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119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119B1
KR100317119B1 KR1019990059483A KR19990059483A KR100317119B1 KR 100317119 B1 KR100317119 B1 KR 100317119B1 KR 1019990059483 A KR1019990059483 A KR 1019990059483A KR 19990059483 A KR19990059483 A KR 19990059483A KR 100317119 B1 KR100317119 B1 KR 10031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aw material
unit
material m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991A (ko
Inventor
박해찬
김오복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전,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충전
Priority to KR101999005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19B1/ko
Priority to CNB001092553A priority patent/CN1136523C/zh
Priority to JP2000230262A priority patent/JP3371401B2/ja
Priority to RU2001107319/12A priority patent/RU2253899C2/ru
Publication of KR2001006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호스들이 엉키지 않아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팬덮게부재의 형상과 조립이 단순함은 물론, 판매싸이클이 단순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덮게부재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호스들이 엉키지 않아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팬덮게부재의 형상과 조립이 단순하게 하고, 또 컵의 이송거리를 짧게 하여 판매싸이클을 단순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케이스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된 컵디스펜서(120)에서 공급된 컵이 컵이송기구(150)에 의해 이동되면서 원료를 공급 받은 다음 컵이송기구의 상부에 설치된 원료믹싱기구(160)의 팬덮게부재를 통해 공급된 물과 함께 혼합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컵투출도어(210)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팬덮게부재(168)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원료믹싱기구(160)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A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스들이 엉키지 않아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팬덮게부재의 형상과 조립이 단순함은 물론, 판매싸이클이 단순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등을 자동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커피자동판매기의 일예로써는 일본국 특개공 평10-13426호에 의해 공개되어 있는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비넷본체(14)의 내측상부에 설치된 컵공급기구(5)의 컵슈터(5a,5b)를 통해 낙하되는 다양한 종류의 컵(6)이 도3의 ①과 ②의 위치에서 컵반송기구(20)의 컵받침대(21)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컵공급기구(5)의 뒤쪽에 설치된 원료상자(1)의 원료가 원료슈터(1a,1b,1c)를 통해 도 3의 ③과 ④ 및 ⑤의 위치에서 컵(6)으로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반송기구(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원료를 공급받은 컵(6)은 컵반송기구(20)에 의해 도3의 ⑥의 위치로 이송되어 온수조(2)와 냉수조(3) 및 제빙기(4)에 의해 급탕호스(2a)와 급수호스(3a) 및 얼음슈터(4a)를 통해 물과 얼음을 공급받은 상태로 원료교반기구(40)의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교반모터(41)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축(42)하단의 교반날개(43)가 컵(6)내부의 원료와 물 및 얼음을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교반날개(43)는 상기 승강구동부(4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팬덮게부재(45)에 의해 감싸여져 상기 컵(6)의 내부에서 교반할 때 혼합된 물이 컵(6)의 외부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상기 컵(6)에서 교반날개(43)가 상승하여 컵(6)이 컵반송기구(20)에 의해 도3의 ⑦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 상기 케비넷본체(14)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전면커버(15)에 형성된 상품취출구(16)에 설치한 상품취출커버(17)를 열고 컵(6)을 인출하게 된다.
이때 즉 컵(6)이 상기 컵반송기구(20)에 의해 도3의 ⑦의 위치로 이송될 때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소량의 온수와 냉수가 급탕호스(2a)와 급수호스(3a)를 통해 교반날개(43)로 공급됨과 더불어 교반모터(41)를 회전시켜 교반날개(43)를 세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컵받침대(21)는 또 다시 판매대기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8은 배수구(19)가 형성된 드레인받침대이고, 12는 상기 배수구(19)로 배수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드레인회수용기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는, 상기 원료교반기구(40)에 의해 교반모터(41)가 상하로 이동할 때 급탕호스(2a)와 급수호스(3a) 및 얼음슈터(4a)가 설치된 상기 팬덮게부재(45)가 상하로 이동되어 호스들이 엉키게 됨으로써 급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팬덮게부재(45)가 교반모터(41)와 함께 상하로 이동해야 하므로 조립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컵받침대(21)를 이송하는 컵반송기구(20)가 싸이클을 이루면서 ①,②,③,④,⑤,⑥,⑦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회동되어 판매싸이클이 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팬덮게부재가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물공급을 위한 호스들이 엉키지 않아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팬덮게부재의 형상과 조립이 단순하도록 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의 이송거리를 짧게 하여 판매싸이클이 단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내부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이송기구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료믹싱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이송기구와 원료믹싱기구가 받침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케이스본체 120: 컵디스펜서
140: 받침부재 150: 컵이송기구
151: 컵이송부 152: 컵배출부
153: 원료믹싱기구설치부 160: 원료믹싱기구
161: 브라켓 162: 구동부
163: 회전부재 164: 상하이송아암
165: 지지부재 166: 상하이송부재
167: 믹싱부 168: 팬덮게부재
168a: 팬덮게부재고정브라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된 컵이 컵이송기구에 의해 이동되면서 원료를 공급 받은 다음컵이송기구의 상부에 설치된 원료믹싱기구의 팬덮게부재를 통해 공급된 물과 함께 혼합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컵투출도어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팬덮게부재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원료믹싱기구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이송기구와 원료믹싱기구가 받침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스본체(100)의 일측전면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전면도어(2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내부에는, 온수를 보관하도록 된 급수통 (110)이 하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컵을 보관하도록 된 컵디스펜서(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컵디스펜서(120)의 하부에는 상기 컵디스펜서(120)를 통해 투출된 컵을 정위치에 이동시키도록 된 컵안내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안내부재(130)의 하부에는 본체케이스(10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부재(140)의 상부에 컵을 이송하기 위한 컵이송기구(150)와 원료를 물과 함께 혼합하기 위한 원료믹싱기구(1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급수통(110)의 상측에는 소정형상의 배수대(1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00)의 내부에는, 각각의 분말원료가 저장되도록 다수개의 원료통(300)이 상기 본체(100)의 중간부위에서 반원형상으로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이송기구(150)와 대면되는 상기 전면도어(200)의 소정부위에는 음료를 인출할 수 있도록 컵투출도어(2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통(300)의 후방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정수통으로부터 급수되는 정수를 냉각시켜 냉수를 보관하도록 된 냉수조(4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이송기구(15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에 컵디스펜서(120)로 부터 낙하하는 컵(C)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료를 받은 다음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판매하도록 이송하는 컵이송부(151)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컵이송부(151)에 의해 컵이 컵투출도어(210)쪽으로 이송할 때 컵(C)을 컵이송부(151)에서 이탈하도록 컵배출부(152)와, 상기 컵이송부(151)의 상부에 원료믹싱기구(16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에 원료믹싱기구설치부(15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컵이송부(151)는,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중앙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된 구동부(151a)와, 이 구동부(151a)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151b)과, 상기 구동부(151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구동부(151a)의 측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151c)를 일정위치에서 접단속하도록 설치된 이송캠(151d)과, 상기 브라켓(151b)과 이송캠(151d)에 일단부와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아암(151e)과, 이 아암(151d)의 타단에 힌지되어 상기 컵배출부(152)와 밀착되어 회동하면서 컵(C)을 파지 및 배출하도록 확경 및 복원되게 설치된 컵파지링크(151f)를 포함한다.
또 상기 컵배출부(152)는, 상기 컵이송부(151)의 아암(151e)과 컵파지링크 (151f)에 의해 이송되는 컵(C)을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컵파지링크(151f)의 하부로 돌출된 돌기가 걸려 확경시키도록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에 설치된 컵파지이탈부(152a)와, 이 컵파지이탈부(152a)에 의해 확경되었던 컵파지링크(151f)가 되돌아 갈때 컵이 컵파지링크(151f)에 의해 또다시 파지되어 되돌아 가지 못하도록 컵이 컵투출도어(210)쪽으로 올때는 함몰되었던 것이 돌출되게 설치된 컵복귀방지부 (152b)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152c는 상기 컵복귀방지부(152b)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151a)의 회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이고, 154는 보강부재이다.
또한 상기 원료믹싱기구(160)는, 상기 원료믹싱기구설치부(153)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브라켓(161)과, 이 브라켓(161)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부(162)와, 상기 브라켓(16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구동부(16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163)와, 이 회전부재(163)의 측면과 브라켓(161)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정각도내에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상하이송아암(164)과, 상기 브라켓 (161)과 평행하게 원료믹싱기구설치부(153)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재(165)와, 이 지지부재(165)에 형성된 장공(165a)에 안내되어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송부재(166)와, 이 상하이송부재(166)의 일측상부면에 설치되어 컵(C)에 수용된 물과 원료를 혼합하도록 설치된 믹싱부(167)와, 이 믹싱부(167)의 팬(167a)이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65)의 일측면에 고정된 팬덮게부재고정브라켓(168a)를 매개로 설치된 팬덮게부재(168)와, 상기 상하이송부재(166)가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부(162)를 정지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61)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169a,169b)를 포함한다.
상기 팬덮게부재(168)의 일측에는 냉수와 온수라인이 연결되어 팬덮게부재 (168)의 내부로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도록 노즐(168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의 판매가 인식되면 컵디스펜서(120)에서 한 개의 컵이 하측으로 투출됨과 더불어, 투출된 컵은 컵안내부재(130)에 의해 도7의 ①의 위치에 있는 컵이송기구(150)의 컵이송부(151)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원료통(300)으로 부터 원료가 공급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컵이송부(151)의 구동부(151a)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컵을 파지하고 있는 아암(151e)과 컵파지링크(151f)가 도7의 ②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도7의 ②의 위치로 컵이 이동된 것을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51c)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도시않된 제어부에서 인식하게 되면 상기 냉수조(400)를 통해 뜨거운물 또는 찬물이 공급된다.
이후 상기 원료믹싱기구(160)의 구동부(162)가 작동하면서 회전부재(163)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 회전부재(163)에 장공이 결합된 상하이송아암(164)이 도6에서 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지지부재(165)에 설치된 상하이송부재(166)를 하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송부재(166)의 일측면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69a)에 닿으면 상기 믹싱부(167)가 회동하면서 팬(167a)이 컵(C)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원료와 물을 일정시간 혼합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원료믹싱기구(160)의 믹싱부(167)가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162)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상하이송아암(164)가 도6의 상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상하이송부재(166)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송부재(166)의 일측면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69b)에 닿으면 상기 구동부(162)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컵이송기구(150)의 컵이송부(151)가 작동하게 되는바, 상기 구동부(151a)의 작동에 의해 아암(151e)과 컵파지링크(151f)가 회동되어 컵을 도7의 ③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7의 ③의 위치로 이동되기 직전에 상기 컵배출부(152)의 컵파지이탈부(152a)에 의해 상기 컵파지링크(151f)가 확경되면서 컵을 놓게 된 상태로 도7의 ③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상기 아암(151e)이 도7의 ③의 위치로 이동된 것을 상기 이송캠(151d)에 밀착된 마이크로스위치(151c)에 의해 제어부가 인식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151a)가 동작하여 이송캠(151d)을 회동시키게 되는바, 상기 이송캠(151d)과 브라켓(151b)에 회동되게 고정된 아암(151e)이 도7의 ①의 위치로 회동되어 판매대기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아암(151e)이 도7의 ①의 위치로 회동될 때 재차 컵파지링크(151f)에 의해 컵(C)이 도7의 ①의 위치로 되돌아 가지 않도록 컵이 도7의 ③의 위치로 이동할 때는 함몰되었다가 컵이 완전히 도7의 ③의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컵복귀방지부(152b)가 돌출되어 컵의 회기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컵이 상기 도7의 ②의 위치에서 ③의 위치로 이송될 때 상기 원료믹싱기구(160)의 믹싱부(167)에 구비된 팬(167a)으로 상기 팬덮게부재고정브라켓 (168a)를 매개로 설치된 팬덮게부재(168)의 노즐(168b)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사됨과 동시에 팬(167a)이 일정시간 회전되게 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세척된 물은 배수대(170)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팬덮게부재가 상하로 이송되지 않아 호스들이 엉끼지 않으므로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팬덮게부재의 형상과 조립이 단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에 원료를 받아 물과 함께 혼합하고 컵투출도어로 투출하는 경로가 간단하여 판매싸이클이 단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케이스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된 컵이 컵이송기구에 의해 이동되면서 원료를 공급 받은 다음 컵이송기구의 상부에 설치된 원료믹싱기구의 팬덮게부재로 공급된 물과 함께 혼합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컵투출도어쪽으로 이동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팬덮게부재가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원료믹싱기구의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기구는, 전면으로 회동가능하게 받침부재와, 이 받침부재의 상부에 컵디스펜서로 부터 낙하하는 컵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원료를 받고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판매하도록 이송하는 컵이송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컵이송부에 의해 컵이 컵투출도어쪽으로 이송할 때 컵을 컵이송부에서 이탈하도록 컵배출부와, 상기 컵이송부의 상부에 원료믹싱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원료믹싱기구설치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믹싱기구는, 원료믹싱기구설치부의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일측면에 설치된 구동부과,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측면과 브라켓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정각도내에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상하이송아암과, 상기 브라켓과 평행하게 원료믹싱기구설치부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장공에 안내되어 상하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송부재와, 이 상하이송부재의 일측상부면에 설치되어 물과 원료를 혼합하도록 설치된 믹싱부와, 이 믹싱부의 팬이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된 팬덮게부재고정브라켓를 매개로 설치된 팬덮게부재와, 상기 상하이송부재가 상사점과 하사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부을 정지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하측면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90059483A 1999-12-20 1999-12-20 자동판매기 KR10031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83A KR100317119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판매기
CNB001092553A CN1136523C (zh) 1999-12-20 2000-06-19 自动售货机的商品出售装置
JP2000230262A JP3371401B2 (ja) 1999-12-20 2000-07-31 自動販売機の商品販売装置
RU2001107319/12A RU2253899C2 (ru) 1999-12-20 2001-02-15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торгового автомата (вариант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83A KR100317119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91A KR20010064991A (ko) 2001-07-11
KR100317119B1 true KR100317119B1 (ko) 2001-12-24

Family

ID=1962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483A KR100317119B1 (ko) 1999-12-20 1999-12-20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1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991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390A (en) Ice maker assembly i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920001392A (ko) 컵식 자동판매기
WO2000076849A1 (en) Ice an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100317119B1 (ko) 자동판매기
KR100346816B1 (ko) 자동판매기
RU22538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торгового автомата (варианты)
JP7234689B2 (ja) 飲料供給装置
EP0330252B1 (en) Machine for express-type ice-cream production with an automatic cycle of ice-cream dispensing on cone
RU2317357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RU2580482C2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напитков
JP2001109951A (ja) カップミキシング式飲料自動販売機
KR200176799Y1 (ko)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JP2002251670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キャップ供給装置
KR200385347Y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
JPH05135275A (ja) カツ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2279520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H0451396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0122458Y1 (ko) 캔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KR100285712B1 (ko) 자동판매기
JPH06348949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H0637819Y2 (ja) 容器類洗浄機における容器類の押さえ装置
KR19980040446A (ko) 불량 컵 자동 폐기 구조의 자동 판매기
JPH08241460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排水機構
JP2002282720A (ja) 炊飯のための米処理機
JPH0460796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