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328B1 - 방전램프의점등방법및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램프의점등방법및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328B1
KR100322328B1 KR1019980040438A KR19980040438A KR100322328B1 KR 100322328 B1 KR100322328 B1 KR 100322328B1 KR 1019980040438 A KR1019980040438 A KR 1019980040438A KR 19980040438 A KR19980040438 A KR 19980040438A KR 100322328 B1 KR100322328 B1 KR 10032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scharge lamp
emitting tube
light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218A (ko
Inventor
사토시 고미나미
코우지 미와자키
시게루 호리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3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92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lamp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발광관 중앙부에서 봉입물이 발광관에 띠상으로 부착하여 그 부분의 투명성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방전램프의 긴 수명화를 실현하는 방전 램프의 점등방법 및 점등 장치를 제공한다.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 배치시킨 방전 램프에 입력하여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방전 램프를 점등하는데 있어 소정의 주파수는 음향공명에 의해 상기 아크 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주파수이며,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상기 방전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입력 전력 값이 상기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이에 의해 상기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방전램프의 점등방법 및 점등장치
본 발명은 방전 램프의 점등 방법 및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에 있어서, 음향공명을 이용하여 거의 직선상의 아크방전을 발생시키는 점등방법 및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발광관의 거의 중앙부에 아크를 에워싸도록 띠상으로 집중한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과 반응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발광관의 투명성의 열화를 방지하여 방전 램프의 긴 수명화를 실현하는 방전램프의 점등 방법 및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할로겐화물 램프는 고휘도, 고효율, 고연색성, 긴 수명 등의 특징으로부터 실외 조명용 광원 및 실내 조명용 광원,특히 점포 조명용 광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소형으로 저전력의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가 영상기기용 광원이나 자동차의 전조등용 광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방전 램프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점등하면, 발광관 내에 발생하는 온도분포에 의한 대류(對流)의 영향으로 아크가 상방향으로 만곡한다. 아크가 만곡하면, 약5000K의 아크와 발광관 상부가 근접하기 때문에, 발광관 상부의 온도가 발광관 하부와 비교하여 상승한다. 이에 의해 발광관 상부의 투명성이 하부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열화하며(즉 투명성이 소실됨), 방전 램프의 수명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소형으로 저전력의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에서는 아크와 발광관 사이의 거리가 더욱 근접하기 때문에, 상기 아크의 만곡이 방전 램프의 수명에 더욱 큰 영향을 준다.
더욱이 아크가 만곡하면, 아크의 형상이 상하 비대칭으로 된다. 이 때문에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를 반사경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광학 설계할 때의 아크의 만곡을 고려할 필요가 생기며, 광학설계가 매우 복잡하여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아크의 만곡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음향공명을 이용하는 점등 방법이 특개평7-14684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개평7-14684호 공보에는 10kHz 내지 100kHz의 주파수 범위로 발광관 내에 반경방향의 음향공명을 여기하는 주파수 및 파형을 가지는 교류전류를방전 램프에 공급하고, 그때의 교류전류의 주파수 FV와 반경방향 음향파의 주파수 FR과의 사이에
n·2FV=m·FR
FR=3.83C/(2πR)
(단 n 및 m:정수, C:발광관 내의 반경방향의 음속, R:발광관의 내경)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하도록 교류전류의 주파수FV를 선정하는 것에 의해 대류의 영향에 의한 아크의 만곡을 제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음향공명은 방전램프의 고주파 점등 시에 발광관내의 봉입물과 발광관의 형상으로 결정되는 방전램프 고유의 주파수와,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의 주기적 변화의 주파수가 거의 동등하게 된 때에 발광관 내에 조밀파의 정재파가 생기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며, 일반적으로는 아크의 불안정화, 소멸, 발광관의 파열 등의 원인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종래는 음향공명의 발생을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음향 공명에는 반경방향, 축방향 및 원주방향의 3종류의 모드가 있으며, 특개평7-14684호 공보에 의한 수법은 음향공명 중에서도 반경방향의 음향공명을 이용한 점등방법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에 의한 검토의 결과 특개평7-14684호 공보에 개시된 음향공명을 이용한 점등방법에서도 반드시 항상 양호한 방전 램프의 점등상태가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발광관 중앙부에 봉입물이 발광관에 띠상으로 부착하여 그 부분의 투명성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전 램프의 긴 수명화를 실현하는 방전램프의 점등 방법 및 점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전 램프의 점등 방법은,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배치시킨 방전램프에 입력하여 아크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램프를 점등하는 방전램프의 점등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음향공명에 의해 아크 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주파수이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방전 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입력 전력값이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그것에 의해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에 띠상의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전 램프의 점등장치는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 배치시킨 방전 램프에 입력하여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 램프를 점등하는 방전 램프의 점등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음향공명에 의해 아크 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주파수이며, 방전팸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방전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입력 전력값이,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그것에 의해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의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 V(㎣) 및 정격 점등 시에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P(W)에 의해 나타나는 좌표평면상에서 P=V=0으로 되는 원점을 통하는 직선에 의해 규정하는 경우에 P/V≤1.4(W/㎣)으로 표현되는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장축이 전극축과 거의 나란한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로 얻어지며, 상기 발광관의 봉입물은 적어도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등장치는 점등회로를 또한 구비하여 얻어지며, 상기 점등회로는 직류전원회로와, 상기 직류전원회로의 직류출력을 교류출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와, 상기 인버터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교류출력을 수취하며 상기 방전램프에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리액턴스 소자와 방전램프 사이에 접속되어 방전램프에 시동펄스를 공급하는 고압펄스 발생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등회로가, 상기 방전 램프의 점등 중에 봉입물이 상기 발광관의 관벽으로의 띠상 부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점등회로가 상기 방전 램프로의 공급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점등회로는 상기 방전 램프로의 상기 공급 전력의 상하값을 규정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 주변에 배치된 수광수단일 수 있다.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내경(D) 및 길이(L)가 D/L≤약0.5가 되는 관계를 충족할 수 있다.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V)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길이 L=약6㎜ 내지 약 9㎜로 얻어지며 그 내경D=약 2㎜ 내지 약 4㎜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내경D=3㎜ 일 수 있으며, 그 길이L=약 6㎜ 내지 약 9㎜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길이L=약7.5㎜일 수 있으며, 그 내경 D=약2㎜ 내지 약 4㎜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약 100kHz 내지 약200kHz 범위내일 수 있다.
도1은 방전램프의 점등시의 봉입 요오드화물의 존재상태와 램프전력P 및 발광관 내용적V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방전램프의 점등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도2의 점등장치의 구성에 포함되는 점등회로가 출력하는 전류파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램프 점등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4의 점등장치의 구성에 포함되는 수광수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수평배치된 발광관에 약75kHz의 정현파 교류전류 또는 약 400Hz의 구형파 교류전류를 공급하여 점등시킨 경우의 발생하는 아크의 형상과 봉입 요오드화물의 존재상태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전램프(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2 : 점등회로
3 : 직류전원회로 4 : 직렬인버터회로
5 : 구동회로 6 : 쵸크코일
7 : 고압펄스발생회로 8 : 상용교류전원
9 : 정류평활회로 10,11 : FET
12 : 콘덴서 13 : 강압쵸퍼회로
14 : 수광수단 15 : 트랜지스터
16 : 쵸크코일 17 : 다이오드
18 : 콘덴서 19 : 제어회로
20 : 발광관 30 : 전극
40 : 아크 50 : 요오드화물
101 : 포토다이오드 102 : 필터
103 : 렌즈
우선 반경방향의 음향공명을 이용하여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는 점 등 방법에 있어서 과제를 확인 및 검토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 등이 행한 점등 실혐의 결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6은 내경 약2.7㎜ 및 길이 약 7.4㎜인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 형상의 발광관(20)에 수은, 크세논 및 Sc-Na계의 요오드화물(금속 할로겐화물)이 봉입되어 있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약 75kHz의 정현파 교류 전류 또는 약 400Hz의 구형파 교류 전류를 전극(30) 사이에 공급하는 것에 의해 출력 약 35W로 점등한 때에 발생하는 아크(40)의 형상과 발광관(20)의 내부로 증발 하지 않고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요오드화물(50)의 존재상태를 각각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약 75kHz의 정현파에 의한 점등은 35W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로 아크(40)가 거의 직선상으로 되는 점등방법이며, 한편 약400Hz의 구형파에 의한 점등은 아크(40)가 만곡하는 종래의 점등 방식의 일례이다.
도6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자에 의한 검토의 결과 400Hz의 구형파에 의한 점등시와 75kHz의 정현파에 의한 점등시와의 사이에는 발생하는 아크(40)의 형상이 상술과 같이 다른 것에 부가하여 발광관(20)의 내부로 증발되지 않고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요오드화물(50)의 발광관(20)으로의 부착상태가 다른 것이 확인 되었다.
즉, 400Hz구형파에 의한 점등에서는 요오드화물(50)은 중력에 의한 영향으로 발광관(20)의 하부에 모인다. 이 경우 아크(40)는 상방으로 만곡하고 있으며 발광관(20)의 하부에 요오드화물(50)이 집중하고 있어도 광의 이용효율의 점에서는 큰 영항은 없다.
이에 대해 75kHz 정현파에 의한 점등에서는 요오드화물(50)이 발광관(20)의 중앙부에 아크(40)를 에워싸도록 거의 띠상으로 부착된다. 본원 발명자에 의한 검토에 의하면 이것은 반경방향의 음향 공명에 의해 아크(40)가 직선상으로 되는 한편, 음향공명의 다른 모드인 축방향의 음향공명에 의해 발광관(20)의 중앙부에서의 요오드화물의 밀도가 크게 되며, 발광관내의 가스와 비교하여 온도가 낮은 발광관 내면 표면에서 액체화하여 결과적으로 띠상으로 부착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같이 요오드화물(50)이 발광관(20)의 중앙부에 아크(40)를 에워싸도록띠상으로 부착하면 부착부분에서 발광관(20)을 구성하는 석영 가스와 요오드화물(50)과의 화학 반응이 가속되며, 발광관(20)의 띠상부분에 있어서 투명성이 소실되어 광속이 저하하고, 방전팸프의 수명을 단축한다. 또한 통상 방전램프는 반사경과 조합하여 사용되지만 발광관(20)의 중앙부에 띠상으로 투명성이 소실된 영역이 발생하면, 반사경과 조합한 경우의 광의 이용효율이 저하한다.
이에 대해 본원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발광관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봉입물의 띠상의 부착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방전램프의 점등방법 및 점등장치를 실현하였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원 발명의 방전램프의 점등방법 및 점등 장치로 상기와 같은 발광관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봉입물의 띠상의 부착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입물이 발광관의 거의 중앙부에 띠상으로 부착하는 원인은 축 방향의 음향공명 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에서 봉입물의 띠상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으로는 축 방향의 음향공명을 완전하게 제거하든가 또는 띠상 부착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충분하게 약하게 하면 좋다고 생각된다.
축 방향의 음향공명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으로는 발광관 형상을 변경하면 좋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의 발광관은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으로는 반경방향, 축 방향 및 주위방향의 전체의 모드의 음향공명이 램프의 입력전력의 주파수에 대하여 불규칙하게 또한 광범위하게 걸쳐 관측된다. 따라서 축방향의 음향공명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발광관 형상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래서 축방향의 음향공명을 봉입물이 발광관의 거의 중앙부에서 띠상으로 부착하지 않는 정도로 약하게 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음향공명이 봉입물을 이동시키는 힘은 발광관 내에 발생하는 조밀파의 강도에 비례한다. 조밀파는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램프전력)의 주기적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아크 온도의 주기적 변화가 압력 변화를 발생하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즉, 음향공명이 봉입물을 이동시키는 힘은 램프 전력에 비례하므로 음향공명이 봉입물을 이동시키는 힘을 작게 하기 때문에 램프 전력을 작게 하면 좋다.
한편 아크를 직선상으로 하는 힘은 반경방향의 음향공명에 의거하지만 램프 전력을 작게한 경우 이 아크를 직선상으로 하는 힘도 작게된다.
여기에서 가스상의 아크를 직선상으로 하는 힘과, 액체상의 봉입물을 발광관의 중앙부에 모이는 힘과 비교한 경우, 액체를 이동시키는 후자의 편이 큰 힘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된다. 즉 봉입물을 띠상으로 모이는 일 없이 아크를 직선상으로 할 수 있는 램프전력의 최적값이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고려를 검증하기 위해 표1에 나나낸 5종류의 다른 실질적으로 회전타원체 형상의 발광관을 가지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를 시험제작 하여 램프 점등중의 봉입물의 형태를 관측했다.
<표>
램프번호 발광관내경D(㎜) 발광관길이L(㎜) D/L 발광관내용적(㎣)
1 2.0 7.4 0.27 13.7
2 2. 6.4 0.42 20.7
3 2. 7.4 0.36 25.0
4 2. 8.4 0.32 29.3
5 3. 7.4 0.46 39.6
본 실험에 사용한 각 램프는 무엇도 발광관 내경(D)과 발광관 길이(L) 와의 비D/L이 약0.5이하인 실질적으로 타원체 형상의 발광관을 가지는 램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램프1및5는 램프 3에 대하여 발광관 내경을 변화시킨 램프이며 램프2 및 4는 램프 3에 대하여 발광관 길이를 변화시킨 램프이다. 단 전극간 거리는 각 램프에 있어서 일정하다. 또한 램프가 소형인 경우가 발광관의 내표면적에 대하여 봉입물이 확대되는 면적이 크게되는 것을 고려하여 사용한 각 램프1 내지5는 무엇도 발광관 내용적이 50㎣ 이하의 소형 램프이다.
각 램프1내지 5의 발광관에는 수은, 크세논 및 Sc-Na계 요오드화물이 봉입되어 있으며, 각 성분의 봉입량은 각 램프1내지 5에서 동일량이다. 그래서 직선상 아크방전을 발생시키도록 주파수를 가지는 정현파상 교류전류를 각 램프1내지5에 인가하여 각 램프1 내지 5를 수 종류의 램프 전력으로 점등시켜 각각의 경우의 봉입물이 발광관으로의 부착 상황을 눈으로 관찰했다. 또한 이들 각 램프1 내지 5에 대해서 거의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는 교류전력 주파수는 약 100kHz 내지 약 200kHz의 범위에 존재하였다.
도1은 본 실험에 의해 얻어진 점등중의 요오등화물의 상태와 램프전력(P) 및 발광관 내용적(V)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X의 플롯은 요오드화물이 발광관의 중앙부에 띠상으로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O의 플롯은 그와 같은 띠상의 부착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타원으로 둘러싼 플롯은 동일 램프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 표1의 램프번호에 대응하고 있다.
도1로부터 각 램프에 있어서 램프전력(P)이 작게되면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모이기가 곤란하고 또한 발광관 내용적(V)이 큰 만큼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모이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발광관 내용적(V)이 큰만큼 보다 큰 전력(P)을 램프에 인가하여도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모이기가 곤란하다. 이상의 점을 바꿔 말하면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램프전력(P)을 어느 소정의 값 이하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요오드화물이 발광관의 중앙부 부근에 띠상으로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수 있다.
이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램프전력(P)과 발광관 내용적(V)간의 관계를 도1의 원점을 통한 직선에 의해 규정하는 경우는 P=1.4·V(W/㎣)이하의 범위(도1의 사선부)라면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부착하지 않는 것을 알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관 내용적이 크거나 또는 램프전력(P)이 작아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램프전력(P)이 소정의 값 이하이면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모이기가 곤란한 이유로서 조밀파의 감쇄가 고려된다. 즉, 발광관 내용적이 크게되면, 아크와 발광관 간의 거리가 크게 된다. 조밀파의 발생원은 아크이므로 아크와 발광원 간의 거리가 크게되면, 발광관의 관벽에 도달하기 전에 조밀파가 감쇄하여 요오드화물을 띠상으로 모으는 힘도 작게 된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발광관 내용적(V)과 램프전력(P)간의 관계를 최적으로, 구체적으로는 방전램프의 단위체적(발광관의 단위 내용적)당 공급되는 전력(램프전력P)을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함수로 규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봉입물을 발광관 중앙부에 띠상으로 부착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자에 의한 또 다른 검토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공급 전력량의 값이 만족할 범위는 전극간 거리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더욱이 발광관의 형상이 길이 L=약7.5㎜ 또한 내경 D=2㎜ 내지 약4㎜, 또는 내경 D=약3㎜ 또한 길이L=약6㎜ 내지 약9㎜이면 상기와 같이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당 공급전력량이 P=약 1.4·V(W/㎣)이하의 범위(도1의 사선부)로 되도록 조건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직선상의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면서 봉입물을 발광관 중앙부에 띠상으로 부착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자에 의해 검토된 원리에 근거하여 달성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몇 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램프점등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있어서 1은 방전램프인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이며, 2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시동점등하기 위한 점등회로이다.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은 그 내용적이 약25㎣이며, 또한 그 장축이 전극축과 거의 병행하도록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발광관의 내부에는 수은, 크세논 및 금속 할로겐화물로서 Sc-Na계 요오드화물이 봉입되어 있다. 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점등한 때에 거의 직선상의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교류 전력 주파수는 약 150kHz이다.
점등회로(2)는 상용교류전원(8)을 정류평활회로(9)로 정류평활하여 교류를 직류로 교환하는 직류전원회로(3)와, FET(10,11)와 콘덴서(12)를 포함하는 직류전원회로(3)로 부터의 출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직렬인버터회로(4)와, FET(10,11)를 75kHz의 주파수로 교대로 ON/OFF 하는 구동회로(5)와, 램프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턴스 소자인 쵸크코일(6)과,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를 시동시키기 때문에 고압 펄스를 발생하는 고압펄스발생회로(7)를 포함하고 있으며,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를 약 30W의 일정전력으로 점등한다. 여기에서 30W 라고 하는 전력값은 램프전력P(W) 및 발광관 내용적V(㎣)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P≤1.4·V(W/㎣)이라고 하는 관계를 만족하는 범위에 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방전 램프점등 장치의 동작를 설명한다.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는 고압 펄스발생회로(7)로부터 고압 펄스에 의해 점등을 개시한다. 고압 펄스발생회로(7)는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가 점등하면, 고압 펄스의 발생을 정지한다.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가 점등하면, 직렬 인버터회로(4) 로부터 75kHz의 구형파 교류출력이 쵸크코일(6)과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와의 직력회로에 인가된다. 이 구형파 교류전류는 쵸크코일(6)에 의해 전류제한 되어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는 점등을 유지한다. 이때 직렬 인버터회로(4)의 출력은 약75kHz의 구형 파형이지만, 금속 할로겐화물(1)에 인가되는 전류파형은 쵸크코일(6)에 의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75kHz의 거의 정현파형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정현파형의 램프전류로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를 점등한 경우, 램프전력(P)은 전류파형의 2배의 주파수, 즉 75kHz×2=150kHz로 변화한다. 상술과 같이 도1의 구성으로 사용하고 있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는 이와 같은 약 150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램프전력이 인가되어 점등한 경우에 아크가 거의 직선상으로 된다. 한편,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발광관 단위 내용적당 전력은 30W/25㎣=1.2W/㎣이며, 도1에 도시한 봉입물의 띠상부착이 억제되는 범위에 들어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내용적이 약25㎣인 거의 회전 타원체 형상의 발광관에 수은, 크세논 및 Sc-Na계 요오드화물이 봉입되어 있으며, 약 150kHz의 주파수의 교류전력 인가 시에 아크가 거의 직선상으로 되도록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약75kHz의 정현파형의 교류전류를 공급하여 30W로 일정하게 점등된다. 이것에 의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램프 전력값이1.4W/㎣ 이하로 되며 거의 직선상의 아크를 발생시키면서 요오드화물의 발광관 중앙부로의 띠상의 부착이 억제된 상태로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점등할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요오드화물의 띠상 부착에 따라서 발광관 중앙부의 띠상부분의 투명성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전 팸프의 긴 수명화가 달성된다.
〈제2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램프 점등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의 구성이 도2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장치 구성과 다른 것은 직류전원회로로 부터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 강압 쵸퍼회로(13)가 또한 설치되어 있는 점, 및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점등중의 봉입물(요오드화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수광수단(14)이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 중앙부의 주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4에 있어서 그외의 구성요소는 도2에 도시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대응하고 있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이들 설명을 생략한다.
강압 쵸퍼회로(13)는 트랜지스터(15), 쵸크코일(16), 다이오드(17), 콘덴서(18) 및 제어회로(19)를 포함하며, 제어회로(19)의 출력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15)의 온·오프 동작의 듀티비를 제어하여 직류전원회로(3)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에 실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수광수단(14)은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 내부에 있어서 요요드화물이 발광관에 띠상으로 부착하는 부분, 즉 발광관 중앙부를 투과하여 되는 국소적인 광을 수광 하도록 발광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회로(19)는 수광수단(14)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 내부에 있어서 요오드화물의 상태, 즉 요오드화물이 발광관에 띠상으로 부착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고, 요오드화물의 띠상부착이 발생하지 않는 램프 전력값(발광관의 단위내용적당 램프 전력값)으로 되도록 트랜지스터(15)의 온·오프 듀티비를 결정한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램프 점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직렬 인버터회로(4), 구동회로(5), 쵸크코일(6) 및 고압펄스 발생회로(7)에 관해서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점등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주로 강압쵸퍼회로(13) 및 수광수단(14)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35W로 점등하도록 조건을 설정하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발광관 단위 내용적당 전력은 35W/25㎣=1.4W/㎣ 으로되어 그 값은 도1에 도시한 봉입물의 띠상부착이 억제되는 범위에 들어있다. 따라서 요오드화물의 띠상 부착은 발생 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조상의 공차로부터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 내용적이 벗어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술의 수치범위 조건이 만족되지 않고 요오드화물의 띠상 부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발광관의 내용적이 실제로는 약 23㎣ 이라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발광관 단위 내용적 당 전력은 35W/23㎣=1.5W/㎣으로 되어 요오드화물의 띠상 부착을 억제하기 위한 도1에 나타낸 수치조건이 만족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발광관에 부착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램프전력의 공급값을 낮춘다.
이하에서는 먼저 요오드화물의 띠상 부착의 검출방법을 설명한다.
아크로부터 발하는 광은 발광관을 투과하지만, 발광관에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부착하고 있으면 그 부착부분에서 요오드화물에 의한 광의 반사 및 흡수가 발생하여 광의 투과분광 특성이 국소적으로 변화한다. 즉, 어느 파장의 광에 관해서는 요오드화물이 발광관에 부착하고 있는 장소를 투과한 경우에 부착하고 있지 않은 장소를 투과한 경우에 비교하여 투과 광량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 특정의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광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도록 수광수단(14)을 구성하면, 요오드화물의 존재상태(발광관으로의 부착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101), 필터(102) 및 렌즈(103)를 이용하여 수광수단(14)을 구성한다. 전극(30) 사이에서의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광중에서 발광관(20)내로 요오드화물(50)이 띠상으로 부착한 부분을 투과하여 국부적인 광을 렌즈(103)에 집광하고 필터(102)를 거쳐 포토다이오드(101)로 수광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20)에 봉입되고 있는 요오드화물은 담황색이며, 청색의 광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발광관(20)에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부착하면 그 부착한 요오드화물(50)을 투과하는 광 중에서 청색광의 투과광량이 대폭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청색광의 투과광량을 계측하는 것에 의해 요오드화물(50)이 발광관(20)에 띠상으로 부착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에 근거하여 도5에 나타낸 수광수단(14)에서는 필터(102)로서 청색투과필터를 사용한다.
요오드화물(50)이 발광관(20)에 띠상으로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광수단(14)에 입력되는 광에는 청색의 광이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포토다이오드(101)에는 광이 거의 입력되지 않으며 수광수단(14)의 출력은 거의 0이다. 이 결과, 제어회로(19)는 요오드화물이 띠상으로 부착하고 있다고 판단하고,방전램프(1)에 공급되는 램프 전력값이 작게 되도록 트랜지스터(15)의 온·오프 듀티비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도시하는 구성에 포함되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서는 발광관 내용적이 23㎣이므로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램프 전력을 상술의 1.4W/㎣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공급되는 램프 전력값을 약 32W로 저하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일단은 발광관(20)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한 요오드화물(50)은 관벽을 벗어나 중력에 의해 발광관(20)의 하부로 강하한다.
한편 요오드화물이 발광관에 띠상으로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광수단(14)에 입력되는 광에는 청색의 광이 포함되기 때문에 필터(102)를 통과한 광이 포토다이오드(101)에 입력되고 수광수단(14)은 포토다이오드(101)에 입력되는 광의 량에 비례한 신호를 제어회로(19)로 출력한다. 제어회로(19)는 수광수단(14)으로 부터의 신호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요오드화물의 띠상부착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램프전력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수광수단(14)으로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점등중의 요오드화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발광관으로의 요오드화물의 띠상부착이 발생하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전력을 강압쵸퍼회로(13)에 따라 작게한 것으로 요오드화물의 띠상부착의 발생을 억제하여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를 점등시킬 수가 있다. 그것에 의해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제조상의 공차에 의한 벗어남의 영향을 흡수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램프는 수은, 크세논 및 Sc-Na계 요오드화물이봉입하여 있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로 하고 있지만 램프(1)의 점등 중에 발광관 내에 액체상으로 존재하는 봉입물이 적어도 포함되는 방전램프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그 발광관 중에 적어도 금속 할로겐화물이 봉입되면 좋다.
또한 점등회로(2)가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에 인가하는 전류파형을 정현파형으로 하고 있지만, 공급하는 전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이라면, 다른 파형, 예를 들면 삼각파형, 톱니형 파형이어도 좋다.
또한 인버터회로(4)를 FET(10,11)와 콘덴서(12)를 포함하는 직렬 인버터 회로로 하고 있지만, 직류를 교류로 변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좋고, 예를 들면 풀브리지 인버터회로나 할프 브리지 인버터 회로 등이어도 좋다.
또한 리액턴스 소자를 쵸크코일(6)로 구성하고 있지만, 콘덴서로 구성하거나 또는 쵸크코일과 콘덴서와의 복합회로로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고압펄스발생회로는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를 시동시키기 위해 고압펄스가 인가되는 구성이라면 좋고, 예를 들면 트랜스 승압에 의해 고압펄스를 발생시키는 구성 또는 콘덴서와 쵸크코일의 공진회로에 의해 고압펄스를 발생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용교류전원(8)과 정류평활회로(9)를 포함하는 직류전원회로(3)를 사용하고 있지만, 직류를 출력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배터리를 사용한 구성이나 상용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에 스위칭 전원을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제2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1)의 점등중의 봉입물(요오드화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토다이오드(101), 필터(102) 및 렌즈(103)를 포함하는 수광수단(14)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점등중에 봉입물이 발광관으로의 띠상부착이 발생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CCD카메라 등으로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를 촬상하고, 화상처리에 의해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102)는 청색투과필터 이지만, 요오드화물의 부착 시와 비부착 시에 투과광량에 현저한 차가 관착되는 파장의 광을 검출하는 한 다른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필터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의 발광관에 봉입되고 있는 요오드화물이 다르면, 필터(102)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의 설명은 직류전원회로(3)는 상용교류전원(8), 정류평활회로(9), 트랜지스터(15)와 쵸크코일(16)과 다이오드(17)와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강압쵸퍼회로(13), 및 제어회로(19)를 포함하고 있지만, 금속할로겐화물 램프(1)에 공급되는 전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강압쵸퍼회로(13)의 부분이 승압쵸퍼회로나 극성반전 쵸퍼회로 등으로 치환화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용교류전원(8) 및 정류평활회로(9)를 포함하는 부분은 배터리 등의 직류전원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공명에 의해 아크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배치된 방전램프에 입력하여 아크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램프를 점등하는 점등방법 및 점등장치에 있어서,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방전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 당 입력 전력값이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그것에 의해 거의 직선상의 아크방전이 발생됨과 동시에 점등 중에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의 중앙부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그 결과 봉입물과 발광관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광관의 띠상부분으로 투명성이 소실되는 것이 방지되며, 방전램프의 긴 수명화가 실현된다.

Claims (22)

  1.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 배치된 방전램프에 입력하여 아크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방전램프를 점등하는 방전램프점등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음향공명에 의해 상기 아크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주파수이며,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상기 방전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당 입력 전력값이, 상기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발광관의 봉입물이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전램프점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V(㎣) 및 정격점등시에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P(W)에 의해 나타내는 좌표평면상에서 P=V=0 으로 되는 원점을 통한 직선에 의해 규정하는 경우에, P/V≤1.4(W/㎣)으로 표현되는 범위인 방전램프점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장축이 전극축과 거의 나란한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이며,
    상기 발광관의 상기 봉입물은 적어도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방전램프점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내경D 및 길이L가 D/L≤약0.5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방전램프점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V는 약50㎣ 이하인 방전램프점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길이L=6㎜ 내지 약9㎜이며, 그 내경D=약2㎜ 내지 약4㎜인 방전램프점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내경D=약3㎜이며, 그 길이L=약6㎜ 내지 약9㎜인 방전램프점등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길이L=약7.5㎜이며, 그 내경 D=약 2㎜ 내지 약4 ㎜인 방전램프점등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약 100kHz 내지 약 200kHz 범위내인 방전램프점등방법.
  10. 소정의 주파수로 변화하는 전력을 수평 배치한 방전램프에 입력하여 아크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방전 램프를 점등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음향공명에 의해 상기 아크 방전을 거의 직선상으로 여기하는 주파수이며,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값을 상기 방전램프의 발광관의 단위 내용적당 입력 전력값이, 상기 발광관의 형상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발광관의 봉입물이 상기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에 띠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범위는,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V(㎣) 및 정격 점등 시에 상기 방전램프에 입력되는 전력P(W)에 의해 나타내는 좌표평면상에 P=V=0으로 되는 원점을 통한 직선에 의해 규정하는 경우에, P/V≤1.4(W/㎣)로 표현되는 범위인 방전램프점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장축이 전극축과 거의 나란히 실질적으로 회전 타원체이며,
    상기 발광관의 상기 봉입물은 적어도 금속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방전램프 점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점등회로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점등회로는 직류전원회로와, 상기 직류전원회로의 직류출력을 교류출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에 접속되는 상기 교류출력을 수취하며, 또한 상기 방전램프에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제한하는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리액턴스 소자와 상기 방전램프간에 접속되는 상기 방전램프에 시동펄스를 공급하는 고압펄스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회로가 상기 방전램프의 점등 중에 상기 봉입물의 상기 발광관의 관벽으로의 띠상 부착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점등회로가 상기 방전램프로의 공급전력을 제한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회로가 상기 방전램프로의 상기 공급전력의 상한값을 규정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발광관의 중앙부 근방의 관벽 주변에 배치된 수광수단인 방전램프점등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형상은 그 내경 D 및 길이 L가 D/L≤약0.5로 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방전램프점등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내용적V는 약50㎣이하인 방전램프점등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길이 L=약6㎜ 내지 약9㎜이며, 그 내경D=2㎜ 내지 약4㎜인 방전램프점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내경 D=약3㎜ 이며, 그 길이L=약6㎜ 내지 약9㎜인 방전램프점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관의 상기 형상은 그 길이 L=7.5㎜이며, 그 내경D=약2㎜ 내지 약4㎜인 방전램프점등장치.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가 약100kHz 내지 약200kHz 범위내인 방전램프점등장치.
KR1019980040438A 1997-09-29 1998-09-29 방전램프의점등방법및점등장치 KR100322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63205 1997-09-29
JP26320597 199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218A KR19990030218A (ko) 1999-04-26
KR100322328B1 true KR100322328B1 (ko) 2002-06-20

Family

ID=1738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438A KR100322328B1 (ko) 1997-09-29 1998-09-29 방전램프의점등방법및점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6548A (ko)
EP (1) EP0907305B1 (ko)
KR (1) KR100322328B1 (ko)
CN (1) CN1209946C (ko)
DE (1) DE69806322T2 (ko)
MY (1) MY1330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8007B2 (en) * 2001-12-21 2004-09-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 of arc straightening in HID lamps operated at VHF frequencies
US7514878B2 (en) * 2003-04-04 2009-04-07 Purespectrum, Inc. High frequency electronic ballast with sine wave oscillator
US20090200960A1 (en) * 2008-02-08 2009-08-13 Pure Spectru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f-Starting Dimmable Ballasts With A High Power Factor
US20090200952A1 (en) * 2008-02-08 2009-08-13 Purespectru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mming light sources
US20090200951A1 (en) * 2008-02-08 2009-08-13 Purespectru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mming Light Sources
US20090200965A1 (en) * 2008-02-08 2009-08-13 Purespectrum, Inc. Energy savings circuitry for a lighting ballast
US20090295300A1 (en) * 2008-02-08 2009-12-03 Purespectru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immable ballast for use with led based light sources
US20100225239A1 (en) * 2009-03-04 2010-09-09 Purespectru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igh power factor, high efficiency, dimmable, rapid starting cold cathode lighting ballast
US8358083B2 (en) * 2009-12-18 2013-01-22 Osram Sylvania Inc. System and method including self oscillating feedback for acoustic operation of a discharge lamp
JP6879906B2 (ja) * 2014-10-01 2021-06-02 ユミコア 電気アークガスヒータのための電力供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843A (ja) * 1985-06-21 1987-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圧放電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889A (en) * 1989-05-15 1991-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lamp using acoustic resonant oscillations to ensure high efficiency
DE4317368A1 (de) * 1993-05-25 1994-12-0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Hochdruckentladungslampe
DE9401436U1 (de) * 1994-01-28 1994-03-3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Metallhalogenidentladungslampe für Projektionszwecke
DE69523261T2 (de) * 1994-11-18 2002-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eleuchtungsgerät mit Entladungslam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843A (ja) * 1985-06-21 1987-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高圧放電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6322T2 (de) 2003-02-13
EP0907305B1 (en) 2002-07-03
US6046548A (en) 2000-04-04
CN1219836A (zh) 1999-06-16
DE69806322D1 (de) 2002-08-08
EP0907305A1 (en) 1999-04-07
MY133009A (en) 2007-10-31
KR19990030218A (ko) 1999-04-26
CN1209946C (zh)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170B1 (ko) 방전램프점등장치
CN101754546B (zh) 高压放电灯点灯装置以及投影仪
KR100322328B1 (ko) 방전램프의점등방법및점등장치
JP5010455B2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点灯装置
JP4024374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KR100265199B1 (ko) 고압 방전등 구동장치
JP3233278B2 (ja) 放電ランプの点灯方法及び点灯装置
JP2004235133A (ja) 全波センスアンプ及びそれを搭載した放電ランプインバータ
JP2006185663A (ja) 点灯装置
JP2002231478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機器
JP3900636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0289791A (ja) 外面電極希ガス蛍光ランプの点灯回路および照明装置
JP3508884B2 (ja) 無電極放電灯用点灯装置、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0106144A (ja) 内外電極形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7265897A (ja) 放電管用インバータ回路
JPH11283777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機器
JP4186789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JP3970422B2 (ja) 希ガス放電灯の点灯装置
JP2002279936A (ja) キセノン放電蛍光ランプの点灯方法
JP2003347081A (ja) 誘電体バリア放電灯の点灯回路および照明装置
JPH0393196A (ja) 希ガス放電蛍光ランプ装置
JP2002367792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機器
JP2004253247A (ja) 放電灯装置
KR830002003B1 (ko) 방전등 점등장치
JP2010033826A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