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42B1 -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42B1
KR100322342B1 KR1019990021732A KR19990021732A KR100322342B1 KR 100322342 B1 KR100322342 B1 KR 100322342B1 KR 1019990021732 A KR1019990021732 A KR 1019990021732A KR 19990021732 A KR19990021732 A KR 19990021732A KR 100322342 B1 KR100322342 B1 KR 10032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cycled
spiral
resin layer
recycl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100A (ko
Inventor
윤임규
Original Assignee
윤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임규 filed Critical 윤임규
Priority to KR101999002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3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재생수지를 관벽의 재료로 활용하면서 그 관벽을 이루는 부재간의 일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일정한 높이만큼 떨어진 내외측에 평활하게 형성되는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수지층(30)으로서 관벽(100)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지층(30)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에 굴곡접합면(31b)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속홈부(31c)가 요입 형성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되어 배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의 구속홈부(31c) 내에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는 재생수지(33)가 채워져서 일연체가 되도록 형성한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회전되는 권취드럼(200)에 원호형으로 나선권회시키면서 평활하게 연이어지는 내면수지층(10)을 성형하고, 압출다이스(300)로부터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되고 양측에는 굴곡접합면(31b)이 그 중앙에는 구속홈부(31c)를 가지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를 압출성형하여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시키면서 상기 내면수지층(10) 상에 용융 접합시킨 후에, 나선권회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에 겔상태의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성형하면서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재생수지(33)를 채워서 일체가 되도록 내부수지층(30)을 성형하며, 성형된 내부수지층(30)의 외주면 둘레에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나선권회시키면서 일체가 되도록 용융 접합하여서 외면수지층(20)을 성형하는 작업공정을 통하여 관벽(100)을 이루도록 제조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A Process for Making a Pipe by using of the Recycled Plastics Material and a Plastic Pipe therefrom}
본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및 우수를 배수시켜 주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벽의 재료로 재생수지를 사용하여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외적인 하중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주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지중에 설비되는 배수관로의 용도로 합성수지관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콘크리트관이나 주철관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경량이어서 취급 및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폐수지로부터 얻어진 재생수지로서 제조된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어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위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과 관련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제95-23587호(1995.8.23)에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 양호한 일반수지와 폐수지를 재생하여서 된 질이 다른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관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관체(1)의 강성과 재생수지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측에 금속성으로 된 보강재(4)를 나선권회시켜 매설하되 상기한 보강재(4)의 외부표면에는 접착성수지(6)를 피복하여, 이 보강재(4)를 매개체로하여 내,외층(2),(5)이 일체화로 접합되게 하며, 상기한 내층(2)은 일반수지층으로 다소 얇게 구성하고, 외층(5)은 재생수지로서 두껍게 구성하며, 내,외층(2),(5)은 테이프형의 띠막으로서 나선식으로 감겨져 열융착 접합되는 것"을 기술요지로 한 재생수지를 이용한 관체의 구조가 선출원공개되어 있다.
이 재생수지를 이용한 관체의 구조에 의하면, 관체(1)의 재료로 재생수지를 사용하여서 원가를 절감시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또한
접착성수지(6)를 피복하여서 된 보강재(4)를 매개체로하여 고강도의 관체(1)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고안의 재생수지를 이용한 관체의 구조에 있어, 재생수지로 된 내,외층(2),(5)이 접착성수지(6)를 피복하여서 된 보강재(4)를 매개체로하여 단순접합되어서 관체(1)를 이루게 되므로, 관체(1)을 이루는 부재간에 재료분리되는 심각한 결함을 가지게 되었다.
즉, 재생수지로 된 내,외층(2),(5)이 단지 보강재(4)를 감싼 접착성수지(6)의 접착력에 의존하여 상호 접합되어 있다. 이때, 내층(2)은 일반수지로 되는 반면에 외층(5)은 접합능력이 균일하지 못한 재생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관체(1)가 커다란 하중을 집중적으로 작용받게 되면, 보강재(4)를 감싼 접착성수지(6)로부터 외층(5)이 들떠서 재료분리됨에 따라 관벽(1)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어서 사용수명이단축될 뿐만 아니라, 오수 및 우수를 배수시켜 주는 원래의 배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관벽의 재료로 사용되는 재생수지의 결함을 극복하도록 보완한 구조로서 관벽을 이루는 부재간에 일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재활용가치가 높은 재생수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서 경제성 및 환경친화성을 겸비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둘째 관벽이 집중적인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는 고품질의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고안의 재생수지를 이용한 관체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절결 단면도
도2는 본발명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을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3는 본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을 나타낸 일부절
결 정면도
도4는 본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을 나타낸 일부절
결 정면도
도5는 본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을 나타낸 일부절
결 정면도
도6은 본발명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내면수지층 20: 외면수지층
30: 내부수지층 31: 재생수지 나선단위체
31a: 접착성 피복수지 31b: 굴곡접합면
31c: 구속홈부 31d: 굴곡접합면
32: 보강심재 33: 재생수지
34: 동공 100: 관벽
본발명도 일정한 높이만큼 떨어진 내외측에 평활하게 형성되는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수지층(30)으로서 관벽(100)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은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수지층(30)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에 굴곡접합면(31b)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속홈부(31c)가 요입 형성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되어 배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의 구속홈부(31c) 내에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는 재생수지(33)가 채워져서 일연체가 되도록 형성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내부수지층(30)이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를 중심으로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 내에는 보강심재(32)가 채워져서 구속되도록 형성하고,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채워지는 재생수지(33)가 굴곡접합면(31b)을 통하여 짜맞춰지는 형태로서 견고하게 접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관벽(100)의 기본골격을 이루는 내부수지층(30)이 부재간에 일체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서 외적인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은, 첫째 사용후 폐기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수지로부터 얻어져서 가격이 저렴한 재생수지를 관벽(100)의 재료로 활용하여 제작원가를 절감시켜서 저렴한 제품을 제작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으며, 둘째 관벽(100)이 집중적인 하중을 작용받더라도 그 관벽(100)을 이루는 부재간에 재료분리되어서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됨을 방지하여서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동시에, 오수 및 우수를 배수시켜 주는 원래의 배수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외면수지층(10)(20)은 각각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소재로하여 나선권회시켜서, 그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에 공간부를 두고 평활하게 연이어지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 내부수지층(30)이 배치 형성되어서 평활한 관벽(100)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내부수지층(30)은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에 나선권회되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와, 보강심재(32) 및 재생수지(33)를 일체화시킨 구조로서 상기 관벽(100)의 기본골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수지층(30)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되며 좌우 양측에는 굴곡접합면(31b)이 그 중앙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속홈부(31c)가 요입 형성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을 구비하여,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 내에 겔상태의 보강심재(32)를 채우고 경화시켜서 형성하고,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역시 겔상태의 재생수지(33)를 채워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보강심재(32)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 내에 채워져서 구속되는 형태로서 형성되고, 재생수지(33)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서 굴곡접합면(31b)에 의하여 짜맞춰지는 형태로서 채워져서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내부수지층(30)을 이루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 보강심재, 재생수지(33) 상호간의 일체성을 극대화시켜 줌으로써, 관벽(100)이 외적인 하중에 효율적으로 감당하는 내압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는 도2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의 수직벽면을 따라 굴곡접합면(31b)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중앙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사각형상으로 구속홈부(31c)를 요입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한편, 도3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형의 단면형상으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의 경사벽면을 따라 굴곡접합면(31b)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중앙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쐐기형의 구속홈부(31c)를 요입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중앙에 쐐기형으로 형성된 구속홈부(31c) 내에 채워져서 성형되는 보강심재(32)가 더욱 확실하게 구속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확보된 쐐기형의 빈공간에 재생수지(33)가 채워져서 더욱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 도4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은 상기 내,외면수지층(10)(20)들과 연접되는 상하단의 접합부위에 각각 굴곡접합면(31d)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내,외면수지층(10)(20)과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상호간이 굴곡접합면(31d)을 통하여 더욱 견고하게 접합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 도5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을 연이어주는 재생수지(33)는,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의 하단 일부가 연결되도록 채워져서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의 상단에 동공(34)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집중적인 하중이 작용되지 않은 매설위치에 적합한 구조로서 재생수지(33)의 사용량을 절감하여서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을 도6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회전되는 권취드럼(200)에 원호형으로 나선권회시켜서 평활하게 연이어지는 내면수지층(10)을 성형하고, 압출다이스(300)로부터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되고 양측에는 굴곡접합면(31b)을 그 중앙에는 구속홈부(31c)를 가지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를 압출성형하여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시키면서 상기 내면수지층(10) 상에 용융 접합시킨 후에, 나선권회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에 겔상태의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성형하면서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재생수지(33)를 채워서 일체가 되도록 내부수지층(30)을 성형하며, 성형된 내부수지층(30)의 외주면 둘레에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나선권회시키면서 일체가 되도록 용융 접합하여서 외면수지층(20)을 성형하는 작업공정을 통하여 관벽(100)을 이루도록 제조하여서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재생수지를 관벽(100)의 재료로 사용하여서 그 관벽(100)을 이루는 부재간의 일체성을 향상시켜주도록 제조하여 줌으로써, 가격이 제렴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합성수지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관벽(100) 자체의 내압강도를 증대시켜서 집중적인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는 합성수지관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재생수지를 관벽의 재료로 활용하면서 그 관벽을 이루는 부재간의 일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어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합성수지관을 제공하여 주는 동시에, 관벽이 외적인 하중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가지도록 하여서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며 원래의 배수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일정한 높이만큼 떨어진 내외측에 평활하게 형성되는 내,외면수지층(10)(20) 사이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수지층(30)으로서 관벽(100)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지층(30)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에 굴곡접합면(31b)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속홈부(31c)가 요입 형성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되어 배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의 구속홈부(31c) 내에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는 재생수지(33)가 채워져서 일연체가 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의 수직벽면을 따라 굴곡접합면(31b)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중앙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사각형상으로 구속홈부(31c)를 요입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형의 단면형상으로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된 좌우 양측의 경사벽면을 따라 굴곡접합면(31b)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중앙에는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쐐기형의 구속홈부(31c)를 요입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은 상기 내,외면수지층(10)(20)들과 연접되는 상하단의 접합부위에 각각 굴곡접합면(31d)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5.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회전되는 권취드럼(200)에 원호형으로 나선권회시켜서 평활하게 연이어지는 내면수지층(10)을 성형하고, 압출다이스(300)로부터 외면 전체에 접착성 피복수지(31a)가 피복되고 양측에는 굴곡접합면(31b)을 그 중앙에는 구속홈부(31c)를 가지는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를 압출성형하여서 간격을 두고 나선권회시키면서 상기 내면수지층(10) 상에 용융 접합시킨 후에, 나선권회된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의 구속홈부(31c)에 겔상태의 보강심재(32)를 채워서 구속되도록 성형하면서 그 재생수지 나선단위체(31)들 사이에 재생수지(33)를 채워서 일체가 되도록 내부수지층(30)을 성형하며, 성형된 내부수지층(30)의 외주면 둘레에 띠형상의 경질수지를 나선권회시키면서 일체가 되도록 용융 접합하여서 외면수지층(20)을 성형하는 작업공정을 통하여 관벽(100)을 이루도록 제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9990021732A 1999-06-11 1999-06-11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732A KR100322342B1 (ko) 1999-06-11 1999-06-11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732A KR100322342B1 (ko) 1999-06-11 1999-06-11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0A KR20010002100A (ko) 2001-01-05
KR100322342B1 true KR100322342B1 (ko) 2002-03-13

Family

ID=1959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732A KR100322342B1 (ko) 1999-06-11 1999-06-11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77A (ko) * 2001-11-02 2003-05-16 안계진 내압용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888216B1 (ko) * 2002-06-28 2009-03-12 주식회사 프라코 내열 고강도 배수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0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1570Y1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0322342B1 (ko) 재생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98452B1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의 성형방법
JP5202768B2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20010002099A (ko)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CN106051325B (zh) 整体钢塑复合加筋管及其加工方法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KR10031168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26547B1 (ko)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KR0181000B1 (ko) 플랜지가 형성된 합성수지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215568540U (zh) 一种克拉管
CN214093387U (zh) 一种pp双高筋增强型聚乙烯缠绕管
JP2021025615A (ja) 変換継手および変換継手の製造方法
CN212960264U (zh) 一种连接稳定的pp高筋增强聚乙烯缠绕管
CN105736853B (zh) 一种外波纹增强钢塑复合缠绕管及其加工方法
CN217559227U (zh) 一种定向弯曲波纹管及具有定向弯曲波纹管的缠绕波纹管
CN219866927U (zh) 一种嵌入型增强聚乙烯缠绕复合管
CN219866706U (zh) 中空壁加筋缠绕波纹管
CN217583510U (zh) 一种双层缠绕内肋增强管
JPH0535270Y2 (ko)
JP2542232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製造方法
KR101095653B1 (ko)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JPH02125193A (ja) プラスチック内張コンクリート管
CN210566760U (zh) 中空壁外肋增强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