첨부된다. 다음에,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도 13의 (b)참조)는,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 의해서,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부가되어(도 13의 (c)) 버퍼(29)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정보신호1∼정보신호3의 각각에 시각정보1(TS1)∼시각정보3(TS3)까지를 부가하고 있다.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는 버퍼(29)에 축적되어, 일정시간내(본 실시예에서는 1라인주기에 해당한다.)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도 13의 (d)). 버퍼(29)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할 수 있고, 따라서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에 전송로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6(도 12)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파트에서는, 수신신호중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다. 그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13의 (e))는, 그 출력신호중의 시각정보1 (TS1)∼시각정보3(TS3)에 의거하여 지연되어 출력된다. 그 지연은, 정보신호1∼정보신호3이 송신시에 그 각 블록이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된 것과 동일한 시간간격이 되도록 버퍼(31)로 지연된다. 이 후, 버퍼(31)의 출력신호(도 13의 (f))는 ECC 디코더(14)로 입력되고, 여기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 신호의 에러정정이 행해진다.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도 13의 (g))는 신장수단(11)에 의하여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신측에 있어서 버스트적으로 보내어지는 정보에 따라, 송신측의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서의 앞의 시간적인 간격을 재생한다. 이렇게 시각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보신호를 바른 시간간격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시각정보는 압축되지 않고 전송되므로, 수신후, 신장조작을 행하지 않고 즉석에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 시각정보부가수단(39)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1, 2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회로는, 도 10에 있어서의시각정보부가수단(28)에 있어서 ECC 엔코더(12)에 신호가 입력된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이하, 블록이라 함)마다 부가하는 경우 이다. 또, 전번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7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5의 송신측의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소정단위계산수단과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수신측의 시각정보재생수단을, 소정단위지연수단과 소정단위내 지연수단으로 구성하였다.
이 제7실시예(도 14 및 도 15)는 실시예5의 시각정보부가수단(28), 시각정보재생수단(30) 및 그 시각정보의 부가·재생에 관해서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4의 상반부는 송신측의 파트이며, 하반부는 수신측의 파트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정보부가수단(28)은, 소정단위 계수수단 (50a)과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로 취급되는 정보신호는 영상신호이며, 그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은 라인주기의 수를 계수로 하는 것이며, 그것은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 번째의 라인주기의 시에 입력된 것인지를 계수하여, 그 값을 N 비트의 형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준이란 시간의 기준이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사이에서 공통으로 시계(클럭)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어떤 특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전에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보낸 블록이나 동기신호 등의 특정한 신호를 기준으로 해도 좋다.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이 프레임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그것은 프레임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가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은 프레임을 계수할 수가 있다. 또한, 소정단위계수수단(50a)이 필드를 계수하는 경우에는, 필드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서 소정단위 계수수단 (50a)은 필드를 계수할 수가 있다. 또한,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이 라인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라인의 선두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서, 소정단위 계수수단(50)이 라인을 계수할 수가 있다. 즉, 송수신사이에서 공통이며 또한 일정한 시간주기를 계수할 수 있으면 된다.
여기서 기술용어의 정의를 내린다. 「프레임」이란 화상을 1화면 형성하는 기간이며, NTSC방식에 있어서는 2회의 수직주사하는 기간을 한다. 「필드」란 텔레비젼신호에 있어서 1회의 수직주사하는 기간을 말하고, 「라인」이란 1회의 수평주사하는 기간을 말한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은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에 입력되는 타이밍까지의 시간길이를 계수하는 것이며, 이 계수치를 시각정보로 하여 M비트로 출력한다.
그리고,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이 프레임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로 한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0a)은 상기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현재,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에 입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소정단위계수수단(50a)이 필드를 계수하는 경우에는, 필드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 한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은 상기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에서,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에 입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이 라인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라인의 선두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로 한다. 그리고,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은 상기의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에 입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시각정보부가수단(28)전체로서는 소정단위 계수수단(50a)가 출력하는 N 비트의 신호를 상위로 하여,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이 출력하는 M 비트의 신호를 하위로서, 합계(N+M) 비트의 시각정보를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에 부가한다.
한편, 변형예로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시각정보부가수단(28)은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인식하여 부가하도록 구성하여,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a)에 출력한다. 버퍼(29a)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여,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1개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좋다.
수신측에서, 시각정보재생수단(30)은, 소정단위지연수단(52a)과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a)으로 구성된다. 소정단위지연수단(52a)은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에 의해서 공급된 N비트의 소정단위시각정보(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의 시각에서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입력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한다.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a)은, 송신측의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에 의하여 공급된 M 비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 예컨대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 엔코더(12)로 입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한다.
버퍼(31a)는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영상신호)를 축적하여, 블록마다 소정의 시간에 달할 때까지 지연한 뒤에 출력한다. 그 소정의 시간이란, 소정단위지연수단(52a)에 의해서 인식된 소정단위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각(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a)에 의해서 인식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간만 경과한 시간이다.
한편, ECC 디코더(14)를 이용하지 않는 변형예의 경우는, 시각정보재생수단 (30)은 시각정보부가수단(28)에 의하여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3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가 축적된 버퍼(31a)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버퍼(31a)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하, 이 실시예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을 설명한다. 그 설명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로서, 또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 즉 블록이 1 라인주기로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의 단위인 라인을 이루는 경우에 관해서 행한다. 실시예5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간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정단위시간정보는,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 또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정보신호(영상신호)가,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시에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 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는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 즉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 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수신장치 또는 수신방법을 설명한다. 그 설명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 즉 블록이 1 라인주기에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의 단위인 라인을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5에 기재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간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정단위시간정보는 ECC엔코더(12)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된 정보신호(영상신호), 또한 ECC 엔코더(1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인 소정단위(라인주기)시에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 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소정단위내 시간정보는 그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 즉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 또는 ECC 엔코더(12)로 입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의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의 정보신호(영상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의거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소정의 시각에 이를 때까지 지연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소정 시각이란 소정단위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에 대응시킨 시각(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각이다. 단지 상기 소정단위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은,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서 출력된 또는 ECC 엔코더(12) (ECC엔코더(12)를 이용하는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이다.
이상과 같은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도 15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인 전송시스템 혹은 전송방법의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송신측 및 수신측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도 15의 (a))는 ECC 엔코더(12)에 출력되고, 시각정보부가수단(28)인 소정단위계수수단(51a)이, 그때 즉 ECC 엔코더 (12)에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부가한다(도 15의 (b)). 여기서, 시각정보부가수단(28)이 출력하는 시각정보는, 소정단위계수수단(50a)이 출력하는 N비트의 신호(도 15중, N은 라인번호 : 2, 3 … 이라고 기재하고 있다)를 상위비트로 하고,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이 출력하는 M비트의 신호(도 15중, M은 T1, T2 …로 기재하고 있다)를 하위비트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소정단위 계수수단 (50a)이 출력하는 N비트의 신호는, 그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라인의 번호를 나타내는 소정단위시각정보이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이 출력하는 M비트의 신호는, ECC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로부터, 그 블록이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이다. 또한 여기서는 영상신호의 각각에 시각정보를 부가하고 있다. 다음으로 ECC 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신호와 시각정보(TS21∼TS33)에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된다. 단, 상기에 있어서 부가되는 도 15중에 나타낸 시각정보란, TS21∼TS33, 단 여기서 TSnm이란, n,m 모두 1이상의 자연수이며, n은 블록이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라인의 번호(소정단위시간정보에 상당한다)를 나타내며, m은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로부터, 그 블록이 현재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m라인내 시각 번호(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의 번호에 상당한다)를 나타내고 있다.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도 15의 (c)참조)는 버퍼(29a)에 일단 축적되고,그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된다. 버퍼(29a)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되어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도 15의 (d))에 전송로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도 15의 (e))로부터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다. 그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15의 (f))는, ECC 디코더(14)에 있어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도 15의 (g))중의 시각정보 (TS21∼TS33)에 근거하여, 영상신호의 각 블록이 송신시에 영상신호가 입력된 것과 같은 시간간격이 되도록 블록마다 버퍼(31a)에 의해서 지연되어 출력할 수 있다(도 15의 (h)). 즉, 소정단위지연수단(52a)은, 소정단위 계수수단(50a)에 의해서 부가된 소정단위시각정보(N 비트)인 라인번호를 인식하고,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a)은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a)에 들어가 공급된 M 비트의 시각정보(라인의 선두로부터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소정단위내정보)를 인식한다.
이 소정단위지연수단(52a) 및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a)의 지시에 따라, 버퍼(31a)에 축적된 영상신호의 블록은, 블록마다 소정의 시간에 달할 때까지 지연된 상태에서 출력된다. 그 소정의 시간이란, N 비트의 소정단위시각정보(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에 속해 있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T1∼T5)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각이다. 이 소정단위내 시각정보(T1∼T5)는, 그 영상신호의 블록이 소속하는 라인의 고정된 영상신호의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각정보이다. 이후, 버퍼(31a)의 출력신호는,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시예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2에 시각정보부가수단(28)을 설치한 것인데, 다른 실시예에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신호로서 영상신호를 이용하고 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는 영상신호의 1라인으로 하였다. 소정의 단위를 영상신호의 n 프레임(n은 1 이상의 자연수)으로 할 수도 있고, 소정의 단위를 영상신호인 n필드, n라인(n은 1이상의 자연수)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영상신호이외의 신호를 정보신호로서도 좋고, 소정의 단위가 일정한 간격이라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는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일정 정보단위 즉 블록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를 영상신호의 n라인(n은 1이상의 자연수)주기내에 발생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하나의 정보단위를 영상신호의 n필드, n프레임(n은 1이상의 자연수)주기내에 발생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는 라인, 필드,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주기에 동기한 것이면 좋다. 따라서, 그 고정된 시간위치는, 반드시 라인, 필드,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선두여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또는 꺼짐부분에서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정한 주기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이면 좋다.
또한, 소정의 단위가 1 라인인 경우는 라인 카운터를, 1 필드인 경우는 필드카운더를, 1 프레임인 경우는 프레임카운터를, 각각 소정단위 계수수단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사용에 의해 범용의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후술의 도 18은 도 9의 (B)에 있어서 소정의 식별번호(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인마다 부여되어 있는 라인이며, 도 18중, 식별번호 1···식별번호 n(n은 1이상의 자연수)의 1∼n이 라인번호에 해당한다)를 동기신호의 속에 혹은 동기 신호와 함께 부여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취하면, 본 실시예7에 있어서의 소정단위 계수수단(50a) 및 소정단위지연수단(52a)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도 14의 상반분의 송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의 단위는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가지는 경우,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에 구성되고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 기준이 되는 고정되는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점이다.
한편, 도 14의 하반부의 수신측에서는, 정보신호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하면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그 소정의 단위가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부호를 가지는 경우,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의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고, 거기에서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된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따른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또한, 1개의 집합정보단위를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로 하는 경우, 예컨대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를 모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를 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7에 있어서의 도 14의 소정단위 계수수단(50a) 및 소정단위지연수단(52a)이 필요없어진다.
그와 같은 50a, 52a를 생략한 변형예의 송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의 단위를 하는 경우,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한편, 상기의 50a, 52a를 생략한 변형예의 수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가지는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의 단위 수를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측의 구조 및 방법을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 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TS)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 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을 지연한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의 버퍼(31a)는 영상신호의 블록을 [소정단위시각정보+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만큼, 각각 동시에 지연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버퍼(31a)는 소정단위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을 지연한 후,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구성으로서도 좋고, 또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 후, 소정단위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실시예 8)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회로를, 도 12에 있어서의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 있어서 ECC 엔코더(12)가 출력한 출력신호의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이하, 블록이라 함)마다 부가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8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6의 송신측의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소정단위 계수수단과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으로 구성하고, 또한 수신측의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소정단위 지연수단과 소정단위내 지연수단으로 구성하였다.
이 실시예(도 16 및 도 17)는 특히 실시예6의 시각정보부가수단(39), 시각정보재생수단(40) 및 그 시각정보의 부가·재생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6의 상반부는 송신측의 파트이며, 하반부는 수신측의 파트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정보부가수단(39)은 소정단위계수수단 (50b)과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 송신장치, 수신장치 등으로 취급되는 정보신호는 영상신호이며, 그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은 라인주기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며, 그것을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된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출력된 것인지를 계수하고, 그 값을 N비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전에 정해진 기준이란 시각 기준이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간에서 공통으로 시계(클럭)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어떤 특정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전에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에 보내어진 블록이나 동기신호 등의 특정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프레임을 계수하는 경우는 그것은 프레임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은 프레임을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소정단위계수수단(50b)이 필드를 계수하는 경우에는, 필드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은 필드를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라인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라인의 선두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에 따라 소정단위 계수수단(50)이 라인을 계수할 수 있다. 즉, 송수신간에서 공통이며 또한 일정한 시간주기를 계수할 수 있으면 된다.
여기서, 아까 실시예 7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화상을 1화소 형성하는 기간이며, NTSC방식에 있어서는 2회의 수직주사하는 기간이다. 「필드」는 텔레비젼 신호에 있어서 1회의 수직주사하는 기간이다. 「라인」은 1회의 수평주사하는 기간이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은,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타이밍)에서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것이며, 이 계수치를 시각정보로서 M비트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단위계수수단(50b)이 프레임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로 한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은 그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필드를 계수하는 경우에는, 필드의 선두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로 한다.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은 상기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에 입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또한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라인을 계수하는 경우에는, 라인의 선두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혹은 꺼짐의 위치(타이밍)를 고정된 위치(타이밍)로 한다. 그리고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은 상기 고정된 위치(타이밍)에서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정보부가수단(39)전체로서는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출력하는 N비트의 신호를 상위로 하고,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이 출력하는 M비트의 신호를 하위로 하고, 합계(N+M)비트의 시각정보를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에 부가한다.
한편, 변형예로서, ECC 엔코더(12)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시각정보부가수단(39)은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인식하여 부가하는 구성으로 하고,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b)에 출력한다. 버퍼(29b)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고,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수신측에 있어서, 시각정보재생수단(40)은 소정단위지연수단(52b)과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정단위지연수단(52b)은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에 의하여 공급된 N 비트의 소정단위 시각정보(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의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의 시각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한다.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b)은, 송신측의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에 의하여 공급된 M 비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 예컨대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인식한다.
버퍼(31b)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영상신호)를 축적하고,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블록마다 소정의 시각에 달할 때까지 지연시킨 다음 출력한다. 그 소정 시각이란, 소정단위 지연수단(52b)에 의하여 이식된 소정단위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각(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b)에의하여 인식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각이다.
한편, ECC 디코더(14)를 이용하지 않는 변형예인 경우는, 시각정보재생수단 (40)은 시각정보부가수단(39)에 의하여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4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 축적된 버퍼(31b)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해당하는 타이밍으로 출력한다. 버퍼(31b)는 동기신호제거수단(7)과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하, 이 실시예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을 설명한다. 그 설명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이며, 또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를 모아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에 관해서 행한다. 실시예6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소정단위시각정보란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수단(4)으로부터, 또한, 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가,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시에 압축수단(4) 또는 ECC 엔코더 (12)로부터 출력된 것인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와는, 그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의, 즉 압축수단(4) 또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설명한다. 그 설명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이며,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서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6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 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이루어진다. 그 소정단위시각정보란, 압축수단(4)으로부터(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정보신호(영상신호_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서 몇번째의 소정단위(ECC 엔코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력되는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 소정단위(라인주기)시의 압축수단(4) 도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된 것인지는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란, 그 정보신호(영상신호)가 소정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의 즉 압축수단(4) 또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일정한 정보단위(블록)가 블록의 정보신호(영상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소정의 시각에 달할 때까지 지연된 다음 출력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 소정의 시각이란, 소정단위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에 대응시킨 시각(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각이다. 단 상기 소정단위 시간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은,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으로부터 출력된 또는 ECC 엔코더(12)(ECC 엔코더(12)를 이용하는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에서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이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방법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송신측 및 수신측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도 17의 (a))는 ECC 엔코더(12)에 출력되어, ECC 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가 첨부된다. 다음에, 시각정보부가수단(39)인 소정단위 계수수단(50b) 및 소정단위내 계수수단 (51b)이, 그 때, 즉 ECC 엔코더(12)부터의 출력신호(도 17의 (b)참조)가 출력되는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부가한다(도 17의 (c)).
여기서, 시각정보부가수단(39)이 출력하는 시각정보는, 소정단위 계수수단 (50b)이 출력하는 N 비트의 신호(도 17중, N은 라인번호 : 2, 3… 으로 기재되어 있다)를 상위비트로 하고,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이 출력하는 M 비트신호(도 17중, M은 T1, T2… 로 기재되어 있다)를 하위비트로서 구성한다.
그리고,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이 출력하는 N 비트의 신호는 그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라인의 소정단위 시각정보이다. 또한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이 출력하는 M 비트의 신호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로부터 그 블록이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이다. 또한 여기서는 영상신호의 각각에 시각정보(TS21∼TS33)를 부가하고 있다. 단 TSnm에 있어서 n, m은 모두 1이상의 자연수이다. n은 블록이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라인의 번호(소정단위 시각정보에 상당한다)를 나타낸다. m은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라인의 선두에서, 그 블록이 현재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며, 라인내 시각의 번호(소정단위내 정보의 번호에 상당한다)를 나타내고 있다.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는 버퍼(29b)에 일단 축적되고, 일정시간 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된다.
버퍼(29b)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되어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도 17의 (d))에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된다.
한편,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도 17의 (e))로부터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다. 그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17의 (f))는,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의 시각정보(TS21∼TS33)에 따라서 영상신호의 블록을 블록마다 송신시에 영상신호가 입력된 것과 같은 시간간격이 되도록, 버퍼(31b)에 의해서 지연되어 출력한다(도 17의 (g)). 다음에,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도 17의 (h)). 즉, 소정단위지연수단(52b)은, 소정단위 계수수단(50b)에 의해서 부가된 소정단위시각정보(N 비트)인 라인번호를 인식하여,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b)은 소정단위내 계수수단(51b)에 의해서 공급된 M 비트의 시각정보(라인의 선두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가 ECC 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의 블록까지의 소정단위내정보)를 인식한다.
이 소정단위지연수단(52b) 및 소정단위내 지연수단(53b)의 지시에 따라, 버퍼(31b)에 축적된 영상신호의 블록은, 블록마다 소정의 시간에 달할 때까지 지연된 다음 출력할 수 있다. 그 소정의 시간과는, N 비트의 소정단위시각정보(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에 속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Tl∼T5)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간이다. 이 소정단위내 시각정보(Tl-T5)는, 그 영상신호의 블록이 소속하는 라인의 고정된 영상신호의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의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각정보이다. 이다음, 버퍼(31b)의 출력신호는,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서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져, 더욱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6)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실시예2에 시각정보부가수단(39)을 설치한 것이나, 다른 실시예에 시각정보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신호로서 영상신호를 사용하고, 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는 영상신호의 1 라인으로 하였다. 따라서, 소정의 단위를 영상신호의 n 프레임(n은 1이상의 자연수)으로 할 수도 있고, 소정의 단위를 영상신호의 n 필드, n 라인(n은 1이상의 자연수)으로서도 좋다. 그러나, 영상신호이외의 신호를 정보신호로 해도 되고, 그 소정의 단위가 일정한 간격이면 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1개의 집합정보단위는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그와 달리, 집합정보단위를 영상신호의 n 라인(n은 1 이상의 자연수)주기내에 발생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변형으로서, 집합정보단위를 영상신호의 n 필드, n 프레임(n은 1 이상의 자연수)주기내에 발생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영상신호의 소정단위의 고정된 시간위치(타이밍)는 라인, 필드, 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주기에 동기한 것이면 좋다.
따라서, 그 고정된 시간위치는, 반드시 라인, 필드, 프레임의 어느 하나의 선두가 아니어도 좋다. 예컨대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평동기신호의 기동 또는 꺼짐부분에서도 같은 것이 가능하며, 일정한 주기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이면 좋다.
또한, 소정의 단위가 1라인인 경우는, 라인카운터를, 1필드인 경우는 필드카운터를, 1프레임인 경우는 프레임카운터를 각각 소정단위 계수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사용에 의하여 범용의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대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단위마다 소정의 식별번호를 동기신호중에 혹은 동기신호와 함께 부여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정단위 계수수단(50b) 및 소정단위 지연수단(52b)이 불필요해진다. 여기서 식별번호와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식별번호가 라인마다 부여되어 있는 라인번호이며, 도 18중, 식별번호 1···식별번호n(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1∼n이 라인번호에 해당한다.
도 16의 상반부의 송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의 단위는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갖는 경우,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시간위치(타이밍)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시간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점이다.
한편, 도 16의 하반부의 수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의 단위는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해서 식별부호를 갖는 경우에,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시간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수신장치, 수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각정보(TS)가 정보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구성되고, 거기에서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또한, 1개의 집합정보단위를 일정시간내에 축적되었다고 하는 경우, 예컨대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를 모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정단위수단(50a) 및 소정단위지연수단(52a)이 필요없어진다.
즉, 도 16의 송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가지는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에,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시간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시간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한편, 도 16의 수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의 단위를 하는 경우,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의 단위의 수를 계수함에 의해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측의 구조 및 방법은,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TS)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해당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버퍼(31b)를 이용하고 이 버퍼(31b)는 영상신호의 블록을 [소정단위시각정보+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만큼 동시에 지연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버퍼(31b)는 소정단위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 뒤,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해당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 후, 소정단위 시각정보에 대응시킨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실시예 9)
도 19는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4의 회로는, 도 10에 정보부가수단(28)에 있어서 ECC 엔코더(12)에 신호가 입력된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이하, 블록이라 함)마다 부가하는 경우이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9실시예는, 제1실시예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5의 송신측의 시각정보부가수단을 N 비트카운터와 M 비트카운터로 구성하여 마찬가지로 시각정보재생수단을 N 비트카운터와 M 비트카운터 및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 시각정보축적수단, 시각정보비교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특히 실시예5의 시각정보부가수단(28), 시각정보재생수단 (30), 및 그 시각정보의 부가·재생방법에 관해서 더욱 상세한 별도의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각정보부가수단(28)은 소정단위 계수수단인 N 비트카운터(54a)와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M 비트 카운터(55a)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9에 이러한 발명의 송신장치, 수신장치 등으로 취급되는 정보신호는, 송수신사이에서 시간관계를 저장하는 필요가 있는 신호인 영상신호이며,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 즉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형성하고 있다.
N 비트카운터(54a)는 입력된 영상신호 중 라인주기의 부를 계수하는 것이며,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입력된 것인지를 계수하여, 그 값을 N 비트에서 출력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준이란 시간의 기준으로서, 송수신사이에서 공통으로 시계(클럭)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은 어떤 특정한 시간을 기준으로서도 좋고, 전에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보내여진 블록이나 동기신호 등의 특정한 신호를 기준으로서도 좋다.
즉, N 비트카운터(54a)는 Clock 단자에 입력되는 기본클럭에 동기하여 CE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라인의 선두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라인의 수를 계수하고, OE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발생하는 타이밍에 따라서, 즉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블록이 사전에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의 시에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계수치를 N 비트에서 출력한다.
M 비트카운터(55a)는 ECC 엔코더(12)신호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록에 관해서, 라인이 상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 예컨대 그것이 속하는 라인의 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어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것이며, 이 값을 시각정보로서 M 비트로 출력하는 것이다.
즉, M 비트카운터(55a)는 클럭에 입력되는 기본 클럭에 동기하고 또한 Reset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라인의 선두의 타이밍(리세트 스타트 타이밍신호)에 의해서 그 값을 리세트함으로써, 라인의 선두로부터 현에서의 시간을 계수하기를 계속한다. 그리고 OE 단자(아웃풋 인에이블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발생하는 타이밍에 따라서, 그 계수치, 즉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 엔코더(12)에 입력되고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계수치를 M 비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9는 기본 클럭은 27 MHz 또는 36 MHz의 기본 클럭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 기본 클럭의 정보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반송파로부터 재생하여도 좋고,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전송로와는 다른 전송로에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장치로 보내도 좋다. 또한 이 기본클럭과 마찬가지로 M 비트카운터(55a)가 시각정보(TS)를 계측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신호인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를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보내는 영상신호에서 재생해도 좋다. 혹은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전송로와는 다른 전송로에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으로 송신하여도 좋다.
따라서, 시각정보부가수단(28)전체로서는 N 비트카운터(54a)가 출력하는 N 비트의 신호를 상위로 하고, M 비트카운터(55a)가 출력하는 M 비트의 신호를 하위로 하여, 합계(N+M)비트인 시각정보를 ECC 엔코더(12)의 입력신호로 부가한다.
또 한편, ECC 엔코더(12)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시각정보부가수단(28)은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인식하는 구성으로 하고,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a)에 출력한다. 버퍼(29a)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부가수단(13)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고, 버퍼(29a)는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다음으로, 시각정보재생수단(30)에 있어서는, 소정단위지연수단은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과 시각정보축적수단(57a)과 제1카운터인 N 비트카운터(58a)와비교수단(60a)으로 구성된다. 소정단위내 지연수단은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과 시각정보축적수단(57a)과 제2카운터인 M 비트카운터(59a)와 비교수단(60a)으로 구성된다.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은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로부터 블록마다 부여된 시각정보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시각정보축적수단(57a)은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에 의해서 추출된 시각정보(TS)의 값을 N 비트를 상위로 하고, M 비트를 하위로서 추출된 마다 순차 축적하여,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의 값을 N 비트를 상위로 하고, M 비트를 하위로서 출력한다. 또한, 후술하는 시각정보비교수단(60a)의 지시에 따라, 시각정보비교수단(60a)의 출력신호가 버퍼(61a)에 입력되어, 버퍼(61a)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이 버퍼(61a)에서 출력될 때마다 시각정보축적수단(57a)은 현재출력하고 있는 시각정보(TS)의 다음으로 오래되었을 때 정보(TS)를 출력한다.
N 비트카운터(58a)는 N 비트카운터(58a)의 Load 단자에 가장 최초로 수신한 블록의 시각정보(TS)의 상위비트(N 비트)의 값(L)로부터 K(K는 1이상의 자연수로서, 블록상호간의 시간적 간격에 의해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를 뺀 값(L-K)이 로드된다. 이다음, 송신측에서 공급된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가 CE 단자에 입력될 때 마다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기준클럭(F)에 동기하여 N 비트카운터 (58a)는 (L-K)의 값으로부터 하나씩 계수(카운트 업)하고, 그 현재의 계수치를 출력한다.
M 비트카운터(59a)는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 (RST)가Reset 단자에 입력될 때마다 M 비트카운터(59a)의 계수치를 리세트하는 것이다. M 비트카운터(59a)는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기준 클럭(F)에 동기하여 M 비트카운터 (59a)는 리세트된 값(예컨대, "O")으로부터 계수(카운트 업)함과 동시에, 그 현재의 계수치를 출력한다.
시각정보비교수단(60a)은 시각정보축적수단(57a)의 출력신호인 시각정보(TS)의 상위비트(N 비트)의 값과 N 비트카운터(58a)의 출력치 및 시각정보축적수단 (57a)의 출력신호인 시각정보(TS)의 하위비트(M 비트) 값과 M 비트 카운터(59a)의 출력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시각정보비교수단(60a)은, 양자가 서로 동등한 값에 도달한 경우에, 버퍼(61a)에 대해서는, 버퍼(61a)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시각정보비교수단(60a)은, 시각정보축적수단(57a)에 대해서는, 가장 오래도록 축적된 시각정보(TS)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TS)를 출력하 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버퍼(61a)는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고, 시각정보비교수단 (60a)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버퍼(61a)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신장수단(11)(가변장복호화수단(15))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버퍼(61a)는 버퍼(61a)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신장수단(11)(가변장복호화수단 (15))에 출력한 뒤, 출력한 블록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을 가장 오래된 블록으로서 취급한다. 이와 같이 버퍼(61a)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할 때마다 순차 출력한 블록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을 가장 오래된 블록으로서 취급한다.
본 실시예9에서는 시각정보축적수단(57a) 및 버퍼(61a)로서 FIFO (First InFirst Out)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변형예의 경우는, 시각정보재생수단 (30)이 시각정보부가수단(28)에 의하여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재생수단(3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 축적된 버퍼(61a)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출력한다. 버퍼(61a)는 동기신호제거수단(7)과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정되어,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는 구성이면 좋다.
즉, 본 실시예9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룰 때, 실시예5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정단위시각정보는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출력된, 또는 ECC 엔코더(12)(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된, 정보신호(영상신호)의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소정의 단위(라인)의 주기시에 출력 또는 입력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또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는, 정보신호 (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선두위치 (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또는 ECC 엔코더(12)(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의 입력되어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 본 실시예9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은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로 모여 소정의 단위를 할 때, 실시예5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소정단위시각정보는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출력된, 또는 ECC 엔코더(12)(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된, 정보신호(영상신호)의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시에 출력 또는 입력된 것인가를 나타낸다. 또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소정의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압축수단(4)(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또는 ECC 엔코더(12)(ECC 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의 정보신호(영상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소정의 시간에 달할 때까지 지연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소정의 시간이란, 소정단위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에 대응시킨 시간(타이밍)으로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해당하는 시간만 경과한 시간이다.
이상 서술한 실시예9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도 20(a))는 ECC 엔코더(12)에 출력되어, 그 때, 즉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 신호가 출력할 수 있는 시각정보(TS)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정보(TS)를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마다 부가한다(도 20(b)). 여기서, 시각정보부가수단(28)이 출력하는 시각정보는, N 비트인 상위비트와 M 비트인 하위비트로서 구성된다. 그 상위비트의 신호는 N 비트카운터(54a)에 의해서 출력할 수 있는 N 비트의 신호이다. 그 N 비트신호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시에 그 블록이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되었는지 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라인의 번호를 나타내는 소정단위시각정보(도 20중 라인번호 : 2, 3···으로 기재하고 있다.)를 나타낸다.
상기 하위비트신호는, M 비트카운터(55a)에 의하여 출력되는 M 비트의 신호이며, 영상신호의 블록이 압축수단(4)이 출력되는 또는 ECC 엔코더(12)에 입력되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 여기서는 라인의 선두, 그 블록이 압축수단(4)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또는 ECC 엔코더(12)로부터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즉 선두로부터 현재의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도 20중 T1, T2 …로 기재되어 있다.)를 나타낸다. 그리고, 여기서는 영상신호의 각각에 시각정보(TS21∼TS33, TS(라인번호)(라인내 시각))까지를 부가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클럭 및 리세트스타트타이밍(RST)은 다른 전송선에 의하여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으로 보내지고 있다.
다음으로, ECC 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영상신호와 시각정보(TS21∼ TS33)에 에러정정부호가 붙여진다(도 20(c)참조). ECC 엔코더(12)의 출력신호는 버퍼(29a)에 일단 축적되고,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서 동기신호부가수단(13)으로 출력된다. 버퍼(29a)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되어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에 (도 20(d))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된다.
한편, 실시예9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으로는, 수신신호(도 20(e))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 후,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20(f))는, ECC 디코더(14)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 신호의 에러정정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도 20(g))중의 시각정보(TS21∼TS33)에 따라 영상신호는 버퍼(61a)에 의하여 송신시에 영상신호가 ECC 엔코더(12)에 입력된 것과 같이 시간간격이 되도록 지연된다(도 20(h)).
ECC 디코더(14)의 출력신호인 블록은, 버퍼(61a)에 축적된다. 한편,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에 의하여 그 블록에 부여되어 있는 시각정보(TS)를 읽어내고, 그 값을 시각정보축적수단(57a)에 축적한다. 또한 새로운 블록이 ECC 디코더(14)로부터 출력되면 그 새로운 블록을 버퍼(61a)에 축적하고, 그 블록에 대응한 시각정보(TS)를 읽어내고, 그 값을 시각정보축적수단(57a)에 순차로 축적한다.
한편, 제1카운터인 N비트카운터(58a)에는 가장 먼저 수신한 블록의 시각정보(TS)의 상위 N 비트의 값(L)으로부터 K(K는 1 이상의 자연수)를 뺀 값(L-K)이 로드되고, 이 후, 송신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가 N 비트카운터(58a)에 입력될 때마다 N 비트카운터(58a)의 출력신호는 하나씩 카운트업된다.
또한, 제2카운터인 M 비트카운터(59a)에는, 송신측에서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가 공급될 때마다 리세트되어 M 비트카운터(59a)의 출력신호는 리세트된 값(예컨대 "0")으로부터 하나씩 카운트업한다.
다음으로, 시각정보축적수단(57a)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시각정보 (TS)의 상위비트(N 비트)의 값과 N 비트카운터(58a)의 출력치 및 가장 오래된 시각정보(TS)의 하위비트(M 비트)의 값과 M 비트카운터(59a)의 출력값이 시각정보비교수단(60a)에 의해 비교된다. 양자가 같은 값에 도달하였을 때, 시각정보비교수단 (60a)의 출력신호는 버퍼(61a)에 대하여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버퍼(61a)는 해당지시에 따라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함과 동시에, 시각정보축적수단(57a)에 대해서는,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TS)를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시각정보축적수단(57a)은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TS)를 출력한다.
이후, 가장 오래된 블록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의 상위 비트(N 비트) 값과 N 비트카운터(58a)의 출력치 및 시각정보의 하위비트(M 비트) 값과 M 비트카운터(59a)의 출력값을 비교한다. 상기와 같이 양자가 같은 값에 도달한 경우에 시각정보축적수단(57a) 및 버퍼(61a)에 신호를 출력한다. 버퍼(61a)는 가장 오래된 블록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현재의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한다. 시각정보축적수단(57a)은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의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 (TS)(현재의 가장 오래된 블록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TS))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함과 동시에, 버퍼(61a)의 출력신호는 이다음,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또한 도 19의 시스템에 있어서, 변형예로서, 도 18에 나타낸바와 같이 소정의 단위마다 소정의 식별번호[본 실시예에서는, 라인마다 부여되어 있는 라인번호이며, 도 18중, 식별번호 1… 식별번호 n(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1∼n이 라인번호에 상당한다]를 동기신호중에 혹은 동기신호와 동시에 부여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N 비트카운터(54a) 및 (58a)가 필요없게 된다.
즉, 이 실시예9의 도 10의 송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의 단위는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갖는 경우에,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것의 M 비트카운터 (5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 비트)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단계이다.
한편, 이 실시예9의 도 19의 수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의 단위는 각 소정의 단위를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부호를 가지는 경우, 시각정보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에서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 비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측의 구성은,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과, 시각정보축적수단(57a)과, 제 2카운터인 M 비트카운터(59a)와, 비교수단(6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시각정보읽어내기수단(56a)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해당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 비트)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해당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점에 있다.
또한, 1개의 집합정보단위를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로 하는 경우, 예컨대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를 모아 1개의 집합정보단위를 하는 경우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N 비트카운터(54a,58a)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송신측에 있어서,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에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M비트 카운터(5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 즉 하위비트(M비트)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수신측에 있어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의 단위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측의 구성은, 시각정보 독출수단(56a)과, 시각정보축적수단(57a)과, 제 2 카운터인 M비트카운터(59a)와, 비교수단(60a)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시각정보 독출수단(56a)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 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에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한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 단위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에 의해 구성되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에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에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지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시예 5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에 시각정보 부가수단(28), 시각정보 재생수단(30)을 설치한 것인데, 다른 실시예에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단위는 영상신호의 1라인으로 하였으나, 소정 단위는 일정의 간격이면 된다. 따라서, 소정 단위를 영상신호의 n라인(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할 수도 있고, 소정 단위를 영상신호의 n필드, n프레임(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의 고정된 위치(타이밍) 라인, 필드, 프레임의 어느 하나에 동기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의 고정된 위치(타이밍)는 반드시 라인, 필드, 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선두가 아니어도 좋다.
또, 소정 단위가 l라인인 경우는 라인 카운터, 1필드인 경우는 필드카운터, 1프레임인 경우는 프레임카운터를 번호계수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송신방법, 수신장치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 l0은, 실시예 6 (도 l2)의 송신측의 시각정보 부가수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N비트 카운터와 M비트 카운터로 구성하고, 또 수신측의 시각정보 재생수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N비트 카운터와 M비트 카운터 및 시각정보 독출수단, 시각정보 축적수단, 시각정보 비교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의 실시예 6의 시각정보 부가수단(39)에 있어서 ECC 엔코더(12)가 신호를 출력했을 때의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부가하는 경우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10에서는, 실시예 6의 특히, 시각정보부가수단(39), 시각정보재생수단(40), 및 그 시각정보의 부가·재생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각정보 부가수단(39)이 소정단위 계수수단인 N비트 카운터(54b)와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M비트 카운터(55b)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 등에서 취급되는 정보신호는, 송수신간에 시간의 타이밍관계를 보존할 필요가 있는 영상신호이며,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단위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 즉 복수개가 모여 소정 단위인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N비트 카운터(54b)는 입력된 영상신호중에 라인주기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며, ECC엔코더(12)가 출력하는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라인주기일 때 출력되었는지를 계수하고, 그 값을 N비트로 출력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준이란 시간의 기준으로서, 송수신간에 공통으로 시계(클럭)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어떤 특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그것은 전에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보내어진 블록이나 동기신호 등의 특정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도 좋다.
즉, N비트 카운터(54b)는 그 클럭단자에 입력되는 기준클럭에 동기하여 CE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라인의 선두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라인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N비트 카운터(54b)는 OE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발생하는 타이밍에 따라서, ECC엔코더가 출력한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 번째의 라인주기일 때 출력되는 지를 나타내는 계수치를 N비트로 출력한다.
M비트 카운터(55b)는 ECC엔코더(12)가 출력하는 영상신호의 블록에 대하여, 라인주기가 되는 위치, 예컨대 그것이 속하는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것이며, 이 계수시각정보로서 M비트에서 출력한다.
따라서, M비트 카운터(55b)는 클럭단자에 입력되는 기본클럭에 동기하고 또 리세트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라인의 선두 타이밍(리세트 타이밍 신호)에 의해서 그 계수치를 리세트함으로써, 라인의 선두에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계속 계수한다. M비트 카운터(55b)는 OE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발생하는 타이밍에 따라서, 그 계수치, 즉 라인의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영상신호의 블록이 ECC엔코더(l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계수치를 M비트에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클럭은 27MHz 또는 36MHz의 기본 클럭을 사용한다. 또 이 기본클럭의 정보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반송파로부터 재생하여도 좋고,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전송로와는 별도의 전송로로 송신장치로부터 수신장치에 보내도 좋다. 또, 이 기본클럭과 마찬가지로 M비트 카운터(55b)가 시각정보(TS)를 계측할 때 기준으로 하는 신호인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를 송신장치로부터 수신장치에 보내어지는 영상신호로부터 재생하여도 좋고, 영상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전송로와는 별도의 전송로로 송신측에서부터 수신측으로 전송하여도 좋다.
따라서, 시각정보 부가수단(39)전체로서는 N비트 카운터(54b)가 출력하는 N비트의 신호를 상위로 하고, M비트 카운터(55b)가 출력하는 M비트의 신호를 하위로 하여, 합계(N+M)비트의 시각정보를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에 부가한다.
다른 한편, ECC엔코더를 사용하지 않는 변형예의 경우에는, 시각정보 부가수단(39)은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정보(TS)를 블록마다 인식하는 구성으로 하여,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에 블록마다 시각정보를 부가하여 버퍼(29b)로 출력한다. 버퍼(29b)는 압축수단(4)과 동기신호 부여수단(13)과의 사이에 설치되며,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여, 버퍼(29b)는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하나의 집합단위로 하여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수신측의 시각정보 재생수단(40)에 있어서는 소정단위 지연수단을 시각정보 독출수단(56b)과 시각정보 축적수단(57b)과 제 1 카운터인 N비트 카운터 (58b)와 비교수단(60b)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소정단위내 지연수단을 시각정보 독출수단(56b)과 시각정보축적수단(57b)과 제 2카운터인 M비트 카운터(59b)와 비교수단(60b)으로써 구성하고 있다.
시각정보 독출수단(56b)은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로부터 블록마다 부여된 시각정보만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시각정보 축적수단(57b)은 시각정보 독출수단(56b)에 의해서 추출된 시각정보(TS)의 값을 N비트를 상위로 하고, M비트를 하위로 하여 추출될 때마다 차례로 축적하여,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의 값을, N비트를 상위로 하고 M비트를 하위로 하여 출력한다. 또한, 후술하는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의 지시에 따라,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의 출력신호가 버퍼(61b)에 입력되어, 버퍼(61b)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이 버퍼(61b)로부터 출력될 때마다 시각정보축적수단(57b)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시각정보(TS) 의 다음에 오래된 시각정보(TS)를 출력한다.
N비트 카운터(58b)는 N비트 카운터(58b)의 로드단자에 제일 최초로 수신한 블록의 시각정보(TS)의 상위비트(N비트)의 값(L)으로부터 K(K는 l이상의 자연수로서, 블록상호간의 시간적 간격에 의해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를 뺀 값(L-K)이 로드된다. 이 후, 송신측에서 공급된 리세트스타트 타이밍신호(RST)가 CE단자에 입력될 때마다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기준클럭(F)에 동기하여 N비트 카운터(58b)는 (L-K)의 값으로부터 계수(카운트 업)하여, 그 현재의 계수치를 출력한다.
M비트 카운터(59b)는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리세트 스타트 타이밍 신호(RST)가 리세트 단자에 입력될 때마다 M비트 카운터(59b)의 계수치를 리세트하기 위한 것이다. M비트 카운터(59b)는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기준 클럭(F)에 동기하여 M비트 카운터(59b)는 리세트된 값(예컨대, "O" )으로부터 계수(카운트 업)함과 동시에, 그 현재의 계수치를 출력한다.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은 시각정보 축적수단(57b)의 출력신호인 시각정보 (TS)의 상위비트(N비트)의 값과 N비트 카운터(58b)의 출력값 및 시각정보 축적수단 (57b)의 출력신호인 시각정보(TS)의 하위비트(M비트)의 값과 M비트 카운터(59b)의출력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은, 양자가 서로 같은 값에 달한 경우에는 버퍼(61b)에 대하여, 버퍼(61b)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은 시각정보 축적수단(57a)에 대해서는,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TS)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버퍼(61b)는,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고, 시각정보 비교수단(60b)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버퍼(6lb)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신장수단(11)(가변장 복호화수단(l5))에 출력한다. 또한, 버퍼(61b)는, 버퍼 (61b)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신장수단(11)중의 가변장 복호화수단 (15)에 출력한 후, 출력한 블록의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을 가장 오래된 블록으로서 취급한다. 이와 같이 버퍼(61b)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할 때마다 차례로 출력한 블록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을 가장 오래된 블록으로서 취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시각정보 축적수단(57b) 및 버퍼(61b)로서 FIFO(First In First Out)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ECC 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은 변형예의 경우는, 시각정보 재생수단 (40)은 시각정보 부가수단(39)에 의해 부가된 시각정보를 블록마다 인식한다. 이 시각정보 재생수단(40)의 지시에 따라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가 축적된 버퍼(61b)는 그 축적된 정보신호를 블록마다 시각정보에 대응한 타이밍으로 출력한다. 버퍼(61b)는 동기신호 제거수단(7)과 신장수단(11)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를 일단 축적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실시예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을,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의 단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즉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 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의 단위인 라인을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로써 구성되어 있다. 소정단위 시각정보란, 압축수단(4)으로부터(ECC엔코더 (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ECC엔코더(12)로부터(ECC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각각 출력할 수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블록이 몇번째 소정 단위(라인) 주기시에 출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는, 정보신호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라인)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의 압축수단(4)으로부터(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ECC엔코더(12)(ECC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길이를 나타낸다.
다른 한편, 본 실시예 10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영상신호의 라인주기를 소정단위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즉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일정의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라인주기내에 발생한 수가 모여 소정단위인 라인을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에 기재한 시각정보는 소정단위 시각정보와,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소정단위시각정보란 압축수단(4)으로부터(ECC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ECC엔코더(12)로부터(ECC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 출력된 정보신호 (영상신호)의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의 소정 단위(라인주기)일 때에 출력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소정단위시각정보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소정 단위(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인 선두위치(타이밍)로부터 현재, 즉 압축수단(4)(ECC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ECC엔코더(12)(ECC엔코더(12)를 사용하는 경우) 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정보신호(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길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의 정보신호(영상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블록)를 소정 시간에 이를 때까지 지연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소정 시간이란, 소정단위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에 대응시킨 시간(타이밍)부터,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정보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경과한 시간이다.
이상 서술한 실시예 10의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에서,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도 22a)는, ECC엔코더(12)에 출력된다. ECC엔코더(12)에 있어서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의 각각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ECC)가 첨부된다. 다음으로,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도 22b 참조) 가 출력된 시각정보(TS)가,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마다 부가된다(도 22c). 여기서, 시각정보 부가수단(39)이 출력하는 시각정보는, N비트의 상위비트 와 M비트의 하위비트로서 구성된다. 그 상위비트의 신호는 N비트 카운터(54b)에 의해서 출력되는 N비트의 신호이다. 그 N비트신호는, 영상신호의 블록이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부터 몇번째 라인주기일 때에 그 블록이 압축수단(4)또는 ECC 엔코더(12)에 출력되는가를 나타내는 라인 번호를 나타내는 소정단위 시각정보(도 22중 라인번호:2,3…으로 기재하고 있다.)를 나타낸다.
상기의 하위비트의 신호는 M비트 카운터(55b)에 의해서 출력되는 M비트의 신호로서, 영상신호의 블록이 압축수단(4) 또는 ECC엔코더(12)에 출력되는 블록이 속하는 라인주기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 여기서는 라인의 선두, 그 블록이 압축수단(4) 또는 ECC엔코더(12)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즉 라인의 선두로부터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도 22중 T1,T2…로 기재하고 있다.)를 나타낸다. 또, 여기서는 영상신호의 각각에 시각정보(TS21∼TS33, TS(라인번호)(라인내시간))까지를 부가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클럭 및 리세트 스타트 타이밍신호(RST)는 별도의 전송선에 의해 송신측에서부터 수신측으로 보내여지고 있다.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는 버퍼(29b)에 일단 축적되고,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를 1개의 집합단위로 하여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된다. 버퍼(29b)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l3)에 출력되어, 동기신호가 부가된 후에(도 22d) 전송로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수신장치,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도 22e) 중 동기신호 제거수단 (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 후,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도 22f)는,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의 시각정보(TS21∼TS33)에 따라 영상신호는 버퍼 (61b)에 의해 송신시에 영상신호가 ECC엔코더(12)로부터 출력된 것과 동일한 시간간격이 되도록 지연하여 출력된다(도 22g). 다음으로, ECC디코더(l4)로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 신호의 에러정정이 행하여진다(도 22h).
동기신호제거수단(7)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인 블록은, 버퍼(61b)에 축적된다. 한편, 시각정보 독출수단(56b)은 그 블록에 부여되어 있는 시각정보(TS)를 읽어 내어, 그 값을 시각정보축적수단(57b)에 축적한다. 또, 새로운 블록이 동기신호 제거수단(7)으로부터 출력되면, 그 새로운 블록이 버퍼(61b)에 축적되고, 그 블록에 대응한 시각정보(TS)를 읽어 내어, 그 값이 시각정보 축적수단(57b)에 순차 축적된다.
제 1 카운터인 N비트 카운터(58b)에는 가장 최초로 수신한 블록의 시각정보 (TS)의 상위 N비트의 값(L)으로부터 K(K는 1이상의 자연수)를 뺀 값 (L-K)이 로드된다. 이 후, 송신측에서 공급되는 리세트 스타트 타이밍 신호(RST)가 N비트 카운터(58b)에 입력될 때마다 N비트 카운터(58b)의 출력신호는 하나씩 카운트 업된다.
또한, 제 2 카운터인 M비트 카운터(59b)는, 송신측으로부터 리세트 스타트 타이밍신호(RST)가 공급될 때마다 리세트되어, M비트 카운터(59b)의 출력신호는 리세트된 값(예컨대 "0")부터 하나씩 카운트 업한다.
다음에, 시각정보축적수단(59b)에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시각정보(TS)의 상위비트(N비트)의 값과 N비트 카운터(58b)의 출력값 및 가장 오래된 시각정보 (TS)의 하위비트(M비트)의 값과 M비트 카운터(59b)의 출력값이 시각정보 비교수단 (60b)에 의해 비교된다. 그리고 양자가 같은 값에 이른 경우, 시각정보 비교수단 (60b)의 출력신호는 버퍼(61b)에 대하여 축적되어 있는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하도록 지시하고, 버퍼(61b)는 이 지시에 따라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한다. 더욱,시각정보 축적수단(57b)에 대해서는,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 (TS)를 출력하도록 지시하며, 시각정보 축적수단(57b)은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TS)를 출력한다.
이 후, 가장 오래된 블록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의 상위비트(N비트)의 값과 N비트 카운터(58b)의 출력값 및 시각정보의 하위비트(M비트)의 값과 M비트 카운터(59b)의 출력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자가 같은 값에 달한 경우에 시각정보축적수단(57b) 및 버퍼(6lb)에 신호를 출력하고, 버퍼(61b)는 가장 오래된 블록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현재의 가장 오래된 블록)을 출력한다. 시각정보 축적수단(57b)은 가장 오래 축적된 시각정보(TS)의 다음 다음으로 오래된 시각정보(TS)(현재의 가장 오래된 블록 다음으로 오래된 블록의 시각정보(TS))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버퍼(61b)의 출력신호는 이 후,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단위마다 소정의 식별번호를 동기신호속에 혹은 동기신호와 동시에 부여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N비트 카운터(54b 및 58b)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번호는 라인마다 부여되어 있는 라인번호 이며, 도 18중, 식별번호 1… 식별번호n(단 n은 1이상의 자연수)의 1∼n이 라인번호에 상당한다.)
즉, 이 실시예 10의 도 21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송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고 그 소정 단위는 각 소정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호를 갖는 경우, 시각정보 부가수단(39)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M비트 카운터(5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의 정보로써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한편, 이 실시예 10의 도 21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수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소정의 단위를 이룸과 동시에 소정 단위는 각 소정 단위를 식별하기 위해서 식별부호를 갖는 경우,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서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을 지연하는 시각정보 독출수단(56b)과, 시각정보 축적수단(57b)과, 제 2 카운터인 M비트 카운터(59b)와, 비교수단(6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된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며,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의 정보단위(블록)을 지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변형예로서, 1개의 집합 정보단위를 일정시간내에 축적된 정보로 하는 경우, 예컨데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이 영상신호의 1라인 주기내에 발생한 수를 모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를 이루는 경우, 본 실시예에 있어서 N비트 카운터(54b, 58b)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송신측에서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 시각정보 부가수단은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으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계수하는 소정단위내 계수수단인 M비트 카운터(5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 (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의 정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수신측에서는,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는 정보신호의 일정한 정보단위가 복수개 모여 일정한 시간길이를 갖는 소정의 단위를 이루는 경우에,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 단위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 (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인 하위비트(M비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측은,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상기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에 대응한 시간, 일정한 정보단위(블록)을 지연하는 시각정보 독출수단(56b)과 시각정보 축적수단(57b)과 제 2 카운터인 M비트 카운터(59b)와 비교수단(6O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시각정보(TS)가 일정한 정보신호 혹은 소정 단위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신호의 소정 단위의 기준이 되는 고정된 위치(타이밍)로부터, 시각정보(TS)가 부가되는 위치(타이밍)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단위내 시각정보의 하위비트(M비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고 이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부가되어 있는 시각정보에 따라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마다 정보신호의 소정단위내 시각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일정한 정보 단위(블록)을 지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함으로써,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2에 시각정보 부가수단(39), 시각정보 재생수단 (40)을 설치한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단위는 영상신호의 1라인으로 하였으나, 소정단위는 일정한 간격이면 된다. 따라서 소정 단위를 영상신호의 n라인으로 할 수도 있고, 소정 단위를 영상신호의 n필드, n프레임(n은 1이상의 자연수)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영상신호의 소정 단위의 고정된 위치(타이밍)는 라인, 필드, 프레임의 어느 하나에 동기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소정 단위의 고정된 위치(타이밍)은 반드시 라인, 필드, 프레임중의어느 하나의 선두가 아니어도 된다.
또, 소정 단위가 1라인인 경우에는 라인 카운터, 1필드인 경우에는 필드카운터를, 또 소정 단위가 1프레임인 경우에는 각각 프레임카운터를 번호계수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앞서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의 상반부는 송신측, 하반부는 수신측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11은 실시예 2의 송신측에 비압축부와 식별신호부가수단을 구비하고, 또 수신측에 식별신호인식수단과 비신장부를 구비하여, 그것들에 의한 작용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3에 있어서, 비압축부(32)는, 디지털영상신호를 정보량을 압축하지 않고 출력한다. 식별신호 부가수단(33)은 가변장부호화수단(3)의 출력신호와 비압축부 (32)의 출력신호의 어느 쪽이 입력되는지를 식별하고,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이하, 압축신호라 함)인지,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신호(이하, 비압축신호라 함)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신호를 부가한다. 이 식별신호 부가수단(33)은 입력된 신호가 압축신호인 경우는, 그 압축된 신호의 블록을 복수블록분을 모아서 출력한다. 동기신호 부가수단(34)은 식별신호부가수단(33)의 출력신호에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송신해야 할 신호가 압축신호인 경우는 복수블록의 영상신호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한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구성한다. 다른 한 편, 동기신호부가수단(34)은, 송신해야 할 신호가 비압축신호인 경우에는 하나의 블록의 영상신호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한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구성한다. 이들 구성된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는, 전송로인 동축케이블(6)로 출력(송신)된다.
35는 입력(수신)된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제거수단이다. 36은 입력된 동기신호제거수단(35)의 출력신호를 식별신호부가수단(33)이 부가한 신호에 따라서, 압축신호와 비압축신호의 어느 쪽이 입력되었는지를 인식하여, 압축신호가 입력되었다고 인식했을 때는 후술하는 ECC디코더(37)에, 반면 비압축신호가 입력되었다고 인식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비신장부(38)에 신호를 출력한다. 38은 입력된 식별신호인식수단(36)의 출력신호를 정보량을 신장하지 않고 출력하는 비신장부이며, 37은 입력된 식별신호 인식수단(36)의 출력신호의 소정 단위인 1블록마다의 에러정정부호(ECC)에 따라 부호화된 영상신호의 에러를 검출·정정하는 ECC디코더이다.
이 실시예 11의 도 23의 상반부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은, 입력된 영상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기 위한 압축수단(4)과, 압축수단 (4)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이상의 자연수)로 모아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12)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32)와,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ECC 엔코더 (12)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로 모아 출력하고, 비압축부(32)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하고 또 압축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33)과, 식별정보 부가수단(33)의 출력신호에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34)을 구비한다. 그 구성에 의해 동기신호 부가수단(34)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정보신호가 정보량이 압축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의 압축신호를 복수단위 모아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 즉 비압축신호의 하나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구비하며, 어느쪽의 송신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인지를 식별하는 신호를 부가하고, 또 하나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도록 한 송신장치 혹은 송신방법이다.
다른 한편, 이 실시예 11의 도 23의 하반부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은, 하나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 혹은 1개의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35)과, 동기신호 제거수단(35)의 출력신호를 압축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에 따라 분배하는 식별신호 인식수단(36)과, 식별신호 인식수단 (36)의 출력신호가 압축신호인 경우에,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된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에러정정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 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37)와, ECC디코더(37)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11)과, 식별신호인식수단의 출력신호중 비압축신호을 입력하는 비신장부(3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이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정보신호가 정보량이 압축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의 압축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비압축신호의 하나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구비하며,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1개 단위의 정보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복수단위의 정보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고, 그 식별결과에 따라서 수신장치를 선택한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과 전송로로 전송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전송 시스템 및 이것을 구성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형식에 관해서, 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는 본 실시예의 압축신호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정보신호 a(영상신호 a), 압축정보신호 b(영상신호 b), 압축정보신호 c(영상신호 c)는 영상입력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블록화한 신호이며, 이 1블록의 정보신호의 각각에 에러정정신호(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 복수개 모아, 복수개 모은 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를 형성하고 있다.
다른 한편, 도 24b는, 본 실시예의 비압축신호의 데이터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비압축정보신호(영상신호)는 영상입력신호의 정보량을 압축 하지 않고 블록화한 신호이며, 이 1블록의 정보신호의 1개와,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여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의 신호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수의 정보(신호)원을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포함시킬 수 있고, 또한 식별신호에 의해, 압축신호뿐만 아니라 비압축신호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어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정보신호 2블록(2단위)마다 에러정정신호를 부가하는 등, 복수단위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 11에서는 (실시예2)의 것에 비압축정보신호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부가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 (즉 실시예 1∼실시예 5)인 것에 비압축정보신호를 송신 혹은 수신하는 장치 또는 방법을 부가한 것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2)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전송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앞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2를 SDI규격(Serial Digital Interface규격, 즉 SMPTE 259M" PROPOSED SMPTE STANDARD FOR TELEVISION 10Bit 4:2:2 Component and 4fsc Composite Digital Signals")에 적용한 것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인 전송시스템의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의 (a)는,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A의 (a)에 있어서, Ancillary Data Space는, 동기신호와 정보신의 이외의 신호로서, 영상신호자체는 아니지만 필요한 정보신호, 즉 보조 데이터신호를 설치하는 영역이다. 이 Ancillary Data Space는 268 워드 길이(단 1워드는 10비트이다)로 설치되어 있다. Active Video Line Space는 정보신호를 설치하는 영역이다. (Active Video Line Space의 워드길이는 1440워드길이(콤포넌트 디지털 영상정보의 1 라인분에 상당한다)설치되어 있다.
또, EAV(End of Active video)는 동기코드의 하나로서, PAYLOAD (Active Area)의 직후에 설치된 동기코드이다. SAV(Start of Active Video)는, 동기코드의 하나로서 PAYLOAD(Active Area)의 직전에 설치된 동기코드이다. ANC Data Packet(Ancillary Data Packet)은, EAV와 SAV의 사이의 HANC[H(horizontal)의 ANC]의 영역에 보조적으로 받아들인 옵션적인 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는, HANC에는 오디오데이터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상이, SDI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는 데이터형식의 개략이다.
도 25A 의 (b)는 본 발명을 SDI규격중, Active Video Line Space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A의 (b)에 있어서, 일정의 정보단위는 워드길이 174워드분으로 되어 있다. 이 일정한 정보단위가 8개 모여 하나의 Active Video Line Space를 형성하고 있다. 또, 나머지의 48워드(1440-174×8=48이 된다)는, 미사용영역으로서 블랭크데이터를 넣어도 좋고, 혹은, 보조 데이터를 넣어 사용하는 등 추가옵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5A의 (c)는 본 실시예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A의 (c)에 있어서, Data Packet Payload는 압축된 정보가 설치되는 영역이며, l62워드길이 설치되어 있다. Reed Solomon은 ECC가 설치되는 영역이며, 4워드길이설치된다. Time Stamp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이며, 3워드길이 설치된다. 또, SAD(Source Address)는, 송신측의 기기어드레스이며, DAD(Destination Address)와 함께 기기의 루팅이 가능하다. DAD는, 수신측의 기기 어드레스로서, DT(Data type)BLOCK내의 데이터 (DVCPRO에서는, 162워드)가 어떤것인지 나타내는 것이다.
P·T(Packet type)는 SDI데이터 패킷의 타입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컨대, TIME STAMP가 유효인지 무효인지 등을 나타내며, WC(Word Count) SDI 데이터 패킷 페이로드중의 유효 데이터길이를 나타낸다.
또, 본 실시예 12에서는 1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4D, E와 같이 정보신호 2블록(2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등 복수단위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송신장치 또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그 특징은 M바이트(본 실시예에서는 1440워드)의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수신하는 전송 시스템(SDI 규격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1∼실시예 6에 기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로 하는 것이다. (단 M>N이며, M,N은 자연수)(본 실시예에서는 174워드).
다른 한편, 본 실시예 12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M바이트 (본 실시예에서는 1440워드)의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수신하는 전송 시스템(SDI규격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1 ∼실시예 6에 기재한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N 바이트로 하는 것이다.(단 M>N 이며, M, N은 자연수)(본 실시예에서는 N은 174워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예컨대, 기존의 SDI규격을 사용하는 기기와 같이, 정보신호를 설치하는 데이터영역이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에 있어서도, 기존의 설비를 사용한 채로,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다수의 정보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25B는, 이 실시예 12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 7의 전송 시스템의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있어서의 또 하나의 데이터형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5B의 (a)는, SDI규격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데이터형식 이며 도 25A의 (a)와 같은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SDI규격에 적용한 경우의 하나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25B의 (b)는 SDI규격중, Active Video Line Space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25B의 (b)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는 l7l워드로 되어 있으며, 이 일정한 정보단위가 8개 모여 하나의 Active Video Line Space를 형성하고 있다. 또, 나머지 72워드는, 미사용영역으로서 블랭크데이터를 넣어도 좋고, 혹은 보조 데이터를 넣어 사용하여도 좋고, 추가옵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B의 (c)는 본 실시예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B의 (c)에 있어서, DIF Block Data는 압축된 정보가 설치되는 영역이며, DIF Block ID는 압축된 정보의 내용을 식별하는 식별정보이며 각각 2개씩의 영역이 설치된다. TYPE은 압축방식이나 스트림형식을 나타내는 정보 영역이며,TT(Transmission Type)은 전송속도나 영상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의 영역, ST(Signal Type)는 신호형식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설치되는 영역이며, Reserved Data는 예컨대 시각정보를 부가할 수 있도록 장래의 목적을 위해 예약되어 있는 정보의 영역이며, ECC는 4바이트의 Reed Solomon 부호가 설치되는 영역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블록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였으나, 이 밖의 형태로서 도 4d, e와 같이 정보신호 2블록(2단위)마다 에러 정정신호를 부가하는 등 복수단위마다의 영상신호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실시예12에서 도 23에 있어서 상반부에 나타낸 송신장치, 송신방법의 특징은 M바이트(본 실시예에서는 1440워드)의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SDI규격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1∼실시예 6에 기재한 송신장치 또는 송신방법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로 하는 것이다.(단 M>N이며, M, N은 자연수, 본 실시예에서는 N은 171워드).
다른 한 편, 실시예 12에서 도 23의 하반부에 나타낸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특징은 M바이트(본 실시예에서는 1440워드)의 정보신호를 1개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수신하는 전송 시스템(SDI 규격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예 1∼실시예 6에 기재한 수신장치, 수신방법의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 로 하는 것이다 (단 M>N 이며, M, N은 자연수, 본 실시예에서는 N은 17l워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예컨대, 기존의 SDI 규격을 사용하는 기기와 같이 정보신호를 설치하는 데이터영역이 충분히 크게 설정되어 있는 기존의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에 있어서도, 기존의 설비를 사용한 채로 1개의 집합정보단위에 다수의정보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어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의 것을 SDI 규격에 적용시킨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것과는 달리, 다른 실시예(실시예 1∼실시예 11)의 것을 SDI 규격에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3)
이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ECC로서 4워드의 리드 솔로몬부호로 하는 것이 최적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동축케이블상에 디지털신호를 전송할 때에, 어느정도의 부호길이의 에러정정부호를 붙이면, 전송효율을 그다지 감소시키지 않고 충분한 에러 정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서술한다.
먼저, 전송로로서는, 전송되는 디지털신호의 감쇠량이 그 클럭의 반의 주파수(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은 감쇠량의 길이의 동축케이블을 사용한다.
즉, 도 26에 방송국내나 스튜디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C2V 동축케이블의 케이블길이와 감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의 전송클럭주파수는 270MHz를 사용하므로, 그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감쇠량이 20dB ∼30dB에 상당하는 전송거리(케이블길이)는, 전송클럭주파수가 270MHz인 경우는 200m∼280m이 되고, 360MHz인 경우는 170m∼250m이 된다. 즉, 그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감쇠량이 30dB를 넘지 않은 범위에 상당하는 전송거리(케이블거리)는, 전송클럭주파수가 270MHz인 경우는 280m이하(약 300m 이하)가 되고, 360MHz인 경우는 250m 이하가 된다. 본 실시예의 에러율측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5C2V 동축케이블의 길이는 200m 및 150m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또, 클럭의 주파수는 270MHz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송로를 사용하여, 하기의 표 l 에 나타내는 6개의 측정조건의 신호를 도 27의 왼쪽에 스케매틱으로 나타내는 송신장치로부터 송신하고, 동 도면 오른쪽에 스케매틱으로 나타낸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그 에러율을 측정하였다.
표 1
측 정 조 건
5C2V케이블길이 터주파수 터량 신호진폭
조건 1 200m 1MHz 0.3ns∼0.7ns 90%
조건 2 200m 1MHz 0.4ns∼0.7ns 100%
조건 3 150m 1MHz 0.6ns∼0.7ns 90%
조건 4 150m 2MHz 0.6ns∼0.7ns 100%
조건 5 150m 2MHz 0.6ns∼0.7ns 90%
조건 6 200m 2MHz∼6MHz 0.4ns 100%
여기서, 신호로서는 칼라 바를 사용하고, 송신장치측에서 부가하는 지터는 주파수 1MHz∼6MHz이며, 지터량은 0.7ns 이하이며, 신호진폭은 90% 또는 100%인 것을 사용하였다. 즉, 지터는 도 28에 나타내는 범위내의 지터를 채용하여 행하였다. 도 28은 SMPTE259M에서 규정되어 있는 전송조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지터란 디지털신호의 전송의 이상적인 위치(타이밍)에 대한 시간변동이며, 타이밍이란 어떤 특정한 주파수(일반적으로는 10Hz 혹은 그 이하)보다 큰 주파수에서 일어나는 디지털신호의 전송의 위치(타이밍)적 변동을 말한다. 또한, 얼라이먼트 지터란 디지털신호의 전송 신호로부터 추출(재생)된 클럭에 대한 위치(타이밍)적인 변동을 말하며, 유니트 인터벌(Unit Interval: 이하 UI라고 함)이란 l클럭 사이클시간을 말하며, 시리얼신호의 전송사이의 명목상의 최단시간에 해당한다. 발명자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이들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규격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의 범위내이다.
에러측정기로 필드단위에 있어서의 에러검출을 행하여 에러수를 카운트 업하였다. 또한, 측정시간과 에러수로부터 에러비율과 에러발생간격을 산출하였다. 또, 필드단위의 에러검출을 행하고 있으므로, 필드단위에서의 에러수가 1비트 이상이더라도 측정결과로서 1필드에 1회의 에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실제의 에러비율은 디스크럼블에 의한 에러파급이나 1필드내에서 복수개의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러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에러비율의 측정결과로부터도, 더욱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각 조건에 따라 발명자가 실험을 행한 결과를 표 2 ∼표 7에 나타낸다.
표 2
조건 1에서의 측정결과
지터량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0.3ns 24시간42분 3 1.25×10-13 12시간14분
0.4ns 6시간31분 6 9.47×10-13 1시간5분10초
0.5ns 3시간38분 20 5.66×10-12 10분54초
0.6ns 2시간59분 79 2.72×10-11 2분16초
0.7ns 2시간49분 257 9.39×10-11 40초
표 3
조건2에서의 측정결과
지터량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0.4ns 21시간42분 2 9.56×10-14 10시간46분
0.5ns 9시간57분 1 1.03×10-13 9시간57분
0.6ns 17시간 1분 20 1.21×10-12 51분3초
0.7ns 5시간28분 8 1.51×10-12 41분
표 4
조건 3에서의 측정결과
지터량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0.6ns 48시간53분 0 에러 없음
0.7ns 23시간49분 2 8.64×10-14 11시간54분30초
표 5
조건 4에서의 측정결과
지터량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0.6ns 2시간45분 4 1.50×10-12 41분15초
0.7ns 1시간0분 12 1.23×10-11 5분
표 6
조건 5에서의 측정결과
지터량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0.6ns 1시간12분 623 5.34×10-10 7초
0.7ns 1시간39분 5809 3.62×10-9 1초
표 7
조건 6에서의 측정결과
지터주파수 측정시간 에러수 에러 비율 에러발생간격
2MHz 12시간8분 91 7.71×10-12 8분
3MHz 1시간1분 174 1.76×10-10 21.0초
4MHz 1시간0분 594 6.11×10-10 6.1초
5MHz 1시간2분 657 6.54×10-10 5.7초
6MHz 1시간1분 2822 2.86×10-9 1.3초
여기서, 에러 비율은 에러비율=에러수/(측정시간×270Mbps)의 식으로 계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조건이라도, 엄격한 전송환경에서는 에러비율이 1×10-8정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정도의 에러비율은, 종래의 비압축 디지털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육안으로는 거의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없었다.
그러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이나 DVC(Digital Video Cassette)의 규격에 정해진 바와 같은 압축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비트의 에러가 DCT의 영역단위(영역레이어), 슬라이스단위(슬라이스·레이어), 혹은 GOP(Group of Picture)단위(레이어)로 에러파급을 일으켜 큰 화질열화가 된다. 화질열화의 영향정도는, 압축알고리즘이나 비트에러가 발생한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어떻게든 어떤 에러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실용상문제가 된다.
예컨대, 전송속도 27Mbps(bit per second)의 압축신호를 클럭주파수270MHz의 조건으로 전송하는 경우, 비트에러율이「1×10-11」에서는 평균에러발생간격은 약 l시간, 비트에러율이 「1×10-10」에서는 평균 에러 발생간격은 약 6분, 비트에러율이 「1×10-9」에서는 평균 에러 발생간격은 약 37초, 비트에러율이 「1×1O-8」에서는 평균 에러 발생간격은 약 3.7초가 되기 때문에, 전송파라미터가 이상과 같은 조건이라도 실용에 견딜 수 없다.
여기서, 에러대책 수단으로서, 에러가 있는 패킷을 재송한다고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으로는 재송에 의한 전송시간이 지연이 생기고, 또 한쪽 방향전송 시스템(예컨대, SMPTE 259M)으로서는 재송 메커니즘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방법으로는,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신호의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전송효율이 저하한다. 부가정보를 적게 하기 위해서 에러정정부호의 부호길이를 짧게 하면, 에러 정정능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부호길이의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면, 전송효율을 그다지 감소시키지 않고 충분한 에러 정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가 문제가 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하에, 어느 정도 부호길이의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면 좋은지를 그 이유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9는 리드 솔로몬부호의 에러 정정능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9의 가로축에 나타내는 BER(Bit Error Rate)는, 비트에러비율, 즉, 반송로상에서의 비트에러의 발생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9의 세로축에 나타내는 Pbe(Block error rate)는 블록에러 비율, 즉, 에러 정정을 행하여도 정정할 수 없던 블록의 발생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블록길이 N=255바이트(1바이트=8비트)이며, 이것은 8비트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부가하는 경우의 최대의 블록길이이다. 또한, 도 29는 스크램블드(scrambled) NRZI부호에 의한 에러파급도 고려한 도면이다. 즉, 이 방식은 전송로상에서 디지털신호의 1과 0이 평균적으로 발생하도록 라이더 마이즈를 행한 것이다. 이 방식에서는, 에러가 발생하면 다음으로 이어지는 11비트내의 6비트에 에러가 전파한다. 따라서, 1비트의 에러가 발생하면 반드시 2워드(여기서는 1워드는 10비트이다)에 걸쳐서 에러가 파급한다. 그러므로, 리드 솔로몬부호의 에러 정정능력은, T=2이상이 필요하며, 에러정정부호를 최소한 4바이트 이상으로 해야 한다.
또, 에러정정부호 자체도 블록중에 포함되어 있다. 에러정정부호를 일정하게 한 경우, 블록길이가 길수록 정정능력은 낮아지기 때문에, 도 29는, 가장 정정능력이 낮을 경우의 정정능력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T는, 1블록중 정정가능한 심볼(바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4바이트의 리드솔로몬(에러정정)부호를 블록에 부가한 경우, 1블록중에 있어서 2심볼(바이트)까지의 심볼(바이트)에러가 정정가능(T=2)하며, 2바이트의 리드솔로몬(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한 경우, 1블록중에 1심볼(바이트)까지의 심볼(바이트)에러가 정정가능(T=1)하다. 또 T=0은,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표 2∼표 7 및 도 9로부터 어느 정도의 부호길이의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면 좋은지를 그 이유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표 2∼표 7에 나타낸 에러율의 측정결과로부터, 전송 파라미터가 이상과 같은 조건내, 즉 SMPTE 259M 규격내의 조건내이더라도, 엄격한 조건의 원래에는, 비트에러비율이 1×10-8정도가 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29를 사용하여, 2n바이트(즉 T= n, n은 1이상의 자연수)의 리드 솔로몬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한 경우에, 충분한 에러 정정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검토한다:
[1] 2바이트(T= 1)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부가한 경우 :
비트에러 비율이 1×1O-8이 되면 2바이트(T= 1)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부가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에러 정정을 행함으로써 블록 에러 비율이 약 1×10-9까지 개선된다. 이 값은, 전송속도 27Mbps의 압축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블록의 에러가 26시간에 1회 발생한다는 에러발생간격에 상당한다. 따라서, 2바이트(T=1)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사용하여 충분한 에러 정정을 행하는 것은 어렵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램블드 NRZI부호에 의한 에러 파급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 솔로몬부호의 에러 정정능력은, T=2이상(즉 에러정정부호는, 최소한 4바이트 이상)이 아니면 안되고, 2바이트(T=1)의 리드 솔로몬(에러정정)부호는 본 실시예에서는 의미가 없다.
[2] 4바이트(T=2)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부가한 경우 :
비트 에러비율이 1×10-8이 되면 4바이트(T= 2)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부가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에러 정정을 행함으로써 블록 에러비율이 3×10-13까지 개선된다. 이 값은, 전송속도 27Mbps의 압축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블록의 에러가 약10년에 1회에 발생한다는 에러 발생간격에 상당한다. 따라서, 4바이트(T= 2)의 리드 솔로몬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을 행함으로써, 충분한 에러 정정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 솔로몬부호를 에러정정부호로 하여, 그 길이를 4워드(T= 2)로 함으로써, 부가정보를 적게 하고, 또한 충분한 에러 정정능력을 얻을 수 있다는 양쪽 조건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 리드 솔로몬부호와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 비트를 병용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한 심볼(바이트)위치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장치 혹은 수신방법에 있어서, 패리티 비트에 의해 에러 개소를 검출하여, 그 후 리드 솔로몬 부호에 의해 에러 정정을 행함으로써, 에러 정정능력은 아래와 같이 된다 :
패리티 에러의 검출로 1블록중 4개소의 에러바이트가 검출된 경우는, 그 4바이트의 에러에 대하여 정정가능하다.
패리티 에러검출로 l 블록중 3개소의 에러바이트가 검출된 경우는, 그 3바이트의 에러에 대하여 정정가능하다.
패리티 에러검출로 1블록중 2개소의 에러바이트가 검출된 경우는, 그 2바이트의 에러(2)와 그 밖의 위치불명인 1바이트에 대하여 에러 정정가능하다.
패리티 에러검출로 l블록중 1개소의 에러바이트가 검출된 경우는, 그 1바이트의 에러와 그 밖의 위치불명인 1바이트에 대하여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
패리티 에러검출로 1 블록중 에러바이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1블록중 위치불명인 2 바이트에 대하여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소정 바이트수의 리드 솔로몬(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실질적인 에러 프리(error free)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공통의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함으로써 압축방식에 관계없이 에러 프리의 환경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에러 정정을 공통의 패킷 포마트로 함으로써 상호접속을 위한 토탈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즉, 압축수단이 여러가지로 변하더라도, 공통의 리드 솔로몬(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것을 구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공통으로 할 수 있고,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4)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인 전송 시스템, 전송방법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앞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것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2의 도 3의 수신측에 9-8변환수단을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송신측에 8-9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은, N행×J열(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8, J=170으로서, (8×170)비트, 즉 170바이트이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소정 단위인 라인은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가능하며, 그것을 구성하는 각 워드는 N행(N비트의 행, 단 N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N=8로 하고 있다)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비트의 행, 단 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M=2이다)이고 또 장황한 신호인 패리티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고 있다. (단 N+M=10비트)
예컨데, 송수신간의 전송속도가 270Mbps인 경우, 1440워드, 360Mbps인 경우 1920워드이다. (1워드=10비트)또, 여기서 소정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최대 정보량 즉 일정한 정보량이란, (N행×I열)비트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N=8이며, I=1440(전송속도가 270Mbps인 경우) 또는 1920(전송속도가 360Mbps인 경우)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30에 있어서, X-Y변환수단인 8-9변환수단(70)은,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가 각 일정의 정보단위인 블록(N행×J열, 본 실시예에서는 8×170)를 단위로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이 일정한 정보량[즉, N행×I열, 본 실시예에서는 8×1440(전송속도가 270Mbps인 경우) 또는 8×1920(전송속도가 360Mbps인 경우)]를 넘는 경우에, ECC엔코더(l2)의 (N행×J열)로 구성되는 출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 8-9변환수단(70)의 출력신호는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된다. 상술의 일정한 정보량이란, 소정 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각 워드중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N행 (N비트의 행)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는 최대정보량이다.
한편, ECC 엔코더(12)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송신측의 구성은 압축수단 (4)의 출력신호(N행×J열)를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이 일정한 정보량을 넘는 경우에,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의 영상신호가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는 X-Y변환수단인 8-9변환수단으로 하고, 또 이 8-9변환수단(70)의 출력신호를 동기신호 부가수단(13)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상술의 일정한 정보량이란 소정 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각 워드중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N행(N비트의 행)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는 최대정보량이다.
9-8변환수단(71)은 동기신호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제 1 영역에 재배치할 수 있다. 즉, 9-8변환수단(71)은 N행×J열(본 실시예에서는 8×l70)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으로 복원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Y-X변환수단이다. 이 9-8변환수단(71)의 출력신호는 ECC디코더(14)로 출력한다.
한편, ECC디코더(1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신측의 구성은,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중 제 2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제 1 영역에만 재배치할 수 있도록, 9-8변환수단(71)의 출력신호를, 신장수단(11)으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단 상기의 9-8변환수단(71)은 N행×J열(본 실시형태에서는 8×170)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으로 복원할 수 있는 구성의 Y-X변환수단이다.
즉, 송신장치, 송신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에 기재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은 N행(N 비트의 행)(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8로 하고, 8비트의 행이다.)×J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소정단위인 라인은 일정한 정보량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가능하다. 그것을 구성하는 각 워드는 실질적인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제 1영역과 매우 긴 신호인 패리티 신호 등이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고 있다. 제 1 영역은 N행인 N비트(N은 1이상의 자연수)로, 또 제 2 영역은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이 일정한 정보량을 넘는 경우는, 실질적인 정보신호인 영상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한 정보량은 소정 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각 워드중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N비트의 제 1 영역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최대정보량이다.
다른 한편, 수신장치, 수신방법에 있어서는,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 1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은 N행(N비트의 행)(본 실시예에서는 N= 8이다.)×J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소정 단위인 라인은 일정한 정보량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하다. 그것을 구성하는 각 워드는 실질적인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장황한 신호인 패리티신호등이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그 제 1 영역은 N행(N비트의 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한 제 2 영역은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인 영상신호가 제 1 영역에만 재배치될 수 있다, 즉 N비트의 행,본 실시예에서는 8비트의 행의 N행×J열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으로 복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수신방법과 전송로로 전송시스템, 전송방법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도 3l을 사용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인 전송시스템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에 있어서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의 송신장치, 송신방법에서는, 디지털영상입력신호는 압축수단(4)에 입력되어 정보량이 압축된다. 압축수단(4)의 출력신호는 ECC엔코더(12)에 입력되어, ECC엔코더(12)에 있어서 각각의 정보신호에 에러정정부호(ECC)가 부가된다.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는, X-Y변환수단인 8-9변환수단(70)에 입력되고, 여기서,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이 일정한 정보량을 넘는 경우에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의 각 블록에 있어서, 제 1 영역(B0∼B7의 영역에 상당한다)에만 존재하는 영상신호(도 31a 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B8 또는 B8, B9에 상당한다)의 패리티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된다.(도 31b 참조). 이 때,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패리티신호는 파기된다. 또, 상기 패리티신호가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하였을 때에 제 1 영역에 틈이 생긴 경우에는, 유사신호(더미신호)를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신호는, 동기신호 부가수단(13)에 신호가 출력된다. 상술의 일정한 정보량이란, 소정 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각 워드중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N행(N비트의 행)의 제 1 영역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는 최대정보량이다.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이 소정 단위인 라인을 구성하는 각 워드중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N행(N비트의 행)의 제 1 영역을 구성가능한 일정한 정보량을 넘지 않은 경우에는 ECC엔코더(12)의 출력신호를 그대로 동기신호부가수단(13)에 출력한다.
다른 한편, 도 30의 수신장치, 수신방법에서는, 수신신호중 동기신호가 동기신호 제거수단(7)으로 동기신호가 제거된 후,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영상신호가 있으면, 동기신호 제거수단(7)의 출력신호는 9-8변환수단(71)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재배치할 수 있다. 즉, N비트의 행, 본 실시예에서는 8비트 행의 N행×J열의, 일정한 정보단위인 블록으로 복원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송신측에서 8-9변환할 때의 규칙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행하여, 8-9변환이 행하여지기 전의 상태와 같은 상태로 복원된다. 그 9-8변환수단(7l)의 출력신호는 ECC디코더(14)로 블록마다 부가된 에러정정부호에 따라 신호의 에러 정정이 행하여진다. 이 후, ECC디코더(14)의 출력신호는, 신장수단(11)에 의해서 신장되어 디지털영상출력신호가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되는 정보신호가 많은 경우에도, 소정 단위로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1에 있어서 TYPE란, 압축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것이며, 예컨대, DVCPR은 221h로 되어 있다. 또, MPEG는 MPEG용 타입이 부가된다. 다음으로, REV는, Reserved(리저브드)의 약자이며, 규격상 장래를 위해 새로운 비트정의를 행할 수 있도록, 또 사용자가 마음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리저브하고 있는 영역이다. 다음으로, ST란, Signal Type의 약자이며, 신호형식을 나타내고 있다. DVCPRO에서도 필드주파수가 50Hz/60Hz (59.94Hz)의 형식인 것이나, 휘도신호와 색신호의 샘플수에 따라 틀리는 등, 같은 DVCPRO에서도 다양한 신호형식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TT란, Transmission Type의 약자이며, 전송형식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재생의 1배속전송뿐만 아니라 4배속전송이나 8배속전송 등 다양한 전송형식을 식별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식별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2의 구성에 X-Y변환수단(70) 및 Y-X변환수단(71)을 설치한 것이지만, 이것을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X-Y변환수단(70) 및 Y-X변환수단(71)은 X-Y변환 및 Y-X변환하거나 하지 않거나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항상 X-Y변환 및 Y-X변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바람직한 형태의 현 개시내용은 구성 세부에 있어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각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의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집합정보단위에 다수의 정보신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544)

  1.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인 동축케이블이,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에,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인 동축케이블이,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에,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인 동축케이블이,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에,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인 동축케이블이,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에,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여기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9. (보정후)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10.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신하고, 또 송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되며, 또 상기 유선의 전송로인 동축케이블이,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로서,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1.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신하고, 또 송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되며, 또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2. (보정후)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의 리드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3.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는, 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의 동축케이블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에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4.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는 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의 동축케이블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5.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는 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의 동축케이블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6.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고, 상기 유선의 전송로를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이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7.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고, 또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이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8.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고, 또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이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솔로몬부호로 구성한 수신장치.
  19. (보정후) 제 13 항 내지 제 1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0.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또 수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며, 상기 유선의 전송로는 동축케이블로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신호의 감쇠량이 상기 정보신호의 반송파주파수의 반의 주파수에 있어서 20dB∼30dB를 넘지 않는 길이인 경우에, 에러정정부호가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21.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또 수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며, 또 상기 유선의 전송로상에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은 SMPTE259M 혹은 SMPTE292M 규격으로 규정된 것이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 이상의 리드 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22. (보정후)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정정부호는 4바이트의리드솔로몬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23.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 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4.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 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5.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 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6.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가지며,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 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7.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신하고, 또 송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되며, 또 에러정정부호를 리드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한 송신방법.
  28.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어지고, 또 에러정정부호가 리드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패리티비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인 곳을 검출한 후 상기 리드솔로몬부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29.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고, 또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패리티비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인 곳을 검출한 후 상기 리드솔로몬부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30. (보정후) 수신된 신호가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고, 또 상기 에러정정부호가 리드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며, 상기 패리티비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인 곳을 검출한 후 상기 리드솔로몬부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한 수신장치.
  31.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또 수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부터 보내어지며, 또 에러정정부호가 리드솔로몬부호와 상기 정보신호의 각 바이트마다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패리티비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인 곳을 검출한 후 상기 리드솔로몬부호로 상기 정보신호중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 수신방법.
  32.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3.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4.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5.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입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6.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7.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8.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39.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출력된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에 상기 시각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부가하는 시각정보 부가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40.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따라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1.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2.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3.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4.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5.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중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에 포함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인식하여 상기 시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지연하는 시각정보 재생수단을 설치한 수신장치.
  46.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음과 동시에 여기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또한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또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한 X-Y변환수단을 더욱 설치한,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의 송신장치.
  47.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타임 시퀀셜)로 출력하는 합성수단(멀티플렉서)와,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여기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이며, 또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한 X-Y변환수단을 더욱 설치하고,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48.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여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음과 동시에 여기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이며, 또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한 X-Y변환수단을 더욱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49.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단위를 복수 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이며, 또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한 X-Y변환수단을 더욱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50.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의 X-Y변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51.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을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압축수단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의 X-Y변환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52.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압축수단 및 상기 비압축부의 각각의 출력신호를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선택하고 또한 직렬로 출력하는 합성수단과, 상기 합성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여기에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이것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의 X-Y변환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53. (보정후)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을 압축하여 일정한 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수단의 출력신호를 n단위(n은 1 이상의 자연수) 모아서 에러정정부호를 부가하는 ECC엔코더와, 입력된 정보신호를 압축시키지 않고 일정한 집합정보단위마다 출력하는 비압축부와,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복수단위 모아서 출력하고, 상기 비압축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상기 집합정보단위를 하나 출력함과 동시에 정보량이 압축된 신호인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부호를 부가하는 식별정보 부가수단과, 상기 식별정보 부가수단의 출력신호에 1개의 동기신호를 부가하는 동기신호 부가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ECC엔코더의 출력신호의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의 X-Y변환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동기신호 부가수단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한 송신장치.
  54.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신하고,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가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정보신호의 정보량에 따라 상기 실질적인 정보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가능한 구성으로 한 송신방법.
  55.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56.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57.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58.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59.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60.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하며,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동기신호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Y-X변환수단을 가지는 수신장치.
  61.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로서 수신하고, 또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는 N행(N은 1이상의 자연수)이고 상기 일정한 정보단위가 1개 이상 모여 소정 단위를 이루는 경우로서, 더욱 상기 소정 단위는 N행이며 또 실질적인 정보신호가 배치되는 제 1 영역과 M행(M은 1이상의 자연수)이며 또 장황한 신호가 배치되는 제 2 영역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소정 단위는 일정한 정보량 이하의 정보신호로 구성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 2 영역에 배치된 실질적인 정보신호를 상기 제 1 영역에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 수신방법.
  62.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송신하고, 또 송신되는 신호는 유선의 전송로로 송신되며, 또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송신하는 송신방법.
  63.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64.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65.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어 있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한 수신장치.
  66.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중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67.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
  68. (보정후)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고, 또, 1개의 동기신호와 복수 단위의 압축된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서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거하는 동기신호 제거수단과, 상기 동기신호 제거수단의 출력신호중 에러정정부호를 부가된 단위마다 에러정정부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ECC디코더와, 상기 ECC디코더의 출력신호를 합성된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된 정보신호를 1단위마다 신장하는 신장수단과,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신호중 정보량이 압축되지 않은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비신장부를 구비한 수신장치.
  69. (보정후) 1개의 동기신호와 일정한 정보단위의 정보신호를 복수개 모은 것을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수신하고, 또 M바이트의 정보신호를 하나의 집합정보단위로 하여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정보단위를 N바이트(M>N이며, M,N은 자연수)로서 수신하는 수신방법.
  70. (보정후)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제 32 항 내지 제 39 항, 제 46 항 내지 제 53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장치와,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제 40 항 내지 제 45 항, 제 55 항 내지 제 60 항, 제 63 항 내지 제 6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장치를 구비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시스템.
  71. (보정후)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제 27 항, 제 54 항, 제 6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방법과,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제 31 항, 제 61 항, 제 69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신방법을 구비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송방법.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146. 삭제
  147. 삭제
  148. 삭제
  149. 삭제
  150. 삭제
  151. 삭제
  152. 삭제
  153. 삭제
  154. 삭제
  155. 삭제
  156. 삭제
  157. 삭제
  158. 삭제
  159. 삭제
  160. 삭제
  161. 삭제
  162. 삭제
  163. 삭제
  164. 삭제
  165. 삭제
  166. 삭제
  167. 삭제
  168. 삭제
  169. 삭제
  170. 삭제
  171. 삭제
  172. 삭제
  173. 삭제
  174. 삭제
  175. 삭제
  176. 삭제
  177. 삭제
  178. 삭제
  179. 삭제
  180. 삭제
  181. 삭제
  182. 삭제
  183. 삭제
  184. 삭제
  185. 삭제
  186. 삭제
  187. 삭제
  188. 삭제
  189. 삭제
  190. 삭제
  191. 삭제
  192. 삭제
  193. 삭제
  194. 삭제
  195. 삭제
  196. 삭제
  197. 삭제
  198. 삭제
  199. 삭제
  200. 삭제
  201. 삭제
  202. 삭제
  203. 삭제
  204. 삭제
  205. 삭제
  206. 삭제
  207. 삭제
  208. 삭제
  209. 삭제
  210. 삭제
  211. 삭제
  212. 삭제
  213. 삭제
  214. 삭제
  215. 삭제
  216. 삭제
  217. 삭제
  218. 삭제
  219. 삭제
  220. 삭제
  221. 삭제
  222. 삭제
  223. 삭제
  224. 삭제
  225. 삭제
  226. 삭제
  227. 삭제
  228. 삭제
  229. 삭제
  230. 삭제
  231. 삭제
  232. 삭제
  233. 삭제
  234. 삭제
  235. 삭제
  236. 삭제
  237. 삭제
  238. 삭제
  239. 삭제
  240. 삭제
  241. 삭제
  242. 삭제
  243. 삭제
  244. 삭제
  245. 삭제
  246. 삭제
  247. 삭제
  248. 삭제
  249. 삭제
  250. 삭제
  251. 삭제
  252. 삭제
  253. 삭제
  254. 삭제
  255. 삭제
  256. 삭제
  257. 삭제
  258. 삭제
  259. 삭제
  260. 삭제
  261. 삭제
  262. 삭제
  263. 삭제
  264. 삭제
  265. 삭제
  266. 삭제
  267. 삭제
  268. 삭제
  269. 삭제
  270. 삭제
  271. 삭제
  272. 삭제
  273. 삭제
  274. 삭제
  275. 삭제
  276. 삭제
  277. 삭제
  278. 삭제
  279. 삭제
  280. 삭제
  281. 삭제
  282. 삭제
  283. 삭제
  284. 삭제
  285. 삭제
  286. 삭제
  287. 삭제
  288. 삭제
  289. 삭제
  290. 삭제
  291. 삭제
  292. 삭제
  293. 삭제
  294. 삭제
  295. 삭제
  296. 삭제
  297. 삭제
  298. 삭제
  299. 삭제
  300. 삭제
  301. 삭제
  302. 삭제
  303. 삭제
  304. 삭제
  305. 삭제
  306. 삭제
  307. 삭제
  308. 삭제
  309. 삭제
  310. 삭제
  311. 삭제
  312. 삭제
  313. 삭제
  314. 삭제
  315. 삭제
  316. 삭제
  317. 삭제
  318. 삭제
  319. 삭제
  320. 삭제
  321. 삭제
  322. 삭제
  323. 삭제
  324. 삭제
  325. 삭제
  326. 삭제
  327. 삭제
  328. 삭제
  329. 삭제
  330. 삭제
  331. 삭제
  332. 삭제
  333. 삭제
  334. 삭제
  335. 삭제
  336. 삭제
  337. 삭제
  338. 삭제
  339. 삭제
  340. 삭제
  341. 삭제
  342. 삭제
  343. 삭제
  344. 삭제
  345. 삭제
  346. 삭제
  347. 삭제
  348. 삭제
  349. 삭제
  350. 삭제
  351. 삭제
  352. 삭제
  353. 삭제
  354. 삭제
  355. 삭제
  356. 삭제
  357. 삭제
  358. 삭제
  359. 삭제
  360. 삭제
  361. 삭제
  362. 삭제
  363. 삭제
  364. 삭제
  365. 삭제
  366. 삭제
  367. 삭제
  368. 삭제
  369. 삭제
  370. 삭제
  371. 삭제
  372. 삭제
  373. 삭제
  374. 삭제
  375. 삭제
  376. 삭제
  377. 삭제
  378. 삭제
  379. 삭제
  380. 삭제
  381. 삭제
  382. 삭제
  383. 삭제
  384. 삭제
  385. 삭제
  386. 삭제
  387. 삭제
  388. 삭제
  389. 삭제
  390. 삭제
  391. 삭제
  392. 삭제
  393. 삭제
  394. 삭제
  395. 삭제
  396. 삭제
  397. 삭제
  398. 삭제
  399. 삭제
  400. 삭제
  401. 삭제
  402. 삭제
  403. 삭제
  404. 삭제
  405. 삭제
  406. 삭제
  407. 삭제
  408. 삭제
  409. 삭제
  410. 삭제
  411. 삭제
  412. 삭제
  413. 삭제
  414. 삭제
  415. 삭제
  416. 삭제
  417. 삭제
  418. 삭제
  419. 삭제
  420. 삭제
  421. 삭제
  422. 삭제
  423. 삭제
  424. 삭제
  425. 삭제
  426. 삭제
  427. 삭제
  428. 삭제
  429. 삭제
  430. 삭제
  431. 삭제
  432. 삭제
  433. 삭제
  434. 삭제
  435. 삭제
  436. 삭제
  437. 삭제
  438. 삭제
  439. 삭제
  440. 삭제
  441. 삭제
  442. 삭제
  443. 삭제
  444. 삭제
  445. 삭제
  446. 삭제
  447. 삭제
  448. 삭제
  449. 삭제
  450. 삭제
  451. 삭제
  452. 삭제
  453. 삭제
  454. 삭제
  455. 삭제
  456. 삭제
  457. 삭제
  458. 삭제
  459. 삭제
  460. 삭제
  461. 삭제
  462. 삭제
  463. 삭제
  464. 삭제
  465. 삭제
  466. 삭제
  467. 삭제
  468. 삭제
  469. 삭제
  470. 삭제
  471. 삭제
  472. 삭제
  473. 삭제
  474. 삭제
  475. 삭제
  476. 삭제
  477. 삭제
  478. 삭제
  479. 삭제
  480. 삭제
  481. 삭제
  482. 삭제
  483. 삭제
  484. 삭제
  485. 삭제
  486. 삭제
  487. 삭제
  488. 삭제
  489. 삭제
  490. 삭제
  491. 삭제
  492. 삭제
  493. 삭제
  494. 삭제
  495. 삭제
  496. 삭제
  497. 삭제
  498. 삭제
  499. 삭제
  500. 삭제
  501. 삭제
  502. 삭제
  503. 삭제
  504. 삭제
  505. 삭제
  506. 삭제
  507. 삭제
  508. 삭제
  509. 삭제
  510. 삭제
  511. 삭제
  512. 삭제
  513. 삭제
  514. 삭제
  515. 삭제
  516. 삭제
  517. 삭제
  518. 삭제
  519. 삭제
  520. 삭제
  521. 삭제
  522. 삭제
  523. 삭제
  524. 삭제
  525. 삭제
  526. 삭제
  527. 삭제
  528. 삭제
  529. 삭제
  530. 삭제
  531. 삭제
  532. 삭제
  533. 삭제
  534. 삭제
  535. 삭제
  536. 삭제
  537. 삭제
  538. 삭제
  539. 삭제
  540. 삭제
  541. 삭제
  542. 삭제
  543. 삭제
  544. 삭제
KR1019997001892A 1996-09-05 1997-09-05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KR100326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485896 1996-09-05
JP234858 1996-09-05
JP4560397 1997-02-28
JP45603 1997-02-28
JP189400 1997-07-15
JP18940097A JPH10303877A (ja) 1996-09-05 1997-07-15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487A KR20000068487A (ko) 2000-11-25
KR100326125B1 true KR100326125B1 (ko) 2002-02-27

Family

ID=2729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892A KR100326125B1 (ko) 1996-09-05 1997-09-05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0939513A4 (ko)
JP (1) JPH10303877A (ko)
KR (1) KR100326125B1 (ko)
CN (1) CN1236515A (ko)
WO (1) WO1998010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2894C (en) 1997-06-19 2004-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data multiplexing transmission system,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used therefor, and error correcting encoder and decoder
JP2005150808A (ja) * 2003-11-11 2005-06-09 Ntt Data Corp 監視映像記録システム
US7417687B2 (en) * 2005-05-31 2008-08-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synchronization signal removal circuitry
FR2895193A1 (fr) * 2005-12-16 2007-06-22 Nextamp Sa Procede et dispositif d'estimation de la qualite d'un ensemble de donnees numeriques
JP4803752B2 (ja) * 2007-10-01 2011-10-26 日本放送協会 誤り訂正符号化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誤り訂正復号化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63496A (ja) * 2009-05-08 2010-11-18 Sony Corp 信号処理装置、及び誤り訂正方法
JP2014003492A (ja) * 2012-06-19 2014-01-09 Nippon Hoso Kyokai <Nhk>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4277170A3 (en) * 2014-11-20 2024-01-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CN109654671B (zh) * 2018-12-29 2021-01-08 北京合创三众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数据传输方法、控制器及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896B2 (ja) * 1991-08-09 2001-03-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
US5289277A (en) * 1992-11-05 1994-02-22 Zenith Electronics Corp.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format converter
JPH06343065A (ja) * 1993-02-26 1994-12-13 Sony Corp デ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デマルチプレクス方法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2734335B2 (ja) * 1993-05-12 1998-03-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伝送方法
JP2954475B2 (ja) * 1994-02-18 1999-09-27 リーダー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伝送システム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923384A (en) * 1994-08-12 1999-07-13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routing and transmitting digital data of different types
US5629736A (en) * 1994-11-01 1997-05-13 Lucent Technologies Inc. Coded domain picture composition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s
US5477368A (en) * 1994-12-29 1995-12-19 At&T Corp. High power lightwave transmitter using highly saturated amplifier for residual AM suppression
JP3644995B2 (ja) * 1995-01-25 2005-05-1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符号化伝送方式におけるタイムスタンプ値演算方法
US5751694A (en) * 1995-05-22 1998-05-12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emporally related data str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9513A1 (en) 1999-09-01
EP1261164A1 (en) 2002-11-27
KR20000068487A (ko) 2000-11-25
EP0939513A4 (en) 1999-11-24
WO1998010557A1 (en) 1998-03-12
JPH10303877A (ja) 1998-11-13
CN1236515A (zh)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716B1 (ko)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분할장치
US5168356A (en) Apparatus for segmenting encoded video signal for transmission
US580904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aling errors by replacing only part of a block
EP0573517B1 (en) An hdtv compression system
US5148272A (en) Apparatus for recombining prioritized video data
US6553073B1 (en) Sending device, receiving device, sending-receiving device,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KR100326125B1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전송시스템, 송신방법, 수신방법 및 전송방법
JP4703794B2 (ja) データ受信方法及び装置
JP3543776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JP3543775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JP3543777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JP3109517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JP3112010B2 (ja) 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JP3109515B2 (ja) 送信方法と受信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方法
JP3109518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JP3112009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JP3109516B2 (ja) 送信装置と受信装置とこれらを用いた伝送システム
US7130265B1 (en) Data multiplexing device and data multiplexing method, and data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