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692A -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692A
KR20230164692A KR1020237035950A KR20237035950A KR20230164692A KR 20230164692 A KR20230164692 A KR 20230164692A KR 1020237035950 A KR1020237035950 A KR 1020237035950A KR 20237035950 A KR20237035950 A KR 20237035950A KR 20230164692 A KR20230164692 A KR 2023016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ribbon connector
major surface
glass
electronic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로 이시카와
크리스토퍼 리 티몬스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3Matrix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40Hardware adaptations for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42Circuit board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8Frames or decora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2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3Cover plat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92Manufacturing of instruments
    • B60K2360/96Manufacturing of instruments by assembling
    • B60K2370/42
    • B60K2370/688
    • B60K2370/691
    • B60K2370/692
    • B60K2370/69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물품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전자 리본 커넥터는 수직 위치에 배치된다. 전자 리본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제2 자유 단부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에 부착된다. 접착제는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에 도포된다. 프레임은 유리 시트 위에 배열된다. 프레임은 디펜딩 에지와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한 슬롯을 갖는다. 프레임은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가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유리 시트 쪽으로 이동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21년 3월 26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66,57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되고 통합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s)을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리 물품의 조립 동안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자 리본 커넥터(electronic ribbon connectors)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Vehicle interiors)는 종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를 차량 내부의 미적 요소로 통합하기 위해,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만곡된 표면 및 장식 표면에 통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통상적으로 유리의 내구성 및 광학 성능을 나타내지 않는, 중합체로 제한된다. 그래서, 유리 시트는, 특히 디스플레이용 커버로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 기존 방법은 형성 작업(forming operation)에서 유리 시트를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추가로 통합하기 위해, 조립 공정 동안에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전기 연결은 고려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 있어서, 전선, 케이블, 커넥터, 및 커넥터 리본들의 관리는,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자동화 공정으로의 전환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 물품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다. 상기 방법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지르는 수직 위치에 위치된다. 전자 리본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제2 자유 단부(free end)를 갖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다. 접착제는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도포된다. 프레임(frame)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위에 배열된다. 프레임은 디펜딩 에지(depending edge) 및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한 슬롯(slot)을 갖는다. 프레임은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가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이동된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전자 리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다.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은 제2 주 표면에 부착된다. 시스템은 곡률을 정의하는 형성 표면(forming surface)을 갖는 척(chuck)을 포함한다. 유리 시트는 형성 표면에 맞추어 굽혀지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노즐(dispenser nozzle)을 포함한다. 더욱이, 시스템은 프레임이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하강될 수 있고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가 프레임 내에 슬롯을 통해 삽입되도록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 물품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 주 표면을 가로질러 배열된 커넥터 소켓(socket)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접착제는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도포된다. 프레임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위에 배열된다. 프레임은 디펜딩 에지 및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한 슬롯을 갖는다. 프레임은 슬롯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넥터 소켓 위에 위치되고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이동된다.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1 단부는 슬롯을 통해 삽입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1 단부는 커넥터 소켓에 플런지 연결된다(plugged).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제2 주 표면은 제1 주 표면에 대향하여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자 리본 커넥터를 포함한다. 더욱이, 유리 물품은 기판, 디펜딩 에지, 및 슬롯을 갖는 일체형 프레임(unitary frame)을 포함한다. 슬롯은 기판을 통해 연장되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일체형 프레임의 제1 측면(side)에 장착된다. 일체형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다. 갭(gap)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제공된다. 더욱이, 전자 리본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일체형 프레임에 슬롯을 통해 제1 측면에 대항하는 일체형 프레임의 제2 측면으로 연장된다.
부가적인 특색 및 장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거나,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구현예를 실행시켜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전술한 배경기술 및 하기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이고, 청구범위의 본질 및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틀거리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수반되는 도면은 또 다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병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구현예의 원리 및 작동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차량 내부 시스템을 갖춘 차량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a-2c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각각, 유리 시트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유리 물품의 단부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자 리본 커넥터를 위치시키기 위해 2개의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여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자 리본 커넥터를 위치시키기 위해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여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6c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유리 물품의 조립 동안 전자 리본 커넥터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되는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를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센서를 도시한다;
도 8a-8c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조립 이전에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과 관련된 3개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조립 동안에 전자 리본 커넥터를 관리할 필요가 없는, 전자 리본 커넥터 대신에 커넥터 소켓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10은, 대표적인 구현예에 따른, 유리 시트의 기하학적 치수를 도시한다.
이제 언급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고, 이의 실시예들은 수반되는 도면에 예시된다. 이하 좀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유리 물품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부착된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의 유리 시트는, 곡률을 정의하기 위해 평면 구성으로 냉간-성형되고, 프레임은 유리 시트를 만곡된, 냉간-성형 구성으로 유지한다. "냉간-성형"이란, 유리 시트가 유리의 연화점 아래의 온도에서 탄성적으로 형상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곡된, 냉간-성형 구성으로 유리 시트를 유지하는 프레임의 부재하에서, 유리 시트는 탄성적으로 평면 구성으로 복귀될 것이다.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또한 유리 시트 위에서 냉간-성형되거나 유리 시트와 함께 냉간-성형되며, 이는 백라이트 유닛과 통합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부피가 크고 유연성이 없는 디스플레이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백라이트 유닛에서 분리된 설계는 "오픈-셀(open-cell)" 설계로 지칭되며, 백라이트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리는 전기 연결이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백라이트 유닛 및 모든 제어 회로로 라우팅(routed)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좀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조립 동안에 이러한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기존 방법은, 비효율적이고, 노동-집약적이며, 자동화를 방해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방법 및 시스템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프레임 내에 슬롯을 통해 삽입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을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들 및 다른 관점들 및 장점들은 아래 및 도면에 제공된 대표적인 구현예와 관련하여 더욱 완전하게 기재될 것이다. 이들 구현예는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지 제한적으로 제시된 것은 아니다.
다음의 논의를 위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유리 물품의 대표적인 구현예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특정 적용과 관련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3개의 다른 구현예의 차량 내부 시스템(20, 30, 40)을 포함하는 차량의 대표적인 내부(10)를 나타낸다. 차량 내부 시스템(20)은, 디스플레이(26)를 포함하는 표면(24)을 갖는, 센터 콘솔 베이스(center console base: 2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차량 내부 시스템(30)은,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하는 표면(34)을 갖는, 대시보드 베이스(3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대시보드 베이스(32)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도 포함할 수 있는 계기판(38)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 시스템(40)은, 표면(44) 및 디스플레이(46)와 함께, 스티어링 휠 베이스(42)로 나타낸, 베이스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차량 내부 시스템은, 팔걸이, 기둥, 좌석 등받이, 바닥판, 머리받침, 도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임의의 부분인, 베이스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이러한 표면은 만곡되거나 평면이다.
본원에 기재된 유리 물품의 구현예는, 무엇보다도, 각각의 차량 내부 시스템(20, 30, 40)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몇몇 구현예에서, 본원에 논의된 유리 물품은, 대시보드, 센터 콘솔, 스티어링 휠, 도어 패널, 등의 비-디스플레이 표면을 또한 덮는 커버 유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물질은, 중량, 미적 외관, 등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패턴(예를 들어, 빗질된 금속 외관, 나무결 외관, 가죽 외관, 착색 외관, 등)을 포함하는 코팅(예를 들어, 잉크 또는 안료 코팅)이 제공되어 유리 구성요소를 인접한 비-유리 구성요소와 시각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이러한 잉크 또는 안료 코팅은, 디스플레이(26, 36, 38, 46)가 비활성일 때 선점 또는 색상 일치 기능을 제공하는 투명도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의 차량 내부가 자동차의 형태(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버스 및 이와 유사한 것)의 차량을 도시하지만, 본원에 개시된 유리 물품은, 기차, 선박(보트, 배, 잠수함, 및 이와 유사한 것), 항공기(예를 들어, 드론, 비행기, 제트기, 헬리콥터 및 이와 유사한 것) 및 우주선과 같은, 다른 차량에 통합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표면(24, 34, 44)은 편평하거나 평면(즉, 10 m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가짐)일 수 있거나, 또는 구현예에서, 표면(24, 34, 44)은, 다양한 만곡된 형상 또는 만곡된 영역 및 평면 영역 모두를 갖는 형상, 예컨대, 다른 것들 중에서, V-형상(두 평면 영역들 사이에 만곡된 영역)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만곡된) C-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a-2c는, 유리 물품(50)을 조립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유리 물품(50)은, 제1 주 표면(54), 상기 제1 주 표면(54)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56), 및 상기 제1 주 표면(54)을 제2 주 표면(56)에 연결하는 부 표면(58)을 갖는 유리 시트(52)를 포함한다. 제1 주 표면(54) 및 제2 주 표면(56)은 유리 시트(52)의 두께(T)를 정의한다.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의 두께(T)는, 0.3 ㎜ 내지 2 ㎜, 특히, 0.5 ㎜ 내지 1.1 ㎜이다. 차량에서, 제1 주 표면(54)은 차량의 탑승자를 향한다.
구현예에서, 제1 주 표면(54) 및/또는 제2 주 표면(56)은 하나 이상의 표면 처리를 포함한다. 제1 주 표면(54)과 제2 주 표면(5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표면 처리의 예로는, 방-현 코팅, 반사-방지 코팅,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코팅, 장식(예를 들어, 잉크 또는 안료) 코팅, 및 세정-용이성 코팅을 포함한다.
유리 물품(50)은 또한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60)을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62)를 사용하여 제2 주 표면(56)에 부착된다.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모듈(60)이 제2 주 표면(56)에 부착될 때 유리 시트(52)는 평면 구성이다. 본 개시의 구현예는, 오픈-셀 설계를 갖는 유리 물품(50)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본 개시의 구현예에 활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듈과 같은,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는 것들이다.
이제 도 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60)이 부착된 유리 시트(52)는, 척(66)의 형성 표면(64) 위에서 만곡된 구성으로 굽혀진다. 형성 표면(64)은 제1 곡률 반경(R)을 정의한다. 구현예에서, 제1 곡률 반경(R)은 50 ㎜부터 평면 미만(예를 들어, 10 m 미만)까지이다. 척(66) 상에서 유리 시트(52)를 만곡된 구성으로 굽힐 때, 유리 시트(52)는, 기계적 리테이너(mechanical retainers), 제1 주 표면(54)과 형성 표면(64) 사이에 진공 압력, 자가-접착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적절한 힘을 사용하여 형성 표면에 대해 만곡된 구성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곡된 구성에서, 유리 시트(52)는 제1 곡률 반경(R)의 10% 이내, 5% 이내, 또는 2% 이내인, 제2 곡률 반경을 정의한다.
도 2a 및 2b가 평면 구성으로 유리 시트(52)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60)을 도시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60)은, 구현예에서, 만곡된 구성으로 유리 시트(5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시트(52)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이 유리 시트(52)에 부착되기 전에, 척(66)의 형성 표면(64) 위에서 굽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 시트(52)가 먼저 냉간-성형되고, 그 다음 디스플레이 모듈(60)이 유리 시트(52) 위에서 냉간-성형된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68)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도포된다. 구현예에서, 접착제(68)는 유리 시트(52)의 둘레 주위에 비드(bead)로 도포된다. 구현예에서, 접착제(68)는, 강화 에폭시, 유연성 에폭시(flexible epoxy), 아크릴, 실리콘, 우레탄, 폴리우레탄, 또는 실란 개질 중합체와 같은, 구조용 접착제이다.
유리 물품(50)은 또한 프레임(70)을 포함한다. 프레임(70)은 유리 물품(50)이 척(66)에서 제거된 후에 만곡된 구성으로 유리 시트(52)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70)은 디펜딩 에지(74)가 연장되는 기판(72)을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기판(72)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패널이고, 다른 구현예에서, 기판(72)은 다른 패널이 (예를 들어,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삽입될 수 있는 컷아웃(cutouts)을 함유한다. 디펜딩 에지(74)는 기판(72)의 둘레 주위에서 또는 기판의 일부분의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기판(7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50)의 후방 부분(즉, 제2 주 표면(56), 디스플레이 모듈(60) 및 프레임(70))은 또한 먼지 장벽(dust barrier)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미도시)에 함유될 수 있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기판(72) 및 디펜딩 에지(74)는 단일체로서, 단일 피스 프레임(single piece frame: 70)을 정의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기판(72) 및 디펜딩 에지(74)는 프레임(70)이 2-피스 프레임이 되도록 개별 피스를 구성한다. 접착제(68)를 도포한 후, 프레임(70)은 유리 시트(52) 위에 위치되고, 디펜딩 에지(74)는 접착제(68)와 접촉하도록 하강되어 프레임(70)을 유리 시트(52)에 부착시킨다. 구현예에서, 프레임(70) 및 유리 시트(52)는 접착제(68)가 경화될 때까지 척(66) 상에서 유지된다. 구현예에서, 경화된 접착제(68)는, 프레임(70)과 유리 시트(52) 사이에서, 0.5 ㎜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약 1 ㎜의 두께를 갖는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70)은 기판(72)의 일 측면에 장착된 백라이트 유닛(BLU)(76)과 기판(72)의 반대 측면에 장착된 제어 보드(78)를 갖는다. 구현예에서, 제어 보드(78)는 BLU(76) 및 디스플레이 모듈(60)로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 보드(78)는 BLU(76) 및 디스플레이 모듈(60)에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분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processor), 전원 공급장치, 및 기타 전자 부품을 함유하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유리 시트(52)의 연화점 아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도 2a-2c에 도시된 공정은 "냉간-성형"으로 지칭된다. 냉간-성형 공정에서, 유리 시트(52)는 만곡된 구성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유리 시트(52)를 만곡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강체 프레임(rigid frame: 70)의 부착 없이, 유리 시트(52)는 도 2a에 나타낸 평면 구성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할 것이다. 구현예에서, 프레임(70)은, 금속 물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 플라스틱 물질(예를 들어, PC/ABS), 또는 복합 물질로 만들어진다. 구현예에 있어서, 냉간-성형은, 200℃ 이하, 150℃ 이하, 125℃ 이하, 100℃ 이하, 75℃ 이하, 50℃ 이하, 또는 실온 이하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도, 냉간-성형은, (통상적으로 열간-성형 공정의 경우와 같이) 성형 공정이 표면 처리를 방해하거나 손상시킬 것이라는 우려 없이 평면 구성으로 표면 처리를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냉간-성형 공정은 통상적으로 열간-성형 공정과 관련된 광학적 왜곡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3은, 유리 시트(52)에 결합된 프레임(70)을 갖는 유리 물품(50)의 단부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60)은 BLU(76) 및 제어 보드(78)로부터 분리되어, 디스플레이 모듈(60)과 BLU(76) 사이에 갭(예를 들어, 0.5 ㎜ 내지 5 ㎜)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모듈(60)은 제어 보드(78)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60)에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포함한다.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제어 보드(78)에 연결시키기 위해,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디스플레이 모듈(60)에 연결된 제1 단부(82) 및 프레임(70)의 기판(72) 내에 슬롯(86)을 통해 라우팅되는 제2 단부(84)를 갖는다. 슬롯(86)은 프레임(70)의 제1 측면으로부터 프레임(70)의 제2 측면으로 기판(72)을 통해 연장된다. 구현예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는 솔더 조인트(88)를 통해 제어 보드(78)에 연결된다. 구현예에서, 슬롯(86)은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프레임(70)이 2-피스 조립체인 특정 구현예에서, 슬롯(86)은 기판(72)이 디펜딩 에지(74)와 연결하는 접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단일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도시하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은 다수의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다수의 슬롯(86)이 프레임(70)에 제공될 수 있거나, 프레임(70)은 제어 보드(78)에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프레임(70)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단일 슬롯(86)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프레임을 유리 시트에 연결하는 동안에 전자 리본 커넥터의 관리는 조립 공정을 늦춘다. 특히, 전자 리본 커넥터의 관리는 먼저 전자 리본 커넥터가 유리 시트의 둘레 주위에 접착제 도포를 방해하지 않도록 전자 리본 커넥터를 디스플레이 모듈 위에 테이핑(taping)하여 수동으로 수행된다. 그 후, 분리 가능한 기판 및 디펜딩 에지를 갖는 2-피스 프레임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에 부착한 다음, 경화시킨다. 프레임의 기판은 전자 리본 커넥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디펜딩 에지로부터 제거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자 리본 커넥터를 유지하는 테이프는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단부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제거된다.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단부는 프레임의 기판 내에 슬롯을 통해 수동으로 공급되며, 기판은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르면, 프레임(70)의 기판(72)의 슬롯(86)을 통해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를 라우팅하는 자동화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접착제(68)의 도포 및 유리 시트(52)에 대한 프레임(70)의 연결을 방해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프레임(70)을 통해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라우팅하는 제1 방법(200)을 도시한다. 제1 단계(20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이 부착된 유리 시트(52)는 척(66)의 형성 표면(64) 위에 위치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유리 시트(52)의 에지를 넘어 연장된다. 이러한 초기 위치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1 단계(202)는 제1 매니퓰레이터(90)를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밑면인 제1 측면과 접촉하도록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현예에서, 제1 매니퓰레이터(90)는 형성 표면(64)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접합 부재 및 형성 표면(64)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지지 아암(support arms)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아암 또는 아암들을 상승시켜, 접합 부재는 전자 리본 커넥터(80)와 접촉하여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이의 초기 위치로부터 들어올린다.
제2 단계(20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매니퓰레이터(90)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위치시키도록 이동된다. 제1 매니퓰레이터(90)의 이동 동안, 접착제(68)는 또한 자동화된 디스펜서 노즐(92)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52)에도 도포된다. 제3 단계(206)에서, 제2 매니퓰레이터(94)는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측면과 접촉하도록 이동된다. 제2 매니퓰레이터(94)는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파지하여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로 유지한다. 구현예에서, 제2 매니퓰레이터(94)는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측면에 흡입력을 가하여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유지하는 흡입 컵(96)에서 종결되는 연장 아암을 포함한다. 제2 매니퓰레이터(94)가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파지하면, 제1 매니퓰레이터(90)는 제4 단계(208)에서 후퇴된다. 이러한 시간 동안, 디스펜서 노즐(92)은 제5 단계(210)에서 접착제(68)의 분배를 완료한다.
제6 단계(212)에서, BLU(76)를 갖는 프레임(70)은 유리 시트(52) 위에 위치되어 유리 시트(52)를 향해 하강하는 동안, 제2 매니퓰레이터(94)는 제2 단부(84)가 슬롯(86)과 정렬된 수직 위치로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유지한다.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가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를 지나 하강되면, 제2 매니퓰레이터(94)는 제7 단계(214)에서 회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는 제2 매니퓰레이터(94)를 회수함에도 불구하고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로 유지한다. 제8 단계(216)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가 슬롯(86)을 통과하고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가 접착제(68)와 접촉하도록 프레임(70)은 하강된다. 접착제(68)는 경화되어 프레임(70)을 유리 시트(50)에 연결시키고, 제9 단계(218)에서, 완성된 유리 물품(50)은 척(66)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방법(200)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척(66), 제1 매니퓰레이터(90), 및 제2 매니퓰레이터(94)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접착제(68)의 도포를 위한 디스펜서 노즐(92)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70)을 척(66) 위에 집어 올려 놓기 위한 로봇 팔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배치되는 때를 감지하고 및/또는 척(66)과 관련한 프레임(7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를 더욱 포함한다.
도 5는, 프레임(70)을 통해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라우팅하는 제2 방법(300)을 도시한다. 제1 단계(30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60)이 부착된 유리 시트(52)는 척(66)의 형성 표면(64) 위에 위치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유리 시트(52)의 에지를 넘어 연장된다. 이러한 초기 위치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2 단계(304)에서, 접착제(68)는 자동화된 디스펜서 노즐(92)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52)에 도포된다. 제3 단계(306)에서,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는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측면을 파지한다.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는 제1 액츄에이터 아암 부재(104), 제2 액츄에이터 아암 부재(106), 및 파지 요소(gripping element)(예컨대, 흡입 컵(96)) 사이에 2개의 조인트 연결(joint linkage)을 생성하는 제1 조인트(100) 및 제2 조인트(102)를 포함한다. 제4 단계(308)에서,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의 작동은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제2 주 표면(5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로부터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로 당긴다. 구현예에서,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의 작동은 전자식, 공압식, 유압식,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의 상태에서, 디스펜서 노즐(92)을 사용한 접착제(68)의 도포는 제5 단계(310)에서 완료된다.
상기 방법(300)의 나머지 부분은 도 4의 방법(200)과 유사하다. 즉, 제6 단계(312)에서, BLU(76)를 갖는 프레임(70)은, 유리 시트(52) 위에 위치되어 유리 시트(52)를 향해 하는 동안,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는 제2 단부(84)가 슬롯(86)과 정렬된 수직 위치로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유지한다.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가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를 지나 하강되면,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는 제7 단계(314)에서 회수된다. 제8 단계(316)에서, 프레임(70)은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제2 단부(84)가 슬롯(86)을 통과하고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가 접착제(68)와 접촉하도록 하강된다. 접착제(68)는 경화되어 프레임(70)을 유리 시트(50)에 연결시키고, 제9 단계(318)에서, 유리 물품(50)은 척(66)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에 따르면, 제2 방법(300)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척(66) 및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접착제(68)의 도포를 위한 디스펜서 노즐(92)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70)을 척(66) 위에 집어 올려 놓기 위한 로봇 팔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배치되는 때를 감지하고 및/또는 척(66)과 관련한 프레임(7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를 더욱 포함한다.
도 6a-6c는 회전식 매니퓰레이터(108)의 구현예를 도시한다. 회전식 매니퓰레이터(108)는, 제1 방법(200)에서와 같이, 제2 매니퓰레이터(94)와 같은, 또 다른 매니퓰레이터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회전식 매니퓰레이터(108)는 제2 방법(300)에서와 같이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식 매니퓰레이터(108)는 유리 시트(52)의 부 표면(58)에 인접한 형성 표면(64) 상에 위치된 피벗(110)을 포함한다. 제1 아암(112)은 피봇(110)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아암(114)은 제1 아암(11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피벗(110)을 중심으로 제1 아암(112)이 회전하면, 제2 아암(114)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로 들어올린다. 도 6c는 형성 표면(64)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c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아암(112)은 피봇(110)으로부터 유리 시트(52)의 에지를 지나 연장되고, 제2 아암(114)은 유리 시트(52)의 에지를 따라 제1 아암(112)으로부터 연장되어, 각각의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유리 시트의 에지를 따라 들어올린다. 도 6c는 또한 제1 아암(112)으로부터 수직으로 피벗(110)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핀들(116)을 도시한다. 구현예에서, 스핀들(116)은, 예를 들어, 선형 또는 회전식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전에 논의된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접착제(68)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유리 시트(52)에 도포되는 동시에 프레임(70)의 부착을 위해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구현예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척(66) 및 회전식 매니퓰레이터(108)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접착제(68)의 도포를 위한 디스펜서 노즐(92)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프레임(70)을 척(66) 위에 집어 올려 놓기 위한 로봇 팔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배치되는 때를 감지하고 및/또는 척(66)과 관련한 프레임(7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도 7a 및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를 더욱 포함한다.
도 7a 및 7b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자동화된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센서는 빔(120)을 갖는 레이저(118)이다.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있다는 것을 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빔(120)을 차단한다. 도 7b는, 예를 들어, 초음파를 사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방출기(124) 및 수신기(126)를 갖는 거리 센서(122)의 형태의 또 다른 센서를 도시한다.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로 이동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해 광센서, 카메라, 또는 매니퓰레이터 상에 리미트 센서와 같은, 기타 센서들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수직 위치에 있다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시스템은 프레임(70)을 유리 시트(52) 상으로 낮추고 및/또는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이전에 덮고 있던 유리 시트(52)의 영역 위에 접착제(68)의 분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70)의 디펜딩 에지(74)가 전자 리본 연결의 제2 단부(84)를 통과할 때, 시스템은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에 유지하는 매니퓰레이터(예를 들어, 관절식 매니퓰레이터(98))의 회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8a-8c는 매니퓰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 위치로 배열하기 위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a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의 에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신 수직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60)에 부착된다. 도 8b는 디스플레이 모듈(60) 및 전자 리본 커넥터(80)에 적용되는, 폴리이미드 테이프 또는 알루미늄 테이프와 같은, 강성 테이프(stiff tape: 128)를 사용하여 수직 위치로 유지되는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도시하고, 도 8c는 전자 리본 커넥터(80)가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의 에지에 아주 근접하여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부착된 웨지(wedge: 130)의 사용을 도시한다. 구현예에서, 웨지(130)는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구현예에서, 웨지(130)는 접착제로 제자리에 유지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웨지(130)는 프레임(70)이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9는 유리 물품(50)의 조립 동안에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관리하는 문제에 대한 또 다른 해법을 도시한다. 특히, 도 9의 구현예는, 유리 시트(52)의 제2 주 표면(56)에 대해 가로지르는, 특히 수직으로, 전자 리본 커넥터(80)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커넥터 소켓(132)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60)을 활용한다. 도 9의 구현예에 따르면, 전자 리본 커넥터(80)는 제어 보드(78)에 연결된 단부를 가지며, 프레임(70)과 유리 시트(52)의 조립은 프레임(70)이 유리 시트(52)에 부착될 때까지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관리를 회피할 수 있다. 부착 후, 전자 리본 커넥터(80)의 자유 단부는 프레임(70)의 슬롯(86)을 통해 커넥터 소켓(132)에 간단히 삽입될 것이다.
유리 물품(5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구현예를 기재하였고, 유리 시트(52)의 특성 및 조성은 좀더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리 물품(50)의 유리 시트(52)의 부가적인 구조적 세부사항이 나타내고 기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제1 주 표면(54)과 제2 주 표면(56) 사이에 거리로 정의되는 두께(T)를 갖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T는 유리 시트의 평균 두께 또는 최대 두께를 지칭할 수 있다. 부가하여, 유리 시트(52)는 두께(T)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54, 56) 중 하나의 제1 최대 치수로 정의된 폭(W), 및 상기 두께와 폭 모두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54, 56) 중 하나의 제2 최대 치수로 정의된 길이(L)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W 및 L은 각각 유리 시트(52)의 평균 폭 및 평균 길이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평균 또는 최대 두께(T)는 0.3 ㎜ 내지 2 ㎜의 범위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폭(W)은 5 ㎝ 내지 250 ㎝의 범위이고, 길이(L)는 약 5 ㎝ 내지 약 1500 ㎝의 범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52)의 곡률 반경은 약 50 ㎜ 이상이다.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강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표면으로부터 압축의 깊이(DOC)까지 연장되는 압축 응력을 포함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압축 응력 영역은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앙 부분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DOC에서, 응력은 양의(압축) 응력에서 음의(인장) 응력으로 전환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압축 응력 영역 및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앙 영역을 생성하도록 물품의 부분들 사이에 열팽창계수의 불일치를 활용하여 기계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유리를 유리 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빠르게 급냉시켜 열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이온 교환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온 교환 공정에서, 유리 시트의 표면에 또는 그 근처의 이온은 동일한 원자가 또는 산화 상태를 갖는 더 큰 이온으로 대체되거나 교환된다. 유리 시트가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품의 표면층에 이온 및 더 큰 이온은, Li+, Na+, K+, Rb+, 및 Cs+와 같은, 1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다. 대안적으로, 표면층에 1가 양이온은, Ag+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이외의 1가 양이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된 1가 이온(또는 양이온)은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온 교환 공정은 통상적으로 유리 시트에 더 작은 이온과 교환될 더 큰 이온을 함유하는 용융염 욕조(또는 둘 이상의 용융염 욕조)에 유리 시트를 침지시켜 수행된다. 수성 염 욕조가 또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부가하여, 욕조(들)의 조성은 하나를 초과하는 타입의 더 큰 이온(예를 들어, Na+ 및 K+) 또는 단일의 더 큰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욕조 조성물 및 온도, 침지 시간, 염 욕조(또는 욕조들)에 유리 시트를 침지하는 횟수, 다중 염 욕조의 사용, 부가적인 단계들, 예컨대, 어닐링, 세척,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이온 교환 공정에 대한 파라미터가 일반적으로 (물품의 구조 및 존재하는 임의의 결정질 상들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의 조성 및 강화로부터 결과하는 유리 시트의 원하는 DOC 및 CS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대표적인 용융 욕조 조성물은 더 큰 알칼리 금속 이온의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질산염은, KNO3, NaNO3, LiNO3, NaSO4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융염 욕조의 온도는 통상적으로 약 380℃로부터 약 450℃까지의 범위인 반면, 침지 시간은 유리 시트 두께, 욕조 온도 및 유리(또는 1가 이온) 확산성에 따라 약 15분으로부터 약 100시간까지의 범위이다. 그러나, 위에서 기재한 것과 다른 온도 및 침지 시간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약 370℃ 내지 약 480℃의 온도를 갖는 100% NaNO3, 100% KNO3, 또는 NaNO3와 KNO3의 조합의 용융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5% 내지 약 90%의 KNO3 및 약 10% 내지 약 95%의 NaNO3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제1 욕조에 침지 후, 제2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욕조는 서로 다른 조성물 및/또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욕조 및 제2 욕조에서 침시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욕조에 침지 시간은 제2 욕조에 침지 시간보다 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5시간 미만, 또는 심지어 약 4시간 이하 동안 420℃ 미만(예를 들어, 약 400℃ 또는 약 380℃)의 온도를 갖는 NaNO3 및 KNO3(예를 들어, 49%/51%, 50%/50%, 51%/49%)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염 욕조에 침지될 수 있다.
이온 교환 조건은 "스파이크(spike)"를 제공하거나 또는 그 결과로 생긴 유리 시트의 표면에 또는 그 근처에서 응력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스파이크는 더 큰 표면 CS 값을 결과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는, 본원에 기재된 유리 시트에 사용된 유리 조성물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단일 조성 또는 혼합 조성을 갖는 단일 욕조 또는 다중 욕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1가 이온이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되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다른 1가 이온은 유리 시트 내에서 다른 깊이로 교환될 수 있다(그리고 다른 깊이에서 유리 시트 내에서 다른 크기의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응력-발생 이온의 그 결과로 생긴 상대적 깊이는 결정될 수 있으며 응력 프로파일의 다른 특성을 유발할 수 있다.
CS는, 예컨대, Orihara Industrial Co., Ltd.(일본)에 의해 제작된, FSM-6000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기구를 사용하여 표면 응력 측정기(FSM)에 의해,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표면 응력 측정은, 유리의 복굴절과 관련된, 응력 광학 계수(SOC)의 정확한 측정에 의존한다. SOC는, 궁극적으로, 명칭이 "Standard Test Method for Measurement of Glass Stress-Optical Coefficient"이고, 이의 전체적인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ASTM 표준 C770-98(2013)에 기재된 섬유 및 4점 굽힘 방법들, 및 벌크 실린더 방법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CS는 압축 응력층 내에서 측정된 최고 압축 응력 값인 "최대 압축 응력"일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유리 시트의 표면에 위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표면 밑의 깊이에서 발생할 수 있어, 압축 프로파일에 "매립된 피크(buried peak)"의 외관을 제공한다.
DOL은, 강화 방법 및 조건에 따라, FSM 또는 산란광 편광기(SCALP)(예컨대, 에스토니아, 탈린에 위치한, Glasstress Ltd.로부터 구입 가능한 SCALP-04 산란광 편광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유리 시트가 이온 교환 처리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되는 경우, FSM 또는 SCALP는 유리 시트로 교환되는 이온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칼륨 이온을 유리 시트 내로 교환시켜 유리 시트에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FSM은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나트륨 이온을 유리 시트 내로 교환시켜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SCALP는 DOC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칼륨 및 나트륨 이온 모두를 유리 내로 교환시켜 유리 시트에 응력이 발생되는 경우, DOC는 SCALP에 의해 측정되는데, 이는 나트륨의 교환 깊이가 DOC를 나타내고,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가 압축 응력의 크기에서 변화(그러나 압축에서 인장으로의 응력에서 변화가 아님)를 나타내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며; 이러한 유리 시트에서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는 FSM에 의해 측정된다. 중심 장력 또는 CT는, 최대 인장 응력이며, SCALP에 의해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리 시트의 두께(T)의 일부로서 기재되는 DOC를 나타내도록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DOC는 약 0.05T 내지 약 0.25T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사례에서, DOC는 약 20 ㎛ 내지 약 300 ㎛의 범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 유리 시트(52)는, 약 200 MPa 이상, 약 500 MPa 이상, 또는 약 1050 MPa 이상의 (유리 시트 내에 표면 또는 깊이에서 발견될 수 있는) CS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 유리 시트는, 약 20 MPa 내지 약 100 MPa의 범위에서 최대 인장 응력 또는 중심 장력(CT)을 가질 수 있다.
유리 시트(52)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리 조성물은, 소다 라임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함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함유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및 알칼리-함유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한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유리 조성물은 산화물 기준으로 분석된 몰 퍼센트(mol%)로 기재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66 mol% 내지 약 80 mol% 범위의 양으로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3 mol% 내지 약 15 mol%의 양으로 Al2O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물품으로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은 SiO2 및 Al2O3를 포함하며, 소다 라임 실리케이트 유리는 아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01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양으로 B2O3를 포함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에는 B2O3가 실질적으로 없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조성물의 성분과 관련한 문구 "실질적으로 없다"는, 해당 성분이 초기 배칭(batching) 동안 조성물에 적극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으나, 약 0.001 mol% 미만의 양의 불순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01 mol% 내지 2 mol%의 양으로 P2O5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P2O5가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8 mol% 내지 약 20 mol%의 범위에서 R2O의 총량(Li2O, Na2O, K2O, Rb2O, 및 Cs2O와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총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Rb2O, Cs2O 또는 Rb2O 및 Cs2O 둘 모두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R2O는 Li2O, Na2O 및 K2O의 총량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Li2O, Na2O 및 K2O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약 8 mol%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8 mol% 내지 약 20 mol% 범위의 양으로 Na2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4 mol% 범위의 양으로 K2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에는 K2O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에는 Li2O가 실질적으로 없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조성물에서 Na2O의 양은 Li2O의 양을 초과할 수 있다. 몇몇 사례에서, Na2O의 양은 Li2O 및 K2O의 조합된 양을 초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조성물에서 Li2O의 양은 Na2O의 양 또는 Na2O 및 K2O의 조합된 양을 초과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2 mol%의 범위에서 RO의 총량(CaO, MgO, BaO, ZnO 및 SrO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총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1 mol% 미만의 양으로 Ca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CaO가 실질적으로 없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 mol% 내지 약 7 mol%의 양으로 MgO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2 mol% 이하의 양으로 ZrO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약 0.2 mol% 이하의 양으로 SnO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유리 물품에 색상 또는 색조를 부여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유리 물품이 자외선 복사에 노출될 때 유리 물품의 변색을 방지하는 산화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화물의 예로는: Ti, V, Cr, Mn, Fe, Co, Ni, Cu, Ce, W, 및 Mo의 산화물이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물은 Fe2O3로 표현되는 Fe를 포함하며, 여기서, Fe는 최대 1 mol%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리 조성물이 TiO2를 포함하는 경우, TiO2는 약 5 mol%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유리 조성물은, 약 65 mol% 내지 약 75 mol% 범위의 양으로 SiO2, 약 8 mol% 내지 약 14 mol% 범위의 양으로 Al2O3, 약 12 mol% 내지 약 17 mol% 범위의 양으로 Na2O, 약 0 mol% 내지 약 0.2 mol% 범위의 양으로 K2O, 및 약 1.5 mol% 내지 약 6 mol% 범위의 양으로 MgO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SnO2는 본원에 별도로 개시된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전의 유리 조성물 단락이 대략적인 범위를 표현하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52)는 위에서 논의된 정확한 수치 범위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임의의 유리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다음의 관점들을 고려하여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관점 (1)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제2 자유 단부를 갖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지르는 수직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위에 디펜딩 에지 및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가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2)는,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를 제1 매니퓰레이터로 제1 측면에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제2 매니퓰레이터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3)은, 관점 (2)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매니퓰레이터는 흡입 컵을 포함하고, 유지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측면에 흡입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4)는, 관점 (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를 통과할 때 제2 매니퓰레이터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는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 동안에 디펜딩 에지에 인접해 있다.
관점 (5)는,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초기 위치에 있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관절식 매니퓰레이터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로 이동되도록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6)은, 관점 (5)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흡입 컵을 포함하고, 파지하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에 흡입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7)은, 관점 (5)-(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2개의 조인트 연결을 포함한다.
관점 (8)은,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로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9)는, 관점 (8)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을 제2 주 표면에 연결하는 부 표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부 표면에 인접한 피봇 조인트, 상기 피봇 조인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들어올리는 단계는 제2 아암이 전자 리본 커넥터를 원호 형태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피봇 조인트에서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10)은, 관점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인지를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관점 (11)은, 관점 (10)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거리 센서,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리미트 센서,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관점 (12)는,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13)은,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테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14)는, 관점 (1)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웨지를 사용하여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15)는, 관점 (1)-(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유리 시트가 평면 구성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모듈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척의 형성 표면에 걸쳐 유리 시트를 굽히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관점 (16)은, 관점 (15)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굽히는 단계는 유리 시트와 디스플레이 모듈 모두에 곡률을 생성시킨다.
관점 (17)은, 관점 (1)-(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되도록 이동된 후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관점 (18)은, 관점 (1)-(1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어 보드가 장착되고, 상기 방법은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를 제어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관점 (19)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리 시트가 형성 표면에 맞추어 굽혀지도록 구성되고, 곡률을 정의하는 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척;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노즐; 및 상기 프레임이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하강될 수 있고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가 프레임의 슬롯을 통해 삽입되도록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한다.
관점 (20)은, 관점 (19)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를 제1 측면으로부터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제1 매니퓰레이터;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부터 수직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한다.
관점 (21)은, 관점 (20)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매니퓰레이터는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측면에 흡입을 가하도록 구성된 흡입 컵을 포함한다.
관점 (22)는, 관점 (19)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를 파지하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된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한다.
관점 (23)은, 관점 (22)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전자 리본 커넥터에 흡입을 가하도록 구성된 흡입 컵을 포함한다.
관점 (24)는, 관점 (22) 또는 관점 (23)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2개의 조인트 연결을 포함한다.
관점 (25)는, 관점 (19)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한다.
관점 (26)은, 관점 (25)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을 제2 주 표면에 연결하는 부 표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부 표면에 인접한 형성 표면에 배치된 피벗 조인트; 상기 피봇 조인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제2 아암이 전자 리본 커넥터를 원호 형태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피봇 조인트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관점 (27)은, 관점 (19)-(2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에 도달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더욱 포함한다.
관점 (28)은, 관점 (27)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거리 센서,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리미트 센서,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관점 (29)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 주 표면을 가로질러 배열된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위에 디펜딩 에지 및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슬롯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커넥터 소켓 위에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프레임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슬롯을 통해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1 단부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1 단부를 커넥터 소켓에 플런지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점 (30)은,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기판, 디펜딩 에지, 및 슬롯을 포함하는 일체형 프레임으로서, 상기 슬롯은 기판을 통해 연장되고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일체형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주하는 일체형 프레임의 제1 측면에 장착된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일체형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갭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일체형 프레임에 슬롯을 통해 제1 측면에 대항하는 일체형 프레임의 제2 측면으로 연장된다.
관점 (31)은, 관점 (30)의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이다.
관점 (32)는, 관점 (30)-(31)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의 갭은 0.5 ㎜ 내지 5 ㎜이다.
관점 (33)은, 관점 (30)-(32)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프레임의 제2 측면 상에 제어 보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는 제어 보드에 연결된다.
관점 (34)는, 관점 (30)-(33)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는 만곡된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굽혀지고, 상기 일체형 프레임은 유리 시트의 만곡된 형상을 유지시킨다.
관점 (35)는, 관점 (30)-(3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프레임은 금속 물질, 플라스틱 물질, 또는 복합 물질이다.
관점 (36)은, 관점 (30)-(3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주 표면, 제2 주 표면, 또는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 모두는 표면 처리를 포함한다.
관점 (37)은, 관점 (36)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 처리는 방-현 코팅, 반사-방지 코팅,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코팅, 장식 코팅, 및 세정-용이성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관점 (38)은, 관점 (30)-(3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는 0.3 ㎜ 내지 2 ㎜의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 사이의 두께를 포함한다.
관점 (39)는, 관점 (30)-(3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자 리본 커넥터 사이에 개재된 커넥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소켓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질러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는 커넥터 소켓에 플런지 연결된 단부를 포함한다.
관점 (40)은, 관점 (30)-(3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관점 (41)은, 관점 (30)-(3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자 리본 커넥터에 접착된 테이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제2 주 표면을 가로지르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유지한다.
관점 (42)는, 관점 (30)-(3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리 물품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웨지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웨지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전자 리본 커넥터를 지지한다.
별도로 명확히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서술된 임의의 방법은, 이의 단계가 특정 순서로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이의 단계가 뒤따라야 할 순서를 나열하지 않거나 또는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제한되는 것으로 청구범위 또는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경우, 임의의 특정 순서로 간주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부가하여,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의 "단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인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지, 단지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된 구현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구현예의 사상 및 범주를 통합하는 개시된 구현예의 변경, 조합, 서브-조합 및 변화가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개시된 구현예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연결된 제1 단부 및 제2 자유 단부를 갖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을 가로지르는 수직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위에 디펜딩 에지 및 상기 디펜딩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된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가 슬롯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를 제1 매니퓰레이터로 제1 측면에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제2 매니퓰레이터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매니퓰레이터는 흡입 컵을 포함하고, 유지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측면에 흡입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를 통과할 때 제2 매니퓰레이터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자유 단부는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단계 동안에 디펜딩 에지에 인접해 있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초기 위치에 있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관절식 매니퓰레이터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로 이동되도록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흡입 컵을 포함하고, 파지하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에 흡입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2개의 조인트 연결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로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을 제2 주 표면에 연결하는 부 표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부 표면에 인접한 피봇 조인트, 상기 피봇 조인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들어올리는 단계는 제2 아암이 전자 리본 커넥터를 원호 형태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피봇 조인트에서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0.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인지를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거리 센서,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리미트 센서,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테이핑하는 단계 또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된 웨지를 사용하여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지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3. 청구항 1-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유리 시트가 평면 구성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 모듈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리 시트와 디스플레이 모듈 모두에 곡률을 생성시키기 위해 척의 형성 표면에 걸쳐 유리 시트를 굽히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4. 청구항 1-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디펜딩 에지가 접착제와 접촉되도록 이동된 후에,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방법.
  15.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향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주 표면에 부착되고 슬롯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리 시트가 형성 표면에 맞추어 굽혀지도록 구성되고, 곡률을 정의하는 형성 표면을 포함하는 척;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디스펜서 노즐; 및
    상기 프레임이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하강될 수 있고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가 프레임의 슬롯을 통해 삽입되도록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의 단부를 제1 측면으로부터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제1 매니퓰레이터; 및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으로부터 수직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매니퓰레이터는 전자 리본 커넥터의 제2 측면에 흡입을 가하도록 구성된 흡입 컵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전자 리본 커넥터를 파지하고, 전자 리본 커넥터를 수직 위치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된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전자 리본 커넥터에 흡입을 가하도록 구성된 흡입 컵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20. 청구항 18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매니퓰레이터는 2개의 조인트 연결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퓰레이터는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을 제2 주 표면에 연결하는 부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상기 부 표면에 인접한 형성 표면에 배치된 피벗 조인트;
    상기 피봇 조인트로부터 연장되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1 아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회전식 매니퓰레이터는 제2 아암이 전자 리본 커넥터를 원호 형태로 수직 위치로 들어올리도록 피봇 조인트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23. 청구항 15-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리본 커넥터가 수직 위치에 도달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거리 센서,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리미트 센서, 및 카메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37035950A 2021-03-26 2022-03-21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64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66579P 2021-03-26 2021-03-26
US63/166,579 2021-03-26
PCT/US2022/021127 WO2022204015A1 (en) 2021-03-26 2022-03-21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lectrical connections during assembly of glass articles with displa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692A true KR20230164692A (ko) 2023-12-04

Family

ID=8132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950A KR20230164692A (ko) 2021-03-26 2022-03-21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52001A1 (ko)
EP (1) EP4313657A1 (ko)
JP (1) JP2024513777A (ko)
KR (1) KR20230164692A (ko)
CN (1) CN117120291A (ko)
TW (1) TW202239086A (ko)
WO (1) WO20222040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6625A (ja) * 1990-09-07 1992-04-17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等における駆動回路実装構造
JP2001100648A (ja) * 1999-09-29 2001-04-13 Kyocera Corp 表示装置
US8387238B2 (en) * 2009-06-14 2013-03-05 Jayna Sheats Processes and structures for IC fabrication
JP2020518495A (ja) * 2017-01-03 2020-06-25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湾曲したカバーガラスとディスプレイまたは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乗り物内装システムおよびそ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4015A1 (en) 2022-09-29
US20240152001A1 (en) 2024-05-09
EP4313657A1 (en) 2024-02-07
TW202239086A (zh) 2022-10-01
CN117120291A (zh) 2023-11-24
JP2024513777A (ja)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0963B2 (en) Curved vehicle displays
JP7438107B2 (ja) 信頼性が改善された湾曲カバーガラスを有する車両内装システム及びその形成方法
EP3686004B1 (en)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US20200399161A1 (en)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KR20240011877A (ko) 만곡된 커버 유리 및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CN213534599U (zh) 车辆内饰系统
EP3943457A1 (en) Method and chuck for forming tight bend radius glass shapes
KR20230164692A (ko) 디스플레이를 갖는 유리 물품을 조립하는 동안 전기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7716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KR20230025426A (ko) 종횡비가 높은 접착 비드를 갖는 유리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N217455684U (zh) 玻璃制品
US20210101821A1 (en) Curved glass articles including a bumper piece configured to relocate bending moment from display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108731A (ko) 얇은 유리 시트를 냉간-성형하기 위한 자기 굽힘 프레임
TW202406739A (zh) 具有在玻璃-黏合劑界面處具受控的角度的黏合劑珠的玻璃製品及相關方法
TW202306788A (zh) 具有高表面能量接合介面的載具內部元件及形成此元件的方法
TW202339951A (zh) 可撓的中框應變消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