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91B1 -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91B1
KR100323091B1 KR1019990049989A KR19990049989A KR100323091B1 KR 100323091 B1 KR100323091 B1 KR 100323091B1 KR 1019990049989 A KR1019990049989 A KR 1019990049989A KR 19990049989 A KR19990049989 A KR 19990049989A KR 100323091 B1 KR100323091 B1 KR 10032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tainer
gunpowder
metal balls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282A (ko
Inventor
강병욱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4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0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91B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글래스(2)를 파괴할 수 있는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4)로, 개방된 일측면이 글래스에 대향되도록 상기 글래스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내부에는 화약(12) 및 상기 화약을 폭발시키기 위한 뇌관(13)이 수용된 용기(11); 용기의 개방면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화약 폭발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14);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화약 사이에 삽입되어 화약의 폭발시 용기의 개방면을 통해 튀어나가 글래스를 파괴하는 다수의 금속 볼(15); 및 뇌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폭 스위치(16)를 포함한다. 이 글래스 파괴 장치는 기폭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화약이 폭발하여 금속 볼들이 용기 밖으로 튀어나가고, 튀어나간 금속 볼들이 글래스를 타격하여 파괴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Apparatus for breaking glass in emergency situation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비상시 탑승객이 자동차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글래스를 파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에 있어서, 탑승객은 도어를 통해 자동차에 탑승 또는 하차하게 된다. 그런데, 사고로 인하여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자동차가 강물에 추락하게 되는 경우, 탑승자는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위하여 사고 자동차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고시의 충격으로 인하여 도어가 변형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거나, 자동차가 강물에 추락했을 때 수압에 의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경우, 탑승자는 탈출구를 확보하지 못하여 자동차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의 자동차에는 도어(1)에 인접한 위치에 도어 글래스(2)를 파괴할 수 있는 망치(3)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즉, 비상탈출의 필요가 있을 때 탑승자는 구비된 망치(3)를 이용하여 도어 글래스(2)를 파괴한 다음 파괴된 글래스 공간을 통하여 탈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모든 차량에 망치가 구비되어 있지는 않으며, 망치가 구비되어 있다 해도 노인이나 여성과 같이 힘이 약한 탑승객이 자동차의 좁은 공간 내에서 망치를 휘둘러 글래스를 파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글래스를 파괴할 수 있어 비상시 탑승객의 신속한 탈출을 도모할수 있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도어 및 도어 글래스를 파괴하기 위하여 구비된 망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파괴 장치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글래스 파괴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글래스 파괴 장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도어 글래스 4 ; 글래스 파괴 장치
11 ; 용기 12 ; 화약
13 ; 뇌관 14 ; 커버 부재
15 ; 금속 볼 16 ; 기폭 스위치
17 ; 고정 브라켓
상기의 목적은, 개방된 일측면이 글래스에 대향되도록 상기 글래스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내부에는 화약 및 상기 화약을 폭발시키기 위한 뇌관이 수용된 용기; 용기의 개방면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화약 폭발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화약 사이에 삽입되어 화약의 폭발시 용기의 개방면을 통해 튀어나가 글래스를 파괴하는 다수의 금속 볼; 및 뇌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폭 스위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따른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기폭 스위치는 압전식 스위치고, 용기는 가요성 재질의 고정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기폭 스위치를 누르면 화약이 폭발하여 금속 볼들이 용기 밖으로 튀어나가고, 튀어나간 금속 볼들이 글래스를 타격하여 파괴한다. 따라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글래스를 파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파괴 장치(4)는 도어 글래스(2)의 일측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화약(12)과 뇌관(13)이 수용된 용기(11), 커버 부재(14), 다수의 금속 볼(ball)(15) 및 기폭 스위치(16)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의 도어 글래스(2)에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면은 커버 부재(14)에 의해 밀폐된다. 용기(11)의 내부에는 화약(12)과 뇌관(13)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11)는 화약 폭발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버 부재(14)는 화약 폭발시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얇은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1)는 고정 브라켓(17)에 의해 도어 섀시(5)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17)은 글래스(2)에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볼들(15)은 용기(11)에 수용된 화약들(1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기폭 스위치(16)는 전선(18)을 통해 뇌관(13)에 연결된 압전식 스위치로서 탑승자가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압전식 스위치는 통상의 라이터(lighter)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것으로, 스위치를 누르면 전선(18)의 끝에서 불꽃이 방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4는, 비상시 탑승자가 기폭 스위치(16)를 누르는 것에 의해 화약(12)이 폭발하면서 용기(11) 내부의 금속 볼들(15)이 글래스(2)를 타격하여 파괴한다.
즉, 탑승자가 기폭 스위치(16)를 누르면 뇌관(13)과 연결된 전선(18)의 끝에서 불꽃이 방전되어 뇌관(13)이 폭발하고, 뇌관(13)의 폭발에 의해 화약(12)이 2차로 폭발된다. 화약(12)의 폭발력에 의해, 커버 부재(14)가 파손되고 다수의 금속 볼들(15)은 용기(11)의 개방면을 통해 용기(11)의 외부로 튕겨나가게 된다. 튕겨져 나온 금속볼들(15)은 글래스(2)를 타격하여 파괴한다. 이때, 금속 볼(15)에 의해 파괴되는 도어 글래스(2)는 일부에 충격이 가해져도 전체가 파괴되도록 처리된 글래스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약 폭발시 발생되는 반력이 너무 크면, 반력에 의해 고정 브라켓(17)이 섀시(5)로부터 분리되면서, 용기(11) 또는 금속 볼들(15)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 브라켓(17)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면,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7)이 휘어지면서 반력을 흡수하므로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볼들(15)의 타격에 의해 글래스(2)가 파괴되면 탑승자는 글래스(2)의 설치 공간을 통해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글래스 파괴 장치가 도어 글래스(2)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윈드실드 글래스 또는 리어 글래스에 설치되는 경우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폭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화약이 폭발면서 용기 내의 금속 볼들이 글래스를 타격하여 파괴하므로,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글래스를 파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개방된 일측면이 글래스에 대향되도록 상기 글래스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내부에는 화약 및 상기 화약을 폭발시키기 위한 뇌관이 수용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면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약 폭발에 의해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화약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화약의 폭발시 상기 용기의 개방면을 통해 튀어나가 글래스를 파괴하는 다수의 금속 볼; 및
    상기 뇌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폭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 스위치는 압전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요성 재질의 고정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KR1019990049989A 1999-11-11 1999-11-11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KR10032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89A KR100323091B1 (ko) 1999-11-11 1999-11-11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989A KR100323091B1 (ko) 1999-11-11 1999-11-11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82A KR20010046282A (ko) 2001-06-15
KR100323091B1 true KR100323091B1 (ko) 2002-02-09

Family

ID=1961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89A KR100323091B1 (ko) 1999-11-11 1999-11-11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22A (ko) 2017-12-01 2019-06-11 (주)수아 화약퓨즈를 이용한 비상탈출구 확보장치
US11225214B2 (en) 2019-08-06 2022-01-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stri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781B1 (ko) * 2000-07-29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래스 파괴장치
KR200482501Y1 (ko) 2014-12-05 2017-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용 비상 탈출 창문
KR101577817B1 (ko) * 2015-11-24 2015-12-15 주식회사 삼인에이치엔티 차량용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22A (ko) 2017-12-01 2019-06-11 (주)수아 화약퓨즈를 이용한 비상탈출구 확보장치
US11225214B2 (en) 2019-08-06 2022-01-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stri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8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290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
JP2501742B2 (ja) 高圧下でガスを長期間収納するようにされた容器からガスを突然解放する装置
KR20120019486A (ko) 하이브리드 가스 발생기
KR100323091B1 (ko) 자동차의 비상 탈출용 글래스 파괴 장치
JPH08156724A (ja) エアバッグ装着車用の窓ガラス破壊具
JPH1148914A (ja) ベルトテンショナのための線形駆動装置
US4706990A (en) Mechanical impact sensor for automotive crash bag systems
KR20170007723A (ko) 자동차용 비상 탈출 글래스 파괴 장치
US4077423A (en) High pressure gas discharge valve device for safety air bags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US6578488B2 (en) Safety device for a pyrotechnic impact fuse of a ballistic high explosive shell
JP2007223485A (ja)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2007506616A (ja) 爆発結着装置
CA2193711C (en) Apparatus for the quick inflation of an airbag
KR200373695Y1 (ko) 자동차의 긴급탈출용 창문파괴장치
KR20050122150A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창문파괴장치
KR20010000848A (ko) 자동차의 긴급 탈출용 유리 파괴장치
KR100482491B1 (ko) 차량의 창문 파쇄용 비상 해머
EP1493638B1 (en) Pressurized gas container
CN215427024U (zh) 一种逃生破窗装置
JPH08136191A (ja) 発射筒の前方カバー構造
CN213272023U (zh) 充气装置
KR100255447B1 (ko) 화상방지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0001761A (ko)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안전장치
KR20230119915A (ko) 차량용 비상 탈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