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356B1 - 물체를피하침적시키기위한캐뉼라 - Google Patents

물체를피하침적시키기위한캐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356B1
KR100318356B1 KR1019960704719A KR19960704719A KR100318356B1 KR 100318356 B1 KR100318356 B1 KR 100318356B1 KR 1019960704719 A KR1019960704719 A KR 1019960704719A KR 19960704719 A KR19960704719 A KR 19960704719A KR 100318356 B1 KR100318356 B1 KR 10031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sleeve
handle
lev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079A (ko
Inventor
하인쯔 슐레겔 칼
파이트 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쉬도이체 파인메카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도이체 파인메카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쉬도이체 파인메카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707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살아있는 유기체의 체내로 물체를 침적시키기 위한 캐뉼라(10)에는 제 1 핸들(16)이 구비된 캐뉼라 홀더(14)와, 제 2 핸들이 구비된 슬리브(18)가 포함된다. 상기 슬리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뉼라 홀더를 둘러싸며, 상기 홀더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캐뉼라 속으로 연장되는 만드린(24)이 포함된다. 상기 만드린과 물체를 수용하고 있는 캐뉼라(1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물체가 체내로 침적될 수 있다. 한쪽 손만을 사용하여 캐뉼라를 삽입시키고, 물체를 침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18)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핸들에 압력이 가해질 때, 캐뉼라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프레더 요소에 의해서, 또는 캐뉼라 홀더 혹은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캐치(catch)요소 혹은 리프팅(lifting)요소에 의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캐뉼라 홀더(14)에 따라 록킹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Description

물체를 피하 침적시키기 위한 캐뉼라
상기 형태의 캐뉼라는 WO 제 92/15362 호에 제시된다. 물체를 요구된 조직의 내부로 확실히 침적시키기 위해, 그리고 주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상기 물체를 침적시키기 전에, 상기 적절한 캐뉼라를 사용하여 물체를 예정된 위치내에 배열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예정된 위치는 캐뉼라 팁의 끝단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뉼라를 의학적 약품이나, 접착성 물질, 혹은 실리콘 플러그(silicon plug) 등을 포함하는 연고 형태의 물질로서 밀착 밀봉시킴으로써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위치고정 형태에 기인되어, 물체를 체내로 주입시키는 동안, 예기치 못한 유해한 반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이 상기 물체와 함께 주입될 수있다.
더구나, 고체 혹은 반고체 형태의 조제약품을 살아있는 유기체의 피부 속으로 침적시키기 위한 캐뉼라는 US 제 4,900,304 호, US 제 4,950,234 호, 또는 EP 제 0 255 123 A2 호에서 제공되는 예시로서 알려진다. 또한 EP 제 0 304 107 A1 호에서는 캐뉼라 자체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피하주입 물질의 침적을 위한 인젝션 캐뉼라가 기술되어 있다.
US 제 4,820,267 호에 따르면, 만드린과 끝단에 핀이 사용되는 캐뉼라 내부로의 전송만을 목적으로 상기 피하주입 물질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어되지 않은 캐뉼라로부터 상기 핀이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핀은 보호 캡슐에 의해 외부면상에 고정된다.
동물의 동일성 검증을 위한 유연성 캐뉼라가 WO 제 90/05488 호에 제시된다. 상기 유연성 캐뉼라의 끝단면은 만드린이 미끄러질 수 있는 캐뉼라의 끝단면보다 더 좁은 넓이의 영역을 갖는다.
처음에 기술된 형태의 캐뉼라는 US 제 4,846,793 호 또는 US 제 4,994,028 호에서 제공된다. 여기서는 캐뉼라와 슬리브가 상호 맞물려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는 캐뉼라 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통상적으로, 여기서는 캐뉼라를 삽입시키거나, 물체를 침적시킬 때는 양 손을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체내로 물체를 침적시키기 위한 캐뉼라(cannula)에 관한 것이다. 상기 캐뉼라는 제 1 핸들을 갖는 캐뉼라 홀더와, 제 2 핸들을 갖는 슬리브(sleeve)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핸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뉼라 홀더에 둘러싸여, 상기 캐뉼라 홀더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캐뉼라의 내부에는 만드린(mandrin)이 연장되고, 상기 만드린과 물체를 수용하고 있는 캐뉼라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장기 조제약품과 같은 물체나,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는 캡슐 또는 판정 캐리어가 침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나 장점은 특허 청구범위에서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단독적으로 및/또는 상호 조합하므로써 제시될 뿐 아니라, 첨부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도 설명된다.
도 1 은 의학적 조제약품과 같은 물체 등의 캐리어를 주입시키기 위한 캐뉼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캐뉼라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캐뉼라를 추가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캐뉼라의 또다른 실시예를 세로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도 4에서 도시된 캐뉼라를 90°로 회전시킨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캐뉼라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D 방향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안에 관한 록킹(locking) 메카니즘에 대한 또다른 해결책을 도시한 도면.
[실시예]
동물이나 인간의 체내로 특히, 렙타이드(Reptid)와 같은 장기 조제약품 요소를 주입시키는 데에는 캡슐화된 방사성 조제약품(Slak) 등의 캐리어나 캐뉼라(10)가 사용된다. 상기 캐뉼라(10)는 비스듬히 절단된 팁(12)이 구비된 강철이나,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캐뉼라(10)는 제 1 핸들(16) 속에 합병되는 캐뉼라 홀더(14)내에 장착된다. 상기 핸들(16)의 앞뒤에는 슬리브(18)가 연장되며, 상기 캐뉼라(1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배출 플런저(2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는 캐뉼라(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홈이 패여진다. 또한, 상기 슬리브(18)는 외부면상에 제 2 핸들(20)을 제공한다. 상기 플런저는 캐뉼라와 관련된 운동을 하는 만드린(24)에 연결된다.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에서 확대 도시된 물체(26)는 상기 만드린과 캐뉼라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몸체 내부로 침적된다. 캐뉼라(10)를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물체(26)를 양호하게 침적시킬 수 있지만, 물론 캐뉼라 팁(12)의 방향으로 만드린(24)을 움직임으로써 상기 물체(26)을 침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상기 캐뉼라(10)는 캐뉼라 홀더(14)의 위로 클립된 보호 캡(17)으로 둘러싸여 있다.
핸들(16)과 캐뉼라 팁(12) 사이에서 상기 캐뉼라(10)는 많은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는 루멘(lumen)압축과 같은 기하학적 변화를 갖는다. 예를 들어, 캐뉼라 벽은 움푹 들어가거나, 혹은 적어도 주위 부분에서 운동하는 비드(bead)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움푹 들어간 캐뉼라 벽의 예를 들자면, 서로 직경상의 반대편에 만들어지는 두개의 틈새(28, 30)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의 내부 모서리(32, 34) 각각은 캐뉼라(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요구된 기하학적 변화, 또는 단면적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
주입되는 물체(26)는 단면적의 변화를 갖는 캐뉼라(10)의 단면부(36)에 클램프된다. 그로 인해, 적어도 외측면에서 산출 특성 및 탄성 특성을 갖는 물체는 상기 물체 자체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즉 캡슐내에 포함된 조제약품이나 방사능 물질이 제어되지 않은 형태로 누출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틈새(28, 30)는 또한 클램프된 물체(26)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공해준다. 즉, 상기 틈새는 비젼 패널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물체는 상기 틈새(28, 3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위치가 고정된다. 그 경우, 부가적인 루멘(lumen)의 변화는 불필요하게 된다.
한쪽 손만을 사용하여 캐뉼라를 삽입시키고, 물체(26)를 침적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슬리브(18)가 캐뉼라(10)에 대하여, 즉 삽입되는 동안 캐뉼라 홀더(14)에 대하여 결합도리 수 있다. 그 후 캐뉼라(10)가 후퇴되는 동안, 즉, 제 1 핸들(16)이 제 2 핸들(20)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단지 동축적인 이동만이 필요하다.
상기 결합을 허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해결책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캐뉼라 숄더(38)에는 스프레더 요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더 요소에는 핸들(16)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리브 방향의 외향으로 유연하게 투사되는 자유 단부(44)가 구비된다. 핸들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스프레더 요소(40)의 자유 단부(44)는 상기 슬리브(18)의 내측벽에 있는 선반(46)과 같은 단면부와 접촉된다.
그 때문에, 스프레더 요소(40)는 캐뉼라 숄더(38)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캐뉼라 숄더는 캐뉼라(10)를 움직일 수 없도록 둘러싸며, 핸들(16)과 연합되는 슬리브 몸체(48)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캐뉼라 숄더(38)와 슬리브 몸체(48)는 캐뉼라 홀더(14)를 형성한다. 상기 스프레더 요소(40)의 자유 단부(44)가 슬리브(18)의 선반(46)에 접촉하고 있을때, 상기 캐뉼라 숄더의 스프레더 요소(40)는 슬리브 몸체(48)내의 틈새(42)를 통과한다.
슬리브 몸체(48)의 환상 돌기(50)가 캐뉼라 숄더(38)의 스텝(52)과 마주치기 전에, 상기 슬리브 몸체(48)는 캐뉼라 숄더(38)를 따라 초기에 이동하고, 그 후 캐뉼라 홀더(14)가 추가로 동축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슬리브 몸체는 숄더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앞서 설명되었듯이, 물체(26)가 침적되면, 핸들(16)이 동축적으로 잡아당겨진다.
스프레더 요소(40)의 자유 단부(44) 방향으로 향하는 슬리브 몸체(48)와 캐뉼라 숄더의 상대적인 초기 이동은 나중에 캐뉼라의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자유 단부(44)는 슬리브(18)의 선반(46)으로부터 탈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캐뉼라 홀더(14)는 슬리브(1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리브(18)와 캐뉼라 홀더(14)의 사이를 록킹시키기 위한 또다른 가능성은 도 4 내지 도 9 에서 도시된다. 이 방법은 슬리브(18)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단면부가 구비된 캐뉼라 홀더(14)가 더이상 각각의 부분들로 설계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처럼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던면부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진 레버(54)는 배출 플런저(22)를포함하는 슬리브(18)의 핸들(20)로부터 연장되며, 캐뉼라 홀더의 핸들(16)에 의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20)에 캐뉼라 팁(12)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슬리브(18)와 캐뉼라 홀더(14)는 단일 유닛으로서 동축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각진 레버(54)는 리셉터클(57)내에 결합되며, 상기 리셉터클(57)에 의해 형성되는 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리셉터클(57)은 슬리브(18)의 핸들(20)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각진 레버(54)의 쇼트 레그(58)는 캐뉼라 팁(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핸들(20)의 표면(60)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핸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거리의 일정한 영역내에 위치한다. 각진 레버(54)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록킹이 풀려질 때, 상기 쇼트 레그(58)는 핸들(2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는 구근모양의 단부 부분(62)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혹은 다른 방도의 예를 들자면, 쇼트 레그(58)를 사용하여 상기 각진 레버(54)를 록킹시켜, 상기 각진 레버(54)의 제어되지 않은 회전이동이 통제될 수 있음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쇼트 레그(58)가 어떠한 경우라도 록킹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상기 레그는 초기에 상기 핸들(20)상에서 의지되어야 한다.
각진 레버(54)의 쇼트 레그(58)에 아무런 압력도 가해지지 않는다면, 롱 레그(64; long leg)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6)의 외부(66)에 밀접하여 상기 외부(66)과 함께 록킹된다. 결과적으로, 캐뉼라(10)를 핸들(20)에 대하여 즉, 만드린(24)에 대하여 이동시키지 않고도 상기 캐뉼라(10)를 조직 속으로 삽입시킬수 있다. 만약, 캐뉼라의 내부에 위치된 물체(26)가 침적되면, 각진 레버(54)의 쇼트 레그(58)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록킹이 풀려, 결과적으로 롱 레그(64)는 축(56)에 대하여 외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핸들(16)로부터 탈착된다. 캐뉼라가 후퇴되는 동안 상기 물체를 수용하고 있는 만드린(24)이 제 위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물체(26)는 핸들(16)을 후퇴시킴으로써 침적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 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뉼라 홀더(14)의 핸들(16)로부터 연장되는 레버(68)를 이용하여 캐뉼라(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70)를 슬리브의 결합 리세스(recess)(72) 내에 접선방향으로 혹은 반경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록킹이 수행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이 경우에 있어서, 특히 슬리브(18)의 벽이 얇은 경우, 록킹 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70)는 슬리브(18)를 완전히 통과하여, 캐뉼라 홀더(14)의 리세스(74)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양호하게는, 레버 요소(68)는 필름형태의 힌지(76)에 의해 핸들(16)에 연결되며, 그 재료의 성질상 슬리브 방향으로 탄성이 가해지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돌기(70)는 항상 슬리브(18)와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해제, 즉 리세스(72, 74)로부터 레버 요소(68)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핸들이 상기 레버 요소(68)나 돌기로부터 슬리브(18)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므로 돌기와 같은 핸들(78)을 그립하면, 슬리브(18)로부터 레버 요소(68)가 해제되지 않는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른 방법으로, 레버 요소(80, 82)는 핸들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대향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레버 요소는 슬리브(18)의 방향으로 예비 인장되지 않고, 오히려 그 돌기(84, 86)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슬리브(18) 방향으로 연장된다. 록킹이 요구될 때는 반드시 슬리브(18) 방향으로 레버 요소(80, 82)에 압력이 가해져야 한다. 따라서, 돌기(84, 86)는 슬리브(18) 또는 캐뉼라 홀더(14)의 대응 리세스(88, 90; 92, 94)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본 발명의 목적은 주입될 물체의 위치를 완전하게 고정시켜, 상기 물체가 체내로 삽입될 때, 이물질이 침투해 들어갈 수 없는, 서두에 설명했던 종류의 캐뉼라를 개발시키는 데 있다. 특히, 캐뉼라가 금속과 같은 불투명한 물체로 이루어졌을지라도, 간단한 방법으로 주입될 물체의 위치를 점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캐뉼라를 몸체 내로 삽입하여 한쪽 손만을 사용하여 상기 캐뉼라를 후퇴시켜 요소를 침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면,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핸들을 누르면, 상기 캐뉼라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한개 이상의 스프레더(spreader)요소에 의해, 또는 상기 캐뉼라 홀더 혹은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결합요소 또는 레버요소에 의해 상기 캐뉼라 홀더와 슬리브를 결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캐뉼라를 몸체내로 삽입하는 동안, 삽입에 필요한 압력이 슬리브, 즉 그립(grip)과 같은 제 2 핸들로부터 제공될 때, 캐뉼라가 슬리브, 즉 만드린에 대하여 움직일 수 없도록, 또는 움직일 수 있다 하더라도 약간만 움직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물체를 침적시키기 위해서는 캐뉼라 홀더가 제 2 핸들 방향으로의 동축운동만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상기 캐뉼라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결합요소는 슬리브로부터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캐뉼라 홀더를 제 2 핸들 방향과 동축적으로 잡아 당기면 레버(lever) 요소는 슬리브로부터 제어된 형태로 해제된다.
캐뉼라 홀더는 캐뉼라를 둘러싸고 있는 부동의 숄더(shoulder)와, 상기 숄더를 둘러싸며 상기 숄더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제 1 핸들과 연합되는 슬리브 몸체를 포함하여, 압력이 제 2 핸들에 가해질 때, 한개 이상의 스프레더(spreader) 요소가 상기 숄더로부터 연장되어 슬리브를 통과하며, 상기 슬리브의 일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제 1 핸들이 제 2 핸들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슬리브 몸체는 상기 슬리브의 일부로부터 스프레더 요소를 해제시키고, 또한 숄더를 이동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레버와 같은 회전 가능한 결합요소가 슬리브로부터 연장되어 캐뉼라 홀더 또는 상기 캐뉼라 홀더의 핸들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 요소로서 제 2 핸들 영역 내의 쇼트 레그(short leg)는 캐뉼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외측 표면을 따라 설치되며, 롱 레그(long leg)는 캐뉼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제 1 핸들 측면상의 자유 단부에 위치되는 각진 레버가 양호하다.
상기 각진 레버는 제 2 핸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각진 레버에 대한 회전축을 형성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의 내부에서 클램프(clamp)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진 레버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쇼트 레그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 제 2 핸들상에 위치되어야 하며,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제 2 핸들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지지물 사이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쇼트 레그상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캐뉼라로부터 멀리 떨어진 롱 레그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것은 상기 롱 레그를 캐뉼라 홀더 혹은 캐뉼라 홀더 핸들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이다. 상기 쇼트 레그는 슬리브 단면부에, 보다 양호하게는 제 2 핸들상에 있는 자유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어되지 않은 각진 레버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해, 슬리브의 외측을 따라서 통과하며,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는 레버 요소가 캐뉼라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독립적으로 제안된다. 이 경우, 상기 레버 요소가 양호하게는, 필름형태의 힌지(hinge)에 의하여 제 1 핸들에 연결될 수 있다. 핸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 즉, 슬리브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 돌출된 형태의 핸들이 상기 레버 요소로 부터 연장되고, 슬리브에 더이상 결합되지 않을 때는 언제든지 상기 핸들이 그립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레버 요소가 슬리브의 내부에서 레버 영역에서 작동되며, 상기 슬리브를 넘어서 돌출되는 핸들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 그러나, 반경방향도 역시 가능하다.
상기 레버 요소 자체는 슬리브 내에서 끝단 돌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캐뉼라 홀더가 슬리브를 고정시켜, 상기 슬리브를 상기 캐뉼라 홀더의 리세스(recess)내에 결합시킬 때, 상기 끝단 돌기는 상기 슬리브를 통과하여 돌출된다.
레버 요소가 물질의 효력에 의해 슬리브의 방향으로 스프링처럼 작용하고, 캐뉼라가 삽입될 때 상기 스프링 작용에 의해 캐뉼라 홀더와 슬리브 사이가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할지라도, 아무런 힘도 가해지지 않을 때는 상기 레버 요소가 상기 슬리브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제어된 방법으로 결합되어야 한다는 결과로 도출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의 메카니즘을 고려하지 않고도, 한쪽 손만을 사용하여 제 2 핸들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캐뉼라를 삽입하고, 상기 캐뉼라의 축방향으로 핸들을 잡아 당김으로써 캐뉼라를 후퇴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가망성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제 2 핸들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레버 요소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때는 언제나, 스프레더 요소를 사용하거나 슬리브나 캐뉼라 홀더의 내부 레버 요소를 고정시킴으로써 자동적인 해제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제 1 핸들이 제 2 핸들 방향으로 잡아 당겨질 때, 상기 캐뉼라는 록킹(locking)된 상태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제어된 이동에 의해서, 혹은 레버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끝단고정상태가 실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입되는 물체를 고정시키는데 대한 완전하고 무결점의 위치에 관련된 부분적인 양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외측상에서 산출 특성을 갖는 물체는 상기 물체와 캐뉼라 팁 사이에 제공되는 단면이나 틈새와는 다른 단면 및 틈새를 구비하는 캐뉼라의 단면부에 의해서 클램프(clamp)되는 것이 제안된다. 상기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비드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캐뉼라 벽 단면부를 오목하게 함으로써, 혹은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면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입될 물체를 클램프함으로써, 캐뉼라를 압축하면 단면의 변화가 성취될 수도 있다.
부가하여, 단면 그 자체가 변화하거나, 물체가 확장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영역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비젼 패널(vision panel)과 같은 장치가 요소를 클램핑하는 캐뉼라 단면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안에 따르면, 물체가 주입되기 전에 상기 물체가 고정되는 영역에서 캐뉼라의 단면을 변화시키므로써, 상기 물체의 위치를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주입되는 물체는 적어도 측면 산출 특성 또는 탄성 특성을 갖기 때문에, 특별히 의학적 조제약이나 방사능 시약이 외부 캡슐에 의해 둘러싸여질 때, 물체에 손상을 입힐 염려가 없는 안전한 클램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제 1 핸들(16)이 구비된 캐뉼라 홀더(14)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캐뉼라 홀더(14)를 둘러싸는 제 2 핸들(20)을 가지며, 상기 캐뉼라 홀더(14)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캐뉼라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만드린(24)을 갖는 슬리브(18)를 포함하며,
    상기 만드린과, 물체를 수용하는 상기 캐뉼라(10)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물체가 체내로 침적되는 살아 있는 유기체의 체내로 상기 물체(26)를 침적시키기 위한 캐뉼라(1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8)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핸들(20)을 누르면, 상기 캐뉼라 홀더(14)로부터 연장되는 한개 이상의 스프레더 요소(40)에 의해, 또는 상기 캐뉼라 홀더 혹은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혹은 레버요소(54, 68, 80, 82)에 의해 상기 슬리브(18)가 상기 캐뉼라 홀더(14)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더(14)는 캐뉼라(10)를 둘러싸고 있는 부동의 캐뉼라 숄더(38)와, 상기 숄더를 둘러싸며, 또 상기 숄더에 대하여 동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 1 핸들과 연합되는 슬리브 몸체(48)를 구비하고,
    상기 캐뉼라 팁(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리브(18)의 방향으로 향하는 한개 이상의 스프레더 요소(40)는 상기 캐뉼라 숄더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핸들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슬리브의 선반(46)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캐뉼라 홀더(14)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핸들이 상기 제 2 핸들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슬리브 몸체는 스프레더 요소를 상기 선반으로부터 해제시키고, 또한 상기 숄더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3.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54)와 같은 회전성 결합요소는 상기 슬리브(18)로부터 연장되며, 캐뉼라 홀더(14) 혹은 그의 핸들(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소는 쇼트 레그(58)가 제 2 핸들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캐뉼라(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외부 표면(60)을 따라가는 각진 레버(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레버(54)는 제 2 핸들(20)로부터 연장되며 각진 레버를 위한 회전축(56)을 형성하는 리셉터클(57)에 클램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레버(54)의 쇼트 레그(58)는 자유 단부 부분(62)에서 상기 제 2 핸들(20)에 결합 또는 지지되며, 또한 상기 제 2 핸들(20)의 외부 표면(6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회전축(56)과 상기 지지/결합 연결부사이에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8)를 따라 외부상에서 이동하며 또한 상기 슬리브에 결합가능한 레버 요소(68, 80, 82)는 상기 캐뉼라 홀더(14)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요소(68)는 적합하게 필름 힌지(76)와 같은 힌지에 의해서 제 1 핸들(16)에 연결되며, 또한 방사상 혹은 측방향으로 동작되는 핸들(78)에 의해 상기 슬리브(18)에 그립 및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68)는 그의 단부에서 돌기(70)에 의해 슬리브(18)에 록킹(locking)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 홀더(14)가 슬리브(18)에 대하여 록킹되어 있을 때, 상기 레버 요소(68)의 단부 돌기(70)는 슬리브(18)를 관통하여, 캐뉼라 홀더의 리세스(7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68)는 그 재료의 성질상 상기 슬리브(18)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8)에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레버 요소(80, 82)는 상기 슬리브(18)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레버 요소(80, 82)는 상기 제 1 핸들(16)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상에 산출 특성을 갖는 상기 물체(26)는 상기 캐뉼라(10)의 단면부(36)에 의해 클램프 되며, 상기 캐뉼라는 상기 물체와 캐뉼라 팁(12) 사이에 존재하는 것과는 다른 단면적 또는 틈새(28, 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5. 제 14 항에 있어서, 단면적 혹은 루멘(lumen)의 감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뉼라를 둘러싸고 있는 비드(bead)에 의해서 성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 혹은 루멘의 감소는 캐뉼라 벽 단면부의 하나 이상의 틈새(28, 30)에 의해 성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적 혹은 루멘의 감소는 캐뉼라 벽 단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틈새(28, 30)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틈새의 내부 모서리(32, 34)는 적합하게도 상기 캐뉼라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26)를 클램핑하는 캐뉼라 단면부(36) 영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비젼 패널(vision panel)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패널은 루멘 변화를 야기시키는 한개 이상의 틈새(28,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
KR1019960704719A 1994-02-25 1995-02-27 물체를피하침적시키기위한캐뉼라 KR100318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403161.4 1994-02-25
DE9403161U DE9403161U1 (de) 1994-02-25 1994-02-25 Kanüle
PCT/EP1995/000713 WO1995023010A1 (de) 1994-02-25 1995-02-27 Kanüle zum subkutanen ablegen eines elemen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079A KR970701079A (ko) 1997-03-17
KR100318356B1 true KR100318356B1 (ko) 2002-10-25

Family

ID=690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719A KR100318356B1 (ko) 1994-02-25 1995-02-27 물체를피하침적시키기위한캐뉼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810769A (ko)
EP (1) EP0749336B1 (ko)
JP (1) JPH09509346A (ko)
KR (1) KR100318356B1 (ko)
CN (1) CN1121247C (ko)
AT (1) ATE167069T1 (ko)
AU (1) AU1849195A (ko)
CA (1) CA2183327C (ko)
DE (3) DE9403161U1 (ko)
DK (1) DK0749336T3 (ko)
ES (1) ES2118576T3 (ko)
GR (1) GR3027640T3 (ko)
WO (1) WO1995023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38543T3 (es) * 1997-12-29 2005-09-01 Alza Corporation Vial para implante.
US7063681B1 (en) * 1998-04-23 2006-06-20 Alza Corporation Trocar for inserting implants
US6595908B2 (en) 1999-07-23 2003-07-22 Nucletron B.V. Method for analyzing amount of activity
US6641519B1 (en) 1999-07-23 2003-11-04 Nucletron B.V. Wire drive in a medical device
US7887551B2 (en) 1999-12-02 2011-02-15 Smith & Nephew, Inc. Soft tissue attachment and repair
US7153312B1 (en) * 1999-12-02 2006-12-26 Smith & Nephew Inc. Closure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repair
DE19961197B4 (de) * 1999-12-18 2007-02-08 Gaplast Gmbh Implantatspritze
US6450938B1 (en) * 2000-03-21 2002-09-17 Promex, Llc Brachytherapy device
US6475196B1 (en) * 2000-08-18 2002-11-05 Minimed Inc. Subcutaneous infusion cannula
US7736330B2 (en) * 2000-08-24 2010-06-15 Bardy Gust H Subcutaneous implantation instrument with dissecting tool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8348882B2 (en) * 2000-08-24 2013-01-08 Cardiac Science Corporation Instrument with a covered bore for subcutaneous implantation
US8251946B2 (en) * 2000-08-24 2012-08-28 Cardiac Science,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strument with a two-part plunger for subcutaneous implantation
US6436068B1 (en) 2000-08-24 2002-08-20 Gust H. Bardy Instrument for implanting sensors and solid materials in a subcutaneous location and method thereof
US8454552B2 (en) * 2000-08-24 2013-06-04 Cardiac Science Corpor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strument with a covered bore for subcutaneous implantation
US8323232B2 (en) * 2000-08-24 2012-12-04 Cardiac Science Corporation Instrument with a two-part plunger for subcutaneous implantation
US6569077B2 (en) * 2001-07-11 2003-05-27 Bruno Schmidt Dimpled seed implant needle
WO2003011161A1 (en) * 2001-08-03 2003-02-13 Tyco Healthcare Group Lp Tissue marking apparatus and method
GB0304726D0 (en) * 2003-03-01 2003-04-02 Ardana Bioscience Ltd New Process
US7214206B2 (en) * 2003-04-03 2007-05-08 Valera Pharmaceuticals, Inc. Implan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50234475A1 (en) * 2004-03-04 2005-10-20 Cordes Christopher J Transponder implanter
US7556650B2 (en) * 2004-06-29 2009-07-07 Spine Wave, Inc. Methods for injecting a curable biomaterial into an intervertebral space
ES2685795T3 (es) * 2005-01-24 2018-10-11 Merck Sharp & Dohme B.V. Aplicador para insertar un implante
US9042964B2 (en) * 2009-04-30 2015-05-2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fiducial deployment via slotted needle
US8241299B2 (en) * 2009-10-22 2012-08-14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Biopsy marker delivery configured to retain marker prior to intended deployment
US9072542B2 (en) * 2009-12-18 2015-07-0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fiducial deployment
US8838208B2 (en) 2011-06-28 2014-09-1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Fiducial deployment needle system
US8905944B2 (en) * 2011-09-07 2014-12-09 Vlv Associates, Inc. Protective cover assembly for a needle assembly
DE102011116973A1 (de) 2011-10-26 2013-05-02 Amw Gmbh Implanter
US9522264B2 (en) 2013-02-26 2016-12-20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Ratchet-slide handle and system for fiducial deployment
RU2728195C2 (ru) 2014-02-26 2020-07-28 Аллерган,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авки внутриглаз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EP3151764B1 (en) 2014-06-09 2023-02-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crew-driven handles and systems for fiducial deployment
CN106456150B (zh) 2014-06-16 2019-02-12 库克医药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基准物部署的柱塞驱动式夹头手柄及系统
US10327862B2 (en) 2014-09-17 2019-06-25 Covidien Lp Fiducial marker deployment system
WO2016089667A1 (en) 2014-12-03 2016-06-0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ultrasound fiducial needle stylet handle assembly
US10485583B2 (en) 2015-10-07 2019-11-26 Covidien Lp Endoscopic ultrasound fine needle fiducial system
USD860451S1 (en) 2016-06-02 2019-09-17 Intarcia Therapeutics, Inc. Implant removal tool
USD840030S1 (en) 2016-06-02 2019-02-05 Intarcia Therapeutics, Inc. Implant placement guide
USD933219S1 (en) 2018-07-13 2021-10-12 Intarcia Therapeutics, Inc. Implant removal tool and assembly
DE102018129618A1 (de) * 2018-11-23 2020-05-28 Sfm Medical Devices Gmbh Vorrichtung zum Ablegen eines Elementes mit einer Kanü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3991A (en) * 1976-10-01 1978-04-20 Oiwa Shigeo Suction device for injection
US4846793A (en) * 1987-03-18 1989-07-11 Endocon, Inc. Injector for implanting multiple pellet medicaments
ES2086291T3 (es) * 1987-05-26 1996-07-01 Sumitomo Pharma Dispositivo para la administracion de preparados solidos.
DE3802158A1 (de) * 1987-08-11 1989-02-23 Hoechst Ag Vorrichtung zur applikation von implantaten
NL8902186A (nl) * 1989-08-30 1991-03-18 Nedap Nv Herlaadbaar implanteergereedschap met automatische ontgrendeling.
DE9112797U1 (ko) * 1991-10-15 1992-02-27 Sueddeutsche Feinmechanik Gmbh, 6480 Waechtersbach, De
DE9115658U1 (ko) * 1991-12-18 1992-05-14 Sueddeutsche Feinmechanik Gmbh, 6480 Waechtersbach, De
EP0574434B1 (de) * 1991-03-06 1995-07-26 Süddeutsche Feinmechanik Gmbh Kanüle zum ablegen eines elements
DE4107042C2 (de) * 1991-03-06 1994-07-07 Sueddeutsche Feinmechanik Kanüle zum Implantieren von insbesondere zum Identifizieren von Lebewesen bestimmten Identifikationsträgern
GB9601147D0 (en) * 1996-01-19 1996-03-20 Smiths Industries Ltd Spinal epidural needle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09346A (ja) 1997-09-22
CA2183327C (en) 2005-05-24
ES2118576T3 (es) 1998-09-16
ATE167069T1 (de) 1998-06-15
CN1121247C (zh) 2003-09-17
DK0749336T3 (da) 1999-03-29
DE9403161U1 (de) 1994-04-21
DE59502506D1 (de) 1998-07-16
KR970701079A (ko) 1997-03-17
CA2183327A1 (en) 1995-08-31
AU1849195A (en) 1995-09-11
EP0749336A1 (de) 1996-12-27
GR3027640T3 (en) 1998-11-30
WO1995023010A1 (de) 1995-08-31
EP0749336B1 (de) 1998-06-10
CN1146161A (zh) 1997-03-26
US5810769A (en) 1998-09-22
DE29503244U1 (de) 199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356B1 (ko) 물체를피하침적시키기위한캐뉼라
JP4603262B2 (ja) 安全な注射針構造
JP2967979B2 (ja) 一回限りの使用のためのカニューレ係止機構を備えた針シールドアセンブリ
EP0815890B1 (en) Method of making a needle shield assembly
US8888742B2 (en) Protective shield for hypodermic syringe
RU2477639C2 (ru) Катет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162197A (en) Retractable need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584839B (zh) 自動注射裝置
KR100465557B1 (ko) 범용 안전 주사기
EP0761247A1 (en) Needle shield assembly having a releasable lock
US20070112303A1 (en) Catheter Head Comprising a Mobile Connector
JP2022103348A (ja) 注入セットおよび挿入器アセンブリ
JP2001054572A (ja) 注射針または吸引針用保護装置
WO2020120087A1 (en) Autoinjector
JP2007105490A (ja) 針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20020004652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fillable injection syringe
KR20110015466A (ko) 수축가능 캐뉼러를 구비한 유체 유동 제어 장치
JP2003532500A (ja) 注射器用の自動安全針受け
JP2009072638A (ja) ルアー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1526095A (ja) 安全注射器
US20050267416A1 (en) Hypodermic syringe need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220134016A1 (en) Self-Retracting Mechanized Syringe and Methods of Use
JP2005169102A (ja) カルプルに使うよう意図された針保護装置、及びカルプルとこの保護装置とを具備する注射装置
CN111801128B (zh) 安全针装置
US20200222637A1 (en) Safety Assembly and Medical Device with Safet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