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27B1 - 입체투시용 안경 - Google Patents

입체투시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27B1
KR100319427B1 KR1019990019082A KR19990019082A KR100319427B1 KR 100319427 B1 KR100319427 B1 KR 100319427B1 KR 1019990019082 A KR1019990019082 A KR 1019990019082A KR 19990019082 A KR19990019082 A KR 19990019082A KR 100319427 B1 KR100319427 B1 KR 10031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lens
slide plate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856A (ko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101999001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4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투시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의 상부에 입체 투시기를 힌지에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안경을 착용하고 렌즈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면서 각종 입체사진(100)을 직접 투시하여 볼 수 있으며 입체투시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직접 다른 사물을 관찰할 때에는 입체투시기를 안경의 힌지에 이용하여 상부로 올려 줌으로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입체투시용 안경 {Stereo scpe glass}
본 발명은 좌우렌즈 간격이 조절되는 입체투시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의 상부에 입체투시기를 힌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착용하고 좌우렌즈 간격을 조절하면서 각종 입체사진(100)을 직접 투시하여 볼 수 있으며 입체투시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직접 다른 사물을 관찰할 때에는 입체투시기를 안경의 힌지를 이용하여 상부로 올려 줌으로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착용중인 입체 투시기와 입체사진(100)의 초점을 머리를 이동하거나 입체사진(100)을 이동시켜가면서 쉽게 초점을 맞출수 있으며 연속적인 입체사진(100)을 볼때에도 입체투시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투시기는 가만 있는 상태에서 두 손을 사용하여 입체사진(100)을 바꿔 가면서 빠른 시간에 서로 다른 여러 장의 입체사진(100)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입체투시기는 별도의 고정이 되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한쪽손, 또는 양손로 입체투시기를 잡고서 다른 한손으로는 입체사진(100)을 들고 관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체투시기를 잡았다 놓았다 하면서 초점을 맞추거나 입체사진(100)을 다른 사진으로 바꿀 때 매우 불편하여 관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페라 관상용 망원안경등이 있었으나 이것들로서 입체사진이나 입체 카드등을 투시하여 볼 수는 절대로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과 입체투시기를 힌지로 일체화하여 일반 사물이나 입체사진(100)을 번갈아 가면서 자유자재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도1 은 본 발명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을 결합하여 보인 측면도
도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4 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슬라이드판 11 슬라이드홈
12 장공 20 안경
21 안경다리 30 렌즈결착보호판
31 투시구 32 허상방지판
33 결합홈 40 렌즈결착판
41 이동간 42 돌출핀
43 렌즈 50 힌지
51 힌지결합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을 결합하여 보인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4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의 상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입체투시기의 슬라이드판(10) 상부에 힌지(50)를 형성하며 슬라이드판(10)의 양면으로 슬라이드홈(11)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판(10)에 두 개의 장공(12)을 뚫어 형성한 것에 렌즈결착판(40)에 렌즈(43)을 끼우고 이동간(41)과 그 이동간(41)의 일측면에 돌출핀(42)을 형성하여 허상방지판(32)과 투시구(31)가 형성되고 결합홈(33)이 뚫린 렌즈결착보호판(30)을 슬라이드판(10)에 형성된 장공(12)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한 슬라이드판(10)을 상부에 형성된 힌지(50)를 서로 결합하여 힌지결합핀(51)으로 결합하여서 된 입체투시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입체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판(10)에 장공(12)이 형성되어 있어 장공(12)을 타고 이동간(41)이 렌즈(43)가 끼워진 렌즈결착판(40)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된 것으로 슬라이드판(10)이 결착된 안경을 착용한 다음 두 손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형성된 렌즈결착판(40)을 잡고 착용자의 눈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정확히 조절하며 렌즈결착보호판(30)이 일측으로 형성된 허상방지판(32)은 입체사진(100)을 관찰할 때에 양쪽의 눈이 관찰하고자 하는 입체사진(100) 외에 다른쪽의 입체사진(100)을 보는 것을 방지하여 허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허상방지판(32)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판(10)에 구성된 힌지(50)와 안경테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50)를 이용하여 슬라이드판(10)을 상부를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을 쓰고 각종의 입체 사진을 직접 볼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드판에 형성된 장공에 의해 렌즈간격을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며 슬라이드판의 렌즈와 입체사진(100)간의 거리를 쉽게 조절이 가능하며 연속적으로 입체사진(100)을 바꿔가면서 관찰 할 때에는 두 손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입체사진(100)을 바꿔줌으로서 적은 시간에 많은 양의 입체사진(100)을 관찰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판(10)을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입체투시를 하지 않을 경우 일반 안경으로 사용이 가능한 두 가지의 기능을 가진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특히 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자라 할지라도 용이하게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안경테의 상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며, 입체투시기의 슬라이드판(10) 상부에 힌지(50)를 형성하며 슬라이드판(10)의 양면으로 슬라이드홈(11)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판(10)에 두 개의 장공(12)을 뚫어 형성한 것에 렌즈결착판(40)에 렌즈 (43)을 끼우고 이동간(41)과 그 이동간(41)의 일측면에 돌출핀(42)을 형성하여 허상방지판(32)과 투시구(31)가 형성되고 결합홈(33)이 뚫린 렌즈결착보호판(30)을 슬라이드판(10)에 형성된 장공(12)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한 슬라이드판(10)을 상부에 형성된 힌지(50)를 서로 결합하여 힌지결합핀(51)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투시용 안경.
KR1019990019082A 1999-05-26 1999-05-26 입체투시용 안경 KR10031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82A KR100319427B1 (ko) 1999-05-26 1999-05-26 입체투시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082A KR100319427B1 (ko) 1999-05-26 1999-05-26 입체투시용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856A KR20000074856A (ko) 2000-12-15
KR100319427B1 true KR100319427B1 (ko) 2002-01-05

Family

ID=1958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082A KR100319427B1 (ko) 1999-05-26 1999-05-26 입체투시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4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856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344A (en) Spectacles for stereoscopic pictures
CN112602006B (zh) 头戴式ar设备
US69374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CN204925509U (zh) 穿戴式显示设备
US8303123B2 (en) Stereoscopic kaleidoscope and 3D viewer
JPWO2006038662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眼鏡
ATE288089T1 (de) Autostereoskopisches anzeigesystem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100319427B1 (ko) 입체투시용 안경
EP2625561B1 (en) Glasses
JP4363929B2 (ja) 映像付与装置
JP2009163049A (ja) 眼鏡ディスプレイ
WO2017177450A1 (zh) 一种3d眼镜帽
KR20130072349A (ko) 입체투시용 안경
JPH0548991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KR20020011746A (ko) 입체영상용 액정 셔터 안경
CN205139485U (zh) 一种立体成像的虚拟现实眼镜
GB2225646A (en) Framed lenses for use in a protective helmet
KR100445895B1 (ko) 클립형 입체 영상용 안경
KR200464366Y1 (ko) 입체 영상용 안경
KR101969797B1 (ko) 휴대형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JP2012252295A (ja) 画像観察用眼鏡
JP3007860U (ja) 双眼鏡
JPH04288517A (ja) ステレオビュアー
JP3034813B2 (ja) 立体視的融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