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678B1 -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678B1
KR100313678B1 KR1019990031173A KR19990031173A KR100313678B1 KR 100313678 B1 KR100313678 B1 KR 100313678B1 KR 1019990031173 A KR1019990031173 A KR 1019990031173A KR 19990031173 A KR19990031173 A KR 19990031173A KR 100313678 B1 KR100313678 B1 KR 10031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obbin
wound
cover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691A (ko
Inventor
조태규
Original Assignee
조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태규 filed Critical 조태규
Priority to KR101999003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6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링사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케 하고, 또한 제조된 커버링사가 치이즈에 대용량으로 권취되게 하므로서 매듭부를 줄여 제직효율과 품질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하며, 해사시에는 장력편차없이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사기를 통하여 고무사를 원사와 함께 일정한 장력으로 합사되게 하면서 직경이 다소 큰(약70mm) 보빈 상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보빈을 투포원 연사기에 장치하여 연사되게 하므로서 커버링사가 제조되게 하고, 상기 커버링사는 치이즈에 권취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covering yarn by using two for one yarn twister}
본 발명은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링사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생산성이 높고, 대용량으로 권취가능케 하여 매듭부를 줄이므로서, 품질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며, 해사시에는 용이한 해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절없이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버링사의 제조는 저면으로부터 고무심사가 공급되고, 상기 고무심사 외면을 커버사가 커버링하여 제조하게 되며 주로 이태리 연사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태리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는 제조된 커버링사가 주로 1Kg용량의 실린더에 권취되기 때문에 실런더에 권취되는 용량이 적고, 따라서 제직공정에서 매듭이 많아지게 되며, 또한 제직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실린더에 권취된 커버링사가 인출될 때 실린더의 외부층에 감긴실과 내부층에 감긴 커버링사의 해사되는 장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결국 제직된 직물의 품질에 형향을 미치게 되며, 정량화하기 위하여는 재권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태리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는 주로 합성섬유를 커버사로 사용하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면사를 커버사로 사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못하므로 면사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를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커버링사의 제조가 용이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조된 커버링사가 2.5Kg까지 대용향으로 치이즈에 권취되게 하여 매듭부를 줄이므로서 품질향상의 효과와 동시에 해사가 용이하게 하여 사절 및 장력편차 없이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사기에서 얻고자 하는 실과 함께 고무사가 합사되어 보빈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합사된 보빈을 투포원 연사기에 설치하여 연사되게 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커버링사를 얻을 수 있도록 한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합사하고자 하는 실이 권취된 치이즈로부터 풀려나오는 실을 합사하여 보빈에 권취되게 하되, 치이즈로부터 풀려나오는 실과는 별도로 고무사가 일측에서 균일한 장력으로 함께 합사되어 보빈에 권취되게 한다.
이때 합사된 실이 권취되는 보빈의 직경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보빈의직경(약40mm)보다는 다소 크게 구성하는 것이 연사공정에서 장력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사절을 줄일수 있다.
합사된 실이 권취된 보빈은 다시 투포원 연사기에 설치하여 연사되게 한다.
이때 보빈상에 안치되는 톱가이드 상부에는 별도의 안내롤러를 설치하여 해 사안내구를 통하여 해사되는 실이 안내롤러를 경유한 다음 직하방에 위치하는 사도로 안내되게 함으로서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게 하고, 해사된 실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연사되게 한후, 안내사도를 지나 치이즈에 권취되게 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합사공정의 개략적인 장치도
도 2 : 본 발명 합사기 요부평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장치에 사용되는 투포원 연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 본 발명 투포원 연사기에 사용되는 요부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합사기 (4)--치이즈
(6)--원사 (8)--사도
(10)--텐션구 (12)--감지구
(14)--안내롤러 (16)--가이드
(18)--드럼 (20)--권취용 보빈
(22)--구동드럼 (24)--고무사
(26)--보빈 (28)--드럼축
(30)--구동풀리 (32)--연동풀리
(34)(36)--벨트 (38)--구동드럼축
(42)--투포원 연사기 (44)--톱가이드
(46)--해사안내구 (48)--수직봉
(50)--안내롤러 (52)--상부사도
(54)--트라버스바 (56)--사도
(58)--치이즈 (60)--드럼
(64)---커버링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공정별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합사공정
본 공정은 커버링사를 제조하기 위한 심사 즉 고무사와, 커버사로 사용되는 원사의 합사공정이다.
즉 도1에서와 같이 치이즈(4)에 권취된 원사(6)를 치이즈(4) 직상부에 설치된 사도(8)와 텐션구(10) 및 감지구(12)를 지나 안내롤러(14)로 안내되게 하고, 안내롤러(14)를 지난 원사(6)는 트라버스 가이드(16)를 통하여 드럼(18) 상에 안치되어 피동하는 보빈(20) 상에 권취되게 한다.
동시에 합사기(2)의 전방 상부에 설치된 구동드럼(22) 상에 고무사(24)가 권취된 보빈(26)을 안치하여 구동드럼(22)이 회전하면 고무사(24)가 권취된 보빈(26)이 구동드럼(22)과의 마찰에 의해 피동적으로 회전하면서 보빈(26)에 권취된 고무사(24)가 일정한 속도로 풀려나가게 하고, 상기 고무사(24)는 안내롤러(14)를 경유하여 치이즈(4)로부터 인출되는 원사(4)와 합사되고, 합사된 고무사(6) 역시 트라버스 가이드(16)를 통하여 트라버스 운동하면서 보빈(20)에 권취된다.
상기 권취용 보빈(20)의 직경은 종래의 보빈 직경(약4Omm)보다 좀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커버링사 제조공정에서 사절없이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보빈(20)의 직경은 약70mm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70mm 이하일 경우에는 연사공정에서 해사시의 장력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사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보빈(20)의 직경이 약70mm이상일 경우에는 연사공정에서 야기되는 장력편차나 사절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보빈(20)의 직경의 커지는만큼 권취량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합사공정에서 고무사(24)가 권취된 보빈(26)을 회전시키는 구동드럼(22)의 회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2에서와 같이 드럼축(28)에 굴대설치된 구동풀리(30)와 연동풀리(32)를 벨트(34)로 연결하고, 연동풀리(32)는 다시 벨트(36)로 구동드럼축(38)에 굴대설치된 피동풀리(40)와 연결되게 하므로서,드럼축(28)이 회전하면 구동드럼축(38)이 회전하고, 따라서 구동드럼(22)이 회전하여 보빈(26)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연동풀리(32)에는 벨트연결홈을 여러개 구성하여 구동풀리(22)의 회전속도를 조정케 하며, 구동풀리(22)의 표면속도는 치이즈(4)로부터 풀려나가는 원사의 속도와 동일하게 조정한다.
제2공정 :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 제조공정
본 공정은 합사기에서 필요한 가닥수의 원사와 고무사(24)가 합사된 실을 이용하여 연사하므로서 커버링사가 제조되게 하는 공정이다.
즉 도3에서와 같이 합사기(2)에서 합사된 원사가 권취된 보빈(20)을 투포원 연사기(42)의 스핀들 상에 안치한 다음 보빈(20) 상에 톱가이드를 설치하여 작업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톱가이드(44) 일측에 해사안내구(46)를 설치하되, 해사안내구(46) 타측에는 수직봉(48)을 세워 설치하고, 상기 수직봉(48) 상단에는 안내롤러(50)를 설치하며, 안내롤러(50)는 톱가이드(44)에 구성된 상부사도(52) 직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보빈(20)에 권취되어 있는 합사된 실을 보빈(20)으로부터 인출한 다음 해사안내구(46)를 통하여 윗쪽으로 풀려나가게 함과 동시에 수직봉(48) 상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안내롤러(50)로 안내되게 하고, 안내롤러(50) 직하방에 위치하는 상부사도(52)를 통하여 보빈(20)내에 위치하는 통상의 텐션케이스(도시안됨)를 지나 스핀들 하부를 통하여 다시 윗쪽으로 인출되어 사도(8)로 안내되고, 상기 사도(8)를 지난 합사된 실은 트라버스바(54)의 사도(56)를 통하여 치이즈(58)상에 권취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투포원 연사기(42)를 작동시키면 드럼(60)과 스핀들(도시안됨)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드럼(60) 상에 안치된 치이즈(58)가 회전하여 연사된실, 즉 커버링사(64)가 치이즈(58)상에 권취된다.
이때 보빈(20)으로부터 인출되는 합사된 실은 해사안내구(46)를 통하여 톱가이드(44)의 상부사도(52)로 직접 안내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사도(52) 직상부에 위치하는 안내롤러(50)를 경유한 다음 상부사도(52)로 안내되게 하므로서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의 보빈에 권취된 실의 해사는 해사안내구(46)를 통하여 해사된 다음 바로 톱가이드(44) 상부에 구성된 상부사도(52)로 안내되어 보빈(20)내에 설치된 텐션케이스로 공급되므로 해사된 실 중 고무사(24)가 상부사도(52)와 마찰하여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나, 본 발명에서는 해사안내구(46)와 상부사도(52) 직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안내롤러(14)를 경유하여 상부사도(52)로 해사안내되므로 보빈(20)에 권취된 합사된 실의 풀림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사공정에서 사용한 보빈(20)의 직경이 약70mm로서, 종래의 보빈직경 약40mm에 비하여 상당히 크기때문에 커버링사(64) 제조과정에서 보빈(20)에 권취된 합사된 실이 거의 다 해사되더라도 직경이 최소한 약70mm이상은 유지하게 되므로 해사안내구(46)를 통하여 해사되는 실에 무리한 장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해사작업 중 과장력에 의한 사절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투포원 연사기를 통하여 제조된 커버링사의 권취가 치이즈(62)에 권취되므로 권취용량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공정에서 치이즈(62)에 권취된 커버링사(64)의 해사시에도 무리없이 균일한 장력으로 해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링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고무사, 즉 심사를 인출되게 하면서 심사외면을 커버사가 커버링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합사공정에서 원사와 고무사가 균일한 장력으로 합사되게 하되, 합사된 실은 대체로 직경이 큰 보빈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보빈을 투포원 연사기에 장치하여 보빈에 권취된 합사된 실이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게 하면서 연사되게 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커버링사를 제조할수 있게 되고, 제조된 커버링사는 치이즈에 권취되게 하여 권취용량을 높일 수 있을뿐 아니라 해사시 장력편차없이 원활한 해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하여 커버링사를 제조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작업을 기피했던 면방적사와 같은 실도 별문제없이 사용할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합사기를 통하여 고무사와 원사를 균일한 장력으로 합사되게 한다음 보빈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보빈을 투포원 연사기에 장치하여 연사되게 하므로서 고무사와 원사가 합연사되면서 커버링사가 제조되게 한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2. 치이즈(4)에 권취된 원사(6)가 사도(8)및 안내롤러(14)를 통하여 인출안내되면서 보빈(20)상에 권취되게 한 통상의 합사기에 있어서, 합사기(2)의 전방에 구동드럼(22)을 설치하되, 상기 구동드럼(22)상에 고무사(24)가 권취된 보빈(26)을 안치하여 피동되게 하므로서 보빈(26)에 권취된 고무사(24)가 일정한 속도로 안내롤러(14)를 통하여 치이즈(4)로부터 인출되는 원사(6)와 합사되게 한 다음 보빈(20)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보빈(20)을 투포원 연사기에 장치하여 연사되게 하므로서 커버링사가 제조되게 한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합사기에 장치된 구동드럼(22)에 의해 피동되어 해사되는 고무사(24)의 인출사속은 치이즈(4)로부터 인출되는 원사(6)의 사속과 동일하게 하고, 합사된 실이 권취되는 보빈은 직경이 약70mm정도되게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투포원 연사기(42)의 보빈(20)에 장치된 톱가이드(44)일측에는 해사안내구(46)가 설치되게 하되, 타측에는 수직봉(48)을 세워 설치한 다음 그 단부에 안내롤러(50)가 설치되게 하므로서, 보빈(20)에 권취된 합사된 실이 해사안내구(46)와 수직봉(48)에 설치된 안내롤러(50)를 경유하여 직하방에 위치한 안내사도(52)로 인출안내되게 하여 연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장치.
KR1019990031173A 1999-07-26 1999-07-26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31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173A KR100313678B1 (ko) 1999-07-26 1999-07-26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173A KR100313678B1 (ko) 1999-07-26 1999-07-26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691A KR20010011691A (ko) 2001-02-15
KR100313678B1 true KR100313678B1 (ko) 2001-11-15

Family

ID=1960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173A KR100313678B1 (ko) 1999-07-26 1999-07-26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941B1 (ko) * 2012-01-26 2013-06-07 이선옥 신축도 가변기능을 갖는 스판사 제조 장치
KR101379638B1 (ko) * 2013-03-27 2014-03-31 이선옥 신축도 가변 기능을 갖는 인터밍글사 제조 장치
KR101978897B1 (ko) * 2018-07-19 2019-09-03 조용 커버링사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691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63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pinning of fiber yarns, possibly comprising at least one core
WO1996010664A1 (fr) Cantre dote d&#39;un dispositif de double torsion
JPS6028936B2 (ja) 糸の製造方法
US4302926A (en) Multi-component yarn and method of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JP7191836B2 (ja) 異なる練条での芯糸を有するコアヤーン、及び当該コアヤーンから得られる生地
KR100313678B1 (ko) 투포원 연사기를 이용한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2669896U (zh) 一种加捻装置和采用该加捻装置的加捻机
US3367096A (en) Apparatus for false-twisting and plying yarns
US213189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wisting threads
JP2630567B2 (ja) ダブル加撚装置を備えたクリール
US2946526A (en) Continuous method for winding up yarns
KR100967513B1 (ko) 어망사 제조용 다중 연사장치와 다중 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망사
US2031707A (en) Device for simultaneously twisting and winding knitted threads
CN113445160A (zh) 一种加捻装置和采用该加捻装置的加捻机
CA1157326A (en) Device and process for spinning or twisting and winding yarn
CN113195808A (zh) 用于改造纱线纺纱机和/或捻线机的方法及由上述方法得到的改进的纱线纺纱机和/或捻线机
CN117265718B (zh) 一种棉复合纱线的快速成型机
KR200258341Y1 (ko) 커버링기를 이용한 커버링사 제조장치
CN211872196U (zh) 一种纺织生产用倍捻设备的牵引装置
CN112048789B (zh) 一种多股纱线自动合线设备及其工作方法
US4164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isting yarns
JP2005042280A (ja) 紙を細幅に長く細断した紙糸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5106126A (ja) 複合撚糸機
JP2814197B2 (ja) 刺繍糸引き揃え装置
JPS5929966Y2 (ja) 意匠糸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