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965B1 - 자기표시패널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표시패널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965B1
KR100319965B1 KR1019970034922A KR19970034922A KR100319965B1 KR 100319965 B1 KR100319965 B1 KR 100319965B1 KR 1019970034922 A KR1019970034922 A KR 1019970034922A KR 19970034922 A KR19970034922 A KR 19970034922A KR 100319965 B1 KR100319965 B1 KR 10031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ell
cell wall
display panel
magnetic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253A (ko
Inventor
데루아키 노지마
다카오 야마구치
사다오 도코로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파이롯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32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492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파이롯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파이롯트
Publication of KR98001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96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기판을 부분적으로 굴곡시켜 세운 셀벽에 의해 많은 셀을 형성한 자기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표면 또는 이면의 양면에서 필기할 수 있는 자기표시패널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표면기판과, 이면기판과, 양쪽 기판을 결합하여 양쪽 기판의 사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수납하는 셀을 형성하는 셀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표시패널에 있어서,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 또는 양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으로 되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이 열림각 0도∼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0.1㎜∼1.0㎜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표시패널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기표시패널로 사용한다.

Description

자기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기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을 부분적으로 굴곡시켜 세운 셀벽에 보다 많은 셀을 형성한 자기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기력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자기표시패널은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사이에 벌집형상의 다공판을 끼워 접착제로 접착한 구조의 패널의 작은방, 즉 셀내에 자성입자를 분산한 분산액을 충진하고, 표면기판측에서 자기펜에 의한자계를 작용시켜 자성입자를 표면측으로 영동(泳動)시켜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 자기표시패널에서 기판 사이를 다셀구조로 한 것은, 분산액중의 자성입자가 기판 사이에 균일하게 존재하고, 한 쪽으로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셀을 별개로 분리하는 측벽은 얇을수록 연속성 있는 양호한 표시가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벌집형상의 다공판을 사용하고, 접착제에 의해 벌집형상의 다공판의 양면을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에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공판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제조공정의 단축과 접착작업의 경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기표시패널의 벌집형상의 다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으로 이 기판 사이를 다셀구조로 만들고, 양면의 어느 한쪽에서 필기하여도 연속성 있는 선명한 표시가 얻어지는 자기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기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자기표시패널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다른예를 나타낸 자기표시패널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예를 나타낸 자기표시패널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셀구조의 일부평면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낸 일부평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낸 일부평면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낸 일부평면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낸 일부평면도이다.
제 10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도와 입구의 원열림 간격과 꼭대기부 열림 간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1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판의 진공장치의 성형틀의 일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 11 도에 나타낸 성형틀의 단면도이다.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판의 진공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는 설명도이다.
제 14 도는 비교예의 진공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성형틀 B: 셀벽 형성부
C: 관통구멍 D: 통기부재
E: 흡인구멍 F: 진공플레이트
G: 수지필름
1: 표면기판 2: 이면기판
2a: 미세요철 2b: 보호시트
3: 다셀구조 4: 셀벽
5: U자형 단면의 열림각 6: 입구의 원열림 간격
7: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 8: 바깥쪽 꼭대기부
9: 분산액
본 발명은,
「1. 표면기판과, 이면기판과, 양쪽 기판을 결합하여 양쪽 기판의 사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수납하는 셀을 형성하는 셀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표시패널에 있어서,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 또는 양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으로 되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이 열림각 0도∼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0.1㎜∼1.0㎜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표시패널.
2.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셀벽 사이의 기판표면부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 1항 기재된 자기표시패널.
3.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배치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자기표시패널.
4. 굴곡시켜 세우고 다른쪽의 기판에 맞닿아 접촉된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가 접착제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에 접착된 1항 내지 3항의 어느 하나의 1항에 기재된 자기표시패널.
5. 성형용 틀의 상부기판에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셀벽 형성부를 남겨 벌집형상으로 다공형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상부기판의 바닥부에 미세구멍을 갖는 통기부재를 겹쳐놓고, 이 통기부재에 각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흡인구멍을 형성한 진공플레이트를 적층하며, 진공플레이트에 흡인장치를 연이어 접촉시킨 진공성형장치의 셀형성 개구면에 합성수지필름을 피복하고 진공성형하여 형성한 셀벽을 갖는 기판과 다른쪽의 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한 1항 내지 4항의 어느 하나의 1항에 기재된 자기표시패널.」
본 발명의 패널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 11 도와 제 12 도에 나타낸 셀벽 형성부(B)를 남겨 관통구멍(C)을 뚫어 형성한 다공형상의 성형틀(A)을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구멍을 갖는 통기부재(D)를 개재시켜 각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흡인구멍(E)을 형성한 진공플레이트(F)에 올려 놓고, 진공플레이트에 흡인장치를 연이어 접촉시키며, 성형틀의 개구면에 합성수지필름(G)를 피복하고 진공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통기부재를 사용하여 진공성형을 행하는 것은 종래에 알려지지 않았다.
통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성형하면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플레이트의 흡인구멍이 성형되는 합성수지필름에 의해 덮여져 뚜껑으로 막은 상태가 되므로 완전하게 진공성형할 수 없어 성형틀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셀벽의 입구의 원열림과 꼭대기부의 열림이 크게되어 글쓰기에 의한 표시성이 나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통기부재를 사용하면 흡인시에 흡인구멍(E)이 합성수지필름(G)으로 덮히지 않아 셀벽 형성부와 합성수지필름(G) 사이의 간격이 없게 되더라도 통기부재(D)를 통하여 합성수지필름(G)을 계속 흡인하게 되고, 이로써 합성수지필름(G)이 셀벽 형성부에 밀착되므로 기판에 부분적으로 단면 U자형상의 벽을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울 수 있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과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작게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자기표시패널은 셀을 별개로 분리하고 있는 단면의 U자형상의 셀벽 두께가 작아지게 되고, 셀벽을 구비한 기판측이나 다른쪽의 기판측에서 표시를 행하여도 연속성 있는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셀벽의 단면 U자형상의 벽을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운 것이므로 셀벽의 두께가 작아지게 되고, 종래의 벌집형상의 다공판을 사용한 패널의 셀 체적에 대등한 셀 체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표시에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충진할수 있고, 이로써 선명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상의 벽으로 셀벽을 형성하지만, 만족한 표시를 얻기위해서는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즉 셀벽의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크므로 이 부분에는 자성입자, 분산액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셀벽을 구비한 기판측에서의 표시에 악영향을 미치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크므로 다른쪽의 기판측에서의 표시에 악형향을 미친다. 따라서 표면기판에서 표시하는 경우에도 또는 이면기판에서 표시하는 경우에도 연속성 있는 양호한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단면 U자형의 셀벽 입구의 원열림 간격과,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을 얇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셀벽을 구비한 기판측에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 분산액중의 자성입자가 영동하여 만들어지는 표시의 대부분은 통상,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방향, B방향의 두방향을 통한 시각에서 보인다. 이 어느 시각으로도 각도가 깊을수록 영동한 기판표면측 셀벽부분의 자성입자가 보이게 되므로 표시가 연속하지만 실제로는 패널과 필기자의 눈 위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야 하므로 필기자의 시각은 패널에 대하여 얕아지게 되고, 셀벽의 입구의 원열림 간격과 열림각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면 선이 끊어져 표시된다.
또한 셀벽을 구비한 기판과 대향하는 다른쪽의 기판측에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면 역시 선이 끊어져 표시된다.
실험결과,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1.0㎜ 이하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5㎜ 이내로 하는 것이 좋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1.0㎜ 이내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0.5㎜ 이내로 하는 것이 좋으며, 열림각은 20도로 하면 패널의 표면측 및 이면측 모두 선명하게 연속된 표시가 얻어지고, 이들의 간격, 열림각은 작을수록 양호한 표시가 얻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써 입구의 원열림 간격은 0.1㎜∼1.0㎜로 하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은 0∼1.0㎜로 하고, 열림각은 0도∼2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의 원열림 간격을 0.1㎜ 미만으로 하는 것은 셀벽의 성형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로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으로 되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이 열림각 0도∼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0.1㎜∼1.0㎜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0㎜ 이면, 자기표시패널의 어느 기판측에서 필기하여도 선명하게 연속성 있는 양호한 표시를 항상 얻게 된다.
본 발명은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셀벽 사이의 기판표면부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 것에 의해 기판의 광택이 제거되는 것이므로 표시에 헐레이션(Halation)이 일어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배치한 것에 의해 단면 U자형의 벽 사이에 이물의 혼입에 의한 기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시켜 세우고 다른쪽의 기판에 맞닿아 접한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를 접착제로 기판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패널의 다셀판을 사용하여 이 판의 양면을 접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접착작업을 줄일 수 있다.
표면기판, 이면기판, 보호시트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용도에 따라서는 반투명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각종의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보호시트는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표면에 배치되는데, 기판에 접착, 열융착 외에 분리가능하게 겹치는 것으로 배치할 수 있다.
자성입자는 크기가 직경 10미크론 이상이 가장 적합하다. 또 10미크론 이하에서도 분산액중에서 자성입자끼리 응집하여 보이므로 10미크론 이하에서도 적합한 결과를 준다.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은 착색제와 분산매체와 소망의 증주제로 이루어지는 착색액체에 자성입자를 분산시킨 것이다. 증주제를 첨가하면 분산액에 항복값을 부여할 수 있고, 이것을 이용하여 패널을 제작하면 항복값 이상의 자력을 받는 자성입자만이 영동하므로 선명하게 콘트라스트의 높은 문자,모양을 표시할 수 있고, 이 표시는 장시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제거하는 경우, 찌꺼기를 남기지 않도록 표시가 제거되는 패널이 얻어진다. 자성입자는 대체로 착색액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로 배합한다.
증주제는 미분말 케이산이 대표적이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증주제가 이용된다. 착색제는 분산액에 은폐성과 색조를 부여하는 것이므로 백색안료, 그 외의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분산매체는 물, 그리콜류 등의 극성분산매체나, 유기용제, 유류 등의 비극성분산매체중 어느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의 제조법을 예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셀벽 형성부를 남기고 관통구멍을 뚫어 형성한 다공형상의 성형틀 바닥부에 미세구멍을 갖는 통기부재를 겹쳐놓고, 이 통기부재를 각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흡인구멍을 형성한 진공플레이트에 올려 놓고 진공플레이트에 흡인장치를 연이어 접촉시키며, 성형틀의 통기부재와 반대측의 개구면에 가열연화성 합성수지필름을 피복하여 흡인장치를 작동시켜 성형틀을 진공으로 만들어 합성수지필름을 성형틀의 내벽과 통기부재에 밀착시켜 패널을 성형한다. 통기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성형틀내에는 공기가 없고, 필름과 성형틀은 완전하게 밀착한다. 따라서 입구의 원열림 간격도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도 작게 된다. 냉각후 공기를 불어 넣어 성형된 패널를 빼낸다.
패널의 셀벽 사이의 기판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면 광택을 제거하는 효과가 나타나는데, 기계적으로 가공하여도 좋지만 통기부재의 미세구멍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진공성형시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기부재로서는 직포, 부직포, 유통공기구멍 발포체등이 사용된다.
이렇게 얻어진 기판에 자성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을 유입하고, 이어서 기판의 개구면에 다른쪽의 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며, 필요에 따라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배치하여 패널을 제조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표면기판(1)과 이면기판(2) 사이를 벌집형상의 셀을 형성한 다셀구조(3)로 하고, 각 셀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봉입한 자기표시패널이다.
제 2 도는 셀벽(4)이 이면기판(2)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이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5)이 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6)이 0.1㎜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7)이 0.1㎜ 이고, 이 이면기판(2)의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8)가 접착제에 의해 표면기판(1)에 접착되고, 각 셀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9)을 봉입한 자기표시패널이다. 부호(2a)는 이면기판(2)의 셀벽(4) 사이의 기판표면부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을 나타낸다.
제 3 도는 셀벽(4)이 이면기판(2)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일으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이고, 각 셀벽(4)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5)이 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6)이 1.0㎜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7)이 0.1㎜ 이고, 이 이면기판(2)의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8)가 접착제에 의해 표면기판에 접착되고, 각 셀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9)을 봉입한 자기표시패널이다. 부호(2b)는 이면기판(2)의 표면에 배치한 보호시트를 나타낸다.
제 4 도는 셀벽(4,4)이 표면기판(1)과 이면기판(2)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일으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이고, 각 셀벽(4,4)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5)이 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6)이 0.1㎜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7)이 0.1㎜ 이고, 이면기판(2)의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8)와 표면기판(1)의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8)가 접착제에 의해 각각 표면기판(1)과 이면기판(2)에 접착되고, 각 셀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9)을 봉입한 자기표시패널이다.
제 1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벌집형상의 셀형상은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셀(3)로 형성하여도 좋고, 제 7 도에 나타낸 복수의 파형의 벽을 횡방향으로 배열시키고, 각 파형벽의 꼭대기부를 서로 인접하는 파형벽의 꼭대기부에부착하여 방추형상의 셀(3)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셀(3)이나,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셀(3)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0 도는 셀벽(4)이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이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5)이 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6)이 0.1㎜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7)이 0㎜의 기판이다. U자형 단면의 셀벽은 형성시에 합성수지필름이 수축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열림각은 0도가 된다.
제 11 도는 성형틀(A)의 일부를 나타낸다. (B)는 셀벽 성형부이고, (C)는 관통구멍이며, 성형틀은 이와 같이 벌집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2 도는 제 11 도에서 나타낸 성형틀을 X-Y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 13 도는 성형틀(A)과 통기부재(D)와 진공플레이트(F)로 이루어지는 진공성형장치를 사용하여 합성수지필름(G)을 진공성형한 것을 나타낸다. 흡인구멍(E)이 성형틀의 각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통기부재를 통하여 흡인하는 것이므로 흡인구멍은 필름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제 14 도는 비교를 위해 통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성형한 것을 나타낸다. 흡인구멍이 성형되는 합성수지로 막히고, 공기가 성형틀에 남아 있으므로 필름과 틀이 밀착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입구의 원열림이 큰 셀벽이 된다.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분산액의 조제
(1-1) 분산액 A
이소파라핀 용제 97 중량부, 미분말 케이산 2 중량부 및 산화티탄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백색액체를 만든다. 다음에, 마그네티트 40 중량부와 고형 에포키시 수지의 40% 에틸메틸케튼 용액 25 중량부를 섞고, 이것을 건조, 분쇄분산시켜 100∼325 메쉬의 흑색 자성입자 20 중량부를 상기 백색액체 100중량부와 혼합분산하여 분산액을 만든다.
(1-2) 분산액 B
자성입자 12 중량부를 백색액체 100 중량부에 혼합분산하는 것 외에는 분산액 A와 마찬가지로 분산액을 만든다.
(2) 셀벽을 구비한 기판의 제작
(2-1) 기판 A
제 11 도의 진공성형에 의해 염화비닐 수지제의 기판을 만든다. 얻어진 기판은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이 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0.1㎜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 이었다. 셀은 벌집형상이고, 각 셀의 면적은 4㎜ 평방이고, 높이는 1.3㎜이고, 셀 용적은 12.5㎜ 입방이다.
(2-2) 기판 B
제 11 도 내지 제 13 도의 진공성형에 의해 염화비닐 수지제의 기판을 만든다. 얻어진 기판은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이 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1.0㎜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이었다. 셀은 벌집형상이고, 각 셀의 입구의 원면적은 4㎜ 평방이고, 높이는 1.3㎜이고, 셀 용적은 11.0㎜ 입방이다.
(2-3) 기판 C
제 14 도의 진공성형에 의해 염화비닐 수지제의 기판을 만든다. 얻어진 기판은 셀벽의 U자형 단면의 열림각이 6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2.0㎜ 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 이었다. 셀은 벌집형상이고, 각 셀의 입구의 원면적은 4㎜ 평방이고, 높이는 1.3㎜이고, 셀 용적은 7.5㎜ 입방이다.
실시예 1
셀벽을 구비한 기판예의 기판 A의 각 셀 중에 분산액예의 분산액 A를 충진하고, 이어서 기판(이면기판)의 다른쪽 면에 0.1㎜ 두께의 염화비닐 수지제 기판(표면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주위를 접착제로 고정하여 자기표시패널로 한다.
실시예 2
셀벽을 구비한 기판예의 기판 B(배면기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분산액 A를 충진하고, 염화비닐 수지제 기판(표면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주위를 접착제로 고정하여 자기표시패널로 한다.
비교예 1
셀벽을 구비한 기판예의 기판 C(배면기판)의 각 셀 중에 분산액 A를 충진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염화비닐 수지제 기판(표면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주위를 접착제로 고정하여 자기표시패널로 한다.
비교예 2
셀벽을 구비한 기판예의 기판 C(배면기판)의 각 셀 중에 분산액 B를 충진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염화비닐 수지제 기판(표면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주위를 접착제로 고정하여 자기표시패널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작한 자기표시패널에 대하여 표시의 상태를 평가한다. 표시의 상태는 자력 1300 가우스의 페라이트 봉형상 영구자석(직경 2.5㎜, 길이 5㎜)을 선단에 부착한 자기펜을 사용하여 표면기판측과 배면기판측에 별개로 쓰고, 기록한 필적을 30㎝의 거리에서 보고 관찰하여 백색의 배경에 흑색의 필적이 확실하게 표시되어 콘트라스트가 좋고 선 끊어짐이 없는 것을 ◎으로 하고, 백색의 배경에 흑색의 필적이 확실하게 표현되어 콘트라스트가 좋고 희미하게 선이 끊어져 있지만 실용가능한 것을 ○으로 하고, 선 끊어짐이 생기지만 은폐성이 나쁜 백색의 배경에 흑색의 필적이 확실하게 표시되지 않아 필적의 해상도가 나쁘고 흐린 필적을 표시한 것을 ×로 평가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열림각(도) 입구의 열림(mm) 꼭대기부의 열림간격(mm) 셀용적mm3 자성입자량중량부 표시상태
표면기판측 이면기판측
실시예1 0 0.1 0.1 12.5 20
실시예2 20 1.0 0.1 11.0 20
비교예1 60 2.0 0.1 7.5 20 × ×
비교예2 60 2.0 0.1 7.5 12 × ×
(주) 표중에 자성입자량은 백색액체 100 중량부에 대한 양이다.
비교예 1은 열림각이 6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2.0㎜인 경우의 예이고, 셀의 바닥측이 오므라져 셀 용적도 작다. 이를 위해 실시예 1 과 같이 자성입자량을 넣으면 표면기판측에서의 표시는 바닥측이 좁아져 있는 셀형상에서 자성입자의 층 두께에 대하여 백색층의 두께가 얇게되어 은폐성이 나쁘게 된다. 또한 자성입자의 층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 자기펜과 이 층과의 거리를 근접시킨 결과, 보다 많은 자성입자가 당겨져 부착되기 쉽고, 필적의 해상도가 나쁘게 된다. 이면기판측에서의 표시는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크므로 선 끊어짐이 생긴다.
비교예 2는 필적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자성입자를 작게한 예이다. 이 경우에는 표면기판측에서의 표시는 자기펜의 주사로 자성입자가 감응하지 않게 되어 선 끊어짐이 생긴다.
이상의 결과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으로 되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 입구의 원열림 간격,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을 각각 특정의 범위로 한 것에 있어서는, 필적의 선명도가 우수하고, 필적의 연속성도 좋다.
본 발명은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이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 입구의 원열림 간격,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을 각각 특정의 범위로 한 것이므로 양면의 어느 한쪽에서 필기하여도 선명하고 연속성 있는 양호한 표시가 얻어지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표면기판과, 이면기판과, 양쪽 기판을 결합하여 양쪽 기판의 사이에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수납하는 셀을 형성하는 셀벽으로 이루어지는 자기표시패널에 있어서, 셀벽이 표면기판과 이면기판의 어느 한쪽의 기판 또는 양쪽의 기판을 부분적으로 대략 90도 굴곡시켜 세워 형성한 단면 U자형의 벽으로 되고, 각 셀벽의 U자형 단면의 간격이 열림각 0도∼20도이고, 입구의 원열림 간격이 0.1㎜∼1.0㎜이고, 꼭대기부의 열림 간격이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셀벽 사이의 기판표면부분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한 자기표시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굴곡시켜 셀벽을 형성한 기판의 표면에 보호시트를 배치한 자기표시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굴곡시켜 세우고 다른쪽의 기판에 맞닿아 접촉된 셀벽의 바깥쪽 꼭대기부가 접착제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에 접착된 자기표시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굴곡시켜 세우고 다른쪽의 기판에 맞닿아 접촉된 셀벽의바깥쪽 꼭대기부가 접착제에 의해 다른쪽의 기판에 접착된 자기표시패널.
  6. 성형용 틀의 상부기판에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해 셀벽 형성부를 남겨 벌집 형상으로 다공형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상부기판의 바닥부에 미세구멍을 갖는 통기부재를 겹쳐놓고,
    이 통기부재에 각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흡인구멍을 형성한 진공플레이트를 적층하며, 진공플레이트에 흡인장치를 연이어 접촉시킨 전공성형장치의 셀형성 개구면에 합성수지필름을 피복하고 진공성형하여 셀벽을 형성하고,
    상기 셀벽을 갖는 기판과 다른쪽의 기판을 접착제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1019970034922A 1996-07-31 1997-07-25 자기표시패널및그제조방법 KR100319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32417 1996-07-31
JP8232417A JP3004922B2 (ja) 1996-07-31 1996-07-31 磁気表示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253A KR980011253A (ko) 1998-04-30
KR100319965B1 true KR100319965B1 (ko) 2002-07-31

Family

ID=6604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922A KR100319965B1 (ko) 1996-07-31 1997-07-25 자기표시패널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5718B2 (ja) * 1999-09-10 2005-06-29 株式会社タカラ 磁気泳動表示パネル
KR20120035170A (ko) * 2012-02-07 2012-04-13 주식회사 나노브릭 자기 표시 소자 구조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76A (en) * 1979-06-20 1981-01-10 Pilot Pen Co Ltd Panel for magnetic display
EP0258791A2 (en) * 1986-08-29 1988-03-09 Pilot Man-Nen-Hitsu Kabushiki Kaisha Magnetic display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76A (en) * 1979-06-20 1981-01-10 Pilot Pen Co Ltd Panel for magnetic display
EP0258791A2 (en) * 1986-08-29 1988-03-09 Pilot Man-Nen-Hitsu Kabushiki Kaisha Magnetic display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25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4922B2 (ja) 磁気表示パネル
CN206297225U (zh) 盖板玻璃层叠结构
EP1083538B1 (en) Magnetophoretic display panel
JP2000122577A (ja) 表示パネル
KR100319965B1 (ko) 자기표시패널및그제조방법
JP2002244163A (ja) 表示用材料
US20020160231A1 (en) Magnetic layer with high-permeability backing
CN102033261A (zh) 导光板的制造方法、导光板及导光模块
CN213716308U (zh) 一种鱼鳃立体结构模型及鱼立体结构模型
US3692621A (en) Universal graphic display material
JP2004202916A (ja) 文字や模様等の表示部を有する加飾成形体
US5775914A (en) Drawing apparatus
WO1999042982A1 (es) Composicion polimerica para la elaboracion de figuras autoadheribles
CN212208575U (zh) 大尺寸便捷触控显示模组
CN211923099U (zh) 一种活字造型屋
JPS62257132A (ja) 磁気パネル
JPH07311550A (ja) 描画シートの製造方法
JP2504893B2 (ja) 掲示シ―ト
CA2500099A1 (en) Method for displaying a magnetized poster board
CN111497516A (zh) 微雕黄金画结构
KR20020072168A (ko) 필기판 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필기판 장치
US4884870A (en) Lens structure for a vehicle radio or the like
WO2008093171A1 (en) Erasable magnetic drawing board apparatus
CN1097692A (zh) 多色黑板
KR20230108731A (ko)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