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824B1 -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824B1
KR100325824B1 KR1019990002089A KR19990002089A KR100325824B1 KR 100325824 B1 KR100325824 B1 KR 100325824B1 KR 1019990002089 A KR1019990002089 A KR 1019990002089A KR 19990002089 A KR19990002089 A KR 19990002089A KR 100325824 B1 KR100325824 B1 KR 10032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using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devi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558A (ko
Inventor
안경석
Original Assignee
정운갑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갑,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운갑
Priority to KR101999000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8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전원공급부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해주는 전원분배장치의 전원입력단과 퓨즈 및 전원출력단을 버스바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주므로써 노이즈감소 및 임피던스를 낮추어 데이터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며, 통풍이 잘되어 안정적인 전원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그리고 좌우패널과 상하부패널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형성을 갖도록 하고,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입력단과, 전원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와, 회로스위치를 하우징의 일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회로스위치에 접속되는 퓨즈는 전면패널에 설치하며, 외부로 전원을 출력시키는 전원출력단은 후면패널에 설치하며, 전원분배장치에 이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를 후면패널의 일측부에 세로로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여 통풍팬에 의해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킴으로서 전원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Bus bar type power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Power distribution panel)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부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해주는 전원분배장치의 전원입력단과 퓨즈 및 전원출력단을 버스바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주므로써 노이즈감소 및 임피던스를 낮추어 데이터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며, 통풍에 의한 방열이 잘되어 안정적인 전원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통신장비는 정류기 또는 기타 장치에 해당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전원공급부로부터 전기/전자 통신장비에 직접 전원을 공급시 노이즈 및 임피던스가 많이 발생하여 전기/통신장비가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사이에는 전원분배장치를 설치하여 전원공급부로부터 전기/통신장비인 다수개의 내부 셀프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인 PBA(Print Board Assembly)로 인입되는 전원을 각각 다른 통로로 분리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셀프내에 실장되는 각각의 PBA 및 각각의 회로 블록(BLOCK)에 발생되는 상호 노이즈 및 전자파 간섭으로 인한 에러를 방지해주고, 전원케이블을 타고 내부 장비로 인입되는 전원노이즈(Power noise)를 감소시켜주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원분배장치는 케이블 타입(cable type)을 적용하여 제작되므로써, 전원분배장치의 내부는 내부 전원입력단자, 브레이크 스위치, 퓨즈, 전원출력단자 및 노이즈필터 사이의 전원연결을 케이블로 처리하는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분배장치의 내부는 케이블에 의해 채워지므로 전원분배장치 및 셀프 등이 설치되는 전기/통신 장비의 랙(rack) 내부의 방열을 위한 공간이 막히게 된다. 상기 전기/통신 장비의 케이스에 해당하는 랙(RACK)의 내부공간이 막히게 되므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랙의 상부면에 구비된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불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통풍팬의 역할을 방해하게 되어 방열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 전원입력단자, 브레이크 스위치, 퓨즈, 전원출력단자 및 노이즈필터 사이를 전원연결하는 케이블의 형태가 둥근 원형이므로 전류의 임피던스가 높아 데이터처리속도를 지연시키고, 잡음 및 노이즈를 발생시키며, 장비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선을 연결시 연결케이블의 단면적감소로 전류 저하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공급부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해주는 전원분배장치의 전원입력단과 퓨즈 및 전원출력단을 버스바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주므로써 노이즈감소 및 임피던스를 낮추어 데이터 처리속도를 빠르게 하며, 통풍이 잘되어 안정적인 전원공급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전원분배장치가 설치된 통신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원분배장치 22 : 전면패널
24 : 후면패널 26 : 하부패널
28 : 좌우패널 30 : 공기유입구
40 : 전원입력단 50 : 노이즈필터
60 : 회로스위치 70 : 전원출력단
80 : 경보음발생부 90 : 버스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의 상자형상을 갖고,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퓨즈;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며, 퓨즈에 연결되는 회로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하부패널에착설되며, 회로스위치에 접속되는 노이즈필터;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에 착설되며, 노이즈필터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단;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에 설치되며, 퓨즈와 버스바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출력단; 그리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후면패널의 일측부에 세로로 설치되며, 전원이 오프되거나 퓨즈가 탈착되거나 또는 전원이 쇼트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로 이루어지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그리고 좌우패널과 상하부패널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형성을 갖도록 하고,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입력단과, 전원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와, 회로스위치를 하우징의 일측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회로스위치에 접속되는 퓨즈는 전면패널에 설치하며, 외부로 전원을 출력시키는 전원출력단은 후면패널에 설치하며, 전원분배장치에 이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를 후면패널의 일측부에 세로로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여 통풍팬에 의해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킴으로서 전원분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전원분배장치가 설치된 통신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원분배장치(20)의 하우징은 사각형의 상자형이고,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30)가 형성되어 전원분배장치(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통풍팬(도시 안됨)에 의해 외부로 신속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22)에는 퓨즈(7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22)에는 퓨즈(70)에 연결되는 회로스위치(6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패널(26)에는 회로스위치(60)에 연결되는 노이즈필터(50)가 착설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24)에는 노이즈필터(50)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단(40)이 착설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24)에는 셀프(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출력단(70)이 착설되며, 상기 전원출력단(70)은 버스바(90)를 통해 퓨즈(70)에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90)는 얇고 평평한 동판과 가늘고 긴 동상으로 이루어져 방열기능이 좋고, 라미네이터(laminator)식으로 형성되어 정전용량이 우수한 전원공급라인이다.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후면패널(24)의 일측부에는 경보음발생부(80)가 세로로 설치되며, 상기 경보음발생부(80)는 전원이 오프되거나 퓨즈(70)가 탈착되거나 또는 전원이 쇼트되는 등의 전원분배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80)는 두 개의 PBA(Print Board Assembly)(16)에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크기의 회로기판이므로 후면패널(24)에 세로로 세워서 착설시키게 되면 전원분배장치(20)의 내부에 통풍공간이 확보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기/전자 통신장비(10)의 랙(12)의 상부에는 전원분배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분배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각 셀프(14)에는 다수개의 PBA(16)가 착설된다. 상기 전원분배장치(20)의 외부 케이스에 해당하는 하우징은 전면패널(22), 후면패널(24), 상부패널(도시 안됨), 하부패널(26) 및 좌우패널(28)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부패널은 하부패널(26)과 같은 형상을 갖으며, 상기 하부패널(26)에는 다수개의 공기유입구(30)가 형성되어 전원분배장치(20)의 내부 및 각 셀프(14)에 구비된 PBA(16)에서 발생되는 열이 통풍팬에 의해 외부로 신속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분배장치(20)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패널(22)에는 다수개의 퓨즈(7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22)에는 퓨즈(70)에 연결되는 회로스위치(6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부패널(26)의 가장자리에는 회로스위치(60)에 연결되는 노이즈필터(50)가 착설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24)에는 노이즈필터(50)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단(40)이 착설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24)에는 셀프(14)의 각 PBA(16)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출력단(70)이 착설되며, 상기 전원출력단(70)은 전원공급라인인 버스바(90)를 통해 퓨즈(70)에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90)는 얇고 평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패널(26)에 착설되므로 공기유입구(30)를 통해 방열이 신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90)는 공기유입구(30)를 일부만 차단하게 되므로 다른 공기유입구(30)를 통해 셀프(14)측에서 통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후면패널(24)의 일측부에는 경보음발생부(80)가 세로로 설치되며, 상기 경보음발생부(80)는 전원이 오프되거나 퓨즈(70)가 탈착되거나 또는 전원이 쇼트되는 등의 전원분배장치(20)에 이상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외부로 스피커(82) 및 발광부(84)를 통해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80)는 두 개의 PBA(Print Board Assembly)(16)에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크기의 회로기판이므로 후면패널(24)에 세로로 세워서 착설시키게 되면 전원분배장치(20)의 내부에 통풍공간이 확보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분배장치의 하우징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그리고 좌우패널과 상하부패널로 이루어져 사각형의 형성을 갖도록 하고, 외부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입력단과, 전원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와, 회로스위치를 하우징을 구성하는 전면패널, 후면패널 및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통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PBA 및 하우징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전원분배장치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Claims (1)

  1.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가의 PB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장치는 사각형의 상자형상을 갖고,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다수개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는 퓨즈; 상기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설치되며, 퓨즈에 연결되는 회로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 착설되며, 회로스위치에 접속되는 노이즈필터;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에 착설되며, 노이즈필터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단; 상기 하우징의 후면패널에 설치되며, 퓨즈와 전원공급라인인 버스바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출력단; 그리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후면패널의 일측부에 세로로 설치되고, 회로기판인 PBA로 이루어져 전원이 오프되거나 퓨즈가 탈착되거나 또는 전원이 쇼트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로 이루어지는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KR1019990002089A 1999-01-23 1999-01-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KR10032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89A KR100325824B1 (ko) 1999-01-23 1999-01-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89A KR100325824B1 (ko) 1999-01-23 1999-01-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58A KR20000051558A (ko) 2000-08-16
KR100325824B1 true KR100325824B1 (ko) 2002-03-07

Family

ID=1957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089A KR100325824B1 (ko) 1999-01-23 1999-01-23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31B1 (ko) * 2005-06-16 2007-05-31 주식회사 이화일렉콤 직류 전원 분배반
KR100998721B1 (ko) * 2008-06-24 2010-12-07 권영민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20200097008A (ko) 2019-02-07 2020-08-18 (주)천일전기 직류전원 분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176Y1 (ko) * 2006-07-06 2006-09-20 권영민 모듈식 전원 분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2807A (ko) * 1991-07-18 1993-09-09 랄리 이라 골든 회로 차단기 스위치보드
KR950021645U (ko) * 1993-12-30 1995-07-28 파워 배전 버스 바의 구조
JPH08308032A (ja) * 1995-05-02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
JPH11168809A (ja) * 1997-12-03 1999-06-22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2807A (ko) * 1991-07-18 1993-09-09 랄리 이라 골든 회로 차단기 스위치보드
KR950021645U (ko) * 1993-12-30 1995-07-28 파워 배전 버스 바의 구조
JPH08308032A (ja) * 1995-05-02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
JPH11168809A (ja) * 1997-12-03 1999-06-22 Yaskawa Electric Corp 配電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31B1 (ko) * 2005-06-16 2007-05-31 주식회사 이화일렉콤 직류 전원 분배반
KR100998721B1 (ko) * 2008-06-24 2010-12-07 권영민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20200097008A (ko) 2019-02-07 2020-08-18 (주)천일전기 직류전원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58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1230A (en) Circuit module fan assembly
EP2192006B1 (en) Junction box for a vehicle
US8848346B2 (en) Power distribution panel with modular circuit protection elements
JP5269205B2 (ja) 通信用サブラックモジュール及び通信用サブラック
US7898787B2 (en) Power panel with angled connectors
WO1990009091A1 (en) Circuit module fan assembly
JP2005019562A (ja) 電子機器の冷却構造
KR100325824B1 (ko)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장치
CN101491169A (zh) 配置用于流过气流的电子模块和包括该电子模块的系统
CN102257711A (zh) 电源装置
US7158379B2 (en) Device for removing heat from a power connector
JP2010118492A (ja) 電力制御装置
KR101667869B1 (ko) 모터 구동 장치
MXPA02009158A (es) Panel de distribucion de energia con disipador de calor.
CN216673386U (zh) 一种电路板和电子设备
JP4104143B2 (ja) ラックシステム
CN209435097U (zh) 可供直流电源供应器功率模组用的转接板结构
EP0520410B1 (en) Control apparatus with terminal arrangement
KR200395538Y1 (ko) 직류 전원 분배반
JP5244669B2 (ja) 電子装置の実装構造
CN213366438U (zh) 一种电力式单火开关
JP2001095131A (ja) 電気接続箱
EP2651200B1 (en) Digital protective relay
CN215871140U (zh) 变频一体机
CN216873655U (zh) 防尘电焊机机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1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