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994B1 - 연속주조설비에서빌릿을유도하기위한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설비에서빌릿을유도하기위한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994B1
KR100314994B1 KR1019980703246A KR19980703246A KR100314994B1 KR 100314994 B1 KR100314994 B1 KR 100314994B1 KR 1019980703246 A KR1019980703246 A KR 1019980703246A KR 19980703246 A KR19980703246 A KR 19980703246A KR 100314994 B1 KR100314994 B1 KR 10031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et
continuous casting
plate segments
plat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275A (ko
Inventor
프리쯔-페터 플레쉬우취니히
Original Assignee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마리오 파텍
Publication of KR1999006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2Vertical casting and curving the cast stock to the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Dairy Product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설비, 특히 강으로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서 빌릿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설비는 주형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빌릿유도프레임을 가진다. 상기 빌릿은 상기 주형을 벗어난 후 간접적으로 열을 빼앗긴다. 상기 빌릿은 최소한 단면이라도 기체 매체를 통해 그 형태가 유지되고, 상기 빌릿의 인발방향으로 유도되며, 추가 냉각된다. 또한 상기 빌릿은 기계수단에 의해 한정된 방식으로 상기 빌릿유도프레임을 예정된 속도로 관통하여 이동된다. 이때 상기 빌릿은 가속되거나 제동을 받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주조설비에서 빌릿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슬래브 또는 코그 블룸(cog bloom)의 연속주조설비에서 빌릿은 상기 주형 아래에 배열되는 롤러들에 의해 규칙적으로 유도된다. 상기 롤러들은 냉각되지 않을 경우 최소한 대략 100 mm, 내부 냉각될 경우에는 최소한 대략 140 mm의 내경을 가진다. 슬래브폭이 최대 3.5 m가 가능한 슬래브-연속주조설비에서는 중간 베어링들을 가지는 분리된 롤러들을 사용한다.
냉각되지 않는 롤러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분사 냉각을 규칙적으로 이용한다. 상기 분사냉각은 제어되지 않은 빌릿냉각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빌릿표면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수반한다.
상기 롤러의 내경과 상기 슬래브의 폭이 함께 개개의 롤러들의 간격을 결정한다. 빌릿의 지지 및 빌릿의 벌징(bulging)을 특징짓는 크기로서 간주될 수 있는 상기 롤러들의 간격은 빌릿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빌릿의 벌징은 주조속도 및 상기 롤러들의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두께가 대략 200 mm인 표준 슬래브는 주조속도가 2.2 m/min인 반면에 두께가 대략 50 mm인 얇은 슬래브는 주조속도가 6 m/min이고, 이때 8 m/min의 주조속도를 얻고자 한다.
게다가 상기 주형으로부터 유출되어 응고될 때까지 얇은 슬래브의 빌릿셸(billet shell)들은 표준 슬래브의 빌릿셸에 비해 동일한 야금위치에서 훨씬 더 뜨겁다.
상기 롤러의 직경뿐만 아니라 상기 개개의 롤러들의 간격을 임의로 축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주조속도가 비교적 빠르면서 동시에 주조두께가 비교적 얇을 경우 상기 빌릿이 벌징되고, 이로 인해 손상되는 경향이 가속화되나 그리 현저하지 않다.
빌릿유도롤러들 이외에도 빌릿유도부재로서 판들이 개시되어 있다. EP 0 107 563 A1에는 상기 주형 아래에 배열되어있는 격자(grid)가 나타나 있다. 상기 격자의 비어 있는 공간에 의해 냉각제, 예를 들어 분사수가 빌릿표면에 부딪친다.
상기 부재들의 단점은 상기 빌릿과 상기 판들 사이에서 마찰력이 많이 발생하는 데 있다. 이밖에도 갇혀있는 물(connate water)에 의한 파손 및 폭발의 형태로 품질에 있어서 취약점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빌릿을 인발하기 위해서는 빌릿셸에 커다란 하중을 야기하는 커다란 인장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연속주조설비, 특히 강으로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서 빌릿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설비는 고정 주형 또는 이동(moving) 주형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빌릿유도프레임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속주조장치의 도면.
도 2는 상기 연속주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요면의 격벽을 가지는 판 세그먼트.
도 4는 미로형으로 배열된 파이프의 판 세그먼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수단을 가지고 빌릿을 마모가 적게 제조하여 고품질의 표면을 가능하게 하는 빠른 주조속도를 위한 유도부를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창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방법의 청구항 제 1항 및 장치의 청구항 제 5항을 특징짓는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빌릿은 상기 주형을 벗어난 후 상기 판 세그먼트들 및 상기 빌릿 사이에 위치하는 기체 쿠션(cushion) 위에서 미끄러진다. 상기 빌릿에 접촉하지 않는 냉각판들이 복사열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빌릿은 간접적으로 열을 빼앗긴다. 상기 빌릿 방향의 격벽에의 상기 판 세그먼트들의 적합한 구조를 통해 상기 빌릿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빌릿인발방향으로 유도하며, 상기 냉각판들에 의한 간접적인 열(복사)을 수용하는 것에 추가해서 유기(流氣)에 의해 냉각되는 질소를 바람직하게 기체 매체로서 사용한다.
활 모양의 설비에서 상기 빌릿은 다수의 만곡지점에 의해 휘거나 단조로운 커브에 의해 연속적으로 휜다. 세그먼트 및 일련의 세그먼트들의 기체막(gas flim)에 의해 각각 수행될 수 있는 작업은 하기 항목으로 구성된다:
- 연속주조유도부의 수직부와 수평부 사이의 빌릿유도부의 위치에 따른 무게비율의 함수에 의한 상기 빌릿의 지지
- 메니스커스(meniscus)와의 수직 간격의 함수에 의한 페로 정압(ferro static pressure)의 균형조절
- 빌릿의 만곡 및 방향조절
- 주조압연, 응고시 빌릿 두께의 감소
- 빌릿의 이송
또한 상기 빌릿유도-판 세그먼트들의 상부는 상기 빌릿(무게)을 수용하기 위한 어떠한 작업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이밖에도 상기 특별 작업들은 각각의 세그먼트들에서나 주형 유출부에서 빌릿유도부 말단까지의 야금길이(metallurgical length)에 의해 변화된다.
각각의 판 세그먼트 마다 다른 기능들은 세그먼트 고유의 구조 및/또는 기체 매체의 조절장치에 의해 압력 곱하기 질량으로 안정된다. 여기에서는 빌릿의 셸 두께의 종속성을 특별히 고려해야 한다. 상기 설비를 설계할 때에는, 상기 빌릿에 작용하는 유압작용이 측정되므로 상기 빌릿이 유도되고, 이송되며, -원한다면- 주조두께로 감소되지만 제어된 상태로 압축, 즉 바람직하지 않은 벌징에 의해 손상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동시에 상기 빌릿은 기계수단들(여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연속주조롤러들)에 의해 한정된 방식으로 상기 빌릿유도프레임을 예정된 속도로 관통하여 이동된다. 상기 롤러들은 이송 또는 바람직한 주조속도 및/또는 만곡과정 및 방향조절과정을 보조 및 담당 또는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주조속도의 안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상기 연속주조 프레임의 말단부에 배열되는 롤러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여기에서 상기 빌릿은 완전히 응고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체 흐름 및 연속주조롤러들에 의한 구동 에너지들은 임의로 서로의 에너지에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 상기 빌릿은 기체흐름에 의해 이송되고, 연속주조롤러들에 의해 기체흐름의 속도에서 표준속도로 제동된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은 실질적으로 냉각제를 바람직하게 유도하여 흡입하는중공 보디로 구성된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 내에는 상기 빌릿 쪽으로 기울어진 면에 분배도관들이 이루는 그물(net)이 형성된다. 상기 분배도관들에 의해 기체, 예를 들어 질소가 수송된다. 상기 분배도관들의 단면은 서로 연결되고, 집적도관들은 기체운반 스테이션에 이어진다. 상기 분배도관들의 개개의 노즐 개구부들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분배도 상기 유도부에서 이들의 위치에서 작동에너지에 상응하게 조절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상기 노즐개수 및/또는 노즐개구부의 개수가 세그먼트에서 야금길이 및 폭의 함수에 의해 변화된다. 이는 압력공급이 동일한 경우 상이한 기하학적 위치에서 상이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즐들은 수행능력이 상이하다는 의미에서 압력이 동일한 경우, 예를 들어 압력 시스템(세그먼트판, 공기압 쿠션) 마다 상기 주조방향의 가로뿐만 아니라 세로로도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하며 서로 독립적인 공기압 시스템들에 하나의 세그먼트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경사 예각(acute angle of inclination)에 상기 노즐들 또는 상기 노즐의 일부분을 주조방향에 둔다. 이는 상기 빌릿의 이송을 보조하기 위함이다. 빌릿이송 보조는 상기 주조속도를 안정시키고 보조하며, 상기 판 세그먼트들 사이에 배열되는 롤러 쌍들의 작업량(expenditure of work)이 줄어들게 한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은 상기 빌릿과 최소한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립(lip) 사이에서 기체가 한정된 누출을 허용하는 최소한 가장자리에서 빌릿표면과의 간격을 가진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은 엑츄에이터들, 예를 들어 피스톤-실린더-유닛들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유닛들을 가지고 상기 판 세그먼트와 빌릿의 간격 및이로 인한 기체누출이 예정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빌릿 쪽으로 기울어진 격벽은 형태 및 재료면에서 복사열의 최대치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판 세그먼트의 냉각 케이스 내의 냉각수를 통해서 열을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비교적 얇은 격벽두께의 동(銅)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 상기 빌릿 쪽으로 기울어진 판 세그먼트의 격벽의 두께가 변형된다. 자세히 말하면 상기 두께는 상기 판의 주축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또한 상기 빌릿 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세그먼트의 격벽은 내마모성 보호층, 예를 들어 니켈 및/또는 크롬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하나의 형태로, 상기 판 세그먼트는 미로형으로 배열되는 파이프들로 구성되고, 이들의 접선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도관들이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 도관에 의해 냉각수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빌릿으로부터 가능한 한 많은 양의 복사열을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빌릿의 안정적인 중심운행을 위해서, 상기 빌릿 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판 세그먼트들의 격벽에 빌릿 이송방향으로 요면(凹面)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의 요면의 크기는 요면 주형에서 시작되어 첫 번째 세그먼트에서 상기 빌릿유도부의 모든 세그먼트들을 거치면서, 예를 들어 상기 빌릿유도 프레임의 말단부까지 또는 상기 빌릿의 완전응고 상태까지 얕은 요면 또는 평평한 표면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행한 슬래브 또는 원하는 요면의 프로필을 가지는 슬래브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공기압 작업 프로필도 상기 세그먼트의 폭에서 예를 들어 상이한 구멍크기에 의해 예정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상기 판 세그먼트의 중간에서 상기 빌릿의 멤브레인 작용이 적합하기 위해서는 공기압 작용이 비교적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빌릿은 이 중간에서 보다 가장자리, 즉 모서리에서 더 내구성이 크다.
이밖에도 빌릿의 두께가 예정될 경우 안으로 장입된 공기압 작용은 개구부 또는 상기 판 세그먼트들의 폐쇄부에 의해 압력이 동일할 때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작용값은 슬래브의 두께가 예정될 경우 상부 또는 하부의 판 세그먼트들의 간격에 의해서 예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빌릿은 원하는 주조속도로 연속주조기에 의해 공기압으로 이송된다. 상기 연속주조롤러들의 모터들은 추가 작업을 통해 정확한 표준 주조속도로 안정시키는 일을 담당한다. 이송(모터구동) 또는 롤러들은 발전기(generator)의 구동시 움직여서 상기 슬래브를 원하는 표준속도로 제동한다. 상기 모터에 의한 흐름이 예정된 한계를 넘으면 공기압으로 기본속도를 수정한다.
상기 앞에서 제시된 방법 및 장치를 통해 하기 사항들이 달성된다:
- 상기 빌릿은 주조속도가 최대 10 m/min일 때에도 벌징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손상되지도 않고,
- 상기 빌릿은 직접 수냉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 불활성 기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빌릿의 산화를 방지하고,
- 최소한의 면적율(area ratio) 손상과 함께 단계적 만곡과 방향조절이 가 능하고,
- 응고 과정중 단계적 주조압연과 이로 인한 상기 빌릿의 두께 감소가 가능 하고,
- 회전하는 기계부재는 전혀 없으며 하기하는 장점을 가짐
○ 이로 인해 기계의 최소한의 마모가 허용되고,
○ 냉각된 소위 격자의 분사수에 비해 주조 안정성이 크며,
○ 예를 들어 롤러들로 구성된 연속주조 유도프레임의 경우와 여 기에서는 특히 빠르게 주조하는 매우 커다란 슬래브설비, 특 히 얇은 슬래브설비에서의 경우와 같이 상기 빌릿을 이송하는 데 어떠한 기계적 제약도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되는 도면에 나타나 있다.
도 1은 턴디쉬 11을 가지는 연속주조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턴디쉬로부터 액상 금속이 침지관 13을 통해 주형 12 안으로 유도된다. 상기의 경우에서 연속주조장치는 슬래브 B를 제조하기 위한 활 모양의 연속주조설비이다. 상기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 빌릿은 빌릿셸 W로 둘러싸면서 수직을 향하는 주형 12로부터 인발된다. 상기 주형 12 아래에는 롤러들 21이 있다. 상기 롤러들은 롤러 구동기 22에 의해 구동되고, 개개의 판 세그먼트들 31로 구성되는 판들 30으로 유도부를 형성한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은 상기 슬래브 B의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다. 상기 개개의 판 세그먼트들 31 사이에는 상기 롤러들 21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롤러 구동기들 22는 측정 및 조절장치 23과 연결된다.
상기 빌릿을 유도하고 이송하는 롤러들 21 및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을 하우징 61이 둘러싼다. 상기 하우징 61은 기체의 정유도를 위한 도관들 62 및 역유도를 위한 도관들 63을 통해 기체 냉각장치 64 및 기체 정화장치 65와 연결된다. 상기 기체도관 62 안에는 기체운반 스테이션 49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운반 스테이션에 의해 기체집적도관들 46을 거쳐 개개의 판 세그먼트들 31로 기체가 운반된다.
개개의 판 세그먼트들 31의 냉각을 위해 냉각제가 공급도관 72를 거쳐 펌프 71을 통해서 흡입되어 상기 개개의 판 세그먼트들 31에 공급되고, 역공급도관 73을 거쳐 역유도된다.
도 2는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 및 상기 슬래브 B를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을 가지는 연속주조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은 판들의 간격 유지를 위한 피스톤 실린더장치 51에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냉각제는 상기 도관 72에 의해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로 공급되고, 상기 도관 73에 의해 역유도된다.
기체공급을 위해서 외부영역에서는 상기 집적도관 46 및 상기 분배도관 45에 의해, 중간영역에서는 공급을 위한 분배도관 43에 의해, 그리고 마찬가지로 사이 영역의 공급을 위한 분배도관들 44에 의해 기체가 출구들 42를 통해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과 슬래브 B 사이의 중간챔버 안으로 운반된다.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은 상기 슬래브로 기울어진 면에 립 34를 나타낼 수 있는 격벽 32를 가진다.
상기 슬래브 B는 빌릿셸 W를 가지고, 상기 빌릿셸 내에는 액상 금속으로 된 크레이터 S가 존재한다.
도 3은 상기 판 세그먼트들 31의 다른 단면도 A-A를 나타내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슬래브 B 쪽으로 기울어진 격벽 32는 요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의 상부에서는 상기 격벽 32는 이중벽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슬래브 B에 직접 배열되는 판 35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서 동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동판 35는 이때 내마모층 36, 예를 들어 니켈 또는 크롬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격벽 32는 상기 도면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립 34를 나타낸다. 상기 격벽 32의 격벽두께 d는 중간영역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도관 43 및 홀(hole) 41에 의해 기체가 출구들 42 쪽으로 공급된다.
상기 슬래브 B는 상기 빌릿셸 W를 가지고, 상기 빌릿셸은 상기 크레이터 S를둘러싼다. 상기 슬래브 B는 중간영역에 재보링부(reboring)를 나타낸다.
도 4에는 하나의 판 세그먼트 31이 나타나 있고, 상기 판 세그먼트는 미로형으로 배열된 파이프 38로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는 공급도관 72 및 역공급도관 73과 연결된다. 접선 39에서 상기 분배도관들 43, 44, 45는 상기 슬래브 B 쪽으로 기울어진 면에서 바로 끝난다.
상기 도면의 하단에는 단면도 B-B가 나타나 있고, 여기에서 상기 파이프들은 상기 접선 39에서 기밀(氣密)하게 연결되고, 상기 분배도관들 43,44, 45가 마모될 경우에만 간접적으로 접한다. 상기 분배도관들의 출구들 42는 상기 판 세그먼트 31 및 상기 슬래브 B 사이의 공간에 나타난다.
- 위치 리스트 -
연속주조주형
11 턴디쉬
12 주형
13 침지관
빌릿유도 프레임
21 롤러
22 롤러 구동기
23 측정 및 조절장치
30판들
31 판 세그먼트
32 격벽
33 중간영역 판지
34 가장자리 립
35 동판
36 내마모층
38 미로형으로 배열된 파이프
39 접선
기체공급
41 홀
42 출구
43 중간 분배도관
44 사이 분배도관
45 외부 분배도관
46 공급 집적도관
49 기체운반 스테이션
판들의 간격
51 수단, 피스톤 실린더장치
덮개
61 하우징
62 정방향 도관
63 역방향 도관
64 기체 냉각장치
65 정화장치
수냉각
71 펌프
72 공급도관
73 역공급도관
74 냉각수 수용조
B 슬래브
S 크레이터
W 빌릿셸
d 격벽두께

Claims (17)

  1. 주형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빌릿 유도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속주조설비, 특히 강으로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서 빌릿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빌릿은 형태를 유지하고, 빌릿 이송방향으로 유도되고, 기체에 의하여 냉각되며,
    상기 빌릿은 상기 주형을 벗어난 후 이 빌릿에 접촉하지 않는 냉각핀들에 의하여 복사열이 수용됨으로써 간잡적으로 열을 빼앗기며,
    상기 기체의 흐름은 연속주조속도에 영향을 주도록 빌릿 표면 위를 향하고,
    상기 빌릿은 기계수단 즉, 연속주조롤러(21)에 의해 한정된 방식으로 상기 빌릿 유도프레임을 미리 설정된 속도로 관통하여 이동되며, 이때 상기 빌릿은 가속되거나 제동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릿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매체는 질량 및 압력과 관련하여 빌릿셸의 두께에 따라 예정 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릿의 두께는 최소한 하나의 판 세그먼트의 주형 유출부에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빌릿의 표면에 걸쳐지는 롤러들 및 홀이 구비된 판들을 가지는 빌릿유도프레임이 주조방향으로 이어지는 주형 및, 상기 빌릿표면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들을 가지는, 제 1항에 의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빌릿, 특히 강으로 얇은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연속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들(30)은 세그먼트들(31)로 나뉘고,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에 롤러들(21)이 형성되고,
    상기 판 세그먼트들(31) 내에는 상기 빌릿(B) 쪽으로 기울어진 면에 분배도관들(43, 44, 45)이 이루는 그물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도관들에 의해 기체 매체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분배도관(43, 44, 45)의 단면들은 서로 연결되고, 집적도관들(45)에 의해 기체운반 스테이션(49)에 이어지고,
    상기 분배도관들(43, 44, 45)의 출구들(42)이 상기 빌릿(B)의 이송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상기 빌릿(B) 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판 세그먼트(31)의 격벽(32) 안으로 장입되고,
    상기 빌릿(B) 쪽으로 기울어진 격벽(32)을 형태 및 재료에 있어서 상기 빌릿셸(W)로부터 복사열을 최대로 운반 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은 최소한 가장자리(34)에서 상기 빌릿표면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간격은 기체 매체의 한정된 누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내마모층이, 니켈,크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상기 빌릿(B) 쪽을 기울어진 격벽(32) 위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은 미로형으로 배열되는, 냉각제가 관류하는 파이프들(38)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들의 접선들(39)에서 상기 분배도관들(43,44,45)이 파이프 가이드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들의 간격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빌릿(B)에 대하여 변형시킬 수 있는 수단들(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이 쿠션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 세그먼트들은 가장자리에서 상기 슬래브(B)로 부터의 기체 매체 및 열 손실에 영향을 주는 립(34)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의 격벽(32)의 두께(d)는 상기판의 주축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의 상기 빌릿(B) 쪽으로 기울어진격벽(32)은 상기 빌릿(B) 이송방향으로 요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2)의 요면의 크기는 상기 빌릿(B) 이송방향으로 감소되어 상기 판 세그먼트들(31)을 나타내는 빌릿유도 프레임의 단부에서는 제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2.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들(51)은 상기 주형(12) 다음의 첫 번째 판 세그먼트(31)의 첫 번째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한 엑츄에이터 들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 내의 상기 분배도관들(43, 44, 45) 개수는 빌릿셸 두께의 멤브레인 작용을 고려한 상태에서 야금길이의 함수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31) 내의 상기 분배도관들(43, 44, 45)의 내경은 압력이 동일하게 공급될 때 상기 판 세그먼트의 기하학적 위치에 따라 예정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야금길이의 함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 사이에 배열된 롤러들(21)은 조절 가능한 롤러 구동기(22)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 구동기에 의해 상기 롤러들의 회전속도 및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세그먼트들(31), 상기 롤러들(21) 및 상기 빌릿(B)은 도관시스템(62, 62)에 의해 기체냉각장치(64) 및 정화장치(65)와 연결되는 하나의 하우징(61)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시스템(62, 63)은 기체, 예를 들어 질소가 정화 및 냉각된 후 압축기에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장치.
KR1019980703246A 1995-11-03 1996-10-25 연속주조설비에서빌릿을유도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314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2180.9 1995-11-03
DE19542180A DE19542180C1 (de) 1995-11-03 1995-11-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ühren von Strängen einer Stranggießanlage
PCT/DE1996/002080 WO1997016272A2 (de) 1995-11-03 1996-10-2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ühren von strängen einer stranggiess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275A KR19990067275A (ko) 1999-08-16
KR100314994B1 true KR100314994B1 (ko) 2002-02-28

Family

ID=777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246A KR100314994B1 (ko) 1995-11-03 1996-10-25 연속주조설비에서빌릿을유도하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10047857A1 (ko)
EP (1) EP0858374B1 (ko)
JP (1) JP3130051B2 (ko)
KR (1) KR100314994B1 (ko)
CN (1) CN1081499C (ko)
AT (1) ATE186664T1 (ko)
AU (1) AU711139B2 (ko)
BR (1) BR9611287A (ko)
CA (1) CA2236584A1 (ko)
CZ (1) CZ136898A3 (ko)
DE (3) DE19542180C1 (ko)
MX (1) MX9803433A (ko)
PL (1) PL181817B1 (ko)
RU (1) RU2147262C1 (ko)
TR (1) TR199800775T2 (ko)
UA (1) UA43431C2 (ko)
WO (1) WO19970162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6026B (de) * 1998-03-25 2000-01-25 Voest Alpine Ind Anlagen Stranggiessanlage zum kontinuierlichen giessen eines dünnen bandes sowie verfahren hierzu
DE10106252A1 (de) * 2001-02-10 2002-08-14 Sms Demag Ag Strangführung einer Stranggiessanlage sowie Anstellverfahren für deren Rollensegmente
TW200929601A (en) 2007-12-26 2009-07-01 Epistar Corp Semiconductor device
EP2543454B1 (en) * 2011-07-08 2019-09-04 Primetals Technologies Germany GmbH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ing of long steel products in a continuous casting
DE102017209731A1 (de) * 2017-06-08 2018-12-13 Sms Group Gmbh Luftkühlung in Stranggießanlag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53152A1 (en) * 1971-09-21 1973-05-04 Creusot Loire Continuous casting curved cooling guide - improves casting quality by supporting it on pressurised fluid and rollers
US3773099A (en) * 1971-11-18 1973-11-20 I Rossi Continuous casting of strands using thermal stress reinforcement
AU457394B2 (en) * 1972-12-11 1975-01-07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 strands
US3923093A (en) * 1974-05-16 1975-12-02 Armco Steel Corp Univers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R2364718A1 (fr) * 1976-09-17 1978-04-14 Clesid Sa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secondaire dans une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metal
FR2534166A1 (fr) * 1982-10-08 1984-04-13 Clecim Sa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l'ac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0051B2 (ja) 2001-01-31
CA2236584A1 (en) 1997-05-09
UA43431C2 (uk) 2001-12-17
CZ136898A3 (cs) 1998-10-14
AU711139B2 (en) 1999-10-07
DE59603687D1 (de) 1999-12-23
JPH11504865A (ja) 1999-05-11
PL181817B1 (pl) 2001-09-28
CN1081499C (zh) 2002-03-27
PL326384A1 (en) 1998-09-14
EP0858374B1 (de) 1999-11-17
CN1201412A (zh) 1998-12-09
MX9803433A (es) 1998-09-30
RU2147262C1 (ru) 2000-04-10
BR9611287A (pt) 1999-09-28
KR19990067275A (ko) 1999-08-16
AU1717397A (en) 1997-05-22
EP0858374A2 (de) 1998-08-19
US20010047857A1 (en) 2001-12-06
TR199800775T2 (xx) 1998-07-21
ATE186664T1 (de) 1999-12-15
DE19680926D2 (de) 1999-03-11
WO1997016272A2 (de) 1997-05-09
DE19542180C1 (de) 1997-04-03
WO1997016272A3 (de) 199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04860A (en) Metal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33125B1 (ko) 철금속스트립주조방법및주조장치
US3426836A (en) Machine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labs between bands
US5725046A (en) Vertical bar caster
KR100314994B1 (ko) 연속주조설비에서빌릿을유도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5345994A (en) Casting metal strip
EP0515075B1 (en) Strip casting
JPH0470105B2 (ko)
EP1140392B1 (en) High speed continuous casting device and relative method
WO1996001710A1 (en) Method of casting and rolling steel using twin-roll caster
JPH01241358A (ja) 金属製帯状鋳物の鋳造方法および装置
WO1996001708A1 (en) Twin-roll caster and rolling mill for use therewith
FI78250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irektgjutning av smaelt metall.
US3886996A (en) Device for producing internal cylindrical space in ingots
US3603377A (en) Curvilinear mold and secondary cooling system for continuously cast metal
CN114364471B (zh) 用于连续浇铸金属产品的结晶器以及相应的浇铸方法
JPH09206900A (ja) 溶融金属の連続鋳造鋳片の支持、潤滑装置および方法
JP2024505851A (ja) 金属製品鋳造における金属材料封じ込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