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300B1 -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300B1
KR100317300B1 KR1020000002369A KR20000002369A KR100317300B1 KR 100317300 B1 KR100317300 B1 KR 100317300B1 KR 1020000002369 A KR1020000002369 A KR 1020000002369A KR 20000002369 A KR20000002369 A KR 20000002369A KR 100317300 B1 KR100317300 B1 KR 10031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onnection
mpeg4
reques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609A (ko
Inventor
이규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300B1/ko
Priority to US09/764,119 priority patent/US20010008413A1/en
Publication of KR2001007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7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1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using Advanced Video Coding [A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을 이용해서 IP네트워크(Internet Protocol Network) 상에서 화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위의 DMIF(203)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301)와, 상기 DMIF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요청과 하부 계층(H.245)(Q.931)으로부터의 확인 요청에 대한 입력신호의 동기화 장치(302)와,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및 접속처리에 관련된 상태의 이행제어와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기 장치(303)와, 상기 동기화 되고 순서화된 서비스 입력에 대한 해석 및 상태관리를 통한 서비스 분배를 수행하는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304)와, 상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H.245,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해 주는 제어신호 변환기(305)와, 상기 호연결(Q.931)과 제어신호(H.245) 연결 관리를 수행함과 함께, 제어신호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를 수행하는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장치(306)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MPEG4 VIDEO CONFERENCE SYSTEM CONTROLL PROCESSOR BASED ON INTERNET PROTOCOL NETWORK}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PEG4 시스템을 이용해서 IP네트워크(Internet Protocol Network) 상에서 화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을 이용해서 H.323 단말기와의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토콜(Protocol) 변환 및 연결관리를 수행하는 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IP네트워크상에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 가능하게 하는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일반 컴퓨터 사용자들의 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인터넷은 전세계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어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앉은 자리에서 한 순간에 사상과 국경을 초월하는 탐험을 가능하게 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는 웹(Web)을 비롯하여 FPT, Telent, news, gopher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다양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네트워크 부하를 필요로 하고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는 개발자들로 하여금 PC의 성능향상과 네트워크의 고속화를 이루어 내도록 하였고, 이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대의 동화상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보고 들을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전성기를 앞두게 되었다.
현재 인터넷은 IP(Internet Protocol)라는 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IP를 통한 화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표준은 ITU-T의 H.323을 들 수 있으며, 이 H.323 규격을 통한 제품이 현재 까지 개발되어 왔고, 앞으로도 향상된 버전의 표준이 계속 나올 예정이다.
한편 ISO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 멀티미디어 응용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MPEG4 라는 표준에 대한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MPEG4 시스템을 사용하는 응용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무수한 응용이 가능하다.
MPEG-4는 현재 ISO/IEC 산하 SG29 WG11에서 제안하여 표준화하는 차세대 멀티미디어를 위한 표준으로서, 그 응용분야가 방송과, 방송을 이용한 홈쇼핑, 실시간 동화상과 애니메이션과 음성전달을 이용하는 인터넷상의 교육용, 오락용, 홈쇼핑 혹은 정보안내 등의 프로그램 등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MPEG-4가 갖는 중요한 장점은 기존의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사용하는 모든 미디어(Media) 각각을 하나의 객체로 보고 전체를 구성할 수 있게 하는 객체 지향적인 시스템이란 것으로서, 객체에 대한 독립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독립처리가 가능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는 각각의 객체를 독립적으로 기록한 뒤에 각 객체에 대해 최대의 효율을 갖는 압축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여러 개의 객체를 이용해서 다양하고 내용이 풍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객체 간의 관계와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방적이고 고정된 콘텐츠가 아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에 따른 접근 제한을 제공하여 앞으로 범람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련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이와같은 특징과 장점을 가지는 MPEG-4를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의 개발도 현재 가능한 응용분야로써 고려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PC를 기반으로 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화자의 화상(비디오)과 마이크로 수집된 화자의 음성(오디오) 신호를 MPEG-4 로 표현하고, 이 것을 이용해서 화상통신(양방향 실시간 통신)을 수행한다면 위와같은 MPEG-4 의 특징과 장점의 효율 및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IP를 통한 화상회의 시스템의 주류인 H.323 시스템과 이후 멀티미디어 응용의 큰 주류를 이루게될 MPEG4 시스템 응용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될 것이며,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을 사용하는 응용개발 시에 고유의 MPEG4 시스템과의 연동 뿐만 아니라, 기존에 나와있는 H.323 단말기와의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계층을 추가함으로, 응용 개발자들에게는 현재 회의 연결자에대한 세부적인 표준을 고려하지 않고도 마치 고유의 MPEG4 시스템과의 연동절차를 통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H.323 단말기와의 상호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MPEG4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IP네트워크 상에서 화상회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의 응용이 H.323 단말기와의 상호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제어신호 변환과 연결 관리장치, 그리고 제어신호 변환과 연결관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세션 설정에 사용하는 DMIF(Delivery Multimedia Intergration Framework)신호를 H.323에서 사용되는 Q.931, H.245 신호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절차로서 신호변환과 연결 관리기 및 그 신호변환과 연결관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는 MPEG4 시스템은, MPEG4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MPEG4 시스템 간의 절차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H.323 단말기와의 상호작용을 DMIF계층을 통하여 투명하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을 사용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은 상대가 본 발명을 사용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절차를 사용하는 방법과 고유의 MPEG4의 DMIF 신호를 통한 두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만일 상대가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은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인 경우에는 고유의 DMIF 신호를 통한 세션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대가 H.323 단말기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H.323 단말기와의 상호연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위 응용 계층에는 상대방이 어떤 단말기인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투명성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IP네트워크와 화상회의 시스템의 연계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MPEG4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MPEG4 화상회의 콘트롤 시스템의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MPEG4 화상회의 콘트롤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변환과 연결 관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MPEG4 화상회의 콘트롤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변환과 연결 관리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상태 관리기에서 수행되는 상태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State Diagram)
도6은 본 발명에서, 원격지와의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의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지역에서 원격지로 연결을 요청한 CALLING 상태에 대한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에서, CALLED 상태에 대한 흐름도
도9는 본 발명에서, TCS와 MSD가 완료되기를 대기하는 상태에 대한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연결종료의 전단계로 CONNECTED나 CONNECTING 상태에서 IDLE 상태로 진행하기 위한 전단계의 흐름도
도11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서, CONNECTED 상태의 흐름도
본 발명의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를 기반으로 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a). 상위의 응용 계층으로부터, (b). 동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압축부호화를 위한 MPEG4 시스템과, (c). 상기 MPEG4 시스템으로부터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화상통신을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DMIF와, (d). 상기 DMIF 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DMIF신호를 DNI를 통하여 입력할 때, 상위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하위 계층의 H.323(H.245,Q.931)을 통하여 서비스하도록 메시지 및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수단과, (e). 상기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수단과 연계되어 MPEG4 화상 회의를 위한 호 및 제어신호 연결을 담당하는 H.323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 수단은; 고유한 DMIF 신호를 위한 DNI와 동일한 전달인자를 가지고 상위의 DMIF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DMIF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요청과 하부 계층(H.245)(Q.931)으로부터의 확인 요청에 대한 입력신호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과,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및 접속처리에 관련된 상태의 이행제어와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수단과,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으로부터 동기화 되고 순서화된 서비스 입력에 대한 해석 및 상태관리를 통한 서비스 분배를 수행하는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과, 상기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H.245,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해 주는 제어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와 연계하여, 호연결(Q.931)과 제어신호(H.245) 연결 관리를 수행함과 함께, 제어신호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를 수행하는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수단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은; H.245, Q.931 과의 서비스 요청 및 응답,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서브모듈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와 서브모듈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순서화시키고 상호배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큐와, 상기 입력 큐의 내용을 메시지 해석을 위하여 순차제공하는 큐 메시지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은;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수단에 의해서 동기화되고 또 순서화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제어신호 변환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메시지 해석수단 및, 상기 상태 관리수단의 제어를 받아 해당서비스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한 서비스 분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수단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할당과 자원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자원관리수단과,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에 의해서 네트워크와 하위계층의 연결정보를 관리하는 연결정보 관리수단과, 상기 연결정보 관리수단에 의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연결을 관리하는 호 연결 관리수단과, 상기 연결정보 관리수단에 의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제어신호 연결을 관리하는 제어신호 연결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IDLE, CALLING, CALLED, CONNECTING, CONNECTED, DISCONNECT의 6개 상태(States)를 가지고 화상통신 제어를 수행할 때,
(a). IDLE 상태는 초기상태 또는 호 연결과 제어신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정의되고, (b). CALLING 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구를 받고 호 연결을 요청한 상태로서 정의되고, (c). CALLED 상태는 상태의 호 연결 요구를 받고 사용자가 연결을 허락한 경우 또는 상대에게 호 연결 요구를 한 후 상대가 연결을 허락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로서 정의되고, (d). CONNECTING 상태는 제어신호 연결이 된 경우로서 정의되고, (e). CONNECTED 상태는 제어신호의 연결 절차가 완료된 경우로서 정의되고, (f). DISCONNECT 상태는 호 연결 해제와 제어신호 연결 해제가 요청된 경우로서 정의되어; 각 상태에서의 조건에 따라 다른 상태로의 이행과리턴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상태에서의 조건에 따라 다른 상태로의 이행과 리턴은; (a). IDLE 상태는 CALLING 상태나 CALLED 상태로의 이행, 그리고 CONNECTING 상태나 CONNECTED 상태 또는 DISCONNECT 상태로부터의 이행(리턴)이 이루어지고, (b). CALLING 상태는 IDLE상태나 CALLED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c). CALLED 상태는 IDLE 상태나 CONNECTING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d). CONNECTING 상태는 IDLE상태나 CONNECTED 상태 또는 DISCONNECT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e). CONNECTED 상태는 DISCONNECT 상태로의 이행이나 IDLE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f). DISCONNECT 상태는 IDLE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IDLE 상태에서는; (a). 원격지로부터 Q.931 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DMIF에게 연결확인 요청을 한 후, DMIF로부터 연결에 대한 응답을 받고 H.245에게 응답모드 설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CALLED 상태로 이행하고, (b). 지역에서 먼저 요청을 한 경우에는 DMIF가 연결을 요청하고 원격지로 호 연결 요청이 성공한 경우 CALLED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ALLING 상태에서는; (a). DMIF로부터 연결해제를 요청한 경우와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받은 경우 ILDE 상태로 이행하고, (b). 요청한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CALLED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ALLED 상태에서는; (a). DMIF로부터 연결해제 요구를 받거나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IDLE 상태로 이행하고, (b). H.245 로부터 사용권을 받는 경우(제어신호 연결) H.245의 TCS 및 MSD 신호절차를 요구하며 CONNECTING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ONNECTING 상태에서는; (a). H.245가 연결상태로 되었다는 사건(Event)이 발생되면 CONNECTED 상태로 이행하고, (b). H.245로부터 사용자 제거와 호 해제 요청을 받는 경우 IDLE 상태로 이행하고, (c). DMIF 로부터 연결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ISCONNECT 상태에서는; (a). H.245의 제어신호 연결 종료를 위한 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고, (b). 제어신호 연결 종료처리가 완료되면 IDLE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ONNECTED 상태에서는; (a). 지역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연결 해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DMIF 연결해제 요청사건과, (b). 원격지로부터 연결을 종료하는 H.245 사용자 제거요청과, (c). Q.931 연결해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연결을 종료하는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를 기반으로 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a). 상위 계층은 DMIF가 위치하고, (b). 하부 계층으로는 Q.931 및 H.245를 두고, (c). DMIF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DMIF신호를 DNI를 통하여 입력할 때, 하부 계층에 위치하는 H.245와 Q.931을 통하여 MPEG4 화상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DNI와 동일한 전달 인자를 두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d).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H.245와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하여 서비스 요청과 응답을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를 기반으로 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인터넷 상에 MPEG4 시스템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며, 인터넷(Internet)(101)에 본 발명을 적용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104)과,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은 MPEG4 화상회의 시스템(102), 그리고 H.323 단말기(103)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1에서, 본 발명을 사용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104)은 상대가 본 발명을 사용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인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절차를 사용하는 방법과 고유의 MPEG4의 DMIF 신호를 통한 두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만일 상대가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은 MPEG4 화상회의 시스템(102)인 경우에는 고유의 DMIF 신호를 통한 세션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대가 H.323 단말기(103)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H.323 단말기와의 상호연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상위 응용 계층에는 상대방이 어떤 단말기인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투명성을 제공한다.
도2는 MPEG4 시스템 상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을 경우를 나타내는 개괄적인블럭도 이다.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위 응용계층(201)(Application)으로부터, MPEG4 시스템(202)(MPEG4 Systems), DMIF(203),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기(204), 그리고 하위의 H.323단말에 해당하는 H.245(205), Q.931, TPKT/UDP(207) 의 구조로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이 구현된다.
즉, 본 발명은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기(204)가 DMIF(Delivery Multimedia Intergration Framework)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DMIF신호를 DNI(DMIF Network Interface)를 통하여 입력할 때 하부 계층에 위치하는 H.245와 Q.931을 통하여 대신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시지와 신호절차의 변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기(204)의 상위 계층은 DMIF(203)가 위치하고 DNI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되며, 하부 계층으로는 Q.931과 H.245를 두어 위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Q.931과 H.245신호를 통하여 서비스하게 된다.
도3은 도2에서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기(204)를 서비스 모듈의 나열을 통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의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기(204)는; 고유한 DMIF 신호를 위한 DNI와 동일한 전달인자를 가지고 상위의 DMIF(203)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301)와, 상기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상위 DMIF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요청과 하부 계층(H.245)(Q.931)으로부터의 확인 요청에 대한 입력신호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와,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및 접속처리에 관련된 상태의 이행제어와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기 장치(303)와,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로부터 동기화 되고 순서화된 서비스 입력에 대한 해석 및 상태관리를 통한 서비스 분배를 수행하는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304)와, 상기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H.245,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해 주는 제어신호 변환기(305)와,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와 연계하여, 호연결(Q.931)과 제어신호(H.245) 연결 관리를 수행함과 함께, 제어신호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를 수행하는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장치(306)로 이루어진다.
도3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서비스 접근점은 DMIF(203)로부터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제공되는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301)는 고유한 DMIF신호를 위한 DNI와 동일한 전달인자를 둠으로써 본 발명의 서비스를 받는 모듈에 최대한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도3의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는 상위 DMIF(203)를 통하여 입력된 서비스 요청과, 하부 계층인 H.245(205)와 Q.931(206)로부터 올라오는 확인 요청에 대한 입력신호의 동기를 제공하는 장치이고, 다수의 타스크(task)를 통한 입력은 이 곳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에 의하여 하나의 타스크에 의한 입력신호로 순서화 된다.
즉,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는 DMIF(203)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 요청과,하위 계층(H.245,Q.931)로부터의 확인요청에 대한 동기화 및, 다수의 타스크 입력에 대한 순서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태 관리기 장치(303)는 본 발명의 모든 제어를 수행하는 절차를 관리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에 대하여 현재의 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총괄적인 제어를 하는데, 그 제어의 수순으로서 상태의 이행은 도5에 따르고, 각 상태에 따른 제어의 수순은 도6 내지 도15에 따른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한편, 도3에서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304)는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로부터 동기화되고 순서화된 서비스 입력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상태 관리기 장치(303)를 통한 적당한 서비스를 선정하여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신호 변환기(305)는 앞서 설명한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고유의 DMIF신호를 위한 DNI와 동일한 전달인자를 가지게 되므로, 이를 H.245(205)와 Q.931(206)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 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연결관리기 정보/자원 관리장치(30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 시스템과 연결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호(Q.931) 연결과 제어신호(H.245) 연결 관리를 하며, 호 연결과 제어신호 연결은 각각 별도의 채널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두개의 연결을 묶어주는 연결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게 한다.
이때 제어신호 연결을 위해서는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제어신호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를 수행한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본 발명의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장치의 보다 상세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즉, 상위 DMIF(203)와 하위 H.245(205), Q.931(206), 그리고 내부 구성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제어신호의 흐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나타낸다.
도4에서 서브모듈 인터페이스(302a)와 입력 큐(302b) 및 큐 메시지 펌프(302c)는 도3의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를 이루며, 메시지 해석기(304a) 및 서비스 분배기(304b)는 도3의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304)를 이루고, 네트워크 자원 관리기(306a), 연결정보 관리기(306b), 호 연결 관리기(306c), 제어신호 연결 관리기(306d)는 도3에서 연결 관리기 정보/자원 관리장치(306)를 이룬다.
입력 큐(302b)의 입력은 연결관리 인터페이스(301)와 서브 모듈 인터페이스(302a)의 출력에 연결되고, 입력 큐(302b)의 출력은 큐 메시지 펌프(302c)의 입력에 연결된다.
큐 메시지 펌프(302c)의 출력은 메시지 해석기(304a)의 입력에 연결되며, 메시지 해석기(304a)의 출력은 제어신호 변환기(305)와 상태 관리기 장치(303)의 입력에 연결된다.
상태 관리기 장치(303)의 입력으로는 제어신호 변환기(305)의 출력과 메시지 해석기(304a)의 출력이 연결되며, 상태 관리기 장치(303)의 출력은 서비스 분배기(304b)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또, 서비스 분배기(304b)에는 네트워크 자원 관리기(306a)와 연결정보 관리기(306b)가 연결되며, 연결정보 관리기(306b)와 호연결 관리기(306c) 및 제어신호연결 관리기(306d)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서비스 분배기(304b)의 출력은 DMIF(203)의 입력으로 연결되는 한편, H.245(205)와 Q.931(206)의 입력으로도 연결된다.
H.245(205) 및 Q.931(206)의 출력은 상기 서브모듈 인터페이스(302a)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도4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MPEG4 화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 관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모든 서비스 요구는 DMIF(203)로부터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301)를 통하여 들어오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DMIF(203)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요구한 모듈을 사용자라고 명명한다.
반면, DMIF(203)로부터 요구한 서비스에 대한 응답이나 원격지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은 DMIF(203)가 본 발명을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등록한 통로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도3의 입력신호 동기화 장치(302)는 도4의 서브모듈 인터페이스(302a), 입력 큐(302b), 큐 메시지 펌프(302c)로 세분화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서브 모듈 인터페이스(302a)는 본 발명의 하부 계층인 H.245(205)나 Q.931(206) 에게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서비스에 대한 응답이나 원격지로부터 전송되어 온 Q.931신호 메시지, 그리고 H.245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신호(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이 서브 모듈 인터페이스(302a)의 접근점은 하부 계층 모듈(H.245,Q.931)을초기화 하는 과정에서 설정한다.
그리고, 입력 큐(302b)는 다중 타스크(Multi Task)로부터의 입력을 서비스의 가중치(Weight)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순서화 기능과 시스템 제어 요구 과정에서 상위와 하위 계층으로부터의 입력이 혼선을 가지고 오지 않도록 상호 배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입력 큐(302b)의 내용은 큐 메시지 펌프(302c)를 통하여 하나씩 꺼내져서 메시지 해석기(304a)로 보내지는데, 모든 메시지는 이 메시지 해석기(304a)를 통하여 해석되고, 경우에 따라 제어 신호 변환기(305)를 거치거나 아니면 직접 상태 관리기 장치(303)를 통하여 다음에 수행하게 될 서비스를 결정하게 된다.
제어신호 변환기(305)는 상위 DMIF(203)에서 전달된 인자를 하위 H.245신호나 Q.931신호에서 사용될 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반대로 원격지로부터 수신한 H.245신호나 Q.931신호를 상위 DMIF로 전해주기 전에 인자변환을 수행하는 전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상태 관리기 장치(303)는 본 발명의 모든 입력에 대해서 현재 상태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앞의 제어신호 변환기(305)와 함께 본 발명의 핵심적인 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상태 관리기 장치(303)에 대한 상태 이행의 절차는 이후 설명하게 될 상태도 및 그 제어의 흐름도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서비스 분배기(304b)는 상태 관리기 장치(303)로부터 선택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듈로 서비스를 직접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태 관리기 장치(303)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여, H.245(205) 나 Q.931(206), 혹은 네트워크 자원 관리기(306a)나 연결정보 관리기(306b)로 해당 서비스를 직접 실행하도록 서비스 분배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나, 서비스 수행 후 얻어진 정보의 변화를 네트워크 자원 관리기(306a)나 연결정보 관리기(306b)를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연결정보 관리기(306b)는 서비스 분배기(304b)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작동하는데, 이 연결정보 관리기(306b)의 세부 기능은 호 연결 관리기(306c)와 제어신호 연결 관리기(306d)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호 연결 관리기(306c)는 원격지와의 최초 호 연결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고, 제어신호 연결 관리기(306d)는 원격지와의 제어신호 연결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호 연결 관리기(306c)의 정보와 제어신호 연결 관리기(306d)의 정보는 각각 하나씩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보는 연결정보 관리기(306b)에 의해서 통합 관리되어 진다.
따라서, 연결된 원격지가 하나 증가함에 따라 연결정보 관리기(306b)의 정보가 하나 추가되고, 또 연결정보 관리기(306b)의 정보가 추가됨에 따라 호 연결 관리기(306c)의 정보와, 제어신호 연결 관리기(306d)의 정보가 하나씩 추가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자원 관리기(306a)는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할당과 자원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제어신호 연결은 호 연결과는 다르게, 채널 설정 시점에 사용할 자원에 대한 명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자원의 가용 여부를 판단하여 자원의 사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필요한 자원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상태 관리기 장치(303)에서 수행되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도로써, 본 발명은 총 6개의 상태(IDLE, CALLING, CALLED, CONNECTING, CONNECTED, DISCONNECT)를 가지게 된다.
다음은 각각의 상태에 대한 설명이다.
아이들(IDLE)은 초기 상태 또는 호 연결과 제어신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콜링(CALLING)은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구를 받고 호 연결 요청을 한 상태이며, 콜드(CALLED)는 상태의 호 연결 요구를 받고 사용자가 연결을 허락한 경우 또는 상대에게 호 연결 요구를 한 후 상대가 연결을 허락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이고, 커넥팅(CONNECTING)은 제어신호 연결이 된 경우이며, 커넥티드(CONNECTED)는 제어신호의 연결 절차가 완료된 경우이고, 디스커넥트(DISCONNECT)는 호 연결 해제와 제어신호 연결 해제가 요청된 경우이다.
도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이루어지는 6개의 상태의 이행 제어는 다음과 같다.
(a). IDLE 상태(401)는 초기상태 또는 호 연결과 제어신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자신으로의 리턴(Return), CALLING 상태(402)나 CALLED 상태(403)로의 이행, 그리고 CONNECTING 상태(404)나 CONNECTED 상태(405) 또는DISCONNECT 상태(406)로부터의 이행(리턴)이 이루어진다.
(b). CALLING 상태(402)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구를 받고 호 연결을 요청한 상태로서; 자신으로의 리턴, IDLE상태(401)나 CALLED상태(403)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c). CALLED 상태(403)는 상태의 호 연결 요구를 받고 사용자가 연결을 허락한 경우 또는 상대에게 호 연결 요구를 한 후 상대가 연결을 허락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로서; 자신으로의 리턴, IDLE 상태(401)나 CONNECTING 상태(404)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d). CONNECTING 상태(404)는 제어신호 연결이 된 경우로서; 자신으로의 리턴, IDLE상태(401)나 CONNECTED 상태(405) 또는 DISCONNECT 상태(406)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e). CONNECTED 상태(405)는 제어신호의 연결 절차가 완료된 경우로서; 자신으로의 리턴, DISCONNECT 상태(406)로의 이행이나 IDLE상태(401)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f). DISCONNECT 상태(406)는 호 연결 해제와 제어신호 연결 해제가 요청된 경우로서; 자신으로의 리턴이나, IDLE 상태(401)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도5에 도시한 상태도에 따라 상태 관리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도5에 나타낸 총 6개의 상태 각각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a) 내지 (f)의 이행 제어의 수순을 각각 도6 내지 도15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이하, 도6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상기 도5의 각 상태에서의 보다 상세한 제어의 수순을 설명한다.
도6은 원격지와의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 즉, IDLE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제어의 수순이다.
IDLE 상태에서는 다음 상태로 진행하기 위한 사건은 원격지로부터 Q.931(206)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DMIF(203)에게 연결 확인 요청을 한 후, DMIF(203)로부터 연결에 대한 응답을 받고 H.245(205)에게 응답모드 설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CALLED상태로 변화가 된다.
다시 말하면 이 상태는 원격지로부터 연결 요청을 당하는 경우이다.
이와 반대로 지역에서 먼저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는 DMIF(203)가 연결을 요청하고, 원격지로 호 연결 요청이 성공한 경우 CALLED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각 과정을 진행하다가 실패한 경우에는 현재 까지의 과정을 모두 취소하고 IDLE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6에서 살펴보면, IDLE상태(601)에서 Q.931 호 메시지를 수신(602)하여 연결정보 관리기를 생성하고(603), 연결정보 관리기의 생성이 이루어지면(604) DMIF 연결 확인 요청을 수행하고(605), DMIF연결 응답을 수신하여(606) 응답을 받게 되면(607) Q.931 연결 요청을 수행하고(608), 연결 요청이 이루어지면(609) H.245 사용자 추가요청(응답모드)를 송신하고 CALLED 상태(611)로 변화된다.(원격지로부터 연결 요청을 당하는 경우에 해당).
그리고 이와 반대로 지역에서 먼저 요청한 경우에는, DMIF 연결요청에 응답하여(612) 연결정보 관리기를 생성하고(613), 연결정보 관리기 생성이이루어지면(614), Q.931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성공하면(615,616), CALLING 상태(617)가 된다.
그리고, 그 나머지의 경우 즉, 각 단계(604,607,609,614,616)에서 실패한 경우에는 현재 까지의 과정을 전부 취소하고 IDLE상태를 유지한다.
도7은 지역에서 원격지로 연결을 요청한 CALLING 상태에 대한 흐름도 이다.
여기서 DMIF로부터 연결 해제를 요청한 경우(701)와,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받은 경우(706)에는 IDLE상태(705)로 되돌아가고, 앞서 요청한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709)에는 CALLED 상태(711)로 진행된다.
즉, DMIF가 연결 해제를 요청한 경우(701)에는 Q.931의 연결해제를 요청하여 연결정보 관리기를 취소하고(703), DMIF에 연결해제 확인을 수행한 다음 IDLE상태로 진행된다(704,705).
또한,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받은 경우(706)에는 연결정보 관리기를 취소하고(707), DMIF에 연결해제 요청을 수행한 다음 IDLE상태로 진행된다(708,705).
그리고, 앞서 요청한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709)에는 H.245 사용자 추가 요청(연결모드)을 수행하고(710), CALLED 상태(711)로 진행된다.
도8은 도6의 IDLE 상태와 도7의 CALLING 상태에서 진행되어 올 수 있는 상태인 CALLED 상태에 대한 흐름도 이다.
이때에도 도7의 CALLING 상태와 같이 DMIF로부터 연결해제 요구를받거나(801∼804),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하게 되는 경우(806∼808)에는 IDLE상태(805)로 진행되고, H.245로부터 사용권을 받으면(제어신호 연결), H.245의 TCS(Terminal Capability Set), MSD(Master Slave Determination) 신호 절차를 요구하며 CONNECTING 상태로 진행된다.(809∼813).
그리고, 그 나머지의 경우 즉, 각 단계에서 실패한 경우에는 현재 까지의 과정을 전부 취소하고 IDLE상태를 유지한다.
도9는 H.245에서 필요한 절차인 TCS,MSD가 완료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로 H.245가 연결 상태로 되었다는 사건이 발생되면 CONNECTED 상태가 된다.
즉, H.245 연결상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901), DMIF에 연결확인을 요구하고(902), DMIF 가용능력 확인 요청후에 CONNECTED 상태가 된다(903,904).
이와 함께, CONNECTING 상태로부터는 H.245 사용자 제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905)나 H.245 사용자 제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906)에는 Q.931 연결해제의 요청과 연결정보 관리기의 취소 및 DMIF 연결해제 확인/요청을 수행하고 IDLE 상태로 이행하며, DMIF 연결 해제 요청 서비스 응답이 이루어 지는 경우(907)에는 Q.931 연결 해제요청, H.245 사용자 제거 요청 후에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며, Q.931 연결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908)에는 H.245 사용자 제거 요청후에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H.245 가용능력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909)에는 CONNECTING 상태로 이행한다.
도10은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전단계로 CONNECTED 상태이거나 CONNECTING 상태에서 IDLE 상태로 진행하기 위한 단계로서, DISCONNECT 상태에서의 흐름도이다.
이는 H.245의 제어신호 연결 종료를 위한 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로 제어신호 연결 종료 처리가 완료되면 IDLE상태로 진행한다.
즉, H.245 사용자 제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1001), Q.931 연결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1002), 연결정보 관리기를 취소하며(1003), DMIF에 연결 해제 확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IDLE 상태로 진행하며(1004), H.245 사용자 제거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1005), Q.931 연결 해제 요청(1006), 연결정보 관리기 취소(1007), DMIF 연결 해제 요청(1008)의 단계를 거쳐서 IDLE 상태로 진행하는 것이다.
도11 내지 도15는 CONNECTED 상태에 관한 흐름도로서, 도5에서와 같이 CONNECTED 상태(405)에서는 자신으로의 리턴이나, DISCONNECT 상태(406)로의 이행 또는 IDLE 상태(401)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11부터 살펴보면, H.245 사용자 제거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1101)에는 Q.931 연결해제 요청 메시지 송신, 연결정보 관리기 취소, DMIF 연결해제 요청 서비스 요구의 단계를 거쳐서 IDLE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DMIF 연결 해제 요청 응답의 경우(1102)에는 Q.931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 송신, H.245 사용자 제거 요청 메시지 송신을 거쳐서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Q.931 연결해제 메시지 수신의 경우(1103)에는 H.245 사용자 제거 요청 메시지 송신 후에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고, H.245 가용능력 확인 메시지 수신의 경우(1104)에는 DMIF 가용능력 확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CONNECTED 상태로이행하고, H.245 세션 종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1105)에는 DMIF 연결해제 요청을 수행하고 CONNECTED 상태로 이행한다.
도12에서는 DMIF 서비스의 시작의 요청과 응답, 그리고 H.245 서비스 연결요청과 확인에 관련된 수순을 보이고 있다.
즉, DMIF 서비스 시작 요청에 대한 서비스 요구 응답이 있는 경우(1201)에는 H.245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하며, H.245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1202)에는 DMIF 서비스 시작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하며, DMIF 서비스 시작 응답이 이루어지면(1203) H.245 서비스 연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하며, H.245 서비스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1204) DMIF 서비스 시작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한다.
도13에서는 DMIF 서비스 종료의 요청과 응답, H.245 서비스 해제의 요청과 확인에 관련된 수순을 보이고 있다.
즉, DMIF 서비스 종료 요청의 경우(1301) H.245 서비스 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서비스 해제 요청 메시지 수신의 경우(1302) DMIF 서비스 종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DMIF 서비스 종료 응답의 경우(1303) H.245 서비스 해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서비스 해제 확인 메시지 수신의 경우(1304) DMIF 서비스 종료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한다.
도14에서는 DMIF 채널 오픈 요청과 응답, H.245 채널 오픈과 확인에 관련된 제어의 수순으로서, DMIF 채널 오픈 요청의 경우(1401) H.245 채널오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채널오픈 요청 매시지 수신의 경우(1402) DMIF 채널 오픈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DMIF 채널 오픈 응답의 경우(1403) H.245 채널 오픈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채널오픈 확인의 경우(1404) DMIF 채널 오픈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한다.
도15에서는 DMIF 채널 닫기 요청과 응답, H.245 채널 닫기 요청과 확인에 관련된 제어의 수순으로서, DMIF 채널 닫기 요청의 경우(1501) H.245 채널닫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채널닫기 요청의 경우(1502) DMIF 채널닫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DMIF 채널닫기 응답의 경우(1503) H.245 채널닫기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H.245 채널닫기 확인의 경우(1504) DMIF 채널닫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 CONNECTED 상태로 이행(리턴)한다.
앞에서 설명한 도11 내지 도15에서는, 지역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연결 해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DMIF 연결 해제 요청 사건과 원격지로부터 연결을 종료하는 H.245 사용자 제거 요청, 그리고 Q.931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연결을 종료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12 내지 도15에서의 사건들은 상태의 변화를 주지 않는데, 이러한 사건은 서비스 시작, 종료에 관한 신호, 미디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열고 닫는데 필요한 신호 절차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향후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상의 주류를 이루게 될 통합 미디어 통신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 현재의 주류인 H.323과 앞으로 비약적인발전 가능성을 지닌 MPEG4 시스템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MPEG4 시스템은 또 하나의 표준인 H.323 과의 연동을 제공받게 되므로, 화상회의 제품 시장의 확장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발명을 단말기가 아닌 독립적인 네트워크 장치로 인식한다면 MPEG4-H.323 게이트 웨이(Gate Way) 등의 제품 개발이 가능하며, MCU(Multipoint Control Unit)같은 시스템으로 인식한다면 서로 다른 표준 단말기가 하나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4)

  1.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를 기반으로 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a). 상위의 응용 계층으로부터, (b). 동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압축부호화를 위한 MPEG4 시스템과, (c). 상기 MPEG4 시스템으로부터의 동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화상통신을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DMIF와, (d). 상기 DMIF 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DMIF신호를 DNI를 통하여 입력할 때, 상위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하위 계층의 H.323(H.245,Q.931)을 통하여 서비스하도록 메시지 및 신호변환을 수행하는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수단과, (e). 상기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수단과 연계되어 MPEG4 화상 회의를 위한 호 및 제어신호 연결을 담당하는 H.323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변환 및 연결관리 수단은; 고유한 DMIF 신호를 위한 DNI와 동일한 전달인자를 가지고 상위의 DMIF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DMIF로부터 입력된 서비스 요청과 하부 계층(H.245)(Q.931)으로부터의 확인 요청에 대한 입력신호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과,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및 접속처리에 관련된 상태의 이행제어와 서비스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수단과,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으로부터 동기화 되고 순서화된 서비스 입력에 대한 해석 및 상태관리를 통한 서비스 분배를 수행하는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과, 상기 연결 관리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H.245,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해 주는 제어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기와 연계하여, 호연결(Q.931)과 제어신호(H.245) 연결 관리를 수행함과 함께, 제어신호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의 관리를 수행하는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수단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 수단은; H.245, Q.931 과의 서비스 요청 및 응답,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서브모듈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관리기 인터페이스와 서브모듈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입력에 대하여 순서화시키고 상호배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큐와, 상기 입력 큐의 내용을 메시지 해석을 위하여 순차제공하는 큐 메시지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은; 상기 입력신호 동기화수단에 의해서 동기화되고 또 순서화된 메시지를 해석하여 제어신호 변환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메시지 해석수단 및, 상기 상태 관리수단의 제어를 받아 해당 서비스 모듈을 실행시키기 위한 서비스 분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리기 정보/자원관리 수단은; 제어신호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할당과 자원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자원관리수단과, 상기 메시지 해석 및 서비스 분배수단에 의해서 네트워크와 하위계층의 연결정보를 관리하는 연결정보 관리수단과, 상기 연결정보 관리수단에 의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호 연결을 관리하는 호 연결 관리수단과, 상기 연결정보 관리수단에 의한 MPEG4 화상회의를 위한 제어신호 연결을 관리하는 제어신호 연결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기재된,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IDLE, CALLING, CALLED, CONNECTING, CONNECTED, DISCONNECT의 6개 상태(States)를 가지고 화상통신 제어를 수행할 때,
    (a). IDLE 상태는 초기상태 또는 호 연결과 제어신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정의되고, (b). CALLING 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구를 받고 호 연결을 요청한 상태로서 정의되고, (c). CALLED 상태는 상태의 호 연결 요구를 받고 사용자가 연결을 허락한 경우 또는 상대에게 호 연결 요구를 한 후 상대가 연결을 허락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로서 정의되고, (d). CONNECTING 상태는 제어신호 연결이 된 경우로서 정의되고, (e). CONNECTED 상태는 제어신호의 연결 절차가 완료된 경우로서 정의되고, (f). DISCONNECT 상태는 호 연결 해제와 제어신호 연결 해제가 요청된 경우로서 정의되어; 각 상태에서의 조건에 따라 다른 상태로의 이행과 리턴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상태에서의 조건에 따라 다른 상태로의 이행과 리턴은; (a). IDLE 상태는 CALLING 상태나 CALLED 상태로의 이행, 그리고 CONNECTING 상태나 CONNECTED 상태 또는 DISCONNECT 상태로부터의 이행(리턴)이 이루어지고, (b). CALLING 상태는 IDLE상태나 CALLED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c). CALLED 상태는 IDLE 상태나 CONNECTING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d). CONNECTING 상태는 IDLE상태나 CONNECTED 상태 또는 DISCONNECT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e). CONNECTED 상태는 DISCONNECT 상태로의 이행이나 IDLE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f). DISCONNECT 상태는 IDLE 상태로의 이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IDLE 상태에서는; (a). 원격지로부터 Q.931 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DMIF에게 연결확인 요청을 한 후, DMIF로부터 연결에 대한 응답을 받고 H.245에게 응답모드 설정을 요구하는 경우에 CALLED 상태로 이행하고, (b). 지역에서 먼저 요청을 한 경우에는 DMIF가 연결을 요청하고 원격지로 호 연결 요청이 성공한 경우 CALLED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CALLING 상태에서는; (a). DMIF로부터 연결해제를 요청한 경우와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받은 경우 ILDE 상태로 이행하고, (b). 요청한 호 연결에 대한 응답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CALLED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CALLED 상태에서는; (a). DMIF로부터 연결해제 요구를 받거나 원격지로부터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IDLE 상태로 이행하고, (b). H.245 로부터 사용권을 받는 경우(제어신호 연결) H.245의 TCS 및 MSD 신호절차를 요구하며 CONNECTING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CONNECTING 상태에서는; (a). H.245가 연결상태로 되었다는 사건(Event)이 발생되면 CONNECTED 상태로 이행하고, (b). H.245로부터 사용자 제거와 호 해제 요청을 받는 경우 IDLE 상태로 이행하고, (c). DMIF 로부터 연결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DISCONNECT 상태에서는; (a). H.245의 제어신호 연결 종료를 위한 처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고, (b). 제어신호 연결 종료처리가 완료되면 IDLE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13.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CONNECTED 상태에서는; (a). 지역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연결 해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DMIF 연결해제 요청사건과, (b). 원격지로부터 연결을 종료하는 H.245 사용자 제거요청과, (c). Q.931 연결해제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연결을 종료하는 DISCONNECT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방법.
  14.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를 기반으로 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a). 상위 계층은 DMIF가 위치하고, (b). 하부 계층으로는 Q.931 및 H.245를 두고, (c). DMIF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 DMIF신호를 DNI를 통하여 입력할 때, 하부 계층에 위치하는 H.245와 Q.931을 통하여 MPEG4 화상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DNI와 동일한 전달 인자를 두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d).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H.245와 Q.931에 부합되는 신호의 서비스 요청인자로 변환하여 서비스 요청과 응답을 제어하는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 제어장치.
KR1020000002369A 2000-01-19 2000-01-19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31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69A KR100317300B1 (ko) 2000-01-19 2000-01-19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US09/764,119 US20010008413A1 (en) 2000-01-19 2001-01-19 Video conferen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based on MPEG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369A KR100317300B1 (ko) 2000-01-19 2000-01-19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609A KR20010073609A (ko) 2001-08-01
KR100317300B1 true KR100317300B1 (ko) 2001-12-22

Family

ID=1963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369A KR100317300B1 (ko) 2000-01-19 2000-01-19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10008413A1 (ko)
KR (1) KR100317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4651A1 (en) * 2005-06-07 2006-12-07 David Menar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stablishing links between communication channels
CN104717183A (zh) * 2013-12-13 2015-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统合监控系统、网关设备及其数据传输方法
CN109922299B (zh) * 2019-03-08 2021-04-09 随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云服务的硬件级联入会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08413A1 (en) 2001-07-19
KR20010073609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6674B2 (ja) 2点間マルチメディア・コールをブリッジ・マルチメディア・コールに変換するためのプロセス
US5652866A (en) Collaborative working method and system for a telephone to interface with a collaborative working application
Leung et al. A software architecture for workstations supporting multimedia conferencing in packet switching networks
US5719942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over a heterogeneous network between a source node and a destination node
US20020033880A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point video conference in video conferencing system
CN101115183B (zh) 辅流发送的控制方法、mcu、主席终端及视频终端
JPH10116193A (ja) 通話制御装置および通話を制御する方法
JPH09214488A (ja) 広帯域マルチポイントブリッジ用リソース管理システム
WO2016184001A1 (zh) 视频监控处理方法及装置
Heijenk et al.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ing multimedia multi-user applications
KR100317300B1 (ko) Ip 네트워크 상에서 mpeg4 기반의 화상회의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01155177B (zh) 基于共用协议的数据通道共享系统及方法
JPH1056513A (ja) 多地点接続ネットワークの構築方法
CN102457699B (zh) 远景呈现系统及其级联方法
CN112689118B (zh) 一种多屏网真终端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0283148B1 (ko) 단지점 화상회의 단말기를 통한 다지점 화상회의 시스템
CN112637542B (zh) 通话连接建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H1079927A (ja) 動画像通信方法およびその方法が適用されるビデオサーバ並びに動画像通信システム
KR100248264B1 (ko)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9781B1 (ko) 다자간 통신을 위한 다중 연결장치 및 방법
KR100307194B1 (ko)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및 컴포넌트 관리장치와 그 방법
KR100267378B1 (ko) 컴퓨터 그룹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9782A (ko) 멀티미디어 영상회의 기반 실시간 공동작업을 위한 cad문서회의 기능구현 및 그 방법
KR100272592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확장형 시스템
Bussey et al. Expanse software for distributed call and connecti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