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934B1 -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11934B1 KR100311934B1 KR1019980003661A KR19980003661A KR100311934B1 KR 100311934 B1 KR100311934 B1 KR 100311934B1 KR 1019980003661 A KR1019980003661 A KR 1019980003661A KR 19980003661 A KR19980003661 A KR 19980003661A KR 100311934 B1 KR100311934 B1 KR 100311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headlight
- steering
- shaft
- rotation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fluid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브길에서 자동차의 회전방향으로 전조등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핸들(2)상에 조향축(4)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축(5)이 구비되어 있고, 그 연장축(5)의 단부에는 조향축기어(10)를 구비하고, 작동나봉(21)을 갖는 연동기어(20)를 상기 조향축기어(10)에 치합하며, 밀폐용패킹(P1)이 부착된 피스톤 (31)이 상기 작동나봉(21)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30)내에 내설되고, 상기 실린더(30)의 개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내부에 유압이 충전된 상태로서 상기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정 단부 내부에 밀폐용패킹(P2)이 탄력설치된 탄발스프링(50)이 내설되는 한쌍의 유압관(40)과, 상기 유압관(40)내에 내설된 탄발스프링(50)의 중앙부를 지나 유압관 (40)의 말단 개방부(32)를 통하여 전조등(300)의 일측단에 작동간(60)이 결합되어 핸들(2) 조작에 따른 자동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전조등(300)이 회전되도록 하는 전조등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300) 일단에 상기 작동간(60)의 타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하단 중앙부에는 축핀(301)이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작동간 (60)의 전·후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전조등(300)의 좌·우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자동차 전도증 조향장치에 있어서, 연동기어(100)의 연동기어축(110A) 단부에 설치되어 핸들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과, 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전압(Vi)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의 핸들회전량이 작을 때 상기 전조등(300)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중립을 지키도록 설정된 전압범위인 Vs±△V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 후 연산처리하는 제어수단 (122)과, 상기 제어수단(122)의 연산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전압(Vi) 또는 핸들과 전조등 중립시 회전량동조퍼텐쇼미터 전압인 Vs을 선택해서 인가받고, 상기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으로부터 전조등회전량에 따른 출력전압(Vo)의 피드백 전압을 인가받아 비교처리(Vi-Vo)하여 소정 구동전압(V)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130)(132)와, 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 (130)(132)로부터의 구동전압(V)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160)(162)과, 상기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160)(162)과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그 상방에 제 1 및 제 2감속기어(190)(192)를 가진 제 1 및 제 2전조등하우징(180)(182)과, 상기 전조등하우징(180)(182)하방에 연결되어 각각의 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 (130)(132)에 피드백시키는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151)(153)과, 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과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151)(153)이 연결되는 전원(14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주행시 커브길에서 자동차의 회전방향으로 전조등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커브길의 시야를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자동차 전조등은 획일적으로 전방으로만 조향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반대차선에서 마주오는 차량의 불빛을 감지하여 전조등이 상,하향으로 회전 되는 것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에 있어서 커브길을 회전할 때 자동차는 앞바퀴만 회전된 상태로 있고, 자동차의 전조등은 운전자와의 전방 직선상으로 조향되는 상태이므로 실제로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곡선도로의 굴절부분으로는 미처 조향되지 않는다.
이 경우 야간에 상기 커브길에서의 장애물을 미리 발견하지 못하여 예기치 못한 사고가 우려되며, 특히 급커브길 또는 긴커브길 내지는 꼬불꼬불한 길을 주행할 때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전방시야의 확보가 어려워 각종 사고의 발생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커브길에서 자동차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미리 조향될 수 있는 전조등의 조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자동차 전조등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핸들의 조작과 연동되어 자동차의 전조등이 회전됨으로써 자동차가 커브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도 곡선주행도로를 주시하면서 충분히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조등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전조등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좌,우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커브길에서의 자동차 진행방향으로 전조등이 조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상에 조향축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축이 구비되어 있고, 그 연장축의 단부에는 조향축기어를 구비하고, 작동나봉을 갖는 연동기어를 상기 조향축기어에 치합하며, 밀폐용패킹(P1)이 부착된 피스톤이 상기 작동나봉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내에 내설되고,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내부에 유압이 충전된 상태로서 상기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정 단부 내부에 밀폐용패킹(P2)이 탄력설치된 탄발스프링이 내설되는 한쌍의 유압관과, 상기 유압관내에 내설된 탄발스프링의 중앙부를 지나 유압관의 말단 개방부를 통하여 전조등의 일측단에 작동간이 결합되어 핸들 조작에 따른 자동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전조등이 회전되도록 하는 전조등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 일단에 상기 작동간의 타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하단 중앙부에는 축핀이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작동간의 전·후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전조등의 좌·우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핸들과 조향축 및 전조등사이에 위치되고, 조향축의 중간부에 조향기어가 설치되어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연동기어축이 연설된 연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소정 동력발생수단과 연동된 전조등하우징이 회동되어 전조등 방향을 변경하는 전조등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어의 연동기어축 단부에 설치되어 핸들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핸들회전량감지수단과, 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전압(Vi)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의 핸들회전량이 작을 때 상기 전조등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중립을 지키도록 설정된 전압범위인 Vs±△V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 후 연산처리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연산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전압(Vi) 또는 핸들과 전조등 중립시 회전량동조퍼텐쇼미터 전압인 Vs을 선택해서 인가받고, 상기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으로부터 전조등회전량에 따른 출력전압(Vo)의 피드백 전압을 인가받아 비교처리(Vi-Vo)하여 소정 구동전압(V)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와, 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로부터의 구동전압(V)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과,상기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과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그 상방에 제 1 및 제 2감속기어를 가진 제 1 및 제 2전조등하우징과, 상기 전조등하우징 하방에 연결되어 각각의 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에 피드백시키는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과,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과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이 연결되는 전원(14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
성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
성도,
도 3은 도 2 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는 도 2의 회전량감지수단을 나타낸 C부분의 상세구성도,
도 5는 도 4의 회전량감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가)는 고정브러쉬형 퍼텐쇼미터,
(나)는 무접촉형 퍼텐쇼미터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제어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연장축, 10: 조향축기어, 20,100: 연동기어,
21: 작동나봉, 30: 실린더, 31: 피스톤,
32: 개방부, 40: 유압관, 50: 탄발스프링,
60: 작동간, 121:핸들 회전량 감지수단,
122: 제어수단, 130:제 1 전압 연산 증폭기,
132: 제 2 전압연산증폭기, 151: 제 1 전조등 회전량감지수단,
153: 제 2 전조등 회전량 감지수단, 160: 제 1 동력발생수단,
162: 제 2 동력발생수단, 190,192: 감속기어,
212: 회전원판, 212A: 카본피막,
222: 자기저항소자, 224: 영구자석,
300: 전조등, 301: 축핀,
302: 톱니편, M: 감속모터, P1,P2: 밀폐용패킹.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조등 조향장치는 통상의 핸들(2)과 조향축(4)과, 그리고 전조등(300) 사이에 위치되는데, 조향축(4)의 중간부에는 조향기어(6)가 설치되어 바퀴(도시안됨)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조향축(4)의 단부에 연장된 연장축(5)의 단부에는 조향축 기어(10)가 축설되어있다. 상기 조향축기어(10)는 연동기어(20)와 치합되어있다.
상기 연동기어(20)는 전방중앙에 작동나봉(21)을 일체로 갖고 있으며, 이 작동나봉(21)은 자동차의 하부 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된 실린더(30)내의 피스톤(31)과 나사결합 되어있다.
상기 실린더(30)는 전조등쪽으로의 양방향으로된 한쌍의 유압관(40)과 연결되어있으며, 이 유압관(40)의 단부는 그 직경이 다소 크게형성되어 그 내부에 탄발스프링(50)으로 탄력설치된 밀폐용 패킹(P2)이 내설되어있다.
상기한 피스톤(31) 역시 한쌍의 유압관(40)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양방향 작동피스톤으로 구비되며 그 선단부에도 밀폐용 패킹(P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관(40)내에는 유압이 충전되어 있으며 유압관(40)은 실제로 구동력이 최초에 발생하는 피스톤(31)과 전조등(300)의 거리를 감안하여 길게 설치하기 쉬운 유압호스 등으로 대체할 수 도 있다.
일단의 밀폐용 패킹(P2)에는 작동간(60)이 각각 연결되는데 이 작동간(60)은 탄발스프링(50)의 중앙부를 지나 유압관(40)의 말단 개방부(32)를 통하여 전조등 (300)의 일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전조등(300)은 그 상,하단 중앙부에 축핀(301)이 결합되고, 이 축핀 (301)을 축으로 하여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은 전조등(300)의 회전은 상기한 작동간(60)의 전,후 이동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동간(60)은 상기 전조등(300)의 좌,우 회전동작에 순응할 수 있도록 유압관(40)말단의 개방부(32)직경을 여유롭게 확보하고 이와 함께 밀폐용 패킹 (P2) 및 전조등(300)과의 결합부위도 링크 또는 핀등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을 채택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조등 조향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커브길을 주행할 때 핸들(2)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리게 되면 조향축(4)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축(5)과 조향축기어(10)가 동시에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향축기어(10)와 치합된 연동기어(20)가 회전됨에 따라 이 연동기어(2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된 작동나봉(21)이 정 또는 역으로 회전된다.
이때 실린더(30)내의 피스톤(31)은 상기 작동나봉(21)과 나사결합 되어있으므로 작동나봉(21)의 정역회전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유압관(40)내의 유압은 강,약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에서 피스톤(31)의 밀폐용 패킹(P1)과 유압관(40)일단의 밀폐용 패킹(P2)의 위치는 자동차가 직진하는 상태의 위치이며 상기 일단의 밀폐용 패킹(P2)에 탄력적으로 결합된 탄발스프링(50)의 탄력도 유압관(40)내의 정상적인 유압, 즉 유압의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밀폐용 패킹(P2)을 밀어준다든가 또는 유압에 의해 수축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우회전하고자 핸들(2)을 우측으로 돌릴 경우 조향축(4)에 연장된 연장축(5) 및 조향축기어(1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조향축기어(10)와 치합된 연동기어(20)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나봉 (21)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실린더(30)내의 피스톤(31)을 전진시킨다.
상기 피스톤(31)의 전면에는 밀폐용 패킹(P1)이 부착되어 있어 그 전진이동시 유압관(40)내의 유압이 유실되지 않으며, 이때 유압관(40)내에는 상기 피스톤 (31)의 전진이동에 따라 각 밀폐용 패킹(P1)(P2)간의 거리가 좁혀져 유압관(40)내의 유압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므로 일단의 밀폐용 패킹(P2)은 전방, 즉 전조등(300) 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용 패킹(P2)의 이동에 의해 탄발스프링(50)은 수축되고 동시에 밀폐용 패킹(P2)과 연결된 작동간(60)이 전진이동하여 전조등(300)의 일측단을 밀어주게 되므로 전조등(300)은 도 1의 1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핀 (301)을 축으로 하여 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차가 주행하고자 하는 우측커브길을 조향하게 된다.
커브길이 끝나고 다시 직진도로가 시작되면 핸들(2)을 다시 정상적으로 원위치시킴에 따라 조향축기어(10) 및 연동기어(20)가 역동작하게 되고 피스톤(31)역시 후방으로 다시 원상복귀된다.
이와 함께 유압관(40)내의 유압은 각 밀폐용패킹(P1)(P2) 의 거리가 확대되어 압력이 약해지게 되고, 또 이와 같이 유압이 약해짐에 따라 일단의 밀폐용 패킹(P2)은 탄력스프링(50)의 탄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작동간(60)을 당겨주게 되므로 전조등(300)은 최초의 직진도로를 조향하는 상태로 환원되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를 좌회전시킬 때 그 원리는 상기와 같으나 다만 피스톤(31)이 전자와는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 밀폐용 패킹(P1)(P2)간의 거리가 확대되고 따라서 유압관(40)내의 유압이 약해짐은 물론 이와 함께 약해진 유압에 의해 밀폐용 패킹(P2)이 탄발스프링(50)의 탄력으로 후방,즉 피스톤(31)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간(60)을 당겨주게 되므로 전조등(300)을 좌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된다.
즉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는 핸들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에 따라 유압관(40)내의 유압이 이와 비례하여 강약으로 조절되고 다시 이와 비례하여 작동간(60)을 밀어준다든가 또는 당겨주는 폭이 설정됨으로써 전조등(300)을 커브길의 커브정도에 따라 우 또는 좌방향으로 그리고 적절한 회전각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조등 조향장치는 통상의 핸들(2)과 조향축(4)과, 그리고 전조등(300) 사이에 위치되는데, 조향축(4)의 중간부에는 조향기어(6)가 설치되어 바퀴(도시안됨)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있고, 조향축(4)의 단부는 연장되어 그 연장축(5)의 단부에 조향축 기어(10)가 축설되어있다. 상기 조향축기어(10)는 연동기어(100)와 치합되어있다.
상기 연동기어(100)는 연동기어축(110A)이 연설되어 핸들 회전량 감지수단 (121)인 핸들회전량동조 퍼텐쇼미터의 브러쉬(120A)를 회전시킨다. 미설명 부호 120B는 핸들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의 원호형상의 띠형상 몸체부(120)의 내측에 형성된 카본피막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핸들 회전량동조 퍼텐쇼미터의 브러쉬(120A)상에 형성된 단자부는 제어수단(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제어수단(122)의 출력단은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핸들 회전량동조 퍼텐쇼미터의 몸체부(120)의 하방 양측은 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제1 및 제 2전조등 회전량 감지수단(151)(153)인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의 각 몸체부(150)(152)의 하방 양측도 전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퍼텐쇼미터의 브러쉬(150A)(152A)상의 단자부 각각은 제 1 및 제 2전압 연산 증폭기(130)(132)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전조등회전량에 따른 출력 전압(Vo)을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증폭기(130)(132)에 피드백 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의 출력단자는 제 1 및 제 2 동력발생수단(160)(162)의 일실시예인 서보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서보 전동기는 좌우측 전조등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서보전동기 (160)(162)는 회전축(160C)(162C)에 축설시킨 구동 기어(170)(172)를 가지며, 각각의 구동기어(170)(172)에는 각각의 전조등 하우징(180)(182)의 상방 중심축 (180A)(182A)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속 기어(190)(192)가 맞물려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조등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의 브러쉬(150A)에는 전조등을 고정시키는 전조등과 동일한 형상의 전조등 하우징(180)의 하방 중심축(180B)이 연결되어 하우징(180)의 회전에 따른 출력 전압(Vo)을 연산증폭기(130)에 피드백시키도록 되어있다. 제 2 전조등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도 상기 제 1 전조등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핸들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로부터 제어수단(122)에 입력되는 전압은 Vi로 나타내고, V는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로부터 출력되어 제 1 및 제 2 동력발생수단(160)(162)인 서보전동기에 인가되는 서보 전동기 구동전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 의 장치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핸들 회전량에 따라 회동되는 브러쉬(120A)의 회동에 의해 변화된 전압을 감지하는 핸들 회전량감지수단(121)과, 상기 핸들 회전량 감지수단(121)으로부터 감지된 입력 전압(Vi)이 입력되어 연산처리되는 제어수단(122)과, 상기 제어수단(122)으로부터 연산처리된 전압과 후술하는 피드백된 전압을 비교하여 소정 구동전압(V)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와, 상기 제 1, 제 2전압 연산 증폭기(130)(132)로부터의 구동전압(V)을 통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동력발생수단(160)(162)과, 상기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160)(162)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및 제 2 감속기어(190)(192)와, 상기 제 1 및 제 2감속기어(190)(192)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각각의 전조등이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조등회전량을 감지하여 그에따른 변화량을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연산증폭기(130)(132)에 피드백시키는 제 1 및 제 2 전조등 회전량 감지수단(151)(153)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동력발생수단으로서 서보모터를 사용하였지만,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제 1 및 제 2 전압연산증폭기(130)(13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전류변환수단(도시안됨)에 의해 전류로 변환하여 그 구동전류(I)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밸브(도시안됨)와, 그 서보밸브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도시안됨)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130)(132)로부터의 구동전압(V)을 인가하여 그 구동전압(V)에 의해 구동되는 클러치(도시안됨)와 그 클러치의 토크(torque)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가 포함된 기어박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130)(132)로부터의 구동전압(V)에 의해 구동되는 쌍극쌍도 릴레이(도시안됨)와 그 릴레이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와 그 전동기의 토크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가 포함된 기어박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동력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전조등의 하우징(180)(182)을 핸들회전만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회전량감지수단을 나타낸 C부분의 상세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카본 피막(120B)이 피착된 카드(120)와 브러쉬(120A) 및 회전축(110A)으로 구성된 카본 피막식 퍼텐쇼미터를 나타낸다. 상기 퍼텐쇼미터는 핸들의 회전량 또는 전조등의 하우징 회전량에 의하여 저항치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압치도 변화시킨다.
도 5는 도 4의 회전량 감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는 고정 브러쉬형 퍼텐쇼미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면 소정위치에 카본피막(212A)이 반원형의 띠형태로 도포되고, 또한 띠형태로 전도성 재료(212B)(212C)가 도포되고 중심에는 상기 조향축기어(10)와 연결된 회전축 (210)이 설치된 회전원판(212)이 있고, 이 회전원판(212)의 카본피막(212A)과 전도성재료(212B)(212C)와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214A)와 전원단자(214B)(214C)가 접촉설치 되어있다. 상기 카본피막(212A)의 양단은 상기 전도성재료(212B)(212C)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회전량 감지수단은 그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원판(212)이 회전되면서 그 회전원판(212)상의 카본피막(212A)과 접촉되는 출력단자(214A)의 접촉저항의 변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도 5 의 (나)는 무접촉형 퍼텐쇼미터로 이루어진 회전량 감지수단으로서, 하방이 약간 개방된 형태의 원형상의 띠형태의 자기저항소자(222)가 있고, 상기 조향축기어(10)와 연결된 회전축(230)은 연결체(223)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의 일측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의 일측면에 근접하여 회전하도록 된 영구자석(224)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의 하방양단은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영구자석(224)은 전압연산증폭기(130)(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기저항소자(222)에 대한 영구자석(224)의 회전으로 인한 전압변화를 전압연산증폭기에 출력시켜 그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회전량 감지수단(12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전압 (Vi)을 이미 그 내부에 설정해 놓은 전압범위인 좌우 방향의 핸들회전량이 작을 때 전조등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중립을 지키도록 설정된 범위,즉, Vs-△V〈 Vi〈 Vs+△V 인지를 판단하고, 그 입력전압이 상기한 바와 같은 기설정 전압범위내이면 Vi를 Vs로 치환한 상태의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제어하고, 그 입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범위를 벗어난 값이면 그 때의 입력전압(Vi)을 그대로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은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로 인가된다. 상기에서 Vs는 핸들과 전조등 중립시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의 전압을 나타내고, Vs±△V는 전조등 회전이 필요없는 핸들 회전량에 대응하는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 전압을 나타낸다. 따라서, Vs값이 출력되는 경우 전조등은 회전하지 않고 중립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커브길을 주행할 때 운전자가 핸들(2)을 좌 또는 우측으로 돌리게 되면 핸들축(2)과 조향축기어(10)가 동시에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향축기어(10)와 맞물린 연동기어(100)가 회전됨에 따라 연동 기어축(110A)이 회전되어 핸들 회전량 감지수단인 회전량동조 퍼텐쇼미터(121)의 브러쉬(120A)가 회전된다. 이와같이 상기 퍼텐쇼미터(121)의 브러쉬(120A)가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면 퍼텐쇼미터(121)의 저항치가 변화되어 퍼텐쇼미터(121)의 출력단자에는 변환된 전압이 Vi가 출력되고, 이 전압(Vi)은 제어수단(122)에 입력되는데, 이때 제어수단(122)은 입력전압(Vi)이 이미 설정된 전압범위(Vs-△V〈 Vi〈 Vs+△V)내인지를 비교한 후, 그 비교된 전압을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에 인가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증폭기(130)(132)에는 제 1 및 제 2 전조등 회전량 감지수단(151)(153)인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에서 전조등회전량에 의해 감지되어 출력된 각각의 전압(Vo)이 피드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122)으로부터 인가된 전압과 연산처리되는데, 즉, V=Vi-Vo,를 통해 V가 증폭되어 출력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연산 증폭기(130)(132)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제 1 및 제 2 동력발생수단(160)(162)중의 한 실시예인 서보 전동기에 구동전압(V)으로 인가되어 이에따라 제 1 및 제 2 감속기어(190)(192)를 회전시키고, 이에따라 전조등이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100)의 회전량에 의한 퍼텐쇼미터로 부터의 입력 전압을 제어수단을 통해 설정된 전압범위와 비교하여 출력하고, 이 출력된 전압을 전조등 회전량 동조 퍼텐쇼미터로부터 발생된 전압과 비교하여 연산처리된 전압을 출력시켜 서보 전동기를 구동케 함으로써 전조등(300)을 핸들이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조향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야간 커브길 주행시 자동차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 주는 것과 함께 전조등이 회전되어 그 진행방향으로 미리 조향시켜줌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의 진행하고자 하는 커브길의 시야를 미리 확보하게 되므로커브길에서 미처 발견할 수 없는 장애물을 즉시 확인하여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커브길이 지그재그로 연속되는 도로나 커브길이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도로에서의 효과가 크게 기대되며, 따라서 운전자의 안정적인 주행으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 핸들(2)상에 조향축(4)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축(5)이 구비되어 있고, 그 연장축(5)의 단부에는 조향축기어(10)를 구비하고, 작동나봉(21)을 갖는 연동기어(20)를 상기 조향축기어(10)에 치합하며, 밀폐용패킹(P1)이 부착된 피스톤(31)이 상기 작동나봉(21)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직경을 가지는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린더(30)내에 내설되고, 상기 실린더(30)의 개구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내부에 유압이 충전된 상태로서 상기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소정 단부 내부에 밀폐용패킹(P2)이 탄력설치된 탄발스프링(50)이 내설되는 한쌍의 유압관(40)과, 상기 유압관(40)내에 내설된 탄발스프링(50)의 중앙부를 지나 유압관(40)의 말단 개방부 (32)를 통하여 전조등(300)의 일측단에 작동간(60)이 결합되어 핸들(2) 조작에 따른 자동차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전조등(300)이 회전되도록 하는 전조등 조향장치에 있어서,상기 전조등(300) 일단에 상기 작동간(60)의 타단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하단 중앙부에는 축핀(301)이 결합된 상태로서, 상기 작동간(60)의 전·후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전조등(300)의 좌·우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자동차 핸들(2)과 조향축 및 전조등사이에 위치되고, 조향축의 중간부에 조향기어가 설치되어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연동기어축이 연설된 연동기어의 구동에 의해 소정 동력발생수단과 연동된 전조등하우징이 회동되어 전조등 방향을 변경하는 전조등 조향장치에 있어서,상기 연동기어(100)의 연동기어축(110A) 단부에 설치되어 핸들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과,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전압(Vi)이 자동차의 좌,우 방향의 핸들회전량이 작을 때 상기 전조등(300)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고 중립을 지키도록 설정된 전압범위인 Vs±△V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 후 연산처리하는 제어수단(122)과,상기 제어수단(122)의 연산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전압(Vi) 또는 핸들과 전조등 중립시 회전량동조퍼텐쇼미터 전압인 Vs을 선택해서 인가받고, 상기 전압과 상기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151)(153)으로부터 전조등회전량에 따른 출력전압(Vo)인 피드백 전압을 인가받아 비교처리(Vi-Vo)하고 소정 구동전압(V)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130)(132)와,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130)(132)로부터의 구동전압(V)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160)(162)과,상기 제 1 및 제 2동력발생수단(160)(162)과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그 상방에 제 1 및 제 2감속기어(190)(192)를 가진 제 1 및 제 2전조등하우징(180)(182)과,상기 전조등하우징(180)(182)하방에 연결되어 각각의 하우징의 회전량에 따른 전압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130)(132)에 피드백시키는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151)(153)과,상기 핸들회전량감지수단(121)과 제 1 및 제 2전조등회전량감지수단 (151)(153)이 연결되는 전원(140)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핸들 회전량감지수단(121)은 그의 일측면상 소정위치에 카본피막(212A)이 반원형상의 띠형태로 도포되고, 원호상의 띠형태로 전도성 재료(212B)(212C)가 도포되며, 상기 조향축기어(10)에 연결되는 회전축(210)을 가진 회전원판(212)이 있고, 상기 회전원판(212)의 카본피막(212A)과 전도성재료(212B)(212C)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출력단자(214A)와 전원단자(214B)(214C)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카본피막(212A)의 양단은 상기 전도성재료(212B)(212C)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고정 브러쉬형 퍼텐쇼미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핸들 회전량 감지수단(121)은 그의 하방 소정위치가 개방된 원형상의 띠형태의 자기저항소자(222)가 있고, 상기 조향축기어(10)와 연결된 회전축(230)은 연결체(2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의 일측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에 근접하면서 회전하는 영구자석(2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저항소자(222)의 하방양단은 전지와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영구자석(224)의 단부는 상기 전압연산증폭기 (130)(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무접촉형 퍼텐쇼미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수단(122)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압범위내이면 입력전압 Vi를 Vs로 치환하여 그 값을 입력전압(Vi)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전압범위를 벗어난 상태이면 핸들과 전조등 중립시 회전량동조퍼텐쇼미터의 전압(Vs)을 입력전압 (Vi)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 조향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동력발생수단(160)(162)은 제 1 및 제 2전압연산증폭기(130)(132)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압을 전류변환수단에 의해 전류로 변환된 구동전류(I)에 의해 구동되는 서보밸브와, 그 서보밸브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조향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3661A KR100311934B1 (ko) | 1998-02-09 | 1998-02-09 |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3661A KR100311934B1 (ko) | 1998-02-09 | 1998-02-09 |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9414A KR19990069414A (ko) | 1999-09-06 |
KR100311934B1 true KR100311934B1 (ko) | 2002-02-19 |
Family
ID=3753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3661A KR100311934B1 (ko) | 1998-02-09 | 1998-02-09 |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193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9822A (ko) * | 1987-02-04 | 1988-10-05 | 이성호 | 자동차 전조등 유압식 회동기 |
KR970037376A (ko) * | 1995-12-28 | 1997-07-22 | 김태구 | 조향각 적응형 전조등제어장치 |
-
1998
- 1998-02-09 KR KR1019980003661A patent/KR1003119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9822A (ko) * | 1987-02-04 | 1988-10-05 | 이성호 | 자동차 전조등 유압식 회동기 |
KR970037376A (ko) * | 1995-12-28 | 1997-07-22 | 김태구 | 조향각 적응형 전조등제어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69414A (ko) | 1999-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76300B2 (en) | Electronic intelligent turn signal control system | |
JP3521249B2 (ja) | 自動車の舵取り装置 | |
US6059068A (en) |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JP4543599B2 (ja) | 車両の自動退避装置 | |
JPS6044186B2 (ja) | 車両の操舵方法 | |
US11180190B2 (en) | Four-wheel steering system | |
KR100311934B1 (ko) | 자동차전조등조향장치 | |
CN113022432A (zh) | 一种针对外部环境的半挂车盲区轨迹预警方法及装置 | |
CN101134472A (zh) | 车辆多轴全轮电动转向系统 | |
JPH0567441B2 (ko) | ||
DE10257868B4 (de) | Scheinwerfersteuersystem | |
US6752237B2 (en) |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 |
CN111299273B (zh) | 一种管道内行走机构及其控制方法 | |
KR20080006197A (ko) | 자동차용 회전반경 축소시스템 | |
KR20210017587A (ko) | 차량의 조향 제어 방법 | |
KR100259536B1 (ko) |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 |
Soni et al. | STUDY OF FOUR-WHEEL STEERING SYSTEMS’VIABILITY IN FUTURE AUTOMOBILES | |
JPS62255285A (ja) | 自動車の操舵装置 | |
KR100188414B1 (ko) | 자동차의 전자식 파워스티어링장치 | |
KR890001635Y1 (ko) | 전방향 추진 차량용 차륜 각도변환장치 | |
KR0134020B1 (ko) | 자동차의 차륜 표시장치 | |
CN118405189A (zh) | 车辆用操舵辅助装置及操舵辅助方法 | |
KR970007737B1 (ko) | 자동차의 4륜 조향장치 | |
RU36806U1 (ru) | Многоосное автошасси | |
JPS61193967A (ja) | 車輌の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