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625B1 -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25B1
KR100316625B1 KR1019930019391A KR930019391A KR100316625B1 KR 100316625 B1 KR100316625 B1 KR 100316625B1 KR 1019930019391 A KR1019930019391 A KR 1019930019391A KR 930019391 A KR930019391 A KR 930019391A KR 100316625 B1 KR100316625 B1 KR 10031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ge water
bilge
oil
separa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925A (ko
Inventor
프랑크피셔
크누트드로홀라
하름뤼네부르크
Original Assignee
블롬+포스인두스트리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롬+포스인두스트리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블롬+포스인두스트리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4000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01D17/085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with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4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sludge, e.g. tank washing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분리조 (6)에서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빌지 물로부터 기름 성분이 분리된다. 미리 정화된 물만이, 다음의 정화를 위해, 분리조 (6)로부터 고분리 필터 (37, 38)에 보내지고, 고압하에서 필터 순환계를 계속 순환한다. 고분리 필터 (37, 38)의 상류측 표면에 농축된 빌지 물의 기름은 분리조 (6)로 반송된다. 분리조 (6)에서 상부면에 부유하는 기름은 펌프에 의해 배출된다. 시스템에서의 유체 속도는 저속으로 유지되고, 분리조 내부에서의 분리 프로세스가 유체의 유동에 의해 손상받지 않는다.

Description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되어 빌지 물(bilge water)을 기름과 물의 중력에 의한 분리작용에 의해 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름으로 오염된 빌지 물은, 주지된 바와같이, 그 자체 그대로는 펌프에 의해 선박 외부로 송출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미리 정화되어야만 하며, 환경(해수,육지의 수로망)에 버려져서는 아니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화시에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기름은 이 경우에 선택되는 중력작용에 의한 분리법에 의해서는, 간단히 만족할 정도까지 물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선 정화제로부터의 화학성분, 및 기계의 냉각수 및 부식 방지제로부터의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어, 물과 기름과의 에멀션의 형성을 촉진하여, 기름의 분리를 곤란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기름으로 오염된 빌지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중력작용에 의한 분리 법이 사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법은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소위, 정화수중에는 상당한 량의 기름성분이 검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허용될 수 있는 많은 비용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정화수준을 달성함으로써, 정화수가 바다에, 또는 육지의 수로함에 배출될 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분리조(복합조), 고분리 필터(모듈), 정화수조, 정화제조, 고체제거 필터 및 빌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빌지 6 : 분리조(복합조)
11 : 고체제거필터 36 : 순환 펌프
37, 38 : 고분리 필터 39 : 기름수집용 돔
40 : 가열장치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되어 빌지 물을, 펌프 및 모니터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에 속하는 조(槽)중에서 기름과 물의 중력에 의한 분리작용에 의해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빌지 물로부터 기름성분(油分)의 분리 후, 미리 정화된 물만이 이어지는 정화를 위하여 분리조로부터 고분리 필터로 보내진 후, 고압하에서 필터 순환계를 계속 순환시키고, 상기 고분리 필터의 상류측 표면에 농축된 빌지 물의 기름은 상기 분리조로 반송되며, 상기 분리조에서 상면에 부유하는 기름은 배출되며, 상기 시스템에서 유체의 속도는 저속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분리조중에서의 상기 분리 프로세스가 유체의 유동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정화프로세스에 있어서, 일정량의 빌지 물은 그 정화프로세스를 연속적으로, 즉, 예컨대 그 프로세스가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도 그 프로세스를 정지시키지 않고 진행시킨다. 기름이, 분리조의 상부에서 빌지 물로부터 분리되어 모이면, 즉시 본 발명에 따른 후속의 프로세스가 시작되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미리 정화된 빌지 물은 고분리 필터, 즉, 보다 높은 수준의 분리능력을 갖는 필터로 보내진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러한 빌지 물은 원하는 높은 수준의 정화가 달성되기까지, (고압하에서) 격리된 계내를 순환하여, 필터요소 중에서 더욱 정화된다. 필터상에 오염된 층으로서 형성되는 기름의 농축물은, 고체상태의 층을 이루는 통상의 「필터 케이크」가 형성되기 전에, 다시 분리조중으로 (마찬가지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분리조중에서, 아직도 잘 여과되지 않고 반송된 빌지 물로부터, 기름성분이 다시 상부로 표출되며, 정화되는 빌지 물로부터 기름이 연속으로 제거된다. 이를 위해, 분리조와 고분리 필터 사이에서 빌지 물이 순환하는 것만이 아니라, 고분리 필터가 형성하는 계의 내부에서의 순환이 존재한다.
고분리 필터에서 높은 수준의 정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터 순환계에서의 압력은 높게되며, 필터에는 처리되어야 할 매체가 압력을 가하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 프로세스는 방해받지 않도록 되어야한다. 그러므로, 시스템내에서 유체의 속도는, 빌지 물로부터 기름의 분리가 매체의 빠른 유동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유지된다.
정화프로세스를 끊임없이 진행시키기 위하여, 필터는 작동중에 정화되어 재생되며, 이와 동시에, 정화된 물은 필요한 고압하에서 공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큰 기름입자는 필터로부터 분리조로 반송된다.
정화프로세스를 보조하기 위해, 이같이 공급된 정화수에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상태에서, 정화제가 부가된다. 이 프로세스에 이어서, 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리조의 내용물이 고체제거필터를 통과된다. 여기서, 대충 정화된 빌지 물은 다시 분리조 또는 빌지 (bilge; 艙底) 로 보내진다.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과정을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방법의 원리는, 중력작용에 의한 분리와 그것에 계속되는 동적인 여과, 다시 말하면 고분리 여과의 조합이다. 이 여과는, 또한 교차류 여과(cross-current filtration)라고 지칭되며, 즉, 이러한 여과에 있어서, 정화된 물은 주요 유동에 대하여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배치된 막을 통과한다. 대응하는 장치는 본질적으로, 복합조, 정화수조 및 정화제조, 및 모듈장치 또는 막 장치로 되어있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닌다. 즉,
1. 큰 기름입자 및 고체의 분리
2. 정화전후에 모듈로부터 제거된 오수의 수용
3. 분리된 기름의 수집
4. 막 순환을 위한 저류조로서 사용되는 것.
필터모듈 하우징에는 다수의 막관(membrane tube)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막관의 내측에는, 매우 얇은 세라믹 코팅이 되어 있으면, 그 코팅이 실제의 막을 나타낸다. 기름과 물의 유탁액의 분리를 위하여, 이러한 시스템은 공업적으로 신뢰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왜냐하면, 이들 막은 고속의 유동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저하가 허용될 수 있다. 기름과 물의 유탁액은, 여과 프로세스에서, 다소간의 두꺼운 피복층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피복층의 형성은, 각각의 기름입자가 계속하여 보다 고밀도로 집적되며, 그 결과, 막 또는 피복층을 통과하는 수류(水流)에 대한 마찰이 점점 증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피복층의 두께를 얇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관 또는 막은 고속의 유동, 여기서는 평균 4 - 5 m/초의 유동에 노출된다.
보다 느린 유동과 함께 작동될 수 있는 다른 막 시스템 또는 모듈 시스템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기름성분 및 고체입자가 매우 강력하게 집적되어, 시스템이 즉시 폐색(閉塞)되어 버리는 결점을 지닌다. 이 경우, 소위 권선모듈, 플레이트 모듈 및 중공섬유모듈이 문제이다. 여기서, 관 모듈에서의 유체의 유동은 상대적으로 고속이며, 이것은, 기술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장치의 크기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속의 체적 유량을 발생시킨다. 수학적인 예로서, 여기서는, 50 - 100 m3/h(시간) 정도의 체적 유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것들의 필터모듈 또는 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물이 압력구배를 따라, 막에 침투하여, 막을 투과한다. 그 결과, 모듈 순환계 또는 막 순환계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포착되는 기름의 농도가 증대한다. 포착되는 기름의 농도가 증대함에 따라, 일정한 규칙성을 따라, 막을 투과하는 유량 또는 투과류는 감소한다. 이러한 막 여과의 목적은, 항상 압력 구배가 작고, 압력손실이 작은 경우에, 높은 여과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농도의 증대는 저지되며, 이를위해, 조, 저류조 또는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부터 새로운 유탁액이 공급되며, 모듈로부터 대응하는 량이 배출되도록 하여야한다. 이것은 통상적인 방식으로서, 배치법(batch process)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필터모듈은, 상대적으로 큰 수용조로부터 펌프에 의해 급수된다. 이 프로세스의 마지막에 있어서, 저류조에는 새로운 유체가 전혀 공급되지 않은 농축종료 프로세스가 항상 존재한다.
이 시스템은, 우선 복합조에서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야하므로, 다음의 사항에 기초를 두고있다. 즉, 50 - 100 m3의 큰 범위내에 있는 체적 유량이 복합조에서도 또한 발생하며, 이것에 이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급수되어야하는 체적 유량은 500 - 1500 l/h (시간)의 크기까지 감소되어, 복합조로부터 배출된다. 이것과 동일한 량의 물이, 대응하여, 필터모듈 순환계 또는 막 순환계로부터 다시 배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펌프가 필요하다. 이들 펌프는 모두 필터모듈 시스템에 고압이 걸릴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농축된 기름과 물의 혼합물 또는 유탁액은, 필터모듈로부터 복합조에 공급되며, 그리고 여기서, 조의 특징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분리된다. 감소된 유속을 위하여, 분리프로세스는, 높은 농도로, 예컨대 1 % - 2 %의 기름농도로 부유하는 기름이 기름수집용 돔내에 수집되며, 복합조중에서 항상 일정한 농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진행한다. 부유하는 기름은, 대응하는 빌지 펌프에 의해 빌지로 부터 다시 배출되어, 즉시 복합조로 공급된다. 큰 입자의 기름으로서 기름수집용 돔내를 상승한다. 그리고, 이 기름은, 막 순환계내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이것과 비교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종종 필수적인 수집조를, 이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왜냐하면, 막 시스템을 구비한 기름성분 분리장치는 실제로 종래의 분리장치와 완전히 교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복합조내에 도달한 고체도 또한 일반적으로 막에 포착된다. 이것은, 피복층 형성의 일부를 이루며, 따라서, 포착되는 고체의 농도가 지나치게 증대하지 않도록 배려되어야한다. 이것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막이 오염된 경우에는 세정이 필요하며, 다음의 방법이 취해진다.
1. 복합조가 여과에 의해 아이들링 운전되는 한, 대응하는 완충공간이 생긴다.
2. 정화수조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며, 모듈로부터 오염된 물이 배출된다. 목적은, 정화제가 막의 상면을 세정하지만, 액체중에 존재하는 내용물, 예컨대, 고체입자 및 기름입자에 대하여는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임.
3. 보다 높은 온도를 발생시키는 본래의 온도 프로세스.
4. 높은 온도에서 막으로부터 분리된 고체부분의 정화 후의 세정, 더욱이 이러한 고체부분은 다시 복합조로 보내진다.
복합조중에는 막으로부터 분리된 오염입자의 대부분, 및 빌지로부터의 오염된 고체부분만이 존재한다. 프로세스가 다시 개시되면, 이러한 오염입자는, 당연히, 즉시 막에 다시 집적되며, 그 결과 다시 세정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복합조에는 고체제거필터가 접속되어 있다. 고체제거필터는 고체를 대부분 제거하며, 물 또는 액상물(液狀物)을 복합조 또는 다른 조, 또는 빌지로 반송한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복합조종에 변함없이 존재하는 기름이 고체제거필터로부터 넘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다양한 안전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이것은 대응하여 설치되는 탐침(probe)에 의해 달성된다. 이 탐침은, 측정로드로서, 일정한 량의 기름이 고체제거필터중에 집적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작용을 한다.
여과중에, 기름은 막 시스템으로부터 복합조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센서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축적되는 기름의 상태가 검출되며, 층의 두께가 일정한 한계치에 이른 시기가 결정된다. 이에따라, 전술된 「일정농도의 유지」 가 달성된다.
정화수조 또는 정화수 완충조는, 전술된 기능을 달성하며, 필터모듈의 세정 또는 오염된 물의 배출을 위한 대응하는 투과량의 준비를 위하여 소용된다. 이를 위하여 선박에 탑재된 물 또는 해수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물에 설정되는 바와같은 청결도의 요구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소위 KI (콜로이드지표) 로 표시된다.
정화수조의 2가지 기능은, 시스템에 반대로 작용하는, 선박 외부의 가압 시스템의 접속이다. (투과)수가 막을 통과하여, 모듈순환계로부터 선박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물이 선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야하며, (막 순환계의 압력과 함께) 예컨대, 1 바의 부가적인 에너지가 초래된다. 이렇게 발생된 역압은, 통상의 투과 작용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강하게 작용한다. 막의 표면은, 현저히 확대되어야하며, 따라서, 물은 대응하여 완충조로 제거될 필요는 없다.
막 분리장치는 별개의 기름 분리장치와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예컨대 선박에 구비된 기름 분리장치는, 흡인동작 또는 가압동작에서의 사용에 따라, 필터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으며, 집적구(集滴具, coalescer)를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은 것 등으로 되지만, 표준적으로는, IMU393에 따라 빌지 경보기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즉, 한계치를 초과한 경우, 물은 다시 빌지내의 순환계로 보내진다. 여기서, 미리 설치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빌지 물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될 수 없는 물도, 동시에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프로그램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제어장치를 통하여 다른 기름 분리장치와 함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수집조가 존재하며, 동일한 특징을 갖는 장치에서 복합조가 생략되며, 정화수조 및 정화제조와 같은 요소만이 사용되며, 또는 복합조를 생략한 상태로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이 존재한다면, 변형이 가능하다.
모듈의 내용물의 가열에 의한 압력의 증대에 대한 안전대책으로서 다음의 것이 제안된다. 즉, 폐쇄된 계(系)에 있어서 정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사이에, 매우 효과적인 것은, 폐쇄 및 펌프의 에너지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고온이 얻어지며, 이것이 또한 고압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은 작은 감압 밸브에 의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복합조(復合槽)에서의 유량조절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이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본적인 모듈은, 소위 복합조이다. 이러한 복합조에 있어서, 통상의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에 의해 대충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그것과 동시에, 일정량의 매체가, 복합조로부터 모듈 정화 순환계에 공급되어, 이 순환계내를 순환한다. 순환된 매체는 복합조로 반송된다. 이러한 모듈 순환계에 있어서, 분리된 물은,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에 중요한 것은, 복합조로부터 배출되는 매체가 복합조의 전체용적에 비하여 대단히 적은 양이며, 순환된 매체의 복합조에의 공급이 매우 적은 유량을 발생시킴으로써, 그때마다 복합조에서는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유탁액(乳濁液)이 항상 보다 높은 수준으로 농축되고, 그것에 의해, 정화모듈이 항상 보다 큰 부하를 받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분리된 기름이, 어느 정도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모듈 유니트에서 정화된 물은, 처음부터 막(膜)에 대한 압력의 문제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모듈 유니트에서의 막이 일정한 수준까지 오염되면, 정화제조로부터 정화제가 그 순환계에 공급되어, 막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되어있으며, 그 정화제와 오염물과의 혼합물은, 복합조로 공급된다. 분리된 고체는, 다음의 정화 프로세스를 방해하므로, 고체제거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된다. 이를 위하여, 복합조의 내용물은, 고체제거필터를 통과하며, 고체 입자를 여과한 혼합물은, 빌지로 반송된다. 그곳으로부터 상기한 프로세스가 반복되며, 빌지 물은 다시 복합조에 공급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장치의 주요부는 분리조(6) 및 필터(37, 38)로 이루어져 있다. 필터는 고분리 필터이다. 분리조(6)에 있어서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가벼운 기름이 무거운 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소위 기름수집용 돔(dome; 39)내에 모인다.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저류조(貯留槽)에 공급된다. 빌지 물은, 선체의 깊숙한 위치에 있는 빌지(1)내에 모여 있으며, 그곳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분리조(6)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분인 고분리 필터(37, 38)는 필터요소, 소위, 모듈로 되어있다. 이 고분리 필터(37, 38)는, 분리조(6)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동시에 정화시키도록 기능한다. 또한, 기름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기름은 그리 간단히 효율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중력은 그 자체만으로는, 만족할만한 높은 수준의 정화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 필터(37, 38)는, 고분리 필터이며, 미소한 기름입자 및 그 이외의 오염물의 입자를 포착하기에 적절하고, 따라서, 필터의 하류측에는 고품질의 정화수가 생성된다.
고분리 필터(37, 38)는 세라믹 필터, 바람직하게는, 직렬로 배치된, 매우 얇은 세라믹의 코팅을 가한 관형의 모듈로 이루어진 필터이다. 그러나, 또한, 섬유(fiber)로 이루어진 필터이어도 좋다. 이들 필터는 막(膜)필터와 마찬가지로기능하며, 이 경우, 또한 매체는 주요 유동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도록 하여 필터요소를 통과한다. 필터(37, 38)는, 그 외에도, 당면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 필터는 그 자체로 1개의 순환계를 이루고 있으며, 필터 표면의 상류측의 다시 여과되어야 하는, 빌지 물은, 기름성분의 농축에 의해 필터 케이크가 형성되기 전에, 분리조(6)로 반송된다. 필터에 의해 포착된 것은, 큰 기름입자뿐만 아니라, 다른 오염성분도 포함하고 있다. 높은 수준의 여과 프로세스에 대하여, 필터모듈의 높은 수송저항이 극복되어야하는 것은 본질적이다. 그것은, 필터 순환계에서 매체에 고압을 미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이 경우, 직렬로 배치된 요소에 의한 매체의 순환이 고려된다. 그것을 위하여, 순환 펌프(36) 및 고압 펌프(35)가 설치된다. 이러한 처방에 의해, 필터 표면에 포착된 기름 및 그 이외의 오염성분은, 곧 다른 장소로 수용되는 고체 상태의 퇴적물로 되며, 그에따라, 필터 구멍의 막힘이 방지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필터 표면의 농축물은 분리조(6)로 반송되며, 그리고, 이러한 농축물은 항상 유동할 수 있다는 것이 전제되므로, 필요한 경우, 얻어진 정화수는, 정화수 조(51)로부터 필터로 다시 공급된다.
필터 표면의 세정은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하므로, 정화제가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정화제는, 정화제조(25)로부터 고분리 필터(37, 38)에 공급된다. 그 정화제의 정화작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세정수는 고분리 필터(37, 38)의 상류측의 가열장치(40)에서 가열되어야 한다.
고분리 필터(37, 38)의 필터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은,분리조(6)의 계의 내부에 배치된 고체제거필터(11)이다. 이러한 필터(11)에서는, 고분리 필터로부터 분리조(6)로 반송된 매체, 및 빌지(1)로부터 새롭게 공급된, 빌지 물로부터 고체가 포착된다. 이러한 경우, 매체는 그때마다 분리조(6)의 바닥으로부터 배출되어, 다시 고분리 필터를 통과하여 분리조 또는 빌지로 반송된다. 따라서, 오염 입자의 농축에 따라 고분리 필터에 가해지는 부하는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효율적인 작동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는 제어장치와 모니터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기름수집용 돔(39)에 모니터장치가 배치되어, 그 기름수집용 돔(39)에 수집된 기름의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탐침을 갖는 다른 모니터장치가 정화수조(51)에 배치되어, 필터 모들이 파괴될 경우 오염물에 대하여 정화수를 모니터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장치는 제어장치 및 경고장치와 함께, 전체적인 장치의 고장 발생시 전체적인 장치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정지시키고, 고장난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외측 동체; 상기 외측 동체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조 ; 상기 복수의 조중 하나에 배치되어 선박에 기계적 동력 및 전기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엔진 ; 상기 외측 동체를 통하여 상기 조들중 하나에 배치된 엔진과 연결되어 선박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펠러 장치 ; 상기 외측 동체내의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외측 동체내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물을 수집하기 위한 빌지로서,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물은 선박 내부의 오염물을 포함하는 빌지 ; 선박의 상기 복수의 조들중 하나에 배치되어 빌지 물을 처리하여 그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 장치 ; 상기 빌지로부터 프로세스 장치까지 빌지 물을 송출하기 위한 펌프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폐쇄된 순환계의 제 1 의 분리 장치 및 제 2 의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펌프장치 ;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펌프장치로부터 빌지 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발생시키며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을 더 분리하여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은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은 오염물을 포함하는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며 ;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까지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으로부터 오염물을 더 분리하기 위하여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의 일부를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로 반송하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의 표면을 포함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제 1 의 유동방향으로 통과사키는 통로를 위해 형성된 유동-관통조를 포함하여 ; 상기 유동-관통 조는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상기 제 1 의 유동 방향은 상기 조의 상기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은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종방향 크기는 상기 유동 관통 조의 상기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선박의 동체 내부에 조들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동체 내부의 낮은 위치에 배치된 빌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조들중 하나에 엔진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조들 중 하나에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의 일부를 정화하기 위한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를 지니도록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을 발생시키도록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을 더 분리하기 위한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를 지니도록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빌지로부터 상기 프로세스 장치에 물을 송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장치를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로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을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로 반송하기 위한 상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기계적 동력과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엔진을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스 장치의 상기 작동은,
    상기 빌지로부터 상기 펌프장치를 갖는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까지 빌지물을 송출하는 단계 ;
    상기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 조의 빌지 물의 상부에 오염물의 일부를 부유시키는 단계
    상기 빌지 물의 일부에 부유성 오염물을 제거하여 상기 중력작용에 의한 분리 조의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발생시키는 단계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게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의 일부를 상기 필터장치를 통과시켜,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의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단계 ;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로부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에서 상기 필터 장치를 통한 오염물의 통과를 저지하는 단계 ;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상에 오염물의 축적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전반에 걸쳐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상에 오염물의 축적을 저지하는 단계 ;
    오염물을 더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의 일부를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 반송하는 단계 ;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 전반에 걸쳐 상기 필터의 상기 종 방향으로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제 1 의 유동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2 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와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사이에서 제 1 의 속도와 제 1 의 유동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를 통하여 제 2 의 속도, 제 2 의 유동체적 및 압력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속도는 상기 제 1 의 속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 2의 압력은 상기 제 1 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 1 의 유동체적은 충분히 적어서,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의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의 일부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
    상기 압력은 상기 필터장치를 통한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강제하여,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필터 장치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강제하여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내로 정화제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화제는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의 축적을 지연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정화수조로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정화수조로부터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으로 필터를 역세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의 유동방향에 반대방향인 유동방향으로 반송시켜, 상기 필터 장치의 구멍으로부터 오염물의 축적을 정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 및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의 정화 중 상기 제2 의 분리장치내에 순환하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과 정화제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은 실질적으로 기름을 포함하며 ;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는 상부 및 수평 횡단면 영역을 지니며,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조는,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조 내부의 빌지 물 상부의 부유성 오염물을 송출하기 위한 제 3 의 펌프장치 ;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수집조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횡단면 영역을 지니며, 그 수평의 횡단면 영역은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의 수평 횡단면 영역 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되어 소정의 기름 체적에 대한 보다 두꺼운 기름층을 발생시키는 기름수집용 돔 ; 및
    상기 제 3 의 펌프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장치는 상기 기름수집용 돔 내부의 빌지 물의 상부의 부유성 기름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름층이 제 1 의 예정된 두께로 되면 상기 제 3 의 펌프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름층의 두께가 제 2 의 예정된 두께 이하로 되면 상기 제 2 의 펌프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의 예정된 두께는 상기 제 1 의 예정된 두께보다 더 작게되는 모니터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기름수집용 돔의 기름층으로서 기름을 수집하는 단계 ;
    상기 탐침장치로 상기 기름수집용 돔의 기름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
    상기 두께가 상기 제 1 의 예정된 두께로 될 때 상기 기름수집용 돔으로부터 기름을 송출하는 단계 ; 및
    상기 기름층의 두께가 상기 제 2 의 예정된 두께로 될 때 상기 기름수집용 돔으로부터 기름을 송출하는 것을 정지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빌지 물로부터 고체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유동 관통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동-관통 통로가 고체 재료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빌지로부터 직접 송출된 빌지 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방법은 부가의 펌프장치로 선박의 정화수조로부터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의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 1 의 표면을 지니는 2개 이상의 상기 유동-관통 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동-관통 조는 상호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
    상기 2개 이상의 유동-관통 조 각각을 상기 제 1 의 표면을 형성하는 필터 관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관은, 마이크로-세라믹 코팅으로 피복된 관과 섬유로 만들어진 관을 포함하며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수용하는 상기 정화수조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의 순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의 모니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모니터 장치는,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 ;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분의 부적절한 기름 농도 수준을 신호하기 위한 경보 장치 ; 및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상기 부적절한 양의 탐지시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의 모니터 장치로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의 순도를 모니터 하는 단계 ; 및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에서 부적절한 양의 기름이 탐지될 때 경보를 신호하는 단계와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에서 부적절한 양의 기름이 탐지될 때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단계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속도는 약 2-7m/s 범위의 속도를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유동 체적은 약 20-100m3/h의 유동체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4. 내부에 물을 수집하기 위한 빌지와 빌지 물을 처리하여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제 1 의 분리장치와 제 2의 분리장치를 포함하며 ;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 부분을 분리하기 위해 빌지로부터 빌지 물을 수용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며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로부터 상기 오염물을 더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수용하여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은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은 오염물을 포함하는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며 ; 상기 제 1 의 분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로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2 의 빌지 문 부분의 일부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으로부터의 오염물을 더 분리하기 위한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 반송하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중력작용에 의한 분리 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제 1 의 유동방향으로 통하는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의 통로를 위해 형성된 유동-관통 조를 포함하며 ; 상기 유동 관통 조는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상기 제 1 의 유동방향은 상기 조의 상기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표면은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종방향 크기는 상기 유동-관통 조의 상기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빌지로부터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까지 빌지 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의 빌지 물의 상부에 오염물의 일부를 자유롭게 부유시키는 단계 ;
    상기 빌지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제거하여,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조에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발생시키는 단계 ;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까지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통과시키는 단계 ;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에서 상기 필터 장치를 통한 오염물의 통과를 저지하여,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분리장치내의 제 2 의 빌지 물 부분으로 분리하는 단계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상의 오염물의 축적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필터 조의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필터장치의 제 1 의 표면 전반에 걸쳐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제 1 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제 2 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상에 오염물의 축적을 저지하는 단계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로부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
    오염물을 포함하는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의 일부를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반송시켜, 오염물을 더 제거하는 단계 ;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와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사이에서 제 1 의 속도와 제 1 의 유동체적으로 상기 빌지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제 2 의 속도와 제 2 의 유동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
    상기 제 2 의 속도는 상기 제 1 의 속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 2의 압력은 상기 제 1 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 1 의 유동체적은 충분히 낮게되어,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의 빌지 물로부터 오염물의 일부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5. 물에 잠기도록 형성된 외측 동체 ;
    상기 외측 동체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상기 외측 동체 내부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다수의 조를 포함하는 내측 동체 장치 ;
    프로펠러 ;
    선박의 상기 조들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기계적인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선박을 이동시키기 위한 엔진 장치 ;
    선박의 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측 동체와 상기 내측 동체 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그 내부에 물을 축적하도록 형성된 빌지 ;
    빌지 물을 상기 빌지 밖으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장치 ;및
    상기 빌지 물을 처리하여 그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프로세스 장치 ; 를 포함하는 선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펌프장치로부터 빌지 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빌지 물로부터의 오염된 부분을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의 분리장치로서,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조와 상기 빌지 물의 상부의 부유하는 요염물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조는 오염물의 일부가 상기 빌지 물의 상부에 자유롭게 부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의 분리장치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로부터 나머지 오염물을 분리하여, 제 1 의 빌지 물 부분과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의 분리장치로서,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은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은 오염물을 포함하는 빌지 물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의 분리 장치 ;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2 의 빌지 물의 일부를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 반송시켜, 상기 제 2 의 빌지 물 부분으로부터 오염물을 더 분리하기 위한 장치 ; 및
    상기 프로세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의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에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제 2 의 펌프장치로서,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상에 오염물의 축적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상기 제 1 의 표면 전반에 걸쳐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유동시키도록 형성된 제 2 의 펌프장치 ;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필터장치를 포함하며 ;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의 표면을 포함하며 ;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제 1 의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이 통과하는 통로에 대하여 형성되어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의 일부에 관통하는 오염물의 통과를 저지하며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는 제 1 의 유동방향으로 통과하는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의 통로를 위해 형성된 유동-관통-조를 포함하며 ;
    상기 유동 관통 조는, 상기 제 1 의 유동 방향이 상기 조의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되는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은, 상기 제 1 의 표면의 상기 종방향 크기가 상기 유동-관통-조의 상기 종방향 크기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종방향 크기를 지니며,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은 상기 필터의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의 표면 전반에 걸쳐 유동하며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은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제2 의 유동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의 유동방향은 상기 제 1 의 유동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며 ;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와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사이에서 제 1 의 속도와 제 1 의 유량 체적으로 상기 빌지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제 3 의 펌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의 펌프장치는 그 장치를 이동시키고 운반하기 위한 그 장치의 부분을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펌프장치는 상기 빌지 물을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를 통하여 제 2 의 속도와 제 2 의 유동체적 및 소정의 압력으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형성되며 ;
    상기 제 2 의 속도는 상기 제 1 의 속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 2 의 압력은 상기 제 1 의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
    상기 압력은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강제하여,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성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빌지 물의 상부에서 부유성 오염물을 송출하기 위한 제 4 의 펌프장치를 포함하며 ;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필터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의 축적을 완화하기 위한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제를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내로 도입하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정화수조 ;
    상기 정화수조로부터 상기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으로 상기 필터 장치를 역세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인 유동 방향으로 역 유동시키기 위한 제 5 의 펌프장치를 포함하는 역 세정 장치 ; 및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의 세정 중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내를 순환하는 세정제와 상기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오염물은 실질적으로 기름을 포함하며 ;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은 상기 제 1 의 분리장치와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며,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은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며 ;
    상기 중력에 의한 분리조는 상부와 수평횡단면 영역을 지니며, 상기 중력에 의한 분리조는,
    상기 중력에 의한 수집조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는 기름수집용 돔으로서, 그 기름수집용 돔은 수평한 황단면 영역을 지니며, 상기 기름수집용 돔의 수평한 횡단면 영역이 상기 중력에 의한 분리조의 수명한 횡단면 영역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게되어 특정 기름 체적에 대한 보다 두꺼운 기름층을 형성하는 기름수집용 돔 ;
    상기 제 4 의 펌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름수집용 돔 내부의 빌지 물의 상부에서 부유하는 기름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름층이 제 1의 예정된 두께에 이르면 상기 제 4 의 펌프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름층의 두께가 제 2 의 예정된 두께 이하로 되면 상기 제 4 의 펌프장치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 2 의 예정된 두께는 상기 제 1 의 예정된 두께보다 더 얇게되는 모니터 장치 ;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빌지 물로부터 고체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유동-관통 필터 ;
    빌지로부터 직접 오염된 빌지 물과 상기 중력의 작용에 의한 분리조로부터 상기 유동-관통 필터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모두를 유동시키기 위한 장치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리된 빌지 물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상기 정화수조로부터 물을 선박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제 6 의 펌프장치 ;
    상기 제 2 의 분리 장치의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 1 의 표면을 지니며 상호 연속적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상기 유동-관통조를 포함하며 ;
    상기 2개이상의 각각의 유동-관통조는 상기 제 1 의 표면을 형성하는 필터 관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관은, 마이크로-세라믹 코팅으로 피복된 관 및 섬유로 만들어진 관중 한가지로 이루어지며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정화수조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의 순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의 모니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모니터 장치는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와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부적절한 기름 농도를 신호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상기 부적절한 양의 탐지시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장치 ;
    상기 제 2 의 속도는 약 2-7m/s의 범위내의 속도를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유동체적은 약 50-100m3/h 범위의 체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 내로 정화제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화제는 상기 필터 장치의 상기 제 1 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의 축적을 지연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단계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정화수조로 유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정화수조로부터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으로 필터를 역세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을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2 의 유동방향에 반대방향인 유동방향으로 반송시켜, 상기 필터 장치의 구멍으로부터 오염물의 축적을 정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 및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의 정화 중 상기 제2 의 분리장치내에 순환하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과 정화제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필터장치를 통하여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강제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상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
    상기 오염물은 실질적으로 기름을 포함하며, 상기 기름의 일부는 빌지 물-기름 에멀션으로 존재하며 ;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는 상부 및 수평 횡단면 영역을 지니며,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조는,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조 내부의 빌지 물 상부의 부유성 오염물을 송출하기 위한 제 3 의 펌프장치 ;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수집조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의 횡단면 영역을 지니며, 그 수평의 횡단면 영역은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의 수평 횡단면 영역 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되어 소정의 기름 체적에 대한 보다 두꺼운 기름층을 발생시키는 기름수집용 돔 ; 및
    상기 제 3 의 펌프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장치는 상기 기름수집용 돔 내부의 빌지 물의 상부의 부유성 기름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 장치는, 상기 기름층이 제 1 의 예정된 두께로 되면 상기 제 3 의 펌프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기름층의 두께가 제 2 의 예정된 두께 이하로 되면 상기 제 2 의 펌프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의 예정된 두께는 상기 제 1 의 예정된 두께보다 더 작게되는 모니터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기름수집용 돔의 기름층으로서 기름을 수집하는 단계 ;
    상기 탐침장치로 상기 기름수집용 돔의 기름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
    상기 두께가 상기 제 1 의 예정된 두께로 될 때 상기 기름수집용 돔으로부터 기름을 송출하는 단계 ; 및
    상기 기름층의 두께가 상기 제 2 의 예정된 두께로 될 때 상기 기름수집용 돔으로부터 기름을 송출하는 것을 정지하는 단계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장치는 상기 빌지 물로부터 고체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유동-관통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유동-관통 통로가 고체 재료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빌지로부터 직접 송출된 빌지 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중력 작용에 의한 분리 조로부터 부분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방법은 부가의 펌프장치로 선박의 정화수조로부터 실질적으로 정화된빌지 물을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분리장치의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 1 의 표면을 지니는 2개 이상의 상기 유동-관통 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동-관통 조는 상호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
    상기 2개 이상의 유동-관통 조 각각을 상기 제 1 의 표면을 형성하는 필터 관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관은, 마이크로-세라믹 코팅으로 피복된 관과 섬유로 만들어진 관을 포함하며 ;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을 수용하는 상기 정화수조는 상기 제 1 의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의 순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의 모니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의 모니터 장치는,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장치 ;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분의 부적절한 기름 농도 수준을 신호하기 위한 경보 장치 ; 및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의 기름의 상기 부적절한 양의 탐지시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장치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의 모니터 장치로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실질적으로 정화된 빌지 물 부분의 순도를 모니터 하는 단계 ; 및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에서 부적절한 양의 기름이 탐지될때 경보를 신호하는 단계와 상기 정화수조의 상기 제 1 의 빌지 물 부분에서 부적절한 양의 기름이 탐지될 때 상기 프로세스 장치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속도는 약 2-7m/s 범위의 속도를 포함하며 ;
    상기 제 2 의 유동 체적은 약 20-100m3/h의 유동체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KR1019930019391A 1992-09-23 1993-09-23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16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31837A DE4231837C2 (de) 1992-09-23 1992-09-23 Verfahren und Anlage zum Reinigen von ölverschmutztem und emulgiertem Bilgewasser auf Schiffen
DE92-P4231837.8 1992-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25A KR940006925A (ko) 1994-04-26
KR100316625B1 true KR100316625B1 (ko) 2002-08-21

Family

ID=646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391A KR100316625B1 (ko) 1992-09-23 1993-09-23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88542A (ko)
JP (1) JP3479326B2 (ko)
KR (1) KR100316625B1 (ko)
CN (1) CN1102913C (ko)
DE (1) DE4231837C2 (ko)
GB (1) GB2270854B (ko)
NL (1) NL194640C (ko)
SE (1) SE51050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407604D1 (de) * 1994-10-14 1999-02-18 Zeppelin Silo & Apptech Gmbh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Fett und Öl aus tensidhaltigem Abwasser, Abscheideanlage und Einrichtung zum Spalten eines Emulsionsanteils in einer Abscheideanlage
US6342159B1 (en) 1997-01-29 2002-01-29 Ensolve Biosystems, Inc. Shipboard biomechanical oil water separator
US6129839A (en) * 1997-10-31 2000-10-10 Mains, Jr.; Gilbert L. Separation system for immiscible liquids
US5932091A (en) * 1998-01-22 1999-08-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ily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DE19810976B4 (de) * 1998-03-13 2004-05-27 Recosoil Recycl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industriellem Abwasser aus Druckereien
KR19990046484A (ko) * 1999-03-17 1999-07-05 배종언 한외여과막을이용한공기압축기유분함유응축수처리장치
HRP990385B1 (en) * 1999-12-14 2008-05-31 Španović Milli Process of the treatment and disposal of the ship bilge water
DE10102700B4 (de) * 2001-01-22 2006-04-27 Eberhard Rung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ölhaltiger Abwässer
US6616833B2 (en) 2001-04-18 2003-09-09 Gerard Lynch Ship-board system for decontaminating wastewater contaminated by firefighting operations
DE10126692B4 (de) * 2001-06-01 2007-08-09 Burmester, Hans Joachim Verfahren und Anlage zur Aufbereitung und Weiterverwertung von Bilgenwasser aus dem Schiffsbetrieb
ES2200682B1 (es) * 2002-01-25 2005-04-16 Facet Iberica, S.A. Separador de aguas hidrocarburadas emulsionadas fisica y quimicamente para sentinas de buques.
ES2270680B1 (es) * 2004-12-22 2008-03-16 Facet Iberica, S.A. Equipo separador de aguas hidrocarburadas emulsionadas fisica y quimicamente para sentinas de buques.
CN101654150B (zh) * 2009-09-17 2010-11-17 东台市东方船舶装配有限公司 船用油污水分离处理方法及其处理装置
CN102139969B (zh) * 2011-05-11 2012-10-10 上海膜达克环保工程有限公司 乳化油废水处理系统及其废水处理工艺
CN105092150B (zh) * 2015-06-08 2018-05-04 江苏方天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装置的快接式油污分离接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463A (en) * 1977-03-14 1979-02-13 Racor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means for oily water separation
US4315822A (en) * 1981-01-26 1982-02-16 Nelson Industri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9682A (en) * 1961-12-13 1964-04-21 Mcmullen Ass John J Propulsion arrangement for merchant ship
US3472765A (en) * 1968-06-10 1969-10-14 Dorr Oliver Inc Membrane separation in biological-reactor systems
DE2758555C2 (de) * 1977-12-23 1980-01-03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Zweistufiges Schaltgetriebe für den Antrieb eines Generators von einer Schiffsantriebsanlage
NL173140C (nl) * 1978-07-31 1983-12-16 Geurtsen Deventer Maschf Inrichting voor het scheiden van een mengsel van twee niet of onvolledig mengbare vloeistoffen van verschillend soortelijk gewicht.
US4426293A (en) * 1983-05-04 1984-01-17 Smith & Lov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water
PL140417B1 (en) * 1983-10-28 1987-04-30 Pomorsk Z Urzadz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water-oil mixtures
AU582936B2 (en) * 1985-12-06 1989-04-13 Memtec Limited Treatment of emulsions
JPH01148318A (ja) * 1987-12-04 1989-06-09 Toshiba Ceramics Co Ltd 固液分離装置
US5147125A (en) * 1989-08-24 1992-09-15 Viratec Thin Films, Inc. Multilayer anti-reflection coating using zinc oxide to provide ultraviolet blocking
US5149447A (en) * 1991-05-23 1992-09-22 Allied-Signal Inc. Creosote filtration system with a shell and tube type filtration device
GB2257375B (en) * 1991-07-06 1994-08-24 Domnick Hunter Lt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minant from water
US5207917A (en) * 1991-10-08 1993-05-04 Weaver Thomas J M Recycling and recovery of aqueous cleaner solutions
US5227071A (en) * 1992-01-17 1993-07-13 Madison Chemical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ily waste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463A (en) * 1977-03-14 1979-02-13 Racor Industries Inc Method of and means for oily water separation
US4315822A (en) * 1981-01-26 1982-02-16 Nelson Industri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31837C2 (de) 1994-11-10
DE4231837A1 (de) 1994-03-24
KR940006925A (ko) 1994-04-26
GB2270854A (en) 1994-03-30
GB9319533D0 (en) 1993-11-10
NL194640C (nl) 2002-10-04
NL9301639A (nl) 1994-04-18
US5388542A (en) 1995-02-14
GB2270854B (en) 1996-11-20
CN1087323A (zh) 1994-06-01
SE9303003D0 (sv) 1993-09-15
SE9303003L (sv) 1994-03-24
JP3479326B2 (ja) 2003-12-15
JPH06211184A (ja) 1994-08-02
NL194640B (nl) 2002-06-03
SE510503C2 (sv) 1999-05-31
CN1102913C (zh) 200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625B1 (ko) 선박에서 기름으로 오염되고 유탁화된 빌지 물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5372722A (en)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icrofiltration device
AU582936B2 (en) Treatment of emulsions
US5409613A (en) Recycling and recovery of aqueous cleaner solutions and treatment of associated rinse water
KR100225776B1 (ko) 막장치 및 막처리장치
KR102439657B1 (ko) 스크러버 배수의 정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염분 농도차 발전 시스템
US4850498A (en) Fluid decontamination system
EP007904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cross-flow filtration fluxes of liquids containing suspended solids
JP2007090212A (ja) バラスト水製造装置、これを搭載する船舶及びバラスト水の製造方法
KR20120095858A (ko) 반도체처리공정, 특히 화학적기계적연마공정에서 발생한 슬러리 함유 폐수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EP0332768A2 (en) Fluid decontamination process
CA12721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flux rate of cross-flow filtration systems
US4844804A (en) Fluid decontamination system
CN110872157A (zh) 处理液体的方法及设备
JPH0667456B2 (ja) 濾過装置
JP3359442B2 (ja) 油水分離装置
JPH11138163A (ja) 水中油乳濁液処理方法及び水中油乳濁液処理装置
JP3453695B2 (ja) 油水分離装置
JP3359448B2 (ja) 油水分離装置
JP2554494B2 (ja) 油水分離装置
JPH0731129U (ja) 油水分離装置
JP4089229B2 (ja) 油水分離装置
JPH09313900A (ja) 膜濾過装置
JPH1142402A (ja) 濾過装置
PL235467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regeneracji wody, zwłaszcza stosowanej do wymywania polimerowych płyt fleksograficzn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