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64B1 -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764B1
KR100324764B1 KR1020000002632A KR20000002632A KR100324764B1 KR 100324764 B1 KR100324764 B1 KR 100324764B1 KR 1020000002632 A KR1020000002632 A KR 1020000002632A KR 20000002632 A KR20000002632 A KR 20000002632A KR 100324764 B1 KR100324764 B1 KR 10032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manual
at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782A (ko
Inventor
강동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7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현금자동 지급기는 고객접객부 도어의 좌측에는 로킹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도어를 전체적으로 잠그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도어의 우측부는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열리게 되었으며, 상기 고객접객부에 현금이 잔존된 상태에서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장애발생시 상기 도어의 우측부를 강제로 열고 상기 현금을 도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는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에 수동개방간섭수단을 설치하여, 현금자동지급기의 도어를 자동조작에 의할 경우에는 개방되나, 수동조작에 의할 경우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좌측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잠글 수 있으며, 현금자동지급기에서의 현금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PREVENTING DEVICE FOR MANUAL OPEN IN AUTO-TELLER MACHINE DOOR}
본 발명은 현금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에 수동개방간섭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현금자동지급기의 장애발생시 현금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금자동지급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전면에는 카드를 삽입시키는 카드인입구(101)와 조작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102)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사용자가 현금을 인출하는 고객접객부(103)가 구비되며, 상기 고객접객부(103)의 내측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을 사용자에게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객접객부(103)로 방출시키는 지폐방출부(104) 등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상기 고객접객부의 주요구성부분이 도시된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접객부(103)는 기어가 내장되어 소정의 회전수와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모터(1)와, 상기 기어모터(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크(2)와, 상기 링크(2)의 일측에 위치되어 자전가능토록 구비되는 롤러(3)와, 상기 링크(2)의 회전시 상기 롤러(3)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브래킷(4)과, 상기 브래킷(4)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중심축(5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객접객부(103)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5)와, 상기 지폐방출부(104)에서 방출된 지폐를 감지하는 제1센서(미도시)와, 상기 도어(5)의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6)와, 상기 도어(5)의 최대열림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7)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도면은 상기 도어(5)의 닫힘위치상태에서 제2센서(6)가 작동되는 상태로서, 점선은 상기 링크(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최대열림위치에서 상기 제3센서(7)와 접촉되는 상태이며, 굵은 실선부는 상기 브래킷(4)에서 상기 롤러(3)가 회전되며 접촉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 2는 상기 고객접객부의 외관부에 대한 확대사시도로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의 좌측 내부에는 상기 도어(5)의 닫힘위치시 좌측부를 잠그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작동되는 로킹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카드인입구(101)에 카드를 삽입하고 조작을 하면, 상기 지폐방출부(104)에서 지폐를 계수하여 상기 고객접객부(103)로 방출시키고, 상기 제1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하여 상기 기어모터(1)를 구동시킨다.
상기 기어모터(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링크(2)가 회전되며, 상기 링크(2)의 일측에 구비된 롤러(3)가 자전되면서 상기 브래킷(4)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 상기 브래킷(4)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도어(5)는 상기 회전중심축(5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5)를 열게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5)가 열리고 최대열림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제2센서(6)는 상기 링크(2)의 저면부를 감지하여 상기 기어모터(1)의 회전을 제어하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지폐를 인출하면 상기 제1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상기기어모터(1)를 풀면 상기 도어(5)와 연결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닫히면서 상기 제2센서(6)는 도어(5)의 닫힘상태를 감지한다.
그러나, 상기 고객접객부(103)의 도어(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의 좌측에만 로킹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도 1b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를 전체적으로 잠그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상기 도어(5)가 닫혀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도어(5)의 우측부는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고객접객부(103)에 현금이 잔존한 상태에서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장애발생시 상기 도어(5)의 우측부를 강제로 열고 상기 현금을 도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금자동지급기의 도어를 자동조작시는 개방되나, 수동조작시는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현금자동지급기에서의 현금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금자동지급기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 현금자동지급기에서 고객접객부의 주요부분이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종래 현금자동지급기에서 고객접객부의 도어를 도시한 외관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확대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가 닫힘상태에서 자동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고객접객부 11 : 기어모터
12 : 링크 12a: 걸림편
13 : 롤러 14 : 브래킷
14a: 롤러접촉부 14b: 링크접촉부
15 : 도어 15a: 회전중심축
16 : 제2센서 17 : 제3센서
20 : 수동개방간섭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는 기어모터로 전동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구름접촉용 롤러가 구비된 링크와, 상기 롤러와 구름접촉되는 롤러접촉부를 구비할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와, 상기 브래킷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도어를 수동조작시 개방되지 않으나 자동조작시 개방되는 수동개방간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동개방간섭수단은 상기 브래킷에 롤러접촉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링크접촉부와, 수동개방시 상기 링크접촉부와 간섭되고 자동조작으로 상기 링크가 소정 각도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에 설치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토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에서 고객접객부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3b는 고객접객부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금을 인출하는 고객접객부(10)와, 상기 현금을 상기 고객접객부(10)로 방출시키는 지폐방출부가 포함되는 현금자동지급기에서, 기어가 내장되어 소정의 회전수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모터(11)와, 상기 기어모터(11)와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크(12)와, 상기 링크(12)의 타측에 위치되어 자전가능토록 구비되는 롤러(13)와, 상기 링크(12)의 회전시 상기 롤러(13)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브래킷(14)과, 상기 브래킷(14)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중심축(15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객접객부(10)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5)와, 상기 지폐방출부에서 방출된 현금을 감지하는 제1센서(미도시)와, 상기 도어(15)의 닫힘을 감지하는 제2센서(16)와, 상기 도어(15)의 최대열림위치를 감지하는 제3센서(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현금자동지급기의 도어를 수동조작시 개방이 방지되는 수동개방 방지장치는 기어모터(11)로 전동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구름접촉용 롤러(13)가 구비된 링크(12)와, 상기 롤러(13)와 구름접촉되는 롤러접촉부(14a)를 구비할 브래킷(14)과, 상기 브래킷(14)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15)와, 상기 브래킷(14)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도어(15)를 수동조작시 개방되지 않으나 자동조작시 개방되는 수동개방간섭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개방간섭수단은 상기 브래킷(14)에 롤러접촉부(14a)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링크접촉부(14b)와, 수동개방시 상기 링크접촉부(14b)와 간섭되고 자동조작으로 상기 링크가 소정 각도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12)에 설치되는 걸림편(12a)으로 구성된다.
도 3b는 상기 도어의 닫힘위치상태에서 제2센서가 작동되는 상태로서, 점선은 상기 링크(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최대열림위치에서 상기 제3센서(17)와 접촉되는 상태이며, 굵은 실선부인 14a는 상기 브래킷(14)에서 상기 롤러(13)가 회전되며 접촉되는 부분이고, 14b는 상기 기어모터(11)의 구동없이 수동으로 개폐시 상기 링크(12)의 걸림편(12a)이 접촉되어 간섭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가 구비된 고객접객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3b와 같이 상기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수동개방간섭수단(20)이 간섭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확대도로서, 상기 도어(15)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브래킷(14)의 링크접촉부(14b) 하면은 상기 링크(12)의 걸림편(12a)에 접촉되므로 상기 브래킷(14)과 연결된 도어(15)는 수동조작으로는 임의로 열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도 4b는 상기 도어(15)의 닫힘상태에서 현금자동지급기가 자동조작되는 경우를 나타내 보인 확대도로서, 전원이 공급되고 사용자가 카드인입구에 카드를 삽입하고 조작을 하면, 상기 지폐방출부에서 지폐를 계수하여 상기 고객접객부(10)로 방출시키고, 상기 제1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하여 상기 기어모터(11)를 구동시키고, 상기 링크(12)가 화살표 A와 같이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편(12a)도 회전되어 상기 링크접촉부(14b)와의 접촉이 떨어져서 상기 수동개방간섭수단(20)이 간섭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링크(12)의 일측에 구비된 롤러(13)가 자전되면서 상기 브래킷(4)의 롤러접촉부(14a) 상면을 슬라이딩하면 상기 브래킷(14)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도어(15)는 상기 회전중심축(15a)을 중심으로 화살표 B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15)를 열게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15)가 열리고 최대열림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제2센서(16)는 상기 링크(12)의 저면부를 감지하여 상기 기어모터(11)의 회전을 제어한 후, 사용자가 상기 현금을 인출하면 상기 제1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상기 기어모터(11)를 풀고 상기 도어(15)와 연결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1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닫히면서 상기 제2센서(16)는 도어(15)의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조작으로 상기 도어(15)를 개방하려 할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14)의 링크접촉부(14b) 하면은 상기 링크(12)의 걸림편(12a)에 접촉되므로 상기 도어(15)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는 현금자동지급기의 고객접객부에 수동개방간섭수단을 설치하여, 현금자동지급기의 도어를 자동조작에 의할 경우에는 개방되나, 수동조작에 의할 경우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닫힘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좌측부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잠글 수 있으며, 현금자동지급기에서의 현금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어모터로 전동되어 회전되며 일측에는 구름접촉용 롤러가 구비된 링크와, 상기 롤러와 구름접촉되는 롤러접촉부를 구비할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되는 도어와, 상기 브래킷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상기 도어를 수동조작시 개방되지 않으나 자동조작시 개방되는 수동개방간섭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방간섭수단은 상기 브래킷에 롤러접촉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링크접촉부와, 수동개방시 상기 링크접촉부와 간섭되고 자동조작으로 상기 링크가 소정 각도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링크에 설치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KR1020000002632A 2000-01-20 2000-01-20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KR10032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32A KR100324764B1 (ko) 2000-01-20 2000-01-20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632A KR100324764B1 (ko) 2000-01-20 2000-01-20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82A KR20010073782A (ko) 2001-08-03
KR100324764B1 true KR100324764B1 (ko) 2002-02-20

Family

ID=196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632A KR100324764B1 (ko) 2000-01-20 2000-01-20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198B1 (ko) * 2005-07-08 2006-12-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회수 장치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82A (ko) 200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716B2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KR10061080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KR10100169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JP3844550B2 (ja) Atmのユーザカード受入装置
US6176423B1 (en) Shutter device having linkage which locks shutter as well as opens and closes the same
JPH0252318B2 (ko)
KR100442497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US7044331B2 (en) Media dispenser modul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324764B1 (ko)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KR200392318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잠금구조
KR10096829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장치
KR10107732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잠금장치
JP4254596B2 (ja) 紙幣識別装置
KR100981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0201994B1 (ko) 지폐의 강제역송 방지장치
JP3132200B2 (ja) 紙幣識別装置
KR200387672Y1 (ko) 금고용 이중도어
KR20030003852A (ko) 자동판매기의 지폐투입구 개폐장치
KR19980053115U (ko) 현금 및 수표 자동지급기용 잼 자동제거장치
KR2006012384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잠금구조
JP4356408B2 (ja) 紙幣識別機
JPS642214Y2 (ko)
KR100642242B1 (ko)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KR0133666Y1 (ko) 지폐의 강제 역송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