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731A -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 Google Patents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731A
KR20230108731A KR1020237019381A KR20237019381A KR20230108731A KR 20230108731 A KR20230108731 A KR 20230108731A KR 1020237019381 A KR1020237019381 A KR 1020237019381A KR 20237019381 A KR20237019381 A KR 20237019381A KR 20230108731 A KR20230108731 A KR 2023010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magnet
glass
curved
met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베레비
로랑 조바드
칼레드 라유니
장-피에르 앙리 르네 레르보울레트
엘리아스 메리
로난 탄가이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2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by fusing glass directly to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의 구현예는 개시된다. 유리 물품은 만곡된 지지 표면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유리 물품은 또한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 쪽으로 향하는 제2 주 표면으로 배열된다. 유리 물품은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스트립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금속 스트립 및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일치시켜 유리 시트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자기 연결을 생성시킨다.

Description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본 출원은 2020년 11월 20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16,26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적인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인용되고 혼입된다.
본 개시는 차량 내부 시스템(vehicle interior system)용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력(magnetic force)을 사용하여 만곡된 형태를 유지하는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며, 이러한 만곡된 표면에 디스플레이를 혼입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표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통상적으로, 유리와 같은 내구성 및 광학 성능을 나타내지 않는, 고분자로 제한된다. 그래서, 만곡된 유리 기판은, 특히 디스플레이용 커버로 사용될 때, 바람직하다. 열성형과 같은, 만곡된 유리 기판을 형성하는 기존의 방법은, 고비용, 광학 왜곡(optical distortion), 및 표면 마킹(surface marking)을 포함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출원인은 유리 열성형 공정과 통상적으로 관련된 문제 없이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만곡된 유리 기판을 혼입할 수 있는 차량 내부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했다.
일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유리 물품은 만곡된 지지 표면을 갖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유리 물품은 또한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 쪽으로 향하는 제2 주 표면으로 배열된다. 유리 물품은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스트립(metal strip)을 더욱 포함한다. 금속 스트립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일치하게 유리 시트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자기 연결(magnetic connection)을 생성시킨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차량 내부 시스템을 위한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서,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은 프레임의 만곡된 지지 표면 위에 위치된다.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한다. 자기 연결은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스트립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 사이에서 형성되어 유리 시트를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일치시켜 구부린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서,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은 만곡된 공정 척(curved process chuck) 위에 위치된다. 만곡된 공정 척은 자기 표면(magnetic surface)을 갖는다. 자기 연결은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프레스(metal press)와 자기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어 유리 시트를 만곡된 공정 척에 일치시켜 구부린다. 프레임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되어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한다. 제2 주 표면은 제1 주 표면에 대향한다. 금속 프레스는 접착제가 유리 시트를 프레임에 접합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경화된 후 유리 시트로부터 제거되고, 만곡된 유리 물품은 만곡된 공정 척으로부터 제거된다.
부가적인 특색 및 장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는, 여기에 기재된 구현예를 실행시켜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전술한 배경기술 및 하기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이고, 청구범위의 본질 및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틀거리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수반되는 도면은 또 다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병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혼입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관점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유리 물품을 구비한 차량 내부 시스템을 갖는 차량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의 분해도이다;
도 3a 및 3b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유리 시트를 만곡시키기 위해 자기 연결을 형성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유리 시트를 만곡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자석으로 실질적으로 채워진 복수의 공동(cavities)을 갖는 프레임의 측벽을 도시한다;
도 5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유리 시트를 만곡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자석으로 절반 미만으로 채워진 복수의 공동을 갖는 프레임의 측벽을 도시한다;
도 6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복수의 공동 및 자석을 위치잡기 위한 스토퍼(stopper)를 유지하기 위한 슬롯을 갖는 프레임의 측벽을 도시한다;
도 7은, 대표적인 구현예들에 따라, 만곡된 형태로 유리 시트를 유지하기 위해 자석으로 채워진 기둥(pillar)의 하나의 공동을 갖는 프레임의 측벽을 도시한다;
도 8a-8c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자기력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유리 시트를 굽히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a 및 9b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유리 시트의 곡률을 입증하기 위해 격자선(grid lines)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의 굽힘 전과 후의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을 도시한다;
도 10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프레임의 각 측벽의 단일 기둥에 쌓인 복수의 자석을 갖는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을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만곡된 형태로 유리 시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연속 금속 스트립을 갖는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단일 기둥에 배열된 자석의 스택(stack)을 갖는 프레임 및 불연속 금속 스트립을 갖는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을 도시한다;
도 13a-13c는 자석이 있는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공정 척 상에 자기력을 사용하여 만곡된 유리 물품을 냉-간 성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자석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를 굽히는데 필요한 힘을 계산할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유리 시트 상에 작용하는 힘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17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라,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데 사용 가능한 유리 시트를 도시한다.
이제 언급은 자기력을 사용하여 만곡된 형태로 냉간-성형되는 유리 시트를 갖는 유리 물품의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며, 이의 실시예들은 수반되는 도면에 예시된다. 구현예에서, 여기에서 기재된 유리 물품은 만곡된 프레임에 자기적으로 부착된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은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스트립에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는 하나 이상의 자석 또는 자석의 스택을 유지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특정 형태에서, 금속 스트립은 연속적이며, 유리 시트는 프레임과 금속 스트립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 시트는 프레임의 자석과 금속 스트립 사이에 자기 인력의 힘만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며 접착제는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 시트를 부착하는 것은, 유지관리를 위한 분해의 용이성 및 종래의 유리 물품 설계에서 유리 시트 및 프레임의 차등 열팽창과 관련된 응력의 제거를 포함하여, 특정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형태에서, 금속 스트립은 불연속이고, 불연속 금속 스트립은 불연속 금속 스트립이 유리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유리 시트에 접착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은 또한 조립의 용이성 및 종래의 유리 물품 설계에서 유리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열팽창의 차이로부터 결과하는 응력의 제거와 관련된 장점을 제공한다.
여기에 기재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를 굽히기 위해 자기력을 사용하는 개념은 또한 냉간-성형 공정 측면에만 적용된다. 특히, 유리 시트는 금속성 프레스를 사용하여 자기 성형 척 위에서 냉간 굽힘될 수 있다. 성형 척과 프레스 사이에 자기 인력은 프레임이 냉간-굽힘(cold-bent) 유리 시트에 접착되는 동안 유리 시트를 만곡된 형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리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접착 접합(adhesive bond)이 충분히 경화되면, 프레스는 성형 척으로부터 당겨져, 만곡된 유리 물품을 해제시킨다. 유리하게는, 자기력을 사용하는 냉간-성형 공정은, 예를 들어, 유리 시트와 성형 척 사이에서 당겨지고 유지되는 진공을 필요로 하는 공정보다, 덜 에너지-집약적이다.
위에서 언급되고 여기에서 기재된 구현예들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지, 제한으로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표면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물질로 이러한 차량 표면을 형성시키는 것은 차량 내부에서 전통적으로 발견되는 통상적인 만곡된 플라스틱 패널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리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커버 물질과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적용들 및 터치 스크린 적용들과 같은, 많은 커버 물질 적용들에서 향상된 기능성 및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은 차량 내부 시스템(20, 30, 40)의 3개의 다른 구현예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차량 내부(10)를 나타낸다. 차량 내부 시스템(20)은, 디스플레이(26)를 포함하는 만곡된 표면(24)을 갖는, 센터 콘솔 베이스(2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차량 내부 시스템(30)은,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하는 만곡된 표면(34)을 갖는, 대시보드 베이스(3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대시보드 베이스(32)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계기판(38)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 시스템(40)은, 만곡된 표면(44) 및 디스플레이(46)를 갖는, 스티어링 휠 베이스(4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차량 내부 시스템은, 팔걸이, 기둥, 좌석 등받이, 바닥 보드, 헤드레스트, 도어 패널, 또는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의 임의의 부분인, 베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에 기재된 만곡된 유리 물품의 구현예는, 특히, 각각의 차량 내부 시스템(20, 30, 4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몇몇 구현예에서, 여기에서 논의된 유리 물품은, 대시보드, 센터 콘솔, 스티어링 휠, 도어 패널, 등의 비-디스플레이 표면을 또한 덮는 커버 유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물질은, 이의 중량, 미적 외관, 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고, 패턴(예를 들어, 브러시드 메탈 외관, 나뭇결 외관, 가죽 외관, 색상 외관, 등)을 포함하는 코팅(예를 들어, 잉크 또는 안료 코팅)을 제공하여 유리 구성요소와 인접한 비-유리 구성요소를 시각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러한 잉크 또는 안료 코팅은, 디스플레이(26, 36, 38, 46)가 비활성일 때 데드프론트(deadfront) 또는 컬러 매칭 기능성을 제공하는 투명도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의 차량 내부가 자동차의 형태의 차량(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버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도시하지만, 여기에 개시된 유리 물품은, 기차, 선박(보트, 배, 잠수함, 및 이와 유사한 것), 항공기(예를 들어, 드론, 비행기, 제트기, 헬리콥터 및 이와 유사한 것), 및 우주선과 같은, 기타 차량으로 혼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내부 시스템(10)의 만곡된 표면(24, 34, 44)을 정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자기 유리 물품(50)의 분해도는 도시된다. 자기 유리 물품(50)은, 제1 주 표면(54), 상기 제1 주 표면(54)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56), 및 상기 제1 주 표면(54)을 제2 주 표면(56)에 결합시키는 부 표면(58)을 갖는 유리 시트(52)를 포함한다. 제1 주 표면(54) 및 제2 주 표면(56)은 유리 시트(52)의 두께(T)를 정의한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52)의 두께(T)는, 0.3 ㎜ 내지 2 ㎜, 특히, 0.5 ㎜ 내지 1.1 ㎜이다. 차량에서, 제1 주 표면(54)은 차량의 탑승자를 향한다.
구현예에서, 제1 주 표면(54) 및/또는 제2 주 표면(56)은 하나 이상의 표면 처리를 포함한다. 제1 주 표면(54) 및 제2 주 표면(5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표면 처리의 예로는, 방-현 코팅, 반사-방지 코팅, 터치 기능성을 제공하는 코팅, 장식용(예를 들어, 잉크 또는 안료) 코팅, 또는 세정-용이성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접합될 수 있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LED(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의 자기 유리 물품(50)에서,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은 프레임(60)에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유리 시트(52)는, 복수의 자석(62)과 하나 이상의 금속 스트립(64) 사이에서 자기 인력을 통해 프레임(60)에 부착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프레임(60)은 제1 측벽(66) 및 제2 측벽(68)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벽(66, 68)은 복수의 자석(6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중공 기둥(70)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벽(66, 68)의 복수의 기둥(70)은, 곡률을 갖는 지지 표면(72)을 정의하기 위해 제1 단부에서 결합된다.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은 지지 표면(72) 위에 배치되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는 지지 표면(72)에 일치시켜 굽혀진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측벽(66, 68)의 기둥(70)은 또한 지지 표면(72)에 대향하는 제2 단부에서 결합된다. 더욱이,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측벽(66) 및 제2 측벽(68)은 교차-부재(cross-members: 74)에 의해 결합된다. 교차-부재(74) 및 제2 단부에서 측벽(66, 68)의 기둥들(70) 사이에 결합부는 프레임(60)의 베이스(76)를 정의한다. 구현예에서, 베이스(76)는 프레임(60)의 평면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둥(70)은 복수의 자석(62)이 삽입되는 공동(78)을 정의한다. 더욱이, 도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기둥(70)은 그 안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자석(62)을 갖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자석(62)은 모든 기둥(70)보다 적은 곳에, 예를 들어, 아래에서 제공된 구현예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측벽(66, 68)에서 오로지 하나의 기둥(70)에만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구현예에서, 금속 스트립(64)은 연속적이고,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 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아래에서 논의되는 구현예들을 포함하는) 다른 구현예에서, 금속 스트립(64)은 불연속적이고,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현예는 단지 예시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프레임(60)의 크기, 형상, 및 두께는, 이것이 혼입되는 특정 차량 내부 시스템 및 고객 사양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60)은 자기 유리 물품(50)의 곡률을 정의하는 지지 표면(72) 및 유리 시트(52)를 만곡된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자석(62)이 삽입될 수 있는 공동(78)을 포함한다.
도 3a 및 3b는 프레임(60) 위에 유리 시트(52)의 자기 굽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나타낸 프레임(60)의 부분은, 도 2에 나타낸 프레임(60)의 제1 측벽(66) 또는 제2 측벽(68)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유리 시트(52)는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 위에 배치된 제2 주 표면(56)으로 놓여진다. 더욱이, 금속 스트립(64)은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 상에 놓여진다. 압력은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에 적용되어 제2 주 표면(56)을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표면(72)에 일치시킨다. (중공 기둥(70)에 함유된) 복수의 자석(62)과 금속 스트립(64) 사이에 자기 인력은,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에 일치하게 유리 시트(52)의 곡률을 유지하여 자기 유리 물품(50)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와 같이, 도 3a 및 3b의 구현예에서 복수의 자석(62)은, 지지 표면(72)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자석(62)의 스택이 복수의 접합 위치에서 나타내지만, 자석(62)의 스택과 동일한 자기 인력을 갖는 단일 자석(62)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자석(62)으로 채워진 기둥(70)의 공동(78)을 나타내는 자기 유리 물품(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단면은 제1 측벽(66) 및 제2 측벽(68) 모두를 나타낸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자석(62)은 지지 표면(72)으로부터 기둥(70)의 전부 또는 상당 부분을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은 각 기둥(70)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보다 적게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석(62)은 하나 이상의 기둥(70) 중 일부를 단지 채울 수 있다. 다시, 도 4 및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석의 스택을 대신하여, 각각의 공동(78) 내에 자석(62)의 스택과 동일한 자기 인력을 갖는 단일 자석(62)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기둥(70)의 프레임(60) 및 공동(78)은, 자기 유리 물품(50)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자석 또는 자석들(62)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도 6에 나타낸 구현예와 같이, 측벽(66, 68)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토퍼(82)가 삽입될 수 있는 기둥(70)에 형성된 슬롯(80)을 포함하여 지지 표면(72)의 수준에서 자석(62)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기둥(70)의 공동(78)에서 처음 2개의 자석(62)은 스토퍼(82)로서 사용되는 제3 자석(62)에 의해 지지 표면(72)의 수준에서 제자리에 유지된다. 특히, 처음 2개의 자석(62)은 각각 기둥(70)의 공동(78)를 통해 미끄러지도록 형상화된 직사각형 블록일 수 있고, 제3 자석(62)은 슬롯(80)을 통해 삽입되어 스토퍼(82)로 역할을 하는 얇은 원통형 디스크(cylindrical disk)일 수 있어서 처음 2개의 자석이 기둥(70)의 공동(78)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자석(62)의 수는 사용된 자석(62)의 타입 및 유리 시트(52)를 프레임(60)에 대해 만곡된 형태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자석(62)은 영구 자석이다. 구현예들에서, 영구 자석은, AlNiCo 자석, 페라이트 자석, 네오디뮴(NdFeB) 자석, 또는 사마륨 코발트(samarium cobalt)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자석(62)은, 예를 들어, 10 ㎜ 내지 30 ㎜의 길이, 2 ㎜ 내지 10 ㎜의 폭, 및 1 ㎜ 내지 5 ㎜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블록이다. 일 구현예에서, 스토퍼(82)로서 사용되는 자석(62)은, 10 ㎜ 내지 30 ㎜의 직경 및 1 ㎜ 내지 5 ㎜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 디스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택된 자석(62)은 하나의 더 큰 자석으로 작용하여, 자기장 강도 및 당김력(pull force)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구현예에서, 스택에 배열된 다수의 자석(62) 대신에, 하나의 더 큰 자석(62)은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현예에서, 스토퍼(82)는 자석(62)이 아니며, 대신에, 예를 들어, 각 기둥(70)의 공동(78)으로 삽입된 고무 물질의 플러그(plug)이다. 더욱이,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공동(78)은 대신에 특정 수의 자석(62) 또는 특정 크기의 자석(62)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어 스토퍼(82)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스토퍼(82)가 필요하지 않도록 자석(62) 또는 자석들(62)은 대신에 공동(78) 내로 아교로 붙여진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각 측벽(66, 68)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 또는 자석들(62)을 함유하는 공동(78)을 갖는 단일 기둥(7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표면(72)은, 예를 들어, 50 ㎜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탄하지 않은 곡률(예를 들어, R = 5 m)까지의 곡률을 정의한다. 자석(들)(62)과 금속 스트립(64) 사이에 인력은 유리 시트(52)에 지지 표면(72)의 곡률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 시트(52)는 유리 시트(52)의 곡률의 중심에서 최대 처짐(deflection(D))을 가지면서 평면으로부터 구부려질 것이다. 출원인은, 유리 시트(52)의 최대 처짐(D)의 위치에 근접한 곡률의 중심에 놓인 자석(62) 또는 자석들(62)이, 특정 상황에서,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에 대한 전체 유리 시트(52)의 곡률을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곡률의 중심에 배열된 20 ㎜ x 5 ㎜ x 3 ㎜의 치수를 갖는 7개의 네오디뮴 자석의 2개의 스택은 약 160 N의 당김력을 제공하며, 이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60)에 대한 유리 시트(52)의 곡률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도 8a-8c는 자기 유리 물품(50)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는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 위에 위치된다. 측벽(66, 68)은 교차-부재(74)에 의해 연결된다. 도 8a에 나타낸 실험적 구현예에서, 교차-부재(74)는 프레임(60)의 폭을 정의하기 위해 각 측벽(66, 68)에 볼트로 고정된 나사봉이다. 측벽(66, 68)의 기둥(70)은 자석(62)으로 채워진 공동(7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험적 구현예에서, 각 기둥(70)은 스토퍼(82)로서 작용하는 원형 디스크 자석(62)(20 ㎜ x 2 ㎜)을 갖는 슬롯(8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직사각형 블록 자석(62)(20 ㎜ x 5 ㎜ x 3 ㎜)은 스토퍼(82) 자석(62) 위의 공동(78) 내에 위치된다. 지지 표면(72)의 수준에서, 각 기둥(70)은 10 ㎜ x 5 ㎜ x 5 ㎜의 치수를 갖는 하나의 자석(62)을 포함한다. 사용된 모든 자석(62)은 네오디뮴 자석이다. 더욱이, 실험적 구현예에서, 사용된 메탈 스트립(64)은 0.5 ㎜의 두께 및 10 ㎜의 폭을 갖는 스틸(steel)이다. 유리 시트(52)는, 0.55 ㎜의 두께 및 235 ㎜ x 185 ㎜의 치수를 갖는 이온-교환 유리(NY, Corning, Corning Incorporated로부터 구입 가능한 Gorilla® 유리 9642)이다.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스트립(64)은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 위 및 각 측벽(66, 68)의 지지 표면(72) 위에 위치된다. 도 8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는 프레임(60) 위에서 여전히 평면이다. 도 8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은 유리 시트(52) 및 금속 스트립(64)에 적용되어 금속 스트립(64)을 자석(62)에 충분히 근접하게 하여, 금속 스트립(64)과 자석(62) 사이에 자기 인력을 생성시키는데, 이는 유리 시트(52)를 지지 표면(72)의 곡률에 일치하게 유지시켜,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50)을 생성시킨다. 실험적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416.6 ㎜의 곡률 반경이 부여되고, 이는 15 ㎜의 평면으로부터의 최대 처짐에 대응한다.
도 9a 및 9b는, 도 8b 및 8c, 즉, 유리 시트(52)의 굽힘 전과 굽힘 후의 유리 물품(50)을 도시한다. 모눈 종이(Graph paper)는,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으로부터의 반사에서 곡률이 입증될 수 있도록 유리 물품(50) 근처에 수직으로 놓인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평면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으로부터의 반사에서 모눈 종이의 격자선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남아 있다. 도 9b에서, 만곡된 유리 시트(52)의 제1 주 표면(54)으로부터의 반사에서 모눈 종이의 격자선은, 지지 표면(72)에 의해 부여된 곡률을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0은, 도 8a-8c에 나타낸 구현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또 다른 실험적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프레임(60)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stereolithography)에 의해 생성된 측벽(66, 68) 및 교차-부재(74)를 포함한다. 지지 표면(72)의 곡률 반경은 416.6 ㎜였다. 도 8a-8c의 구현예와 대조적으로, 도 10의 구현예는 각각의 제1 및 제2 측벽(66, 68)의 중앙 기둥(70)의 공동(78)(즉, 유리 시트(52)의 최대 처짐이 위치되는 영역)에만 자석(62)을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석(62) 및 금속 스트립(64)은, 이들이 프레임(60)의 각 측벽(66, 68)의 하나의 기둥(70)에만 위치하더라도, 지지 표면(72)에 대해 만곡된 형태로 유리 시트(52)를 보유한다.
도 11a 및 11b는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50)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유리 시트(52)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접착된 불연속 금속 스트립(64)을 포함한다. 불연속 금속 스트립(64)은 접착층(86)으로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결합된 복수의 금속 포일(84)을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금속 포일(84)은 15 ㎜ 내지 25 ㎜의 길이, 2 ㎜ 내지 10 ㎜의 폭, 및 0.25 ㎜ 내지 2.0 ㎜의 두께를 가지며, 금속 포일들(84) 사이에 간격은 10 ㎜ 내지 50 ㎜이다. 구현예에서, 접착층(86)은, 강화 에폭시, 가요성 에폭시, 아크릴, 실리콘, 우레탄, 폴리우레탄, 감-압 접착제, 또는 실란-개질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BETASEAL 1965 폴리우레탄 아교(polyurethane glue)는 BETAPRIME 5405 접착 프라이머(adhesion primer)와 함께 사용되어 금속 포일(84)을 유리 시트(52)에 접합시킨다. 구현예에서, 접착층(86)은 금속 포일(84)과 유리 시트(52) 사이에서 2.0 ㎜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만곡된 자기 유리 물품(50)을 조립할 때, 평면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은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 위에 배치된다. 도 11a의 구현예에서, 프레임(60)은 지지 표면(72)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자석의 스택(62)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의 동등한 자석(62)은 하나 이상의 자석의 스택(62) 대신에 제공된다. 압력은 유리 시트(52)에 적용되고, 이는 불연속 금속 스트립(64)의 금속 포일(84)이 자석(62)과 자기 인력을 일으키며, 유리 시트(52)를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에 일치시킨다. 구현예에서, 금속 스트립(64)은 유리 시트(52)와 금속 포일(84)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불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즉, 열 사이클 동안, 유리 시트에 접착식으로 부착된 연속 금속 스트립은 유리 시트와 금속 스트립 사이에 열팽창의 차이로 인해 접착층에 열 응력을 유발할 수 있다. 응력이 너무 크다면, 접착층은 파손되어,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유리 시트의 박리로 이어질 수 있다. 금속 스트립(64)을 복수의 금속 포일(84)로 분산시킴으로써, 금속 포일(84)은 팽창 공간이 제공되어 접착층(86)을 파열시키기에 충분한 응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도 12a 및 12b가 만곡된 유리 시트(52)에 대한 최대 처짐에 대응하는 지지 표면(72)의 영역에 위치한 단일의 자석(62)의 스택(또는 단일의 동등한 자석(62))을 활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2a 및 12b는, 도 11a 및 11b의 구현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위에서 논의되고 도면(예를 들어, 도 7 및 10)에 나타낸 이전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최대 처짐의 영역에서 단일의 자석(62)의 스택은 불연속 금속 스트립(64)을 사용하여 저온 형태로 유리 시트(52)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불연속 금속 스트립(64)은 자석(들)(62)의 영역에 금속 포일(84)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지지 표면(72)은, 금속 포일(84)이 지지 표면(72)과 접촉하는 제2 주 표면(56)의 잔여부에 대해 곡률의 파괴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포일(84)을 수용하기 위한 접시형 영역 또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13c는 자기 유리 물품(50)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곡률은 이전 구현예에서 도시된 곡률과 반대이다. 특히, 이전의 구현예는 모두 제2 주 표면(56)에 대해 볼록한 곡률을 고려한 반면, 도 13a-13c의 구현예는 제2 주 표면(56)에 대해 오목한 곡률을 도시한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은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의 측부 에지에 놓인다. 도 1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석(62)은 자석(62)과 금속 스트립(64) 사이에 자기 인력에 기초하여 만곡된 형태로 유리 시트(52)를 유지하지만,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62) 및 금속 스트립(64)은 프레임(60)에 의해 정의된 곡률을 따라 배열되지 않는다. 대신에, 자석(62) 및 금속 스트립(64)은 프레임(60)에 의해 정의된 곡률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 스트립(64)은 이전 구현예에서와 같이 유리 시트(52)와 함께 만곡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자석(62)은 곡률을 넘어 펼쳐지지 않거나 또는 최대 변위의 영역에 배치되지 않고, 유리 시트(52)의 측부 에지를 따라 배열된다.
전술한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52)는 곡률이 영구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유리 시트(52)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유리 시트(52)가 (연속 또는 불연속) 금속 스트립(64)과 자석(62) 사이에 자기 인력에 의해 지지 표면(72)에 일치하여 굽혀지지 않는다면, 평면의, 비-만곡된(즉, 평평한) 형태로 다시 튀어 돌아오를 것이다. 따라서, 유리 시트(52)는 곡률을 생성하도록 응력을 받고, 유리 물품(50)의 수명 동안 응력을 유지한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52)를 프레임(60)의 지지 표면(72)에 일치시켜 굽히는 공정은, 굽힘이 유리 시트(52)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특히 200℃ 이하, 150℃ 이하, 100℃ 이하, 50℃ 이하, 또는 대략 실온(즉, 약 2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냉간-성형 또는 냉간-굽힘 공정이다. 유리하게는, 유리 시트(52)에 곡률을 생성시키기 전에 평평한 유리 시트(52)에 표면 처리를 적용하는 것은 더 용이하고, 냉간-성형은 (더 복잡한 공정에서 만곡된 물품에 적용될 표면 처리를 필요로 하는, 표면 처리를 파괴하는 열-간 성형 기술과 관련된 고온의 경향과 비교하여) 표면 처리를 파괴하지 않고 처리된 유리 시트(52)를 굽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자기력은, 도 14의 흐름도에 나타낸 방법(100)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정 척 상에서 유리 물품을 냉간-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자기 만곡된 유리 물품과 대조적으로, 방법(100)에 따라 만들어진 만곡된 유리 물품은 유리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접착제 연결에 의해 냉간-성형 형태로 유지된다. 방법(100)의 제1 단계(101)에서, 유리 시트는 만곡된 형성 표면을 갖는 공정 척 위에서 굽혀진다. 공정 척은 하나 이상의 자기 물질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유리 시트는 금속 프레스를 사용하여 형성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형성 표면에 자기 물질과 금속 프레스 사이에 자기 인력은 형성 표면 위에서 유리 시트를 냉간-굽힘하는데 필요한 굽힘력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프레스는 자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공정 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방법(100)에서, 공정 척의 금속 물질은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2 단계(102)에서, 프레임은 냉간-굽힘 유리 시트에 접착된다. 구현예에서, 프레임이 임의의 자석을 보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레임(예를 들어, 측벽)의 높이 및 두께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지만,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여기에서 기재된 것과 같을 수 있다. 접착제의 비드(bead)는 프레임 또는 유리 시트에 도포되고, 프레임은 유리 시트에 대해 가압된다. 제3 단계(103)에서, 프레임은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유리 시트에 대해 유지된다. 이 시간 동안, 유리 시트는 공정 척의 자기 물질과 프레스의 금속 물질 사이(또는 그 반대)에 자기력에 의해 만곡된 형태로 유지된다. 접착제가 충분히 경화된 후, 프레스와 공정 척 사이에 자기 인력은 제4 단계(104)에서 해제된다. 이는, 전자석의 경우에, 전자석을 비활성화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영구 자석의 경우에, 프레스는 프레스와 공정 척 사이에 자기 인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제5 단계(105)에서, 만곡된 유리 물품은 공정 척으로부터 제거된다.
자기 유리 물품 및 자기력을 사용하여 유리 물품을 냉간-성형하는 방법을 기재했지만, 유리 시트를 원하는 곡률로 굽히기 위해 유리 시트에 적용되는 힘은 고려된다. 굽힘력의 계산에 있어서, 균질한 등방성 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변(sides)의 치수, a 및 b, 및 두께(t), 예컨대, 를 갖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는 고려된다. 계산을 위해, 플레이트는 단순히 모든 에지에서 지지되고, 플레이트 상부 표면에 가해진 균일한 하중(p(x,y))이 적용된다. 좌표의 원점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좌측 코너에 놓인다.
일반적으로, 응력 성분(stress components)은 하중이 가해진 플레이트에서 물질 점(material point)으로부터 또 다른 물질 점으로 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평형의 정적 조건 또는 라그랑주(Lagrangian) 평형 방정식에 의해 제어된다. 굴곡 하중(flexural loading)을 받는 얇은 플레이트의 경우, 처짐(d)에 대한 라그랑주 평형 방정식은 하기 수학식 1의 4차 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제공된다:
[수학식 1]
여기서, D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주어진 플레이트 굴곡 강성이다:
[수학식 2]
단순 지지된 플레이트의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은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이러한 경우에서, 지배 미분 방정식 (1)의 나비에(Navier)의 해, 즉, 처짐 표면(d(x,y))과 분포된 표면 하중(p(x,y))의 수식은 하기 수학식 4 및 5와 같이 무한 푸리에 급수(infinite Fourier series)의 형태로 도출된다:
[수학식 4]
[수학식 5]
여기서, dmnPmn은 결정될 계수(coefficients)를 나타낸다. 처짐에 대한 수식(수학식 4)이 규정된 경계 조건(수학식 3)을 자동적으로 만족시키는 것은 입증될 수 있다. 일반 하중 구성(load configuration)을 고려하여, 푸리에 계수(Pmndmn)뿐만 아니라 처진 표면의 방정식은 증명될 수 있다:
[수학식 6]
여기서, Pmn은 하기 수학식 7로 제공된다:
[수학식 7]
도 16은, 중심이 ξ 및 η 좌표에 위치된 변(u 및 v)의 접촉 구역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된 힘(P0)을 받는 변(a 및 b) 및 두께(t)의 모든 에지에서 단순 지지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경우를 고려한다.
하중의 푸리에 전개의 상수는 하기 수학식 8과 같다:
[수학식 8]
그 다음,
[수학식 9]
상기 수학식을 수학식 6에 대입하면, 처진 표면의 이중 급수 수식은 하기 수학식 10과 같다:
[수학식 10]
치수(u 및 v)가 너무 작지 않으면, 수학식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렴된다. 일반적으로, 급수의 처음 4개의 항을 취하면 정확한 처짐 값(d(x,y))을 계산하기에 충분하다. 수학식 10은 플레이트 변위가 접촉 구역 치수(u 및 v) 및 하중 위치(ξ,η)에 의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좌표(ξ,η)에 적용된 집중된 힘(p)의 경우에서, u→0 및 v→0이고, 따라서 처진 표면의 수식(수학식 10)은 하기 수학식 11이 된다:
[수학식 11]
플레이트 중심(ξ=a/2 및 η=b/2)에 집중된 힘의 경우에서, 짝수 m 및 n에 대해 모든 숫자(Pmn)는 0이다. 홀수의 경우, 수학식 11로부터 하기 수학식 12는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12]
이러한 경우에 처진 중간 표면 수학식 11은 하기 수학식 13이 된다:
[수학식 13]
더군다나, 플레이트가 정사각형(a=b)인 경우, 중심에서 발생하는 최대 처짐은, 하기 수학식 14와 같이, 수학식 13으로부터 구해진다:
[수학식 14]
이러한 급수(m=1, n=1,3,5; m=3, n=1,3,5; m=5, n=1,3,5)의 처음 9개의 항을 유지하여, 하기 수학식 15는 구해진다:
[수학식 15]
위에서 기재된 접근법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은 도출될 수 있다:
특정 플레이트 조건에 대한 최대 변위 값.
분포된 하중(P) 중심에 집중된 하중(P)
단순 지지된 사각 플레이트
클램프되거나 고정된 에지 사각 플레이트
위에서 기재된 유리 시트의 경우, 모든 에지에 대해 단순 지지되거나 클램프된(clamped) 직사각형 플레이트는 고려된다. 치수의 경우, 변(a = 235 ㎜ 및 b = 185 ㎜(a≥b)) 및 두께(t = 0.55 ㎜)는 고려된다. 더욱이, 유리 시트는, 영률(E = 70,000 MPa) 및 푸아송의 비(v = 0.25)와 함께, 중심이 플레이트 중심에 위치되는 변(u = 20 ㎜ 및 v = 10 ㎜(자석 크기))의 접촉 구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힘(P0)을 받는다.
플레이트 x 방향(즉, 235 ㎜ 방향)에서 150 ㎜의 굽힘 반경(R)인 경우, 최대 처짐(dmax)은, 하기 수학식 16으로부터 도출된, 43.72 ㎜이다.
[수학식 16]
적용된 힘과 최대 처짐 사이에 관계는 단순 지지 조건에 대하여 수학식 13으로부터 하기 수학식 17 내지 19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17]
[수학식 18]
[수학식 19]
클램프된 조건에 대해서도 하기 수학식 20 내지 22와 같이 동등한 수식은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20]
[수학식 21]
[수학식 22]
하기 단락에서, 유리 시트(52)의 다양한 기하학적, 기계적, 및 강화 특성들뿐만 아니라 유리 시트의 조성물은 제공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유리 시트(52)의 부가적인 구조적 상세는 나타내고 기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제1 주 표면(54)과 제2 주 표면(56) 사이에 거리로 정의되는 두께(T)를 갖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T는 유리 시트의 평균 두께 또는 최대 두께를 지칭할 수 있다. 부가하여, 유리 시트(52)는, 두께(T)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54, 56) 중 하나의 제1 최대 치수로 정의되는 폭(W), 및 두께 및 폭 모두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54, 56) 중 하나의 제2 최대 치수로 정의되는 길이(L)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W 및 L은, 각각, 유리 시트(52)의 평균 폭 및 평균 길이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평균 또는 최대 두께(T)는 0.3 ㎜ 내지 2 ㎜의 범위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폭(W)은 5 ㎝ 내지 250 ㎝의 범위이고, 길이(L)는 약 5 ㎝ 내지 약 1500 ㎝의 범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의 곡률 반경은 약 30 ㎜ 내지 약 1000 ㎜이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52)는 강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표면으로부터 압축의 깊이(DOC)까지 연장되는 압축 응력을 포함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압축 응력 영역은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앙 부분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DOC에서, 응력은 양(압축) 응력으로부터 음(인장) 응력으로 교차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압축 응력 영역 및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앙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물품의 부분들 사이에 열팽창계수의 불일치를 활용하여 기계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유리를 유리 전이점을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한 다음, 빠르게 퀀칭(quenching)시켜 열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이온 교환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온 교환 공정에서, 유리 시트의 표면에 또는 그 근처의 이온은 동일한 원자가 또는 산화 상태를 갖는 더 큰 이온으로 대체되거나 교환된다. 유리 시트가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품의 표면층에서의 이온 및 더 큰 이온은, Li+, Na+, K+, Rb+, 및 Cs+와 같은, 1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다. 대안적으로, 표면층에서 1가 양이온은, Ag+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이외의 1가 양이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된 1가 이온(또는 양이온)은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온 교환 공정은 통상적으로 유리 시트의 더 작은 이온과 교환될 더 큰 이온을 함유하는 용융염 욕조(또는 2개 이상의 용융염 욕조)에 유리 시트를 침지시켜 수행된다. 수성염 욕조가 또한 활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부가하여, 욕조(들)의 조성물은 하나를 초과하는 타입의 큰 이온(예를 들어, Na+ 및 K+) 또는 단일의 큰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욕조 조성물 및 온도, 염 욕조(또는 염욕들)에 유리 시트의 침지의 수, 침지 시간, 다중 염 욕조의 사용, 부가적인 단계, 예컨대, 어닐링, 세척,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않는, 이온 교환 공정에 대한 파라미터가, 일반적으로 (물품의 구조 및 존재하는 임의의 결정질 상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조성물 및 강화로부터 결과하는 유리 시트의 원하는 DOC 및 CS에 의해 결정됨을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대표적인 용융 욕조 조성물은 더 큰 알칼리 금속 이온의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질산염은 KNO3, NaNO3, LiNO3, NaSO4,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융염 욕조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약 380℃에서 최대 약 450℃ 범위인 반면, 침지 시간은 유리 시트 두께, 욕조 온도 및 유리(또는 1가 이온) 확산도에 따라 약 15분에서 최대 약 100시간의 범위이다. 그러나, 위에서 기재된 것과 다른 온도 및 침지 시간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약 370℃ 내지 약 480℃의 온도를 갖는 100% NaNO3, 100% KNO3, 또는 NaNO3와 KNO3의 조합의 용융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5% 내지 약 90%의 KNO3 및 약 10% 내지 약 95%의 NaNO3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제1 욕조에 침지된 후, 제2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욕조들은 서로 다른 조성물 및/또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욕조에서 침지 시간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욕조에서 침지는 제2 욕조에서 침지보다 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5시간 미만, 또는 심지어 약 4시간 이하 동안 약 420℃ 미만(예를 들어, 약 400℃ 또는 약 380℃)의 온도를 갖는 NaNO3 및 KNO3(예를 들어, 49%/51%, 50%/50%, 51%/49%)를 포함하는 용융된, 혼합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이온 교환 조건은, 그 결과로 생긴 유리 시트의 표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응력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스파이크(spike)"를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스파이크는 더 큰 표면 CS 값을 결과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는, 여기에 기재된 유리 시트에 사용된 유리 조성물의 고유한 특성에 기인하는, 단일 조성물 또는 혼합 조성물을 갖는 단일 욕조 또는 다중 욕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나를 초과하는 1가 이온이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되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다른 1가 이온은 유리 시트 내에 다른 깊이로 교환될 수 있다(그리고 다른 깊이에서 유리 시트 내에 다른 크기의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생긴 응력-발생 이온의 상대적 깊이는 결정될 수 있으며 응력 프로파일의 다른 특징을 유발할 수 있다.
CS는,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을 사용하여, 예컨대, Orihara Industrial Co., Ltd.(일본)에 의해 제작된, 표면 응력 측정기(FSM)-6000과 같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기기를 사용하는 표면 응력 측정기(FSM)에 의해 측정된다. 표면 응력 측정은, 유리의 복굴절과 관련된, 응력 광학 계수(SOC)의 정확한 측정에 의존한다. SOC는 궁극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들, 예컨대, 명칭이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Glass Stress-Optical Coefficient"이고, 전체적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혼입되는, ASTM 표준 C770-98(2013)에 기재된, 섬유 및 4점 굽힘 방법, 및 벌크 실린더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CS는 압축 응력층 내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압축 응력 값인 "최대 압축 응력"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유리 시트의 표면에 위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표면 아래의 깊이에서 발생할 수 있어, "묻힌 피크(buried peak)"의 외관의 압축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DOC는, 강화 방법 및 조건에 따라, FSM 또는 산란광 편광기(SCALP)(예컨대, 에스토니아 탈린에 소재한 Glasstress Ltd.로부터 구입 가능한 SCALP-04 산란광 편광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유리 시트가 이온 교환 처리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된 경우, FSM 또는 SCALP는 어떤 이온이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되느냐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유리 시트에 응력이 유리 시트 내로 칼륨 이온을 교환시켜 발생된 경우, FSM은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응력이 유리 시트 내로 나트륨 이온을 교환시켜 발생된 경우, SCALP는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유리 시트에 응력이 유리 내로 칼륨 및 나트륨 이온 모두를 교환시켜 발생된 경우, DOC는 SCALP에 의해 측정되는데, 이는 나트륨의 교환 깊이가 DOC를 나타내고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가 압축 응력의 크기에서 변화(단, 압축으로부터 인장으로의 응력의 변화는 아님)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고; 이러한 유리 시트에서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는 FSM에 의해 측정된다. 중심 장력 또는 CT는 최대 인장 응력이며, SCALP로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강화되어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유리 시트의 두께(T)의 부분으로서 기재되는 DOC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DOC는 약 0.05T 내지 약 0.25T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사례에서, DOC는 약 20 ㎛ 내지 약 300 ㎛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된 유리 시트(52)는, 약 200 MPa 이상, 약 500 MPa 이상, 또는 약 1050 MPa 이상의 (유리 시트의 표면 또는 유리 시트 내에 깊이에서 발견될 수 있는) CS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된 유리 시트는 약 20 MPa 내지 약 100 MPa의 범위에서 최대 인장 응력 또는 중심 장력(CT)을 가질 수 있다.
유리 시트(52)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리 조성물은, 소다 석회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함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함유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및 알칼리-함유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한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개시된 유리 조성물은 산화물 기준으로 분석된 몰 퍼센트(mol%)로 기재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66 mol% 내지 약 80 mol% 범위의 양으로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3 mol% 내지 약 15 mol%의 양으로 Al2O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물품으로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은 SiO2 및 Al2O3를 포함하고, 소다 석회 실리케이트 유리가 아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01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양으로 B2O3를 포함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B2O3가 실질적으로 없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의 성분에 대한 "실질적으로 없다"라는 문구는 성분이 초기 배칭(batching) 동안 조성물에 능동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았으나, 약 0.001 mol% 미만의 양으로 불순물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약 0.01 mol% 내지 2 mol%의 양으로 P2O5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P2O5가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8 mol% 내지 약 20 mol%의 범위에서 R2O의 총량(Li2O, Na2O, K2O, Rb2O, 및 Cs2O와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총량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Rb2O, Cs2O 또는 Rb2O 및 Cs2O 모두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R2O는 Li2O, Na2O 및 K2O의 총량 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Li2O, Na2O 및 K2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약 8 mol%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8 mol% 내지 약 20 mol% 범위의 양으로 Na2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4 mol% 범위의 양으로 K2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K2O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Li2O가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에서 Na2O의 양은 Li2O의 양을 초과할 수 있다. 몇몇 사례에서, Na2O의 양은 Li2O와 K2O의 조합된 양을 초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조성물에서 Li2O의 양은 Na2O의 양 또는 Na2O와 K2O의 조합된 양을 초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2 mol%의 범위에서 RO의 총량(CaO, MgO, BaO, ZnO 및 SrO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총량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1 mol% 미만의 양으로 Ca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CaO가 실질적으로 없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7 mol%의 양으로 Mg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2 mol% 이하의 양으로 ZrO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2 mol% 이하의 양으로 SnO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유리 물품에 색상 또는 색조를 부여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유리 물품이 자외선에 노출될 때 유리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는 산화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화물의 예로는: Ti, V, Cr, Mn, Fe, Co, Ni, Cu, Ce, W, 및 Mo의 산화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Fe2O3로 표시되는 Fe를 포함하고, 여기서, Fe는 1 mol%까지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리 조성물이 TiO2를 포함하는 경우, TiO2는 약 5 mol%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유리 조성물은, 약 65 mol% 내지 약 75 mol% 범위의 양의 SiO2, 약 8 mol% 내지 약 14 mol% 범위의 양의 Al2O3, 약 12 mol% 내지 약 17 mol% 범위의 양의 Na2O, 약 0 mol% 내지 약 0.2 mol% 범위의 양의 K2O, 및 약 1.5 mol% 내지 약 6 mol% 범위의 양의 MgO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SnO2는 여기에서 별도로 개시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전의 유리 조성물 단락이 대략적인 범위를 표시하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위에서 논의된 정확한 수치 범위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임의의 유리 조성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서술된 임의의 방법은, 이의 단계가 특정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이의 단계가 뒤따라야 할 순서를 나열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제한되는 것으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임의의 특정 순서로 간주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의 "단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요소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단지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개시된 구현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구현예들의 사상 및 물질을 혼입하는 개시된 구현예의 변형, 조합, 서브-조합 및 변화가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개시된 구현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범주 내에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1. 만곡된 지지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 표면이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 쪽으로 향하도록 배열된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 및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일치시켜 유리 시트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자기 연결을 생성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연속적인 금속 스트립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상에 배치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접착제 및 상기 유리 시트를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에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불연속적인,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6.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AlNiCo, 페라이트, 사마륨 코발트, 또는 네오디뮴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7.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리 시트의 대향 에지에 배치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에 배치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력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 각각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에 의해 생성된 제2 자기력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 각각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각각은 유리 시트의 최대 처짐에 대응하는 제1 측벽 상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 각각은 유리 시트의 최대 처짐에 대응하는 제2 측벽 상의 위치에 위치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1. 청구항 8-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 각각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 각각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2. 청구항 1-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1 ㎜ 이하의 두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3. 청구항 1-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은 50 ㎜ 내지 5 m의 곡률 반경을 정의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4. 청구항 1-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연결은 유리 시트 상에 적어도 140 N의 힘을 가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5. 청구항 1-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의해 정의된 곡률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6. 청구항 1-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 표면 또는 제2 주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방-현 코팅, 반사-방지 코팅, 터치 기능성을 제공하는 코팅, 장식용 코팅, 또는 세정-용이성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7. 청구항 1-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욱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LED(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유리 물품.
  19.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만곡된 지지 표면 위에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에 일치시켜 유리 시트를 굽히기 위해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과 적어도 하나의 자석 사이에 자기 연결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상에 배치된 연속적인 금속 스트립이고, 여기서, 상기 제2 주 표면은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과 유리 시트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에 접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 포일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3. 청구항 19-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AlNiCo, 페라이트, 사마륨 코발트, 또는 네오디뮴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4. 청구항 19-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유리 시트의 대향 에지에 배치된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에 배치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력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 각각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에 의해 생성된 제2 자기력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 각각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산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각각은 유리 시트의 최대 처짐에 대응하는 제1 측벽 상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 각각은 유리 시트의 최대 처짐에 대응하는 제2 측벽 상의 위치에 위치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8. 청구항 25-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둥 각각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둥 각각은 만곡된 지지 표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유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9. 청구항 19-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스트립은 1 ㎜ 이하의 두께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30. 청구항 19-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지지 표면은 50 ㎜ 내지 5 m의 곡률 반경을 정의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31. 청구항 19-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연결은 유리 시트 상에 적어도 140 N의 힘을 가하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32. 자기 표면을 포함하는 만곡된 공정 척 위에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만곡된 공정 척에 일치시켜 유리 시트를 굽히기 위해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된 금속 프레스와 자기 표면 사이에 자기 연결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에 프레임을 접착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유리 시트를 프레임에 접합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경화된 후에 유리 시트로부터 금속 프레스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만곡된 공정 척으로부터 만곡된 유리 물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자기 표면은 전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자기 표면은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만곡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237019381A 2020-11-20 2021-11-12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KR20230108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6262P 2020-11-20 2020-11-20
US63/116,262 2020-11-20
PCT/US2021/059043 WO2022108831A2 (en) 2020-11-20 2021-11-12 Magnetic bending frame for cold-forming thin glass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731A true KR20230108731A (ko) 2023-07-18

Family

ID=7884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381A KR20230108731A (ko) 2020-11-20 2021-11-12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0542A1 (ko)
EP (1) EP4247763A2 (ko)
JP (1) JP2023550348A (ko)
KR (1) KR20230108731A (ko)
CN (1) CN116670081A (ko)
WO (1) WO2022108831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6923A (en) * 1987-09-17 1989-03-23 Nippon Sheet Glass Co Ltd Molding tool
KR101583341B1 (ko) * 2014-03-27 2016-01-07 (주)대성하이텍 유리판 가공용 지그
KR102368787B1 (ko) * 2015-10-08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성형 방법 및 열성형 장치
KR20240011877A (ko) * 2017-07-07 2024-01-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만곡된 커버 유리 및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8831A2 (en) 2022-05-27
WO2022108831A3 (en) 2022-07-21
EP4247763A2 (en) 2023-09-27
US20240010542A1 (en) 2024-01-11
JP2023550348A (ja) 2023-12-01
CN116670081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8107B2 (ja) 信頼性が改善された湾曲カバーガラスを有する車両内装システム及びその形成方法
KR102560113B1 (ko) 곡선 차량 디스플레이
EP3887326B1 (en) Adhering glass cover sheet to a frame
CN213534599U (zh) 车辆内饰系统
JP2023536404A (ja) 曲面ガラスシートを堅い枠部に接合する可撓性中間枠部を含むガラス物品
CN213877433U (zh) 弯曲显示器组件、运载工具内部系统和运载工具
EP3943457A1 (en) Method and chuck for forming tight bend radius glass shapes
KR20230108731A (ko)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CN214927761U (zh) 玻璃层压体、车辆内饰系统和包括该车辆内饰系统的车辆
US20210101821A1 (en) Curved glass articles including a bumper piece configured to relocate bending moment from display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30322083A1 (en) Glass article for automotive interior having improved head form impact testing performance
TWI839775B (zh) 具有彎曲的覆蓋玻璃以及顯示器或觸控面板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
KR20230164692A (ko)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TW202241821A (zh) 具有彎曲的覆蓋玻璃以及顯示器或觸控面板的車輛內部系統及其形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