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751B1 - 오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751B1
KR100314751B1 KR1019990004180A KR19990004180A KR100314751B1 KR 100314751 B1 KR100314751 B1 KR 100314751B1 KR 1019990004180 A KR1019990004180 A KR 1019990004180A KR 19990004180 A KR19990004180 A KR 19990004180A KR 100314751 B1 KR100314751 B1 KR 10031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sewage
stirring
tube
stir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523A (ko
Inventor
조무환
이영호
라대연
Original Assignee
이광수
주식회사 고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주식회사 고려산업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1999000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7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혐기처리실(11,12); 호기처리실(13); 침전조(14); 및 방류조(15)로 이루어지는 오수 처리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호기처리실(13)은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21),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폭기조(22)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호기처리실(13)로 이루어지고, 순환형 폭기장치(21)는 순환 및 교반관(33), 반송관(34), 공기 공급관(31), 미세기포 확산수단(32), 및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반부 내벽으로부터 오수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심축을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 다수개의 난류 발생수단(35)을 포함하며,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상기 폭기조(22)는 중심부에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을 포함한 순환형 폭기장치(21)를 장착하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에서 분기된 1쌍 또는 2쌍 이상의 반송관(34)의 단부 개구부(32)를 통해 유출되는 호기처리된 오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의 처리를 위해 내부에 고정형 담체(23)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이다.

Description

오수 처리장치{Sewag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충전된 폭기조를 일체화시킨 호기처리조를 포함하는 비교적 소형의 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공중 접객업소, 식당, 숙박업소, 목욕탕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일반 산업용 폐수 처리시설보다는 비교적 소규모의 처리시설을 필요로 하며, 대개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1회 또는 2회 이상 처리하는 1개 이상의 혐기처리실, 호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처리하는 호기처리실, 혐기 및 호기처리된 오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및 방류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존의 오수정화조들은 부착성 미생물의 활성화에 의해 오수내의 BOD를 저하시키고 SS 성분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상기 부착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실패할 경우에는 처리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오수처리에 관한 법정 기준한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호기처리 공정중 폭기조내의 미생물 활성을 유지하는 공정과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충전된 폭기조를 일체화시킨 호기처리실을 공정단계에 포함시킨 개선된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존의 오수정화조들은 부착성 미생물의 활성화에 의해 오수내의 BOD를 저하시키고 SS 성분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상기 부착성 미생물의 활성화가 실패할 경우에는 처리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오수처리에 관한 법정 기준한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호기처리 공정중 폭기조내의 미생물 활성을 유지하는 공정과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처리장치의 개략적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호기처리실내의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호기처리실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 및 교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반송관의 다양한 실시예('- 형', '+ 형', '* 형')를 위쪽 방향에서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 및 교반관내의 공기공급관 단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 및 교반관내의 난류발생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a, 도 7b 및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폭기조에 충전되는 다양한 격자형 고정상 담체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주용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오수처리장치 11, 12 : 협기처리실
13 : 호기처리실 14 : 침전조
15 : 방류조 21 :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
22 : 폭기조 23 : 격자형 고정상 담체
33 : 교반관 34 : 반송관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1차 처리하는 제 1 혐기처리실, 혐기 조건하에 오수를 2차 처리하는 제 2 혐기처리실, 호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처리하는 호기처리실, 혐기 및 호기처리된 오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및 방류조로 이루어지는 오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기처리실이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충전된 폭기조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호기처리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는 원통형의 순환 및 교반관, 상기 순환 및 교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반송관, 외부로부터 상기 순환 및 교반관 하부측 벽을 통해 내부의 오수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공기 공급관, 상기 순환 및 교반관 내측에 있는 상기 공기공급관의 단부에 결합된 미세기포 확산수단, 및 상기 순환 및 교반관의 중반부 내벽으로부터 오수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순환 및 교반관의 중심축을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의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퍼 형상 또는 원추형의 난류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충전된 상기 폭기조는 중심부에 상기 순환 및 교반관을 포함한 순환형 폭기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에서 분기된 1쌍 또는 2쌍 이상의 반송관의 단부 개구부를 통해 유출되는 호기처리된 오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의 처리를 위해 내부에 고정형 담체가 충전되어 있는 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격자형 고정상 담체 충전 폭기조로 폭기조 각 측벽에는 고정형 담체가 유출되지 않고 오수가 침전조로 방류할 수 있도록 미세한 와이어(Wire mesh)로 구성된 개구부가 있으며 폭기조 내부에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등으로 된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이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의 순환 및 교반관 내부 단면적 전체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방출측 단부가 깔때기 형태로 확대되어 있고, 확산되는 공기가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깔태기 형태의 단부면에 미세한 다공성 세라믹 또는 알칼리성 고무 재질의 확산막이 0.01 내지 0.1㎜ 정도의 메시로 이루어진 미세기포 확산막이 장착되어 있는 오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된 다수개의 상기 난류 발생수단은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에 의해 발생된 기포들이 이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의 순환 및 교반관내에서 상향유동하는 동안 오수와 상기 기포들의 혼화작용을 촉진하도록 순환 및 교반관내의 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폭기조에 충전된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현수 고정형 충전 담체, 링 형상의 고정 담체, 입상 활성탄 또는 구형 세라믹 충전담체인 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의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의 상기 순환 및 교반관으로부터 'T'자 형상으로 분기되는 반송관이 2쌍 이상인 오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1) 폭기조내의 현탁 부유미생물을 순환 및 교반관으로 유도하여 산소와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에 되었고; 2) 폭기조 체적의 80% 이상의 용적에 격자형 고정화 담체를 충전하여 부착형 미생물의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3) 상기 산소와 미생물의 활성 극대화 및 상기 격자형 고정화 담체의 충전에 따른 부착형 미생물의 활성 극대화에 따른 호기처리 공정의 극대화; 및 4) 미세기포 확산막 및 난류발생장치를 순환 및 교반관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산소의 전달 및 확산을 극대화하여 호기처리 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하에서는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장치(10)는,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1차 처리하는 제 1 혐기처리실(11), 혐기 조건하에 오수를 2차 처리하는 제 2 혐기처리실(12); 호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처리하는 호기처리실(13); 혐기 및 호기처리된 오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14); 및 방류조(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 처리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호기처리실(13)은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21),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폭기조(22)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호기처리실(13)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는 원통형의 순환 및 교반관(33),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으로부터 분기되는 반송관(34), 외부로부터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 하부측 벽을 통해 내부의 오수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공기 공급관(31),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 내측에 있는 상기 공기공급관(33)의 단부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미세기포 확산수단(32), 및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반부 내벽으로부터 오수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심축을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며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된 다수개의 테이퍼 형상 또는 원추형의 난류 발생수단(35)을 포함한다.
또한,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상기 폭기조(22)는 중심부에 상기순환 및 교반관(33)을 포함한 순환형 폭기장치(21)를 장착하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에서 분기된 1쌍 또는 2쌍 이상의 반송관(34)의 단부 개구부(32)를 통해 유출되는 호기처리된 오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의 처리를 위해 내부에 고정형 담체(23)가 충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장치는 또한,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된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32)이 상기 공기 공급관(31)을 통해 유입(F)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순환 및 교반관(33) 내부 단면적 전체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방출측 단부(32)가 깔때기 형태로 확대되어 있고, 확산되는 공기가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깔태기 형태의 단부면에 미세한 세라믹 또는 알칼리성 고무 재질의 확산막이 0.01 내지 0.1㎜ 정도의 메시로 이루어진 미세기포 확산막(32)이 장착되어 있다.
다수개의 상기 난류 발생수단(35)은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32)에 의해 발생된 기포들이 이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순환 및 교반관(33)내에서 상향유동하는 동안 오수와 상기 기포들의 혼화작용을 촉진하도록 순환 및 교반관(33)내의 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폭기조(22)에 충전된 격자형 고정상 담체(23)는 도 7a, b 및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현수 고정형 충전 담체, 링 형상의 고정 담체, 입상 활성탄 또는 구형 세라믹 충전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으로부터 'T'자 형상 종단면을 가지도록 분기되는 반송관(34)은 2쌍 이상으로서, 위에서 보았을 때'-자'형, '+자'형 또는 '*자'형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오수 처리장치는 비교적 소규모의 처리장치로서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접객업소, 목욕탕 등에 적합하지만, 전술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균등한 범위 이내의 것이라면 굳이 치수를 일정 규격으로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실시예
식당, 여관, 목욕탕 등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농도 범위와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정화처리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식당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농도범위 및 제거효율
성분 또는 항목 농도범위(㎎/ℓ) 제거효율(%)
BOD 100∼200 95
SS 80∼150 95
계면활성제(세제) 10∼60 98
n-헥산(오일성분) 30∼120 98
실시예 2 : 여관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농도범위 및 제거효율
성분 또는 항목 농도범위(㎎/ℓ) 제거효율(%)
BOD 100∼250 95
SS 80∼180 95
계면활성제(세제) 10∼40 98
n-헥산(오일성분) 1∼10 99
실시예 3 : 목욕탕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농도범위 및 제거효율
성분 또는 항목 농도범위(㎎/ℓ) 제거효율(%)
BOD 180∼300 96
SS 120∼220 94
계면활성제(세제) 40∼80 98
n-헥산(오일성분) 1∼10 99
이상과 같이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가 충전된 폭기조를 일체화시킨 본원 발명의 오수처리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종래에 미생물의 활성화 실패에 따라 오수의 처리 자체가 완전하게 실패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됨으로써 환경상의 오염발생 가능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1. 오수를 정화시키기 위해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1차로 처리하는 제 1 혐기처리실(11); 혐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2차로 처리하는 제 2 혐기처리실(12); 호기성 조건하에 오수를 처리하는 호기처리실(13); 혐기 및 호기처리된 오수의 침전물을 침전시키는 침전조(14); 및 방류조(15)로 이루어지는 오수 처리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호기처리실(13)이 슬러지 순환형 폭기장치(21), 및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폭기조(22)를 일체화시킨 일체형 호기처리실(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는 원통형의 순환 및 교반관(33),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으로부터 분기되는 반송관(34), 외부로부터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 하부측 벽을 통해 내부의 오수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공기 공급관(31),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 내측에 있는 상기 공기공급관(33)의 단부에 결합된 미세기포 확산수단(32), 및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반부 내벽으로부터 오수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중심축을 향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의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퍼 형상 또는 원추형의 난류 발생수단(35)을 포함하며,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충전된 상기 폭기조(22)는 중심부에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을 포함한 순환형 폭기장치(21)를 장착하고,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에서 분기된 1쌍 또는 2쌍 이상의 반송관(34)의 단부 개구부(32)를 통해 유출되는 호기처리된 오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의 처리를 위해 내부에 고정형담체(23)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32)이 상기 공기 공급관(3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순환 및 교반관(33) 내부 단면적 전체에 확산시킬 수 있도록 방출측 단부(32)가 깔때기 형태로 확대되어 있고, 확산되는 공기가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깔태기 형태의 단부면에 미세한 세라믹 또는 알칼리성 고무재질의 확산막이 메시로 이루어진 미세기포 확산막(32)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
  3.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난류 발생수단(35)은 상기 미세기포 확산수단(32)에 의해 발생된 기포들이 이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순환 및 교반관(33)내에서 상향유동하는 동안 오수와 상기 기포들의 혼화작용을 촉진하도록 순환 및 교반관(33)내의 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반지름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22)에 충전된 격자형 고정상 담체(23)가 현수 고정형 충전 담체, 링 형상의 고정 담체, 입상 활성탄 또는 구형 세라믹 충전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형 폭기장치(21)의 상기 순환 및 교반관(33)으로부터 'T'자 형상으로 분기되는 반송관(34)이 2쌍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장치(10).
KR1019990004180A 1999-02-08 1999-02-08 오수 처리장치 KR10031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80A KR100314751B1 (ko) 1999-02-08 1999-02-08 오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80A KR100314751B1 (ko) 1999-02-08 1999-02-08 오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23A KR20000055523A (ko) 2000-09-05
KR100314751B1 true KR100314751B1 (ko) 2001-11-26

Family

ID=1957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80A KR100314751B1 (ko) 1999-02-08 1999-02-08 오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41B1 (ko) * 1999-09-27 2002-01-04 임동준 용존산소를 향상시킨 고정화 생물반응조
KR101885830B1 (ko) * 2016-06-27 2018-09-11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과산화수소와 유기물의 동시 제거 수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23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0415B2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6750930B2 (ja) 汚排水浄化システム
JP2006181393A (ja) ノンスラッジ高速排水処理システム
CN108275779A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生物反应器
JP2008246483A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
JP2011025200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JP2011036837A (ja) 廃水処理装置、グリーストラップ及び廃水処理方法
KR100242777B1 (ko) 유기질 폐액의 폭기조와 그 폭기조를 이용한 폭기처리장치
JP4787814B2 (ja) 有機性汚水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0314751B1 (ko) 오수 처리장치
CN111847766A (zh) 一种公厕污水一体化处理系统
CN207845440U (zh) 生产废水与生活废水混合净化系统
CN209759121U (zh) 一种全方位竖流式污水处理装置
KR101634292B1 (ko) 변형 a2o공법에 기반한 유동상여재 활용 수처리시스템
JP5095882B2 (ja) 廃硝酸の処理方法
KR101634296B1 (ko) 토양미생물 이용을 통한 하폐수 무취화 기능을 겸비한 sbr 수처리시스템
JP2009072767A (ja) 活性汚泥装置及び処理方法
JPH10296283A (ja) 担体併用生物反応槽の担体分離方法
CN111777181A (zh) 一种多功能复合生物膜反应器
KR20000013589A (ko) 생활오수 합병정화 처리장치
CN216550043U (zh) 一种含油废水处理装置
JPH09117790A (ja) 下水道放水用排水処理方法
JPH09253687A (ja) 排水の嫌気・好気処理装置
KR100274168B1 (ko) 합병처리 정화장치
JP2023069090A (ja) 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