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427B1 -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427B1
KR100324427B1 KR1020000002880A KR20000002880A KR100324427B1 KR 100324427 B1 KR100324427 B1 KR 100324427B1 KR 1020000002880 A KR1020000002880 A KR 1020000002880A KR 20000002880 A KR20000002880 A KR 20000002880A KR 100324427 B1 KR100324427 B1 KR 10032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lost
cdr
cent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928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0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4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기내 과금 디스크의 장애발생에 따라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유실 과금 데이터들을 과금센터로 모두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교환기내 과금 디스크의 장애발생에 따라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유실 과금 데이터들을 과금센터로 모두 전송해 줌으로써, 유실 과금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SSION LOST CHARGING DATA IN MOBILE SWITCHING CEN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기내 과금 디스크의 장애 발생에 따라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유실 과금 데이터들을 과금센터로 모두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 교환기내 CDR은 호가 종료됨에 따라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 그 과금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버퍼링한 후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과금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과금 디스크로의 저장이 불가능하게 되면, 상기 교환기내 CDR은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들을 유실 과금 데이터라고 정의한다.
종래의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상술한 설명에 의해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과금센터로 전송하지 않고, 운용자 터미널의 콘솔창을 통해 그 유실 과금 데이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켜 주었다. 그러면, 운용자는 그 정보를 확인한 후 그 유실 과금 데이터를 과금정산을 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경시켜 처리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유실 과금 데이터 처리방법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세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교환기에서 많은 양의 유실 과금 데이터가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 콘솔창의 디스플레이 한계로 인해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의 정보를 디시플레이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일부의 유실 과금 데이터가 유실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정상 과금 데이터는 과금센터로의 전송이 가능하지만 유실 과금 데이터는 상기 과금센터로의 전송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과금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유실 과금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콘솔창에 시스템 메시지로 디스플레이된 유실 과금 데이터는 실제로 과금정산을 하기 위한 포맷으로 변경되어야 되는데, 이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복잡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내에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유실 과금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은, 호가 종료되어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 그 과금 데이터를과금 디스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CDR,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OMID로 전송하는 CDSB, 및 임시 버퍼가 존재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OMP; 다량의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 상기 OMP내 CDSB 및 과금센터간의 과금 데이터 중계역할을 담당하는 OMID로 구성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한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CDR이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과금 데이터가 발생지 않으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CDR이 그 과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미만이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이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과금 데이터를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CDR이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데이터 저장동작이 실패하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지 않으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으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리턴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중에서 유신 과금 데이터 전송단계인 제 7 단계(S7)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중 유신 과금 데이터 전송단계인 제 7 단계(S7)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OMP 101 : CDR
102 : CDSB 103 : 메모리
200 : 과금 디스크 300 : OMI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는 과금 생성부(Charging Data Recording; 이하 CDR이라 칭함.)(101), 과금 전송부(Charging Data Send Block; 이하 CDSB라 칭함.)(102), 및 메모리(Memory)(103)를 구비한 OMP(Operation & Maintenance Processor; 이하 OMP라 칭함.)(100)와, 과금 디스크(200)와, OMID(Operation & Maintenance Interface Device; 이하 OMID라 칭함.)(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OMP(100)내에 장착된 CDR(101)은 호가 종료되어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이하 ASP라 칭함.)로부터 과금 데이터가 전송되면 그 과금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Buffer)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이 되었을 경우 그 과금 데이터를 상기 과금 디스크(20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CDR(101)은 상기 과금 디스크(200)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실패했을 경우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과금 데이터를 유실 과금 데이터로 지정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300)를 통해 과금센터(1)로 전송하거나, 아니면 그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운용자 터미널(2)의 콘솔창을 통해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OMP(100)내에 장착된 CDSB(102)는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과금 데이터 전송 요구신호를 수신받으면, 그 과금 데이터 전송 요구신호에 포함된 과금 데이터 블록 시작번호 및 끝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과금센터(1)에서 요구한 과금 데이터 블록들을 파악하고, 이후 상기 과금센터(1)에서 요구한 과금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과금 디스크(200)에서 리드하여 상기 OMID(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OMP(100)내에 장착된 메모리(103)는 상기 CDR(101)에서 관리하는 임시 버퍼들이 존재하는 메모리로서,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즉 과금 데이터 블록단위인 1K 바이트(byte)까지 누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이다.
한편, 상기 과금 디스크(200)는 상기 CDR(101)에서 라이트한 과금 데이터를과금 데이터 블록단위, 즉 1K 바이트(byte) 단위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또한, 상기 OMID(300)는 상기 OMP(100)내 CDSB(102)와 상기 과금센터(1) 사이에서 과금 데이터 전송시의 중계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OMP(100)와의 통신방식은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는 한편, 상기 과금센터(1)와의 통신방식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OMP(100)내에 장착된 CDR(101)은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이때, 상기 제 1 단계(S1)에서 과금 데이터가 발생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YES) 상기 CDR(101)은 그 과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한다(S2).
그런후, 상기 CDR(101)은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여기서, 상술한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라는 것은 과금 데이터 블록단위를 의미하며, 그 과금 데이터 블록은 통상 1K 바이트(byte)를 나타낸다.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미만이면(NO)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이면(YES) 상기 CDR(101)은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과금 데이터를 리드(Read)한 후 상기 과금 디스크(200)에 저장한다(S4).
이어서, 상기 CDR(101)은 과금 디스크(200)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
이때, 상기 제 5 단계(S5)에서 과금 디스크(200)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YES)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디스크(200)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실패하면(NO) 상기 CDR(101)은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
상기 제 6 단계(S6)에서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으면(YES) 상기 CDR(101)은 상기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300)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1)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7).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7 단계(S7)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3,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중에서 유신 과금 데이터 전송단계인 제 7 단계(S7)의 세부 단계를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CDR(1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과금 디스크(200)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OMID(300)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1)에 통보한다(S7-1).
그런후, 상기 CDR(101)은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2).
이때, 상기 제 7-2 단계(S7-2)에서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7-2 단계(S7-2)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CDR(1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 메시지를 상기 OMID(300)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1)로 전송한다(S7-3).
그런후, 상기 CDR(101)은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4).
이때, 상기 제 7-4 단계(S7-4)에서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CDR(1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300)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1)로 전송한다(S7-5).
이어서, 상기 CDR(101)은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6).
상기 제 7-6 단계(S7-6)에서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CDR(10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 메시지를 상기 OMID(300)를 통해 과금센터(1)로 전송한다(S7-7).
그런후, 상기 CDR(101)은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계속해서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YES) 상기 CDR(101)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한다(S7-8).
반면에, 상기 제 7-4 단계(S7-4)에서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운용자터미널(2)의 콘솔창을 통해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 후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한다(S7-9).
한편, 상기 제 7-6 단계(S7-6)에서 상기 과금센터(1)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NO), 상기 CDR(101)은 상기 메모리(103)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300)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1)로 재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7-6 단계(S7-6)로 진행한다(S7-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교환기내 과금 디스크의 장애발생에 따라 유실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유실 과금 데이터들을 과금센터로 모두 전송해 줌으로써, 유실 과금 데이터가 유실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호가 종료되어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 그 과금 데이터를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CDR,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OMID로 전송하는 CDSB, 및 임시 버퍼가 존재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OMP; 다량의 과금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 디스크; 상기 OMP내 CDSB 및 과금센터간의 과금 데이터 중계역할을 담당하는 OMID로 구성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과금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한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CDR이 과금 데이터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과금 데이터가 발생지 않으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CDR이 그 과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미만이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과금 데이터의 갯수가 설정된 과금 디스크 저장단위 이상이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과금 데이터를 상기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CDR이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과금 디스크로의 과금 데이터 저장동작이 실패하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지 않으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유실 과금 데이터량이 상기 임시 버퍼의 절반을 넘으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리턴하는 제 7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CDR이 상기 과금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했음을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통보하는 제 7-1 단계;
    상기 CDR이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2 단계;
    상기 제 7-2 단계에서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CDR이 다시 상기 제 7-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과금 디스크 장애통보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CDR이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 메시지를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전송하는 제 7-3 단계;
    상기 CDR이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4 단계;
    상기 제 7-4 단계에서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전송하는 제 7-5 단계;
    상기 CDR이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7-6 단계;
    상기 제 7-6 단계에서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CDR이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 메시지를 상기 OMID를 통해 과금센터로 전송하는 제 7-7 단계; 및
    상기 CDR이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종료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제 7-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3. 상기 제 7-4 단계에서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시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운용자 터미널의 콘솔창을 통해 운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 후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제 7-9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4. 상기 제 7-6 단계에서 상기 과금센터로부터 유실 과금 데이터 수신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CDR이 상기 메모리내 임시 버퍼에 저장된 모든 유실 과금 데이터를 상기 OMID를 통해 상기 과금센터로 재전송한 후 다시 상기 제 7-6 단계로 진행하는 제 7-10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00002880A 2000-01-21 2000-01-21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KR10032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880A KR100324427B1 (ko) 2000-01-21 2000-01-21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880A KR100324427B1 (ko) 2000-01-21 2000-01-21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928A KR20010075928A (ko) 2001-08-11
KR100324427B1 true KR100324427B1 (ko) 2002-02-27

Family

ID=1964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880A KR100324427B1 (ko) 2000-01-21 2000-01-21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4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928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1057B2 (ja) 中継コネク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中継コネクション管理方法
EP1940107A1 (en) A method for processing data synchronization and client terminal, server and data synchronization system thereof
JP5321708B2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状態の管理方法
JP4660557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34098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装置と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606770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使用するゲートウェイ、無線情報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324427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유실 과금 데이터 전송방법
JP2011130418A (ja) 連続性保証のためのパケット伝達装置及び方法、位置管理装置及び方法
JPS6321388B2 (ko)
JPH114259A (ja) 仮想コネクション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756261B (zh) 一种基于sctp端点的缓冲区管理方法
KR20010011749A (ko)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926562B1 (ja) Phsシステムにおける文字メッセージ送信方法とその装置
JP2000347965A (ja) 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及びモバイル通信方法
JP4191473B2 (ja) 無線通信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
KR100610030B1 (ko) 통신시스템, 통신시스템에 사용하는 게이트웨이, 무선정보단말, 및 무선통신방법
KR2005008088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기위한 장치
KR20010063749A (ko) 정책 기반 품질 관리 클라이언트 장치 및 그를 이용한품질 관리 방법
JP2750923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障害回避方式
JP518759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冗長化方法
KR100323098B1 (ko) 오엠아이디시스템과교환기간의파일전송방법
JP3426527B2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並びに当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06209335A (ja) X.25/x.75レイヤ2処理装置
CN115150373A (zh) 音频传输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3320108B2 (ja) Isdn伝送制御方法とそのisdn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