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124B1 -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124B1
KR100316124B1 KR1019990044560A KR19990044560A KR100316124B1 KR 100316124 B1 KR100316124 B1 KR 100316124B1 KR 1019990044560 A KR1019990044560 A KR 1019990044560A KR 19990044560 A KR19990044560 A KR 19990044560A KR 100316124 B1 KR100316124 B1 KR 10031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guide
human body
las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648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김춘영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영,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filed Critical 김춘영
Priority to KR101999004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1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레이저치료기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여 인체의 혈관에 조사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가 개시된다. 레이저빔 안내장치는, 안내부재 및 안내부재를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가진다. 안내부재는 레이저치료기의 레이저빔 출력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안내홀을 가진다. 안내홀은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며, 이에 따라 안내홀을 통과한 레이저빔이 인체의 피부에 조사된다. 따라서, 환자의 정맥에 바늘을 삽입하지 않고도 혈관 내에 레이저빔을 적절하게 조사(照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Device for guiding a laser beam generated by a medical laser instrument}
본 발명은 레이저빔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치료기의 케이블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인체의 혈관 상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레이저빔을 혈관 내에 조사함으로써 혈액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혈액을 정화하는 레이저치료기, 즉, 정맥혈관내 레이저조사치료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치료기는 통상적으로 632.80nm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파장의 레이저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헬륨과 네온을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저치료기는 He-Ne 치료기로도 불린다. 레이저치료기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빔을 혈관에 조사함에 따라, 체내의 면역상태 조절, 다종의 효소 활성화 등과 같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치료효과는 이미 실험적으로 검증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치료기를 도시하고 있다. 레이저치료기(10) 내에는 632.80nm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빔발생기(도시되지 않음), 및 레이저빔발생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기(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치료기(10)의 전면에는 레이저빔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빔이 출력되는 한 쌍의 출력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치료기(10)의 상부에는 레이저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버튼을구비한 제어판넬(13)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어판넬(13)상의 제어버튼을 조작하여, 레이저치료기(10)의 동작여부, 레이저빔의 강도, 레이저빔의 발생시간, 또는 동작모드 등을 제어한다.
레이저치료기(10)의 출력단자(11)에는 유리섬유케이블(Glass Fiber Cable)(20)이 연결되어 있다. 출력단자(11)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빔은 유리섬유케이블(20)을 따라 전파된다. 유리섬유케이블(20)의 단부에는 연결단자(23)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단자(23)에는 바늘(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바늘(25)은 통상적인 링거액 주사시 사용되는 바늘(25)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그 사용방법도 링거액 주사용 바늘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 바늘(25)은 환자의 팔이나 손등의 정맥혈관 내에 삽입된 후, 테이프 등과 같은 보조용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팔이나 손에 고정된다.
바늘(25)이 환자의 혈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저치료기(10)가 동작하면, 유리섬유케이블(20)과 바늘(25)을 통해 환자의 혈관 내에는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혈관 내를 흐르는 혈액에 레이저빔이 조사됨에 따라, 환자의 혈액 내의 이물질이 정화되고 혈액 내의 적혈구 등과 같은 세포들이 활성화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망하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레이저치료기(10)를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정맥에 바늘(25)을 삽입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환자는 치료 중에 거동이 불편하게 되며, 또한, 혈관의 위치를 찾기가 용이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바늘(25)을 여러 번 삽입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레이저치료기(10)의 사용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바늘(25)이 혈관에 정확하게 삽입되여야 하므로, 레이저치료기(10)의 사용이 난해하며, 또한 레이저치료기(10)는 반드시 숙련된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서만 다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피부에 바늘을 삽입하지 않고도 혈관 내에 레이저빔을 적절하게 조사(照射)할 수 있는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치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 안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상면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이저치료기 20 : 유리섬유케이블
23 : 연결단자 30 : 레이저빔 안내장치
40 : 안내부재 45 : 안내홀
47 : 결합부 50 : 리드(lid)
60 : 결합부재 51 : 거울
70 : 고정밴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치료기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여 인체의 혈관에 조사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치료기의 레이저빔 출력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는 안내홀을 가지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안내홀을 통과한 레이저빔은 인체의 피부를 투과하여 혈관에 조사되게 된다.
상기 안내홀은,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고정밴드에 의해 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홀부, 및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고정밴드에 의해 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홀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홀 내에는, 상기 수평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수직홀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반사시키는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홀부는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피부의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상에는 상기 수직홀부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리드가 설치되며, 상기 거울은 상기 리드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밴드에는 벨크로(velcro)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고정밴드를 인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고무밴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밴드를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치료기 사용시 환자의 정맥에 바늘을 삽입하지 않고도 혈관 내에 레이저빔을 적절하게 조사(照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치료기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레이저치료기(10) 및 유리섬유케이블(20)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며, 또한 도 1에 도시된 각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 안내장치(30)를 도시하고 있다.레이저빔 안내장치(30)는 레이저빔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0), 및 안내부재(40)를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밴드(70)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재(40)는, 레이저치료기(10)의 레이저빔 출력 케이블(20)의 말단에 연결되는 결합부(47), 및 결합부(47)로부터 연장형성된 안내홀(45)을 가지고 있다. 결합부(47)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20)의 연결단자(23)에는 결합부(47)와 결합되는 나사부를 갖는 결합너트(2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결합너트(23a)가 결합부(47)에 체결됨에 따라, 결합부(47)가 케이블(20)의 연결단자(23)와 결합되게 된다.
안내홀(45)은 수평홀부(41)와 수직홀부(42)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홀부(41)는 결합부(47)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직홀부(42)는 수평홀부(4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부재(40)가 고정밴드(70)에 의해 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홀부(41)는 인체의 피부(80)에 대해 수평방향을 이루며, 수직홀부(42)는 피부(80)에 대해 수직방향을 이룬다. 또한, 수직홀부(42)는 수직방향으로 안내부재(4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그의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직홀부(42)를 통해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피부(80)의 부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안내부재(40)의 상부에는 수직홀부(42)의 상부개구를 개폐하는 리드(lid)(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드(50)의 하면에는 거울(51)이 설치되어 있다. 리드(50)에는 스크루공(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부재(40)에는 이 스크루공(53)에 대응하는 스크루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33)가 리드(50)의 스크루공(53)을 통해 안내부재(40)의 스크루공(43)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리드(50)가 안내부재(40)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리드(50)는 스크루(3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그 회동위치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홀부(42)의 상부개구를 폐쇄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홀부(42)의 상부개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안내부재(40)의 상면에는 걸림턱(49)이 형성되어 있으며, 리드(50)의 회동범위는 이 걸림턱(49)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50)가 수직홀부(42)를 폐쇄하도록 위치된 경우에는, 거울(51)이 정확히 수직홀부(42)와 일치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안내부재(40)의 상면은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약 45도로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거울(51)도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거울(51)은 안내홀(45)의 절곡된 지점에 놓이게 되며, 이에 따라, 수평홀부(41)를 통해 유입되는 레이저빔이 수직홀부(42)를 향해 절곡되도록 거울(51)에 의해 반사되게 된다.
안내부재(40)의 하면에는 결합부재(60)가 결합된다. 결합부재(60)는 원형평판상의 본체(61), 및 본체(61)의 상방에 돌출된 결합부(62)로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6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부재(40)의 수직홀부(42)의 하부영역에는 결합부(62)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60)의 결합부(62)는 안내부재(40)의 수직홀부(42)에 체결된다. 고정밴드(70)의 일 부위에는 결합공(75)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62)는 이 결합공(75)을 통해 안내부재(40)와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밴드(70)는 결합부재(60)에 의해 안내부재(40)에 고정되게 된다. 결합부(62)의 중앙 부위에는 결합부재(60)를 관통하는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홀부(42)를 향해 반사된 레이저빔은 이 관통공(65)을 통과하게 된다.
고정밴드(70)의 단부 영역에는 벨크로(velcro)(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크로(71)는 고정밴드(70)를 손이나 팔 등과 같은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는 고정밴드(70)를 팔에 감고 벨크로(71)를 이용하여 고정밴드(70)의 양 단부를 상호 부착시킴으로써, 고정밴드(70)를 용이하게 팔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 안내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고정밴드(70)를 이용하여 안내부재(40)를 팔이나 손 등과 같은 인체의 혈관(83)에 근접한 피부부위(8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연결단자(23)의 결합너트(23a)를 안내부재(40)의 결합부(47)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20)을 안내부재(40)에 연결시킨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50)를 회동시켜 수직홀부(42)를 개방시키고, 수직홀부(42)를 통해 혈관(83)이 보이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며,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이 일치되도록 안내부재(4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수직홀부(42)의 하부에 정확하게 혈관(83)이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리드(50)를 이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홀부(42)를 폐쇄하고, 레이저치료기(10)를 동작시킨다.
레이저치료기(10)에서 방출된 레이저빔은 케이블(20), 결합부(47), 수평홀부(41), 거울(51), 수직홀부(42), 및 관통공(65)을 거쳐 피부(80)에 조사되게 된다. 레이저빔은 피부(80)를 투과하여 혈관(83)에 조사되며, 이 조사된 레이저빔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치료효과를 얻게 된다. 레이저치료기(10)에서 방출되는 632.80nm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빔은 어느 정도 깊이의 피부(80)를 투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종래의 바늘(25)을 이용한 직접적인 혈관 내로의 레이저빔 조사 방식에 비해서 레이저빔의 치료효과는 떨어지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빔 안내장치(13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밴드(79)를 제외하고는 레이저빔 안내장치(130)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정밴드(70)의 일 부분이 고무밴드(79)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밴드(70)를 이용하여 안내부재(40)를 팔 등과 같은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할 때, 고무밴드(79)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밴드(70)의 일 부위만이 고무밴드(79)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고무밴드(79)는 고정밴드(70)상의 여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밴드(70)의 전부분을 고무밴드(79)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치료기(10) 사용시 환자의 정맥에 바늘(25)을 삽입하지 않고도 혈관 내에 레이저빔을 적절하게 조사(照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레이저치료기(10)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육안으로 정확한 혈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혈관에 레이저빔을 정확하게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레이저치료기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여 인체의 혈관에 조사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치료기의 레이저빔 출력 케이블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안내하는 안내홀을 가지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부재를 인체의 일 부위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안내홀을 통과한 레이저빔이 인체의 피부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고정밴드에 의해 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홀부, 및 상기 안내부재가 상기 고정밴드에 의해 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체의 피부에 대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홀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 내에는, 상기 수평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레이저빔이 상기 수직홀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반사시키는 거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부는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피부의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홀부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리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울은 상기 리드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에는 벨크로(velcro)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적어도 일 부분은 고무밴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안내장치.
KR1019990044560A 1999-10-14 1999-10-14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KR10031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60A KR100316124B1 (ko) 1999-10-14 1999-10-14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60A KR100316124B1 (ko) 1999-10-14 1999-10-14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8A KR20010007648A (ko) 2001-02-05
KR100316124B1 true KR100316124B1 (ko) 2001-12-12

Family

ID=1961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560A KR100316124B1 (ko) 1999-10-14 1999-10-14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481A (ko) * 2001-01-09 2001-07-13 박정환 레이저 치료기의 프로브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706A (en) * 1993-07-21 1997-08-05 Lucid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laser treatment system with electronic visualization of the area being treated
JPH105359A (ja) * 1996-06-26 1998-01-13 S L T Japan:Kk 生体組織のレーザ治療装置
JPH10155805A (ja) * 1996-07-29 1998-06-16 Mrc Syst Gmbh 定位レーザー外科手術方法
JPH10328199A (ja) * 1997-05-30 1998-12-15 Nidek Co Ltd レーザ治療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706A (en) * 1993-07-21 1997-08-05 Lucid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laser treatment system with electronic visualization of the area being treated
JPH105359A (ja) * 1996-06-26 1998-01-13 S L T Japan:Kk 生体組織のレーザ治療装置
JPH10155805A (ja) * 1996-07-29 1998-06-16 Mrc Syst Gmbh 定位レーザー外科手術方法
JPH10328199A (ja) * 1997-05-30 1998-12-15 Nidek Co Ltd レーザ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648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011A (en) Laser optic device and method
DK1334748T3 (da) Anordning til fotodynamisk terapi
JPH0780087A (ja) 顔面しわ除去装置
US4705036A (en) Hygienic attachments for therapy lasers
EP2394700A1 (en) Device for irradiating tissue
KR100316124B1 (ko) 레이저치료기용 레이저빔 안내장치
RU2114544C1 (ru) Гребень для волос
CN101305962B (zh) 一种微纳波导型激光针装置
JPH01181877A (ja) レーザ医療装置
US20070038274A1 (en) Circulation promoting laser irradiation device
KR20170096649A (ko) 가이드 레이저를 구비한 초음파 일체형 모듈
KR101842357B1 (ko) 온열 및 레이저치료기
KR20150102357A (ko) 레이저 전자기 융합 치료장치
JPH01141671A (ja) レーザ光照射医療装置
JPS6063068A (ja) 光線刺激治療装置
KR20200121995A (ko) 비가역적 전기 천공이 가능한 복강경 장치
KR200168290Y1 (ko) 혈관내 조사용 광섬유침
JPH04338474A (ja) 医療用レーザ装置
KR20200133066A (ko) 집속초음파 유도에 의해 광투과 깊이를 확보하는 광역학 치료 장치 및 초음파의 출력을 피드백 제어하여 광을 조사하는 방법
CN216855531U (zh) 一种多波长激光治疗仪
KR910000219Y1 (ko) 치과용 레이저 치료기
JPH05212131A (ja) レーザ治療装置
CN109953825A (zh) 一种皮秒激光理疗仪
RU20581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венной лазерной терапии
JPH0199573A (ja) 半導体レーザ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