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844B1 - 대용량유도성부하의전원안정화제어기와전원안정화제어기의기판과일체로된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대용량유도성부하의전원안정화제어기와전원안정화제어기의기판과일체로된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844B1
KR100311844B1 KR1019980063664A KR19980063664A KR100311844B1 KR 100311844 B1 KR100311844 B1 KR 100311844B1 KR 1019980063664 A KR1019980063664 A KR 1019980063664A KR 19980063664 A KR19980063664 A KR 19980063664A KR 100311844 B1 KR100311844 B1 KR 10031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ircuit
relay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462A (ko
Inventor
최윤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최 윤 식
휴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02562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36631U/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05484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39314U/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3319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03233U/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3320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03234U/ko
Application filed by 최 윤 식, 휴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 윤 식
Publication of KR1999007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대용량 유도성 부하를 갖는 전기 및 전자기기에서 온/오프 제어시 발생되는 순간돌입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과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릴레이와 상기 어느 일 또는 다수개의 릴레이를 전류 제한소자와 병렬조합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각 릴레이의 접점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의 기동 초기에는 돌입전류 발생 시간동안 전압을 제어하여 일정시간 동안 공급시킨 후 정상전압으로 부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 순간돌입 전류 발생을 억제시키고, 부하의 동작을 멈추는 경우 전압을 제어하여 차단되도록 릴레이 접점을 기동 때의 역순으로 제어하여 역기써지전압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안정화 제어기의 회로기판과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배선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색인어]
파워써미스터, 돌입전류, 역기 써지전압, 유도성 부하, 시간지연회로

Description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
본 발명은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백 내지 수천와트의 대용량 유도성 부하를 갖는 냉,난방기 또는 대형 냉장고 등의 전기 및 전자기기에서 온/오프 제어시 발생되는 순간돌입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과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릴레이와 상기 어느 일 또는 다수개의 릴레이를 전류 제한소자와 병렬조합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각 릴레이의 접점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의 기동 초기에는 돌입전류 발생 시간동안 부하에 통전되는 전압을 낮춰서 일정시간 동안 공급시킨 후 정상전압으로 부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통전 전압을 제어함으로 순간돌입 전류 발생을 억제시키고, 부하의 동작을 멈추는 경우 통전되는 전압을 낮춘 상태에서 차단되도록 릴레이 접점을 기동 때의 역순으로 제어하여 역기 써지전압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에 일체로 구성되는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유도성 부하들은 전기적인 특성상 통전과 동시에 매우 짧은 시간(예를 들어 수 내지 수십 msec) 동안 평균 소비전류 보다 수 내지 수십 배에 달하는 급격히 높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된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위시간당 전압의 값이 계속하여 변하기 때문에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전류의 값도 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냉, 난방기 등과 같이 코일을 갖는 유도성 부하에 기동전류의 초기 인가할 경우와 기동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급격히 상승되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게 된다.
즉,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또는 전자기로 구성되는 냉, 난방기 등이 작동할 때 리액턴스가 낮기 때문에 소비전류가 많은 대용량 부하와 모터, 변압기 또는 컴프레서 등 유도성 부하가 온/오프를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온일 때에는 순간돌입전류가 발생되고, 오프일 때에는 부하인가 전압의 수 내지 수백 배에 달하는 짧은 펄스성의 역방향 써지전압(일종의 역기전력)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순간돌입전류와 역방향의 써지전압은 유도성 부하가 장착되는 제품의 구성요소인 전기 또는 전자 부품에 손상을 유발하고 유도성 부하가 장착된 제품과 연결되거나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는 다른 주변 기기들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게 되었다.
이러한 돌입전류와 써지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제어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전원(10)에 제어회로(20)를 연결하고 상기 제어회로(20)에 접점제어소자(40)를 연결하여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접점제어소자(40)로 다중 접점 릴레이와 같은 부품을 이용하여 유도성부하(31,3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정격 전류보다 수배의 용량을 가지는 다중접점 릴레이를 이용하여, 온, 오프 제어를 하여 왔으나, 이러한 제어회로는 단순히 다중접점 릴레이를 통하여 온, 오프만을 제어하기 때문에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다지 양호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파형도를 보면, 돌입전류(구간 c로 도시)가 발생되는 순간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구간 a로 도시), 전원을 차단하는 순간 역방향의 써지전압(구간 b로 도시)이 급격히 높게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또 다시 종래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입전류와 역방향의 써지전압을 제어하는 회로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는 접점제어 소자(40) 이외에 리엑터(50)를 연결하거나 또는 파워 릴레이(61)와 파워써미스터(62)를 연결하는 회로를 통해 돌입전류와 역방향의 써지전압을 제어하려 하였다.
이와 같은 회로를 접점제어소자(40)에 돌입전류 제한용 리액터(50) 또는 파워릴레이(61)와 파워써미스터(62)를 연결하여 부하의 기동시 발생되는 순간 돌입전류를 감쇄하고 있으나,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도 유도성부하(31,32)의 용량이 3Kw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양호하게 제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회로에 있어서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배전반과 전력계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의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도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는 돌입전류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는 있었지만 그리 크게 억제하지는 못하였고, 또한 역방향의 써지전압에 대하여는 종전과 다를 바가 없었다.
종래의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과 전류의 파형도를 도 3a 내지 도 3c와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부호 a는 전압이 감쇄되는 폭을 나타내고, 부호 b는 역기 써지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며, 부호 c는 돌입전류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유도성 부하가 높은 용량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는 과전류가 발생되고,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과전류 차단기를 사용하는 경우 차단기가 작동되어 전류를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정전이 발생되며, 또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전기 또는 전자 부품에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예를 들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돌입전류가 발생되게 되면, 과전류 차단기의 작동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되기에 사용중인 데이터의 손실은 물론 전자기기에 셋팅되었던 메모리가 손실되고, 또한 주변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되며, 높은 돌입전류 및 써지전압의 발생으로 인하여 접점이 융착 또는 용융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 회로에 사용되는 상기 접점제어소자인 마그네트형 계전기나 교류형 파워릴레이는 제조원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회로는 모두가 전원(10)이 어떠한 제어기능 없이 바로 차단되기 때문에 역기 써지전압이 여전히 장해 요인이 되고, 이러한 써지전압으로 인해 마그네트 계전기나, 교류 파워릴레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도성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안정화 제어기를 중앙 제어회로기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터미널블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터미널블록은 어느 전기 또는 전자 장치와 다른 전기 또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종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는 부품이다.
종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터미널블록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개의 단자(5)가 부착된 터미널블록(3)으로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블록(3)에 부착된 다수개의 단자(5)의 일 측에는 연결구(4)를 이용하여 기판고정체(1)에 장착된 기판(2)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며, 단자(5)의 다른 일 측에는 중앙회로에 연결된 전선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터미널블록은 기판고정체와 터미널블록이 따로 장착되어 중앙회로와 터미널블록을 연결하고 터미널블록과 전원 안정화 제어회로를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선이 복잡해지고, 작업공정이 많아지며, 이에 따라서 많은 작업 시간과 작업공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판고정체와 터미널블록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생산라인을 설비하여야 하고, 생산비용도 더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백 내지 수천와트의 대용량 유도성 부하를 갖는 냉, 난방기 또는 대형 냉장고 등의 전기 및 전자기기에서 온/오프 제어시 발생되는 순간돌입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과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릴레이와 상기 어느 일 또는 다수개의 릴레이를 전류 제한소자와 병렬조합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각 릴레이의 접점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의 기동 초기에는 돌입전류 발생 시간동안 부하에 통전되는 전압을 낮춰서 일정시간 동안 공급시킨 후 정상전압으로 부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전류제한 소자로 통전 전압을 제어함으로 순간돌입 전류 발생을 억제시키고, 부하의 동작을 멈추는 경우 통전되는 전압을 낮춘 상태에서 차단되도록 릴레이 접점을 기동 때의 역순으로 제어하여 역기써지전압을 감쇄시키도록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블록이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배선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터미널블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대용량 유도성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중앙 제어회로에 변압회로, 정류회로 및 평활회로가 차례로 연결하여 평활회로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시간지연회로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각 시간지연회로에 파워써미스터가 병렬로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를 연결하고, 평활회로에는 파워릴레이가 시간지연회로와 병렬로 연결하며, 그리고 또한 각 파워써미스터와 병렬로 연결된 각 파워릴레이와 파워써미스터가 병렬로 연결되지 않는 파워릴레이는 중앙 제어회로의 일 전원단자 또는 다른 일 전원단자와 유도성 부하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원을 인가할 경우 시간지연회로에 의해 상기 각 파워릴레이가 차례로 작동되어 접점을 연결하여 전류의 세기가 점차 커지도록 제어되게 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각 파워릴레이를 역순으로 작동되어 접점을 차단하여 전압의 세기가 점차로 감소되게 제어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는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제너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은 평활회로에 직류전류가 인가되는 플러스 단자에 연결된다. 그리고, 콘덴서는 상기 저항과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상기 저항과 콘덴서 사이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는 베이스가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이미터가 상기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된다.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평활회로의 플러스 단에 케소드가 연결되게 구성되어 제너다이오드의 브레이크다운 특성과 콘덴서의 충전 및 방전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직류형 파워릴레이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시간지연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콘덴서,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며, 다이오드의 애노드를 평활회로의 플러스 단에 연결하고, 콘덴서를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 사이에 연결하고, 그리고, 저항의 일 측을 다이오드와 콘덴서 사이에 연결하고 다른 일 측을 직류형 파워릴레이에 연결하며, 직류형 파워릴레이를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일 구조와 다이오드의 애노드를 평활회로의 플러스 단에 연결하고, 그리고,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저항을 연결하고, 저항의 다른 일 측을 콘덴서와 직류형 파워릴레이에 연결하며, 콘덴서와 직류형 파워릴레이의 다른 일 측을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일 또는 다수개의 구조를 조합하여 직류형 파워릴레이를 저항과 콘덴서의 충전 용량을 이용하여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지연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마이콤,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평활회로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단자에는 전원감시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트랜지로 송출하도록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가 상기 평활회로의 플러스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트랜지스터이컬렉터에 연결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평활회로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파워릴레이를 마이콤에 설정된 순서와 신호 출력 시간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로 신호를 출력하여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제어회로에 의해 단속이 제어되는 다수개의 직류형 파워릴레이는 유도성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의 어느 일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시간지연회로에 의해 순서대로 단속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는 보빈과 구동철편, 그리고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으로 구성되는 다중접점릴레이가 상기 평활회로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단자와 고정접점 단자의 접점 간격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상기 고정접점 단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꺾이게 형성되어 일 고정접점이 전원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고정접점이 전원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접점과 상응하여 접점되는 각 가동접점이 각 유도성 부하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다중접점릴레이와 병렬로 유도성 부하에 파워써미스터가 연결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간극 차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가까운 접점이 먼저 단락되고, 먼 접점이 나중에 단락되도록 차례로 연결하여 전류의 세기가 점차 커지도록 제어되게 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역순으로 작동되어 접점을 차단하여 전압의 세기가 점차로 감소되게 제어되게 한다.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터미널 블록은 기판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 하여 연장된 기판의 단부에 "┎─" 형상을 갖는 판상형인 다수개의 단자를 삽입하여 납땜으로 고정하고, 상기 각 단자는 기판을 인쇄할 때 연결되는 기판의 다른 구성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쇄되어 연락되게 결합되며, 상기 단자에는 슬립형으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접속구를 전원선과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단자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전원선이 연결되며, 외부에는 다른 물체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열재의 홀더가 씌워진 접속구에 의해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고정체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 하고, 상기 연장된 기판고정체의 일 측 단부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분할벽이 형성되게 하고, "┎─" 형상의 판상형으로 구성되는 단자가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각 구성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을 인쇄하여 연락되게 기판의 일 측 단부에 삽입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며, 단자의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기판고정체의 연장된 단부의 상부면 분할벽 사이에 안착되어 전원선과 연결된 고리형상을 갖는 접속구와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냉,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전원 제어회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냉,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다른 일 전원 제어회로도이고,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제어회로의 마그네트 계전기의 동작전원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제어회로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3c는 도 1 및 도 2의 제어회로의 전류특성 파형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냉,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일 전원 제어회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냉, 난방기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일 전원 제어회로도이고,
도 6a는 도 4 및 도 5의 제어회로의 마그네트 계전기의 동작전원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6b는 도 4 및 도 5의 제어회로의 교류시간 지연 릴레이의 동작전원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6c는 도 4 및 도 5의 제어회로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6d는 도 4 및 도 5의 제어회로의 전압특성 파형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릴레이를 이용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간극 릴레이를 이용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에 사용되는 다중간극 릴레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릴레이 접점 구성하는 다양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회로도이고,
도 11a는 종래의 전원 제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출력 기동시 릴레이 접점 동작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11b는 종래의 전원 제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출력 차단시 릴레이 접점 동작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7a에 도시된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회로의 구성요소인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어회로이고,
도 13a는 종래의 전원 제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출력기동시 돌입전류 발생 특성을 비교한 파형도이고,
도 13b는 종래의 전원 제어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출력 차단시 역기써지전압 발생 특성을 비교한 파형도이고,
도 14는 종래 터미널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는 터미널블록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구성되는 터미널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전원 200...제어회로
310,320...유도성부하 330...기동 콘덴서
400...변압회로 500...정류회로
600...평활회로 700...시간지연회로
800...릴레이 810...파워릴레이
820...다중접점릴레이 900...파워써미스터
1000...터미널블록 1100,1110...기판 고정체
1111...분할벽 1200...기판
1210...납 1300,1310...단자
1311...구멍 1400...홀더
1410,1420...접속구 1430...나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는 변압회로(400), 정류회로(500), 평활회로(600), 시간지연회로(700), 릴레이(800) 및 파워써미스터(900)를 구성요소로 하여 병렬 또는 직렬 조합을 통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 전원(100)에 연결된 제어회로(200)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될 때,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해 발생되는 순간 돌입전류와 역기 써지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를 변압회로(400)와 정류회로(500) 및 평활회로(600)가 직렬로 구성되고, 상기 평활회로(600)에 시간지연회로(700)와 일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에는 다시 다른 일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연결되고,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와 병렬로 파워써미스터(900)가 연결된다. 상기 각 직류형 파워릴레이(810) 사이에는 기동 콘덴서(330)를 갖는 유도성부하(310,320)가 연결되고, 상기 변압회로(400)는 중앙 제어회로(200)의 신호단자(S)와 일 전원단자(L)가 연결되며, 상기 평활회로(600)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는 상기 중앙 제어회로(200)의 다른 전원단자(N)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는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공급을 위해 접점을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의 수를 다르게 구성하여 접점을 구성하는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의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2접점을 구성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이 인가될 때 신호단자(S)를 통해 상기 변압회로(400)에 신호를 보내고, 전원단자(N)를 통해 상기 변압회로(4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안정화 제어기를 작동하기에 적당한 전압으로 제어하고 정류회로(500)와 평활회로(600)를 거쳐 안정된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평활회로(600)에 바로 연결된 파워릴레이(900)를 작동하여 접점을 이루게 한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L)를 통해 유도성부하(310,320)로 인가되는 전기는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에 연결된 다른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와 병렬로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낮은 전압으로 유도성부하(310,32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간지연회로(700)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는 접점이 차단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의 작동에 의해 일정시간(수 내지 수십 msec) 후에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접점을 이루게 되어 정상적인 전압이 유도성 부하(310,320)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파워써미스터(900)는 접점을 이루는 어느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와 병렬로 연결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전압의 폭을 좀더 세밀하게 조정하기 위한 3접점을 이루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활회로(600)에 연결되는 일 시간지연회로(700)를 추가하고, 상기 전원단자(N)와 평활회로(600)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 사이에 상기 추가된 일 시간지연회로(700)에 의해 제어되는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연결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러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전원이 인가되면 평활회로(600)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먼저 작동하여 통전을 개시하고, 이때 상기 전원단자(L)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와 다른 전원단자(N)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전압이 제어된 상태로 운전을 시작한다. 그 후에 전원단자(N)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의 작동으로 일정시간(수 내지 수십 msec) 후에 상기 전원단자(N)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작동하여 접점되어 제어된 전압을 약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다른 전원단자(L)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를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의 작동으로 일정시간(수 내지 수십 msec) 후에 상기 전원단자(L)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작동하여 접점되어 정상적인 전압을 유도성 부하(310,32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2접점을 구성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3접점을 구성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는 차단될 때 상기 작동 순서의 반대로 작동되어 전압을 제어하며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전원 인가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억제하게 되고, 또한 전원 차단시 발생되는 역기 써지전압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구성요소인 변압회로(400)는 콘덴서와 콘덴서의 방전 저항으로 구성되며, 정류회로(500)는 다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평활회로는 전해 콘덴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다중접점릴레이(820)를 이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중앙제어회로(200)의 신호단자(S)에 변압회로(400), 정류회로(500) 및 평활회로(600)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평활회로(600)에 다중접점릴레이(820)를 연결된다.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는 2접점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의 일 접점은 상기 중앙 제어회로(200)의 전원단자(L)와 일 유도성 부하(310)에 연결되고, 다중접점릴레이(820)의 다른 일 접점은 다른 전원단자(N)와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단자(N)에 연결되는 다중접점릴레이(820)의 일 접점에는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파워써미스터(900)의 일 측은 상기 일 유도성 부하(3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는 직류형을 사용하게 된다.
다른 다중접점릴레이(830)를 구성요소로 하는 다른 일 실시예를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압회로, 정류회로 및 평활회로를 갖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다중접점릴레이(830)는 교류형 다중접점릴레이(830)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교류형이나 직류형 다중접점릴레이(830)는 상기 변압회로(400), 정류회로(500) 및 평활회로(600)를 구성요소로 하는가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구성이 동일하다.
이와 같이 다중접점릴레이(820,830)를 이용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동작은 전원이 인가되면, 신호단자(S)에 연결되는 다중접점릴레이(820,830)가 작동을 하여 일 전원단자(L)에 연결된 다중접점릴레이(820,830)의 일 접점을 먼저 단락시켜 파워써미스터(900)에 의해 전압이 제어된 상태로 구동을 시작하고, 일정시간(수 내지 수십 msec) 후에 다른 일 전원단자(N)에 연결된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830)의 다른 접점을 단락시키게 되어 정상적인 전압으로 구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을 차단할 경우에는 상기 일 전원단자(N)에 연결된 다중접점릴레이(820,830)의 접점이 먼저 끊어져 일정 전압으로 제어된 상태로 구동을 계속하고, 일정시간 후에 다시 다른 전원단자(L)에 연결된 다중접점릴레이(820,830)의 접점이 끊어져 역기 써지전압의 발생이 제어된 상태로 구동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83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다중접점릴레이와는 달리 전극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832)에 보빈(833)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철편(834)이 인접하여 있고, 상기 구동철편(834)과 가동접점 단자(835)가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접점단자(835)와 일정한 거리에 고정접점(836a,836b)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832)의 상부에 케이스(831)가 덮여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다중접점릴레이(830)는 상기 가동접점 단자(835)와 고정접점 단자(836a,836b)의 접점 간격을 서로 다르게 주는 것이다. 즉, 일 고정접점 단자(836a)와 다른 일 고정접점 단자(836b)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게 하여 간격을 다르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결되는 접점의 시간에 차이를 두게 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도 10a 내지 10h는 본 발명의 전원 안정화 파워써미스터(900)와 릴레이(800)가 기동 콘덴서(330)를 갖는 유도성 부하(310,320)와 연결되는 상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상기 릴레이(800)는 직류형 파워릴레이(810) 또는 다중접점릴레이(820)가 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2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1단으로 제어하는 회로이다.
도 10a는 유도성 부하(310,320)의 양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b)와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a)가 각각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두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전원이 인가되면,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a)가 먼저 작동되어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제어된 전류로 통전되다가 파워써미스터(900)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b)가 작동되어 정상적인 전류로 구동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역순으로 각 릴레이(800a,800b)가 작동되어 전류를 제어하며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도 10b는 유도성 부하(310,320)의 양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d)와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c)가 직렬로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한다. 작동은 도 10a의 회로와 동일한 순서로 작동된다.
도 10c 및 도 10d는 각각 2접점과 3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2단으로 제어하게 되며, 도 10c는 유도성 부하(310,32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릴레이(800e,800f)가 직렬로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동시에 제어한다. 작동은 전원이 인가되면 연속된 두 개의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제어된 전류로 구동을 시작하고, 인가되는 전원선에 처음 연결된 릴레이(800e)가 먼저 작동되며, 다시 두 번째 릴레이(800f)가 작동되어 구동을 하게 된다.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역순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도 10d는 유도성 부하(310,32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릴레이(800h,800i)와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g)가 직렬로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동시에 제어한다. 작동은 전원이 인가되면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g)가 먼저 작동하여 연속된 두 개의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제어된 전류로 구동을 시작하고, 인가되는 전원선에 처음 연결된 릴레이(800h)가 먼저 작동되며, 다시 두 번째 릴레이(800i)가 작동되어 구동을 하게 된다.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또한 역순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도 10e는 3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2단으로 제어하게 되며, 일 유도성 부하(31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k)와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j)가 차례로 직렬 연결되고,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l)가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직동은 파워써미스터(900)가 없는 릴레이(800j)가 먼저 작동되어 각 유도성 부하(310,320)의 일 측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를 통해 제어된 전류로 구동을 시작하고, 그 후 일 유도성 부하(310)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k)와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l)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작동되어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전원 차단시 작동은 역순으로 제어된다.
도 10f는 3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2단으로 제어하게 되며, 일 유도성 부하(31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m)와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n)가 연결되고,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p)가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은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두 릴레이(800n,800p)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작동되어 유도성 부하(310,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그 후 파워써미스터(900)가 연결된 릴레이(800m)가 작동되어 정상적인 전류로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 차단시 작동은 역순으로 제어된다.
도 10g는 3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2단으로 제어하게 되며, 일 유도성 부하(310)의 일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r)와 파워써미스터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g)가 직렬로 연결되고, 기동 콘덴서(33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s)가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은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g)가 먼저 작동되어 제어된 전류로 구동을 시작하고, 일 유도성 부하(310)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를 갖는 릴레이(800r)와 기동 콘덴서(330)에 연결된 릴레이(800s)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작동하여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 차단시 작동은 역순으로 제어된다.
도 10h는 4접점을 구성하여 전류를 3단으로 제어하게 되며, 일 유도성 부하(31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두 개의 릴레이(800u, 800v)와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t)가 직렬로 연결되고,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의 일 측에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릴레이(800w)가 연결된 접점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로 일 전원선의 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작동은 파워써미스터(900)를 갖지 않는 릴레이(800t)가 먼저 작동되어 제어된 전류로 구동을 시작하고, 일 유도성 부하(310)의 일 측에 연결된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첫 번째 릴레이(800u)와 두 번째 릴레이(800v)가 차례로 작동되어 상기 유도성 부하(31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며, 다른 일 유도성 부하(320)에 연결된 릴레이(800w)가 상기 첫 번째 릴레이(800u) 또는 두 번째 릴레이(800v)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유도성 부하(3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전원 차단시 작동은 역순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의해 전원 인가시 돌입전류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게 되고, 또한 전원 차단시 역기 써지전압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효율적인 상태를 임피던스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도록 도 11a와 11b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1a는 유도성 부하의 전원 인가시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접점 동작에 따라 임피던스와 전류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부호 A로 표기되는 곡선은 종래의 제어기를 통해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곡선이고, B로 표기된 곡선은 발생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부호 C로 표기된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를 통해 전류를 제어하는 경우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고, D로 표기된 곡선은 발생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는 임피던스의 값을 서서히 증가되게 하므로 돌입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b는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릴레이에 의해 제어되는 접점 동작에 따라 임피던스와 전압이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부호 A'로 표기되는 곡선은 종래의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고, 부호 B'로 표기되는 곡선은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그리고, 부호 C'로 표기된 곡선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는 경우 발생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고, 부호 D'로 표기되는 곡선은 임피던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시간지연회로(70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a는 상기 도 7b와 도 7c의 시간지연회로(700)와 동일하게 저항(3a,3b), 콘덴서(1a,1b), 다이오드(5a,5b), 제너다이오드(2a,2b) 및 트랜지스터(4a,4b)로 구성되며 제너다이오드(2a,2b)의 브레이크다운 특성과 트랜지스터(4a,4b) 및 저항(3a,3b)에 의한 콘덴서(1a,1b)의 충전 및 방전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시간지연회로(700)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정류회로(500)와 평활회로(600) 및 저항(3a)을 거쳐 처음 일 콘덴서(1a)로 충전되어 제너다이오드(2a)와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먼저 작동시키고, 동시에 다른 일 저항(3b)을 거쳐 다른 일 콘덴서(1b)로 충전되어 제너다이오드(2b)에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되는 순서는 ①→② 순으로 충전되어 파워릴레이(810)를 순서대로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콘덴서(1a,1b)는 서로 다른 용량, 즉, 일 콘덴서(1b)의 용량이 다른 일 콘덴서(1a)의 용량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제너다이오드(2a,2b)의 전압은 일 제너다이오드(2a)의 전압이 다른 일 제너다이오드(2b) 보다 작게 설정된다.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③→④ 순으로 방전을 하여 도면상에서 오른쪽에 위치된 파워릴레이(810)부터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b는 콘덴서(5a,5b,5c), 다이오드(7a,7b,7c) 및 저항(6a,6b,6c)으로 구성되며, 시간지연회로로 저항(6a,6b,6c)과 콘덴서(5a,5b,5c)의 충전 용량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된다. 작동은 처음 콘덴서(4a)에 바로 충전을 시작하고, 다음 콘덴서(4b)는 저항(5b)을 거쳐 충전을 시작하고, 다른 콘덴서(4c) 역시 저항(5c)을 거쳐 충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①→②→③ 순서로 충전되어 각 릴레이를 작동하게 되며, 그리고 역순, 즉 ④→⑤→⑥ 순서로 방전되어 각 릴레이의 작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각 콘덴서(4a,4b,4c)의 충전시간은 수 내지 수십 msec의 차이를 가지며, 일 콘덴서(4a)의 용량은 다른 일 콘덴서(4b)의 용량보다 작고, 상기 일 콘덴서(4b)의 용량은 다른 일 콘덴서(4c)의 용량 보다 작다. 그리고 저항에 있어서도 상기 일 저항(5a)의 크기는 다른 일 저항(5b)의 크기 보다 작고, 상기 일 저항(5b)의 크기는 다른 일 저항(5c)의 크기 보다 작아야 한다.
그리고 도 12c에는 마이콤(9)을 이용하여 파워릴레이(810)의 접점을 제어하는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최초 파워릴레이(810)의 접점이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마이콤(9)에 입력신호(클럭 인터럽트 단자, 주파수 카운터 단자 또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 즉, 전원이 인가되었다는 신호를 감지하면, 마이콤(9)에 설정된 순서와 신호출력 시간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8a,8b)로 신호를 출력하여 파워릴레이(810)를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이 차단될 때 작동은 상기의 역순으로 제어되며, 작동은 마이콤(9)에 의해 작동신호를 받는 것을 제외하면, 다른 것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의해 돌입전류와 역기 써지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의 전류와 전압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와 종래의 회로에 의해 돌입전류와 역기 써지전압을 제어하는 경우의 전류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도의 비교를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었다. 도 1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의해서는 돌입전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도 1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의해서는 역기 써지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5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10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1000)은 터미널 블록이 기판(12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판(1200)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 하고, 상기 연장된 기판(1200)의 단부에 "┎─" 형상으로 꺾인 판상형의 단자(1300)를 삽입하여 납(1210)으로 고정한다. 상기 각 단자(1300)는 기판(1200)을 인쇄할 때 연결되는 기판(1200)의 구성소자와 연결되도록 인쇄를 하여 전기적으로 연락되게 구성되고, 상기 단자(1300)에는 슬립형으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접속구(1410)를 전원선과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접속구(1410)는 일 측이 개구된 홈을 갖는 형상으로 상기 단자(13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다른 일 측에 전원선이 연결되며, 상기 접속구(1410)의 외부에는 전연을 위한 전열물질로 만들어진 홀더(1400)가 씌워져 다른 물체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1400)가 결합된 접속구(1410)가 상기 단자(1300)에 삽입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홀더(1400)의 후 단부는 기판고정체(1100)의 단부와 일치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미널 블록(10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고정체(1110)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하여 상기 연장된 기판고정체(1110)의 일 측 단부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단자(1310)가 서로 분리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할벽(1111)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1310)는 도 15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단자와 같이 "┎─" 형상의 판상형을 가지고, 일 측 단부에 이하 설명되는 접속구(1420)와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1311)을 가지며, 기판(1200)의 단부에 삽입되어 납(1210)으로 고정되며, 각 단자(1310)는 기판(1200)을 인쇄할 때 기판(1200)에 연결되는 각 구성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1200)을 인쇄하여 연락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분할벽(1111) 사이에 안착되는 각 단자(1310)는 전원선에 연결된 고리형상의 접속구(1420)와 나사(1430)로 결합되어 접속되고, 상기 각 분할벽(1111)에 의해 서로 쇼트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파워써미스터 및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은 전원을 인가하는 순간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에 장착된 부품들에 발생되는 손상을 예방하고, 장애현상을 예방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돌입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순간 전압강하의 발생으로 인한 타 제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발생되는 역기 써지전압을 억제하게 되므로 다른 제품의 오동작을 예방하며, 특히 전원차단기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정전으로 인한 전자파 노이즈 또는 데이터의 손실과 같은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돌입전류의 발생으로 인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제품의 기준 보다 사양이 높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블록이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도록 하기 때문에 별도의 터미널블록을 제조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터미널블록을 장착해야 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작업 공정이 짧아지고, 조립이 수월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와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사용되는 파워써미스터 및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대용량 유도성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중앙 제어회로의 신호에 의해 유도성 부하에 인가되는 전원을 파워릴레이 또는 파워릴레이와 파워써미스터의 조합으로 제어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에 있어서, 중앙 제어회로(200)에 변압회로(400), 정류회로(500) 및 평활회로(600)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평활회로(600)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시간지연회로(700)를 연결되며, 또한 상기 각 시간지연회로(700)에 파워써미터(900)가 병렬로 연결된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연결되고, 상기 평활회로(600)에는 파워릴레이(810)가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와 병렬로 연결되며, 그리고 또한 상기 각 파워써미스터(900)와 병렬로 연결된 각 파워릴레이(810)와 파워써미스터(900)가 병렬로 연결되지 않는 파워릴레이(810)는 상기 중앙 제어회로(200)의 일 전원단자(L) 또는 다른 일 전원단자(N)와 유도성 부하(310,320)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전원을 인가할 경우 시간지연회로(700)에 의해 상기 각 파워릴레이(810)가 차례로 작동되어 접점을 연결하여 전류의 세기가 점차 커지도록 제어되게 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각 파워릴레이(810)를 역순으로 작동되어 접점을 차단하여 전압의 세기가 점차로 감소되게 제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는 저항, 콘덴서, 다이오드, 제너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은 평활회로(600)에 직류전류가 인가되는 플러스 단자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저항과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상기 저항과 콘덴서 사이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베이스가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이미터가 상기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상기 평활회로(600)의 플러스 단에 케소드가 연결되는 구조가 일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제너다이오드의 브레이크다운 특성과 콘덴서의 충전 및 방전을 이용하여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파워릴레이(810)의 단속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는 콘덴서, 다이오드 및 저항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이오드는 평활회로(600)의 플러스 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콘덴서는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저항은 일 측이 상기 다이오드와 콘덴서 사이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는 일 구조와 상기 다이오드는 평활회로(600)의 플러스 단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에는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저항의 다른 일 측에는 콘데서와 직류형 파워릴레이(810)가 연결되며, 상기 콘덴서와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의 다른 일 측은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는 일 또는 다수개의 구조를 조합하여 직류형 파워릴레이(810)를 저항과 콘덴서의 충전용량을 이용하여 단속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형 파워릴레이(8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시간지연회로(700)는 마이콤, 트랜지스터 및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콤은 상기 평활회로(600)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단자에는 전원감시단자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트랜지로 송출하도록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는 캐소드가 상기 평활회로(600)의 플러스단자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트랜지스터의 컬랙터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평활회로(600)의 마이너스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파워릴레이(810)를 마이콤에 설정된 순서와 신호출력 시간에 따라 각 트랜지스터로 신호를 출력하여 단속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제어회로(700)에 의해 단속이 제어되는 다수개의 파워릴레이(810)는 유도성 부하(310,32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L,N)의 어느 일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시간지연회로(700)에 의해 순서대로 단속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 제어기는 중앙 제어회로(200)에 변압회로(400), 정류회로(500) 및 평활회로(600)가 차례로 연결되고, 보빈(833)과 구동철편(834), 그리고 고정접점(836a,836b) 및 가동접점(835a,835b)으로 구성되는 다중접점릴레이(820)가 상기 평활회로(600)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단자(835a,835b)와 고정접점 단자(836a,836b)의 접점 간격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상기 고정접점 단자(836a,836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꺽이게 형성되어 일 고정접점(836a)이 전원 단자(L)에 연결되고, 다른 일 고정접점(836b)이 전원단자(N)d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접점(836a,836b)과 상응하여 접점 되는 각 가동접점 (835a,835b)이 각 유도성 부하(310,320)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다중접점릴레이(820)와 병렬고 유도성 부하(310,320)에 파워써미스터(900)가 연결되어 상기 고정접점(836a,836b)과 가동접점(835a,835b)의 간극 차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가까운 접점(835a,836a)이 먼저 단락 되고, 먼 접점(835b,836b)가 나중에 단락 되도록 차례로 연결하여 전류의 세기가 점차 커지도록 제어되게 하고,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역순으로 작동되어 접점을 차단하여 전압의 세기가 점차로 감소되게 제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7.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회로기판에 전원인가를 위해 사용되는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기판(1200)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 하여 연장된 기판(1200)의 단부에 "┎─" 형상을 갖는 판상형인 다수개의 단자(1300)를 삽입하여 납땜(1210)으로 고정하고, 상기 각 단자(1300)는 기판(1200)을 인쇄할 때 연결되는 기판(1200)의 다른 구성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쇄되어 연락되게 결합되며, 상기 단자(1300)에는 슬립형으로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접속구(1410)를 전원선과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단자(13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구된 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 측에는 전원선이 연결되며, 외부에는 다른 물체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열재의 홀더(1400)가 씌워진 접속구(1410)에 의해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
  8.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회로기판에 전원인가를 위해 사용되는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기판(1200)이 장착되는 기판고정체(1110)의 일 측 단부를 더 연장되게 하고, 상기 연장된 기판고정체(1110)의 일 측 단부를 상부면에 다수개의 분할벽(1111)이 형성되게 하고, "┎─" 형상의 판상형으로 구성되는 단자(1310)가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기판(1200)에 연결되는 각 구성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1200)을 인쇄하여 연락되게 기판(1200)의 일 측 단부에 삽입되어 납땜(1210)으로 고정되며, 단자(1310)의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기판고정체(1110)의 연장된 단부의 상부면 분할벽(1111) 사이에 안착되어 전원선과 연결된 고리형상을 갖는 접속구(1420)와 나사(1430)에 의해 결합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정화 제어기의 기판과 일체로 된 터미널 블록.
KR1019980063664A 1998-02-26 1998-12-31 대용량유도성부하의전원안정화제어기와전원안정화제어기의기판과일체로된터미널블록 KR10031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562 1998-02-26
KR1998-002562 1998-02-26
KR2019980002562U KR19990036631U (ko) 1998-02-26 1998-02-26 대용량 유도성 부하의 전원 안정화 제어기.
KR1998-005484 1998-04-09
KR2019980005484 1998-04-09
KR2019980005484U KR19990039314U (ko) 1998-04-09 1998-04-09 방열형 쎄라믹 써미스터
KR2019980013319U KR20000003233U (ko) 1998-07-20 1998-07-20 전원안정화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된 에어컨 실외기용 터미널블록의 구조
KR2019980013319 1998-07-20
KR2019980013320U KR20000003234U (ko) 1998-07-20 1998-07-20 에어컨 실외기의 전선 연결구조
KR1998-013319 1998-07-20
KR2019980013320 1998-07-20
KR1998-013320 1998-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62A KR19990071462A (ko) 1999-09-27
KR100311844B1 true KR100311844B1 (ko) 2001-12-17

Family

ID=3753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664A KR100311844B1 (ko) 1998-02-26 1998-12-31 대용량유도성부하의전원안정화제어기와전원안정화제어기의기판과일체로된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1982A1 (de) 2015-12-16 2017-06-22 Epcos Ag NTC-Keramik, elektronisches Bauelement zur Einschaltstrombegren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s
DE102016212656B4 (de) * 2016-07-12 2019-05-29 Hanon Systems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K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99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기동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62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2759B1 (en) Uninterruptible duplexed power supply system
US6856047B2 (en) Power source apparatus
WO2002071587A2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WO2019223646A1 (zh) 变频器
CN103117190B (zh) 宽输入电压范围供电电路
US8053924B2 (en) Structure of serial synchronous chopper
EP1330016B1 (en) Power supply start up circuit
KR100311844B1 (ko) 대용량유도성부하의전원안정화제어기와전원안정화제어기의기판과일체로된터미널블록
WO2024099254A1 (zh) 变频驱动电路和烹饪设备
US4449177A (en) Discharging circuit for power source device with rectifier circuit
JP2009213214A (ja) パワー駆動電源
JP3677174B2 (ja) 電子レンジ
CN111637616A (zh) 风机组件的控制方法、装置和风机组件的驱动电路
KR101797230B1 (ko) Dc기기용 전원회로
EP2269205B1 (en) Brownout solution for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fer switch
US6223296B1 (en)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the power source input range of a monitor used in a personal computer
CN110829817B (zh) 控制电路、控制电路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KR20000057100A (ko) 전자기기의 전원장치
JP2015050825A (ja) 放電制御装置
CN111418140B (zh) 具有互相特定耦合的中间电路转换器的中间电路转换器的组
CN108644986B (zh) 空调器电控组件及空调器
JPH081823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24024774A1 (ja) 直流電源システム
CN219247480U (zh) 供电电路以及储能逆变器
WO2024024775A1 (ja) 直流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