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245B1 - 필수지방산에의해킬레이트화된아연정제 - Google Patents

필수지방산에의해킬레이트화된아연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245B1
KR100312245B1 KR1019930021293A KR930021293A KR100312245B1 KR 100312245 B1 KR100312245 B1 KR 100312245B1 KR 1019930021293 A KR1019930021293 A KR 1019930021293A KR 930021293 A KR930021293 A KR 930021293A KR 100312245 B1 KR100312245 B1 KR 10031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zinc
fatty acid
essential fa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88A (ko
Inventor
문케이.송
Original Assignee
송,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케이. filed Critical 송,문케이.
Publication of KR94000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45B1/ko

Links

Landscapes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이 및 치료의 목적을 위하여 지방산 및 아연 모두의 편리한 출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을 함유한다.
필수지방산은 플로스타글란딘 및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필수지방산은 적어도 리놀산, 리놀린산 및 아라키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개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1)불포화 지방산, (2)염화아연, (3)단백질 가수분해물, (4)적어도 한개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10 : 1 : 5의 비율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약학적 조성물은 정제당 약 20밀리그램의 아연을 함유한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필수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아연정제
본 발명은 필수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아연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제약학적 조제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치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매우 심각한 질병이며 미국 및 개발도상국에서 많은 사망 및 높은 이환율의 원인이 된다.
비록 인슐린이 당뇨병에서 혈당량 수준을 조절할 수 있더라도 인슐린으로 달성되는 조절의 양은 대체로 당뇨병으로부터 발생되는 많은 휴유증을 방지하기에 불충분하다.
이 휴유증은 종종 실명으로 만드는 눈의 충격, 순환계통의 결함, 상처치료에 관한 문제 및 다른 심각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뇨병의 개선된 치료가 급속도로 요망된다.
플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 PGs)이 아연과 결합하여 내장의 아연수송을 규제하며(M.K.Song & N.F. Adham, "Role of Prostaglandin E2in Zinc Absorption in the Rat", AmJ. Physial. 234 : E99 - E105(1978)), 아연이 쥐의 소장 및 정맥혈관계에서 플로스타글란딘 합성 활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M.K.Song & N.F. Adh-am, "Relationship Between Zinc and Prostagladin Metabolism in Plasma in Sma-11 intestine of Rats,"Am. J. Clin. Nutr. 41 : 1201 - 1209(1985)).
아연과 포도당 흡수의 억제사이의 관계가 알려져있다(S.Southon et al., "Hexose Transport and Mucosal Morphology in the Small Intestine of thc Zinc-Deficiency Rat,"Br. J. Nutr 52 : 371-380(1984)).
필수지방산은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은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여, 필수지방산의 투여는 당뇨병에 유익하다고 생각된다.(R.J.I11man et al.,Atherosclerosis 59 : 313-321(1986)).
그러나, 아연대사와 플로스타글란딘 합성사이의 상호 작용 때문에 불포화지방산 또는 필수지방산만을 투여하면 당뇨병의 호전에 최량의 결과를 얻지못한다.
그러므로, 아연 및 필수지방산 모두의 편리한 출처를 공급함으로써 아연대사 및 지방산대사가 동시에 작동하는 당뇨병 및 다른 질병의 개선된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는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결정체 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은 아연 및 지방산 모두를 제공하고, 또한 아연과 필수지방산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당뇨병 및 다른 질병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연 및 필수지방산의 편리한 출처를 제공함으로써 당뇨병 및 다른 질병의 치료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을 포함한다.
필수지방산은 플로스타글란딘 및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필수지방산은 리놀산, 리놀린산, 아라키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포유류에 투여될 수 있는 형태로써
(1) 불포화 지방산
(2) 염화아연
(3) 단백질 가수분해물
(4) 적어도 한 개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excipient)를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약 10 : 1 : 5의 비율로 존재한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정제형태 또는 캡슐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제 또는 캡슐이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 물을 약 10 : 1 ; 5의 비율로 함유하며, 약 20밀리그램의 아연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태양은 당뇨병에 걸린 포유동물에게 혈당농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I.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
본 발명의 한 개의 태양은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 즉, 음으로 하전된 지방산이 양으로 하전된 아연 이온에 의해 결합된 결정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수지방산은 플로스타글란딘 및 플로스타글란딘선구물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지방산은 완충용액안에서 전립선을 재현탁시키고, 석유에테르 또는 헥산과 같은 고도의 비극성 유기용매로 포화지방산을 추출하고 에틸아세트산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더 극성이 강한 유기용매로 불포화지방산을 추출한 후, 존재하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 되기에 충분한양으로 염화아연을 더하는 공정을 통해 소, 양 또는 염소와 같은 동물전립선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게다가 추출절차의 상세한 것은 아래 실시예 1에 나타나있다.
대표적으로 그러한 필수지방산은 플로스타글란딘의 선구물질인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리놀산, 리놀린산, 아라키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Ⅱ. 제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태양은 제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약학적 조성물은
(1) 상기에 개시된 필수지방산
(2) 염화아연
(3)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4) 적어도 한 개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함유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아미노산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프로테오스, 펩톤, 또는 다른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단백질, 예를들어 카세인 또는 알부민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약학적 조성물은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무게비로 약 10 : 1 : 5비율로 함유한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제약기술에서 공지된 절차에 의해 정제 또는 캡슐형태로 포장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정제 또는 캡슐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에 부가하여 필수지방산 약 200mg, 아연 약 20mg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 약 100mg을 함유한다.
정제 및 캡슐에 대한 적합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또는 이탄산나트륨, 락토오스 또는 인산칼슘과 같은 불활성 희석제; 전분, 젤라틴 또는 아라비아 고무와 같은 결합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와 같은 광택제를 포함한다.
캡슐의 피복제는 젤라틴 또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용해성 중합체일 수 있다.
정제 또는 캡슐은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제약학적 조성물은 아연 또는 플로스타글란딘 대사가 손상된 당뇨병, 고혈압, 무기력 및 다른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당뇨병은 혈당농도를 감소시키기 충분한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약학적 조성물을 당뇨병에 걸린 포유동물에 투여함에 의해 치료될 수 있다.
아연의 양으로 나타내는 당뇨병 또는 고혈압 증상이 있는 환자의 투여량은 약 80mg내지 300mg 아연이다.
이 양은 특수한 양에 대한 반응에 따라서 뿐만아니라 환자의 무게, 나이, 성 및 건강상태와 같은 요인에 따라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
소 또는 염소의 전립선을 도살장으로부터 수득하여 70℃에서 얼리고 잘게 썰어 작은 조각으로 만든다.
이 잘라진 조직을 10배 초과(W/V)의 5.0mM Tris-HC1 버퍼, pH 8.0안에 현탁시키고, Virtis-45 균질기와 같은 균질기로 균질화하고, 3000xg로 20분동안 4℃에서 회전시킨다.
석유에테르로 포화지방산을 추출한다.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여 남아있는 용액을 0.2N HC1로 pH 3.0까지 산성화하고, 각회당 1부피의 에틸아세트산 또는 클로로포름으로 플로스타글란딘을 포함하는불포화 지방산 혼합물을 2 내지 3회 추출한다.
에틸아세트산 또는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결합시킨다.
불포화 지방산용액을 동결, 건조시키거나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킨다.
이 단계에서 산물은 오일안의 불포화 지방산이다.
그후 추출물 200mg을 염화아연 40mg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 100mg과 혼합시켜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아연을 제조한다.
실시예 2
당뇨병에 걸린 쥐의 생존율에 관한 식품 아연의 영향
51마리의 쥐를 각각 17마리의 쥐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모든 쥐를 스트렙토조토신의 주입함으로써 당뇨병에 걸리게 한다.
1주일후 쥐에게 한정된 양의 아연이 함유된 식품을 먹인다.
첫 번째 그룹의 17마리의 쥐에게 1㎍ Zn/g이 함유된 아연이 결핍된 식품을 먹인다.
두 번째 그룹의 17마리의 쥐에게 아연이 적당히 함유된 식품(37.5㎍ Zn/g)을 먹이고, 세 번째 그룹의 17마리의 쥐에게 아연이 초과된 식품(1mg Zn/g)을 먹인다.
아연이 적당히 함유된 그룹에서 17마리 쥐중에서 11마리, 아연이 초과된 그룹에서 17마리 쥐중에서 15마리가 살아남는 반면에, 아연이 결핍된 그룹에서 17마리 쥐중에 8마리만 살아남는다.
이들 쥐의 조직에서 포도당 농도는 표 1에 나타나있다.
이 자료는 식품에서 아연의 증가는 당뇨병이 걸린 쥐의 생존을 증가시키고,그런 쥐의 조직에 존재하는 포도당의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많은 당뇨병 합병증을 조직안에 과다한 포도당의 존재를 통해 알수있기 때문에, 이 결과는 적당한 아연 공급이 당뇨병이 후유증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표 1
본 발명은 당뇨병 또는 다른 질병을 위한 식품보충 또는 치료로써 아연 및 필수지방산의 편리한 출처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연 및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을 포함하는 필수지방산의 대사가 상호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그러한 조성물의 이용이 아연 또는 지방산 어느 하나만 당뇨병 치료에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비록 본 발명은 그것에 관한 어떤 우선의 번역을 참고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번역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참뜻 및 의도는 여기에 포함된 우선의 번역의 표현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16)

  1. 불포화지방산에 의해 킬레이트화된 결정체 아연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지방산이 필수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이 플로스타글란딘 및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이 리놀산, 리놀린산 및 아라키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포유동물에 투여할 수 있는 형태로
    (a) 불포화지방산
    (b) 염화아연
    (c)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d) 적어도 한 개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용 제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불포화지방산이 필수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이 플로스타글란딘 및 플로스타글란딘 선구물질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이 리놀산, 리놀린산 및 아라키돈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개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약 10:1:5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제약학적 조성물이 정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약 10:1:5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정제가 약 20밀리그램의 아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3. 제5항에 있어서, 제약학적 조성물이 캡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필수지방산, 염화아연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약 10:1:5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정제가 약 20밀리그램의 아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16. 당뇨병에 걸린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에게 혈당 농도를 감소시키기 충분한 양만큼 제5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KR1019930021293A 1992-10-22 1993-10-14 필수지방산에의해킬레이트화된아연정제 KR100312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6487992A 1992-10-22 1992-10-22
US07/964,879 199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88A KR940008688A (ko) 1994-05-16
KR100312245B1 true KR100312245B1 (ko) 2002-02-19

Family

ID=6682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293A KR100312245B1 (ko) 1992-10-22 1993-10-14 필수지방산에의해킬레이트화된아연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2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88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250A (en) Oral 1α-hydroxyprevitamin D in methods for increasing blood level of activated vitamin D
RU2220143C2 (ru) Оптически актив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бензопиран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ых к эстрогенам заболеваний
US5650418A (en) Therapeutic lysine sal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4590184A (en) Antiosteoporo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24,25-dihydroxycholecalciferol as an active ingredient
JP4205943B2 (ja) 天然および合成hcaのバイオアベイラブルな組成物
CA1302266C (en) Formulations containing unsaturated fatty acids for the synthesis of prostaglandins and hydroxy-fatty acids in biological systems
JP2009242413A (ja) アミノ酸をベースとする医薬
IE911736A1 (en) TGF-beta Compositions
CZ382799A3 (cs) Použití hyaluronátu zinku proti peptickým vředům
US5411748A (en) Prostate extract supplemented with zinc
US4902718A (en) Calcium homeostasi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alcium metabolism
US5759567A (en) Method of altering the contents of eggs
JP2664111B2 (ja) 動物及び人における高コレステロール症及び高リポプロテインii型症及び性的挙動の刺激の処置に使用する高級一級脂肪族アルコールの混合物を含む医薬製剤
CN111031813A (zh) 用于预防和治疗心血管器官病症的组合物
KR20010093826A (ko) 아테롬성동맥경화 치료제로서의 프로안토시아니딘 a2의인지질 착체
KR100312245B1 (ko) 필수지방산에의해킬레이트화된아연정제
US6838451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 osteoarthritis, and other degenerative joint diseases
JPS63107929A (ja) 新規ビタミンd↓3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
EP0207505A2 (en) Use of a prenyl ketone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against gastritis
JPH0686377B2 (ja) がん転移抑制剤
US5118624A (en) Method for the stimulation of cell growth and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the utilization of selenodithiols such as selenodiglutathione
EP0485232A1 (en) Neovascularisation inhibitors
AU701287B2 (en) The pharmacological use of certain cystine derivatives
Cowgill et al. STUDIES IN THE PHYSIOLOGY OF VITAMINS: I. Vitamin-B and the Secretory Function of Glands
WO200200972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ation, osteoarthritis, and other degenerative joint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