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235B1 -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235B1
KR100325235B1 KR1019990058610A KR19990058610A KR100325235B1 KR 100325235 B1 KR100325235 B1 KR 100325235B1 KR 1019990058610 A KR1019990058610 A KR 1019990058610A KR 19990058610 A KR19990058610 A KR 19990058610A KR 100325235 B1 KR100325235 B1 KR 10032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controll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928A (ko
Inventor
한성준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2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235B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1 관제부가 주행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1 차량의 제1 차량 정보 제공부터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관제부는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2 차량의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제2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 다음에 제1 관제부로 전송한다. 제1 관제부는 제2 관제부로부터 전송된 제2 차량의 정보를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는 운전자에게 반대 차로의 교행 차량 즉 제2 차량의 유무, 차속 등의 정보를 알려준다. 따라서, 운전자가 커브길이나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반대 차로를 주행하는 교행 차량의 여부 및 주행 상태 등을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추월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Description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EHICLES INFORMATION}
이 발명은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주행 차량의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교행 차량의 정보를 주행 차량에게 제공하는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브길이나 언덕길 등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커브길을 일정 거리 이상 주행하거나 또는 언덕길을 일정 거리 이상 올라가지 않으면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 즉, 교행 차량을 볼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커브길이나 언덕길 주행시에 반대 차로의 교행 차량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고 앞의 차량을 추월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커브길 등에서 차로옆에 볼록 거울 등을 설치하여 주행하는 차량이 반대 차로에서 주행하는 교행 차량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에 종래의 커브길 주행시의 교행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브길의 중간 지점 등에 볼록 거울이 설치됨에 따라, 주행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볼록 거울에 반사되어 반대 차로를 비추게 되어 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반대 차로 상의 교행 차량 여부를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볼록 거울의 초점 거리가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볼록 거울에 거의 근접한 교행 차량만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 차량 운전자의 감지 거리가 매우 짧으며, 또한 주행 차량과 교행 차량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인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눈, 비, 안개 등으로 인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반대 차로의 교행 차량을 감지할 수가 없으므로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브길이나 언덕길 주행시에 반대 차로의 교행 차량 유무, 차속 등의 정보를 주행 차량에게 정확하게 알려 주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브길 주행시의 교행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커브길 주행시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주행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 관제부;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제1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관제부; 상기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 상기 제2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제부는 상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나 제2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송신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1 차량 정보를 제1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2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관제부는 상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나 제1 관제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송신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2 차량 정보가 제2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는 제1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3 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3 신호 송수신부에 의하여 제1 관제부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부,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1 차량 정보가 제3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차량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는 제2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4 신호 송수신부, 제4 신호 송수신부에 의하여 제2 관제부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부, 제2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2 차량 정보를 제4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2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 차량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커브길 주행시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 관제부(10), 제1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의 반대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제1 관제부(10)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관제부(20),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관제부(10)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 및 제2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관제부(20)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 이루어진다.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차량 정부 제공부(30,40)는 각각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제부(10)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나 제2 관제부(20)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신호 송수신부(11) 및 제1 신호 송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12)로 이루어진다. 제1 데이터 처리부(12)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로부터 송신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1 차량 정보를 제1 신호 송수신부(11)를 통하여 제2 관제부(2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제1 데이터 처리부(12)는 제2 관제부(20)로부터 제공되는 제2 차량 정보를 처리한 후 제1 신호 송수신부(11)를 통하여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 제공한다.
제2 관제부(20)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나 제1 관제부(10)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신호 송수신부(21) 및 제2 신호 송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22)로 이루어진다. 제2 데이터 처리부(22)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부터 송신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2 차량 정보를 제2 신호 송수신부(21)를 통하여 제1 관제부(1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제2 데이터 처리부(22)는 제1 관제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차량 정보를 처리한 후 제1 신호 송수신부(11)를 통하여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 제공한다.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는 제1 관제부(10)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3 신호 송수신부(31), 차량의 다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1 차량 정보를 제3 신호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제1 관제부(10)로제공하는 제1 차량 정보 처리부(32) 및 제3 신호 송수신부(31)에 의하여 제1 관제부(1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부(33)로 이루어진다.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는 제2 관제부(20)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4 신호 송수신부(41), 차량의 다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2 차량 정보를 제4 신호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제2 관제부(20)로 제공하는 제2 차량 정보 처리부(42) 및 제4 신호 송수신부(41)에 의하여 제2 관제부(2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부(43)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관제부(10,20)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커브길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서로 반대되는 차로의 옆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차량 즉, 제2 차량의 정보를 제1 차량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제1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를 주행 차로라고 명명한다. 이와는 달리, 제2 차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 차량이 제2 차량이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커브길의 주행 차로옆에 설치된 제1 관제부(10)는 주행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 계속하여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10).
이와 같이 제1 관제부(10)로부터 정보 요청 신호가 계속하여 송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행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 즉, 제1 차량이 제1 관제부(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내로 진입하게 되면, 제1 차량의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의 제3 신호 송수신부(31)가 제1 관제부(10)로부터 송신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차량 정보 처리부(31)로 출력한다.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의 제1 차량 정보 처리부(31)는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차량을 나타내는 식별 번호와 함께 제1 차량의 현재 속도, 제1 차량 종류 등의 제1 차량 정보를 제3 신호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제1 관제부(10)로 전송한다(S20).
여기서 제1 차량 정보 처리부(31)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종류 등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관제부(10)의 신호 수신 가능 지역내로 들어오게 되는 제1 차량들에 설치된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로부터 제1 차량 정보가 제1 관제부(10)로 전송된다.
한편,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에 설치된 제2 관제부(20) 또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반대 차로를 주행하는 제2 차량으로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제2 관제부(20)의 신호 수신 가능 지역내에 진입한 제2 차량의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들은 제2 차량의 식별 번호와 함께 제2 차량의 속도 및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제2 차량 정보를 제2 관제부(20)로 전송한다.
이 때, 제1 차량 또는 제2 차량이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주행 순서에 따라 해당 차량의 차량 정보들이 제1 관제부(10) 또는 제2 관제부(20)로 전송된다.
제1 관제부(10)의 제1 데이터 처리부(12)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제1 차량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제2 관제부(20)로 전송하며, 제2 관제부(20)의 제2 데이터 처리부(22)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부터 전송되는 제2 차량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여 제1 관제부(10)로 전송한다(S30).
다음에, 제1 관제부(10)는 제2 관제부(20)로부터 전송된 제2 차량 정보를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로 전송하고, 제2 관제부(20)는 제1 관제부(10)로부터 전송된 제1 차량 정보를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로 전송한다(S40).
제1 관제부(10)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30)의 제3 신호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제1 정보 표시부(33) 상에 표시되며, 제2 관제부(20)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40)의 제4 신호 송수신부(41)를 통하여 제2 정보 표시부(43) 상에 표시된다(S50).
따라서 제1 차량의 운전자는 제1 정보 표시부(33)를 통하여 반대 차로상의 제2 차량 주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상의 제2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 또한 제2 정보 표시부(43)를 통하여 주행 차로상의 제1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주행 차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커브길을 계속 주행하여 반대 차로의 옆에 설치된 제2 관제부(2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내로 진입한 다음, 제2 관제부(20)의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차량 정보를 제2 관제부(20)로 송신한 경우, 제2 관제부(20)는 송신되는 차량 정보에 포함된 해당 차량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 차량이 해당 차로가 아닌 반대 차로를 주행하는 차로로서 인식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전 단계에서, 제1 관제부(1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에는 상기 차량의 정보가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관제부(1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식별 번호와 현재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식별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차량이 반대 차로를 지나가는 차량으로 인식한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는 커브길에서 제1 및 제2 관제부(10,20)가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덕길에도 위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가 커브길이나 언덕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반대 차로를 주행하는 제2 차량의 여부 및 주행 상태 등을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추월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

Claims (3)

  1. 주행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1 관제부;
    주행 차로의 반대 차로 상에서 주행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제1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관제부;
    상기 제1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차량 정보 제공부;
    상기 제2 차량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제부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로 이루어지는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제부는 상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나 제2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송신되는 제1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1 차량 정보를 제1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2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1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관제부는 상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나 제1 관제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2 신호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로부터 송신되는 제2 차량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2 차량 정보가 제2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1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 데이터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 정보 제공부는 제1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3 신호 송수신부, 상기 제3 신호 송수신부에 의하여 제1 관제부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정보 표시부,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1 차량 정보가 제3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관제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1 차량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량 정보 제공부는 제2 관제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4 신호 송수신부, 제4 신호 송수신부에 의하여 제2 관제부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정보 표시부, 제2 차량의 정보를 취득한 후 취득된 제2 차량 정보를 제4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제2 관제부로 전소되도록 하는 제2 차량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지는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990058610A 1999-12-17 1999-12-17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32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610A KR100325235B1 (ko) 1999-12-17 1999-12-17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610A KR100325235B1 (ko) 1999-12-17 1999-12-17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928A KR20010056928A (ko) 2001-07-04
KR100325235B1 true KR100325235B1 (ko) 2002-03-04

Family

ID=1962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610A KR100325235B1 (ko) 1999-12-17 1999-12-17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2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92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094B2 (en) Collision avoidan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6064626B (zh) 车辆行驶控制装置
US10697790B2 (en) Lane selecting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and lane selecting method
EP1316935B1 (en) Traffic environment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US6151550A (en)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9892641B2 (en) Regulatory information notifying device and method
JP3405165B2 (ja) 車載情報提供装置
US20030023369A1 (en) Vehicle-mounted position computing apparatus
CN107085963B (zh) 车辆用驾驶辅助装置
JP4577269B2 (ja) 運転支援装置
US20170178591A1 (en) Sig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KR20200044194A (ko) 속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319317A1 (en) Driving assist apparatus
CN111731296A (zh) 行驶控制装置、行驶控制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JPH10114251A (ja) 追突防止装置
JP3740524B2 (ja) 走行支援道路システム
CN113022554A (zh) 驾驶支援装置
US20100103263A1 (en) Motor vehicle with a distance sensor and an imaging system
US20060229812A1 (en) Device radio-based danger warning
JP476605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車両及び情報提供方法
JP4961311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KR100325235B1 (ko) 교행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20281482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11979805B2 (e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JP7028601B2 (ja) 逆走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