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131B1 -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131B1
KR100323131B1 KR1020000009586A KR20000009586A KR100323131B1 KR 100323131 B1 KR100323131 B1 KR 100323131B1 KR 1020000009586 A KR1020000009586 A KR 1020000009586A KR 20000009586 A KR20000009586 A KR 20000009586A KR 100323131 B1 KR100323131 B1 KR 100323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ute
guide hole
pie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499A (ko
Inventor
황일섭
Original Assignee
황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섭 filed Critical 황일섭
Priority to KR102000000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1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단추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별기에서 선별된 단추들을 슈트를 통해 단추결합장치로 한개씩 공급하기 위해 슈트의 이송밸트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의 미는 힘에 의해 슈트에 형성된 안내공 내측으로 몰입되었다가 단추가 지나가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되는 출몰편과, 상기 출몰편이 안내공 내측으로 몰입시 접점편과 접촉되도록 출몰편에 형성되는 작동봉과, 상기 출몰편이 안내공 외측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안내공내의 작동봉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출몰편이 탄성부재에 의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작동봉이 접점편과 비접촉시 이송밸트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켜 단추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BUTTON ROBOT}
본발명은 단추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슈트의 안내공으로 결합되는 출몰편이 이송밸트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의 미는힘에 의해 안내공 내부로 몰입되면서 출몰편과 연결된 작동봉이 접점편과 접촉을 하게 되고 곧이어 단추의 미는힘이없어지면 출몰편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작동봉이 접점편과 비접촉을 함으로 인해 감지센서가 작동되면서 이송밸트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시켜 단추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도록 된것으로서 단추결합장치로 항상 한개씩의 단추만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된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추들을 재봉기로 자동 공급하는 단추자동공급기의 구성은 단추선별부와 단추정열부(슈트) 그리고 단추공급부로 대별된다.
즉, 상기 단추선별부에서는 바이브레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서 단추들이 나선형 안내면을 따라 차례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추들이 진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확실하게 선별되고 동일 크기의 단추만이 선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선별부에서 선별된 단추들은 단추정열부(슈트)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단추정열부에서는 단추가 일렬로 한개씩 공급되도록 단추의 줄을 세우게 된다.
즉, 상기의 단추정열부는 정열되는 단추의 폭과 두께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종류의 단추를 정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추정열부에서 정열된 첫번째의 단추는 받침다이에서 대기상태로 있다가 하강되는 회전축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면서 단추공급부의 핑거에 안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추가 안착된 핑거는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면서 재봉기로 단추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봉기에서는 핑거에 의해 공급된 단추를 의류에 재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된 종래의 단추자동공급기의 단추정열부(슈트)는 경사진 상태로 설치가 되어 단추의 자중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는 수단과 이송밸트에 의해 단추를 강제 이송시키는 수단이 있다.
즉, 상기 단추의 자중을 이용하는 수단은 단추 한개가 핑거로 옮겨지면 그 빈자리를 다음번의 단추가 위치하여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별문제가 없다.
그러나, 상기 단추를 이송밸트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은 핑거로 첫번째의 단추가 올겨진 직후 즉, 핑거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단추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원활한 단추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밸트로 공급되는 단추의 공급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이송밸트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슈트의 단추를 항상 한개씩 순차적으로 단추결합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슈트의 안내공으로 결합되는 출몰편이 이송밸트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의 미는 힘에 의해 안내공 내부로 몰입되면서 출몰편과 연결된 작동봉이 접점편과 접촉을 하게 되고 곧이어 단추의 미는 힘이 없어지면 출몰편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작동봉이 접점편과 비접촉을 함으로 인해 감지센서가 작동되면서 이송밸트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시켜 단추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 단추공급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
도2는 본발명 단추공급제어장치로 공급되는 단추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3내지 도5는 본발명 단추공급제어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슈트 102-이송밸트
103-안내공 104-출몰편
105-작동봉 106-탄성부재
107-감지센서 108-접점편
109-지지판 111-단추결합장치
112-조오 113-단추
본발명의 구성을 도1 내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별기에서 선별된 단추(113)들을 슈트(101)를 통해 단추결합장치(111)로 한개씩 공급하기 위해 슈트(101)의 이송밸트(102)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113)의 미는 힘에 의해 슈트(101)에 형성된 안내공(103) 내측으로 몰입되었다가 단추(113)가 지나가면 안내공(103) 외측으로 돌출되는 출몰편(104)과,
상기 출몰편(104)이 안내공(103) 내측으로 몰입시 접점편(108)과 접촉되도록 출몰편(104)에 형성되는 작동봉(105)과,
상기 출몰편(104)이 안내공(103) 외측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안내공(103)내의 작동봉(105)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06)와,
상기 출몰편(104)이 탄성부재(106)에 의해 안내공(103)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작동봉(105)이 접점편(108)과 비접촉시 이송밸트(102)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켜 단추(113)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감지센서(107)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발명 단추공급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이고도2는 본발명 단추공급제어장치로 공급되는 단추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선별기에서 선별된 단추(113)는 슈트(101)의 이송밸트(102)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송을 시작하게 된다.
즉, 상기 슈트(101)에 의해 이송되는 단추(113)는 슈트(101)의 출구쪽에 다다르면 이동통로상에 돌출되어 있는 출몰편(104)과 도3과 같이 만나게 된다.
상기의 출몰편(104)은 안내공(103)내부에 탄성부재(106)에 의해 탄지되고 있지만 이송밸트(102)의 이송되는 힘 즉, 단추(113)의 이동되는 힘보다 미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밸트(102)상의 단추(113)는 출몰편(104)을 밀면서 계속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단추(113)의 미는 힘에 의해 출몰편(104)은 안내공(103)내의 탄성부재(106)를 압축시키게 되고 아울러 출몰편(104)에 형성된 작동봉(105)은 슈트(101)외측으로 직진을 하면서 도4와 같이 감지센서(107)의 접점편(108)과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출몰편(104)의 작동봉(105)이 접점편(108)과 접촉을 하면 감지센서(107)는 1차적인 첵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밸트(102)에 의해 계속 진행되는 단추(113)한개가 출몰편(104)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의 출몰편(104)도 안내공(103)내부에 결합된 탄성부재(106)의 탄력에 의해 이동통로상으로 도5와 같이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출몰편(104)의 이동에 의해 작동봉(105)과 접점편(108)이 떨어지게 되고 이 순간 감지센서(107)는 2차적인 첵킹을 하여 이송밸트(102)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단추결합장치(111)가 하강하여 단추를 핑거에 결합한뒤 상승하여 원위치하는데 걸리는 시간만큼)동안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몰편(104)을 통과한 단추(113)는 도1의 단추결합장치(111)에 장착된 조오(112)의 표면으로 떨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조오(112)들의 벌리고 오무리는 작용에 의해 단추(113)의 중심을 잡은뒤 핑거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감지센서(107)의 2차적인 첵킹에 의해 구동이 정지된 이송밸트(102)는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재구동 되면서 단추(113)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슈트의 안내공으로 결합되는 출몰편이 이송밸트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의 미는 힘에 의해 안내공 내부로 몰입되면서 출몰편과 연결된 작동봉이 접점편과 접촉을 하게 되고 곧이어 단추의 미는 힘이 없어지면 출몰편이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작동봉이 접점편과 비접촉을 함으로 인해 감지센서가 작동되면서 이송밸트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 동안 정지시켜 단추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송밸트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급되는 슈트의 단추를 항상 한개씩 순차적으로 단추결합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선별기에서 선별된 단추들을 슈트를 통해 단추결합장치로 한개씩 공급하기 위해 슈트의 이송밸트를 타고 이송되는 단추의 미는 힘에 의해 슈트에 형성된 안내공 내측으로 몰입되었다가 단추가 지나가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되는 출몰편과,
    상기 출몰편이 안내공 내측으로 몰입시 접점편과 접촉되도록 출몰편에 형성되는 작동봉과,
    상기 출몰편이 안내공 외측으로 원활하게 돌출되도록 안내공내의 작동봉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출몰편이 탄성부재에 의해 안내공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작동봉이 접점편과 비접촉시 이송밸트의 구동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켜 단추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KR1020000009586A 2000-02-26 2000-02-26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KR100323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586A KR100323131B1 (ko) 2000-02-26 2000-02-26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586A KR100323131B1 (ko) 2000-02-26 2000-02-26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499A KR20010084499A (ko) 2001-09-06
KR100323131B1 true KR100323131B1 (ko) 2002-02-04

Family

ID=196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586A KR100323131B1 (ko) 2000-02-26 2000-02-26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8889A (zh) * 2009-03-17 2010-09-22 黄一燮 用于纽扣自动供给机的纽扣排列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3982B (zh) * 2019-04-16 2024-02-20 广东宜荣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连续完成两道锁眼工序的装置
CN112899893B (zh) * 2021-01-18 2023-02-07 江汉油田比耐雅工贸潜江有限公司 一种纺织服装袖口纽扣缝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8889A (zh) * 2009-03-17 2010-09-22 黄一燮 用于纽扣自动供给机的纽扣排列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499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245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자동 송출장치
US5690325A (en) Paper-reversing apparatus for use in providing two-sided copies
CN100448339C (zh) 工件传送装置
KR100323131B1 (ko) 단추자동공급기용 슈트의 단추공급제어장치
JPH09239169A (ja) 縫製用ボタン取付ミシンへのボタン自動供給装置
EP2196419A2 (en) Sheet supply apparatus
JP3363421B2 (ja) ワークの自動供給装置
EP0292001A2 (en) Automatic original feeding and discharging unit
JPH0312740Y2 (ko)
JPH081454A (ja) 連続ビス打機
JP2606505B2 (ja) 部品供給装置
JPS61169409A (ja) 部品の全数整送装置
JP2001250135A (ja) カード処理装置
JPS60258029A (ja) シ−ト状材料の給送装置
JP329115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S5817063A (ja) シ−ト分類装置
JP3378277B2 (ja) シリンダライナ供給装置
KR940007227Y1 (ko) 핸들러의 빈슬리이브 자동 공급 장치
JPH0581513B2 (ko)
JPH0128678Y2 (ko)
JPH0940143A (ja) ボール供給装置
JPH0120334Y2 (ko)
JPS6356776A (ja) Icカ−ドの読み取り・書き込み装置
KR950009877Y1 (ko) 디바이스 핸들러의 튜브 정렬장치
JPS6331929A (ja) 部品の間歇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