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242B1 -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242B1
KR100642242B1 KR1020050001333A KR20050001333A KR100642242B1 KR 100642242 B1 KR100642242 B1 KR 100642242B1 KR 1020050001333 A KR1020050001333 A KR 1020050001333A KR 20050001333 A KR20050001333 A KR 20050001333A KR 100642242 B1 KR100642242 B1 KR 10064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main body
box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022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05000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2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6Table-cloth or napkin ho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 자동지급기용 지폐방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에서 분리된 지폐회수함 또는 지폐적재함에서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지폐를 인출할 수 없도록 한 지폐도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적재함과 지폐회수함이 각각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폐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회수함의 일측에 형성된 지폐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셔터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분리시에는 자동으로 폐쇄 및 고정하는 셔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폐회수함, 지폐적재함, 단속부재, 셔터

Description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CASH DISPENSE MACHINE WITH SECURITY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폐방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지폐회수함을 보인 것으로,
도 2a,b는 셔터의 폐쇄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c,d는 셔터의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지폐적재함을 보인 사시도.
도 4a,b는 도 3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폐방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지폐회수함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분기체
12 : 제1 작동부재 13 : 제2 작동부재
14,15 : 기어구동부 140 : 제1 구동기어
141 : 제2 구동기어 142 : 회전축
143 : 회동부재 150 : 제3 구동기어
151 : 제4 구동기어
20 : 지폐회수함 21 : 지폐투입구
22 : 도어 220 : 잠금부
23 : 셔터 24 : 블록
240 : 가이드공 25 : 고정핀
26 : 가이드블록 260 : 가이드면
27 : 돌기 28 : 아이들롤러
29 : 피드롤러 290 : 전달기어
30 : 지폐적재함 31 : 도어
310 : 잠금부 32 : 누름판
33 : 픽업롤러 34 : 전달기어
35 : 단속부재 36 : 아이들기어
37 : 커넥터 38 : 고정부재
S1,S2,S3 : 스프링 M : 모터
본 발명은 현금 자동지급기에 구비되어 지폐 인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수량의 지폐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지폐방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각 은행에서는 현금 자동지급기, 자동 입출금기, 통장 정리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인 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용하여, 업무효율의 향상 및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현금 자동지급기는 사용자가 은행의 창구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금액의 지폐를 출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현금 자동지급기에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지폐를 방출하는 지폐방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지폐방출장치에는 다량의 지폐를 저장하는 지폐적재함이 구비되고,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가 방출되는 과정에서 훼손지폐나 2매로 분류된 지폐를 회수하는 지폐회수함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동지급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금액을 선택하면 지폐적재함에 저장된 지폐가 1매씩 순차적으로 방출되며, 그 과정에서 센서가 훼손된 지폐나 2매가 동시에 방출된 지폐를 감지하여 지폐회수함으로 이송한다.
관리자는 지폐가 모두 방출된 경우 지폐적재함을 인출하여 지폐를 충전하고, 지폐회수함을 인출하여 훼손지폐와 정상지폐를 분리한 후 정상지폐는 다시 지폐적재함에 충전한다.
지폐적재함은 사각의 철재박스로 형성되며, 도어에는 시건장치가 구비되어 열쇠를 보유한 관리자만이 지폐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적재함의 후방에는 지폐가 인출되는 지폐인출공이 형성되고, 마찰력으로 지폐를 인출하는 픽업롤러가 구비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지폐적재함은 지폐방출장치에서 분리된 경우, 외부에서 픽업롤러를 강제로 회전시켜 지폐를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쇠가 없더라도 지폐적재함에 저장된 지폐를 훔쳐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폐회수함은 후방에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므 로, 지폐방출장치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하여 내부의 지폐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지폐회수함에 저장된 지폐를 외부로 인출할 수 없도록 한 지폐도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지폐적재함에 저장된 지폐를 외부로 인출할 수 없도록 한 지폐도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적재함과 지폐회수함이 각각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폐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회수함의 일측에 형성된 지폐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셔터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분리시에는 자동으로 폐쇄 및 고정하는 셔터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작동부의 일 양상은, 상기 지폐회수함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공이 형성된 블록과; 상기 가이드공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방이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셔터의 폐쇄시 그 하단부를 지 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셔터에 일체로 구비되며 가이드면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고정핀을 작동하여 상기 셔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면을 가압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제2 작동부재와; 상기 지폐회수함의 분리시 상기 셔터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며 지폐를 방출하는 픽업롤러가 구비된 지폐적재함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적재함과 지폐회수함이 각각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폐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상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 구비된 기어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전달기어와,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지폐적재함의 장착 또는 분리시 단속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구동부의 일 양상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모터로 구동되는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1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지폐적재함의 장착시 상기 전달기어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폐적재함에는 상기 본체측의 신호입력에 따라 상기 단속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적재함과 지폐회수함이 각각 본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폐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회수함의 일측에 형성된 지폐투입구의 상부에 아이들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지폐투입구의 하부에는 피드롤러가 상기 아이들롤러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드롤러의 중심축상에 전달기어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전달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구동부는의 일 양상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모터로 구동되는 제3 구동기어와, 상기 제3 구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4 구동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폐방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방출장치의 본체(10)에는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30)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20)이 각각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M)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연동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미부호)가 구비되어, 지폐적재함(30)에서 방출된 지폐를 이송한 다. 상기 이송과정에서 센서(미도시)가 훼손된 지폐나 2매가 동시에 방출된 지폐를 감지하면 분기체(11)를 작동하여 지폐의 이송로(PATH)를 전환하여 지폐회수함(20)으로 이송한다.
지폐적재함(30)에는 마찰력으로 지폐를 인출하는 픽업롤러(33)가 구비되며,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지폐적재함의 장착시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아이들기어(35), 전달기어(34) 및 단속부재(35)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위와 같은 지폐의 방출 및 회수과정은 종래의 지폐방출장치와 동일함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으므로, 그와 관계된 구성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b는 셔터의 폐쇄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c,d는 셔터의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지폐회수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회수함(20)에는 회수된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구(2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하로 작동하며 상기 지폐투입구를 개폐하는 셔터(23)가 구비된다. 또한, 지폐회수함(20)을 본체(10)에 장착시 셔터(23)를 자동으로 개방하고, 분리시에는 자동으로 폐쇄 및 고정하는 셔터작동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작동부는, 지폐회수함(2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공(240)이 형성된 블록(24)과, 상기 가이드공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셔터의 폐쇄시 그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핀(25)과, 상기 셔터에 일체로 구비되며 경사진 가이드면(260)이 형성된 가이드블록(26)과, 상 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고정핀을 밀어내어 상기 셔터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제1 작동부재(12)와,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면을 가압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하는 제2 작동부재(13)와, 상기 가이드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후방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S1)과, 상기 지폐회수함의 분리시 상기 셔터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스프링(S2)으로 구성된다.
제1,2 작동부재(12)(13)는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폐회수함(20)의 장착시 그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부호)으로 삽입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셔터(23)에 구비된 스프링(S2)은 일측이 지폐회수함(20)의 측벽에 고정된 돌기(27)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셔터의 밑단에 연결된다.
즉, 지폐회수함(20)을 본체(10)에 장착하면 먼저 제1 작동부재(12)가 고정핀(24)을 밀어내어 셔터(23)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그 다음에는 제2 작동부재(13)가 삽입되어 가이드블록(26)의 가이드면(260)에 밀착된 상태로 전진함으로써 셔터(23)를 내려 지폐투입구(21)를 개방하게 된다.
그와는 반대로, 지폐회수함(20)을 본체(10)에서 분리하면 제1,2 작동부재(12)(13)가 인출됨으로써, 셔터(23)가 스프링(S2)의 인력에 의해 상승하여 지폐투입구(21)를 폐쇄한다. 또한, 고정핀(24)이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셔터(23)의 하단을 고정함으로써 외부에서 개방할 수 없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지폐적재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a,b는 도 3의 요부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지폐적재함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적재함(30)에는 저장된 지폐를 일측으로 밀어주는 누 름판(32)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판에 의해 가압된 지폐를 마찰력으로 인출하는 픽업롤러(33)가 구비된다.
또한, 픽업롤러(33)의 회전축(미부호)상에 구비되는 전달기어(34)와,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단속부재(35)가 구비된다.
단속부재(35)는 전원의 공급으로 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기어(34)와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자동클러치로 구성되며, 지폐적재함(30)을 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시 단속(斷續)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지폐적재함(30)에는 본체(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8)가 구비되어 장착된 후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본체측의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커넥터(37)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의 장착시 단속부재(35)에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기어구동부(14)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구동부는 모터(M)로 구동되는 제1 구동기어(140)와, 상기 제1 구동기어의 회전축(142)에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S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회동부재(143)와, 상기 회동부재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2 구동기어(141)로 구성된다.
이때, 제2 구동기어(141)는 지폐적재함(30)의 장착시 아이들기어(36)에 치합하여, 상기 아이들기어와 치합되는 전달기어(34)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스프링(S3)의 탄성력으로 치합시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제2 구동기어(141) 및 아이들기어(36)의 파손이 방지됨은 물론 적정 압력으로 치합이 유지 된다.
이에 따라, 지폐적재함(30)을 본체(10)에 장착하면 제2 구동기어(141)가 아이들기어(36)에 치합되며, 커넥터(37)가 상기 본체의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 단속부재(35)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 상태에서 모터(M)가 작동하면, 제1,2 구동기어(140)(141)와 아이들기어(36)를 통해 전달기어(34)에 전달된 회전력이 단속부재(35)의 작동으로 회전축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픽업롤러(33)가 구동하여 지폐를 외부로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와는 반대로, 지폐적재함(30)을 본체(10)에서 분리하면 전원의 차단으로 단속부재(35)의 작동이 중지되어, 전달기어(34)와 회전축 사이의 동력전달이 단절된다. 즉 외부에서 아이들기어(36)를 조작하여 픽업롤러(33)를 구동할 수 없으므로 지폐적재함(30)을 분해하지 않고서는 지폐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측의 신호입력에 따라 단속부재(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면, 커넥터(37)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본체(10)로부터 별도의 작동신호 입력시에만 상기 단속부재가 작동하게 된다. 즉, 지폐적재함(3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커넥터(37)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도 지폐를 인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폐회수함(20)의 도어(22) 및 지폐적재함(30)의 도어(31)에는 각각 잠금부(220)(310)가 설치되어, 열쇠를 보유한 관리자 이외에는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지폐방출장치는 지폐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폐방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지폐회수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방출장치의 본체(10)에는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30)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20)이 각각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M)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연동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미부호)가 구비되어, 지폐적재함(30)에서 방출된 지폐를 이송한다. 상기 이송과정에서 센서(미도시)가 훼손된 지폐나 2매가 동시에 방출된 지폐를 감지하면 분기체(11)를 작동하여 지폐의 이송로(PATH)를 전환하여 지폐회수함(20)으로 이송한다.
지폐회수함(20)의 일측에는 회수된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지폐투입구의 상부에 아이들롤러(28)가 설치된다. 또한, 지폐투입구(21)의 하부에는 피드롤러(29)가 상기 아이들롤러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드롤러의 중심축상에는 전달기어(290)가 일체로 구비된다.
본체(10)의 내측에는 지폐회수함(20)의 장착시 전달기어(290)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구동부(1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구동부(15)는 본체(10)에 장착된 모터(M)로 구동되는 제3 구동기어(150)와, 상기 제3 구동기어에 치합되며 지폐회수함(20)의 장착시 전달기어(290)에 치합되는 제4 구동기어(151)로 구성된다.
즉, 지폐회수함(20)을 본체(10)에 장착하면 제4 구동기어(151)가 전달기어 (290)에 치합됨으로써, 모터(M)의 동력으로 피드롤러(29)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피드롤러(29)가 회전되면 마찰력에 의해 아이들롤러(28)가 함께 회전되며, 분기체(11)의 작동으로 지폐투입구(21)측으로 이송된 지폐는 상기 아이들롤러와 피드롤러의 사이로 유입되어 마찰력에 의해 지폐회수함(20)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위와 같이, 지폐회수함(20)의 지폐투입구(21)가 아이들롤러(28)와 피드롤러(29)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폐회수함을 본체에서 분리한 경우에는 열쇠를 보유한 관리자 이외에는 지폐를 인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피드롤러(29)의 중심축에 일방향 베어링(oneway bearing)을 설치하여, 상기 피드롤러가 지폐회수함(20)의 내측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하면, 외부에서 상기 피드롤러를 인위적으로 회전시켜 지폐를 인출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회수함의 장착 및 분리시 셔터에 의해 지폐투입구가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됨으로써,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지폐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불의의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적재함의 분리시 픽업롤러를 구동하여 저장된 지폐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지폐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불의의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회수함의 지폐투입구를 롤러로 폐쇄하여,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지폐를 인출할 수 없으므로, 불의의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출금용 지폐가 저장되는 지폐적재함(30)과, 상기 지폐적재함에서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회수된 지폐가 투입 및 저장되는 지폐회수함(20)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적재함과 지폐회수함이 각각 본체(10)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폐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회수함의 일측에 형성된 지폐투입구(21)의 상부에 아이들롤러(28)가 설치되고, 상기 지폐투입구의 하부에는 피드롤러(29)가 상기 아이들롤러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드롤러의 중심축상에 전달기어(29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회수함의 장착시 상기 전달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구동부(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부(15)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모터(M)로 구동되는 제3 구동기어(150)와, 상기 제3 구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지폐회수함(20)의 장착시 상기 전달기어(290)에 치합되는 제4 구동기어(1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KR1020050001333A 2005-01-06 2005-01-06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KR10064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33A KR100642242B1 (ko) 2005-01-06 2005-01-06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333A KR100642242B1 (ko) 2005-01-06 2005-01-06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22A KR20060081022A (ko) 2006-07-12
KR100642242B1 true KR100642242B1 (ko) 2006-11-10

Family

ID=3717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333A KR100642242B1 (ko) 2005-01-06 2005-01-06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2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22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17B1 (ko) 지폐수납기구
RU2005115104A (ru) Банковский автомат, который выдает, принимает и хранит банкноты и другие финансовые инструменты в форме листов
KR20060132509A (ko) 지폐 처리장치
EP1881462B1 (en) Paper-sheet handling apparatus
US8181766B2 (en) Roller storage system
KR100442497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회수장치
KR101046821B1 (ko) 카세트의 푸쉬플레이트 잠금장치
KR101016460B1 (ko)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KR100642242B1 (ko) 지폐도난방지기능을 갖는 지폐방출장치
RU274644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блок хранения носи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й
EP3309758B1 (en) Cassette push plate locking device
KR20060042403A (ko) 지폐 처리장치
KR100981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200412967Y1 (ko) 지폐 처리장치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11145939A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0597102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회수함
KR100552227B1 (ko) 장착 및 탈착시 부하가 회피되는 리싸이클박스의 구동장치
JP3575330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3217249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0324764B1 (ko) 현금자동지급기 도어의 수동개방 방지장치
KR200240966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분리형현금보관함
JPH0431658Y2 (ko)
JP2010280493A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70071817A (ko) 지폐입출금부의 셔터개폐구조 및 셔터개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