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841B1 -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841B1
KR100311841B1 KR1019990022842A KR19990022842A KR100311841B1 KR 100311841 B1 KR100311841 B1 KR 100311841B1 KR 1019990022842 A KR1019990022842 A KR 1019990022842A KR 19990022842 A KR19990022842 A KR 19990022842A KR 100311841 B1 KR100311841 B1 KR 10031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ation
stations
call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274A (ko
Inventor
스미스해롤드알2세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0000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액세스 호출의 발신 지점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며, 이 지리적 위치를 서비스하는 적절한 긴급 조치국을 긴급 액세스 호출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긴급 액세스 시스템은 관할 영역을 다수의 셀로 나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각 셀은 서비스할 긴급 서비스국 및/또는 서비스할 보조 긴급 서비스국을 규정한다. 전화 단말기로부터 착신 긴급 호출을 수신하는 즉시, 교환 시스템은 긴급 액세스 호출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이 위치에 대해 어떤 셀(들)이 서비스할 긴급 서비스국을 규정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시스템은 착신 호출을 착신 긴급 호출에 대한 긴급 조치에 관여할 모든 보조 긴급 서비스국뿐만 아니라 지정된 긴급 서비스국으로 향하게 한다. 다수의 가능한 방식, 즉 추가 데이터가 없는 단순 경보 알람(alarm), 착신 긴급 호출에 대한 청취 모드 중계, 착신 긴급 호출 중의 양자간 음성 접속 중 한 방식으로 식별된 보조 긴급 서비스국에 경보를 발한다. 선택된 경보 모드(mode)는 서비스할 보조 긴급 서비스국이 적절한 긴급 조치국으로의 액세스를 가능케 준비하고/하거나 그 조치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AUXILIARY MONITORING OF EMERGENCY ACCESS CALLS}
본 발명은 전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입자 전화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긴급 액세스(access) 호출을 처리하여 이 호출을 가입자 전화 단말기의 위치를 서비스하는 적절한 긴급 조치국으로 향하게 하며, 가입자 전화 단말기 위치에 대한 지배권 혹은 제어권을 갖는 임의의 보조 긴급 조치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911 시스템)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특정한 위치 혹은 영역을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이 현존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에 접속된 긴급 조치국이 아닌 경우에, 긴급 액세스 호출 데이터가 긴급 액세스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다른 긴급 조치국에 수동으로 전송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순차적인 액세스 처리는 긴급 호출에 대한 조치를 제공함에 있어 상당한 지연을 가중시키므로 본질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은 조치를 제공하게 된다.
보다 일반적인 문제점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보조국이 가입자 위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고 긴급 호출을 인지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보조국의 노력이 긴급 조치국의 노력과 조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의 예로서는 캠퍼스(campus) 경비대, 헌병대, 사무소 건물 혹은 출입문 있는 거주 지역의 사설 경비대, 공원 경찰, 사설 유흥 시설 내의 사설 경비대가 있다. 더욱이, 다수의 경찰국은 전형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경찰대가 순찰하는 지방 자치 단체 내에 있는주립 경찰이 순찰하는 액세스가 제한된 US 고속도로와 같은 소정의 위치에서 활동한다. 이러한 예에서 두 경찰국 간의 노력이 조화되기는 현재로서는 어렵다.
긴급 액세스 호출이 셀룰러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경우에 문제가 심각해진다. 표준 전화 단말기의 물리적 위치는 전화 단말기를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Telephone Switched Network : PTSN)에 접속시키는 물리적 플랜트(plant)에 의해 규정되며, 이 위치는 전화 단말기가 위치한 장소의 응답 어드레스와 각각의 호출 발생지와 함께 발생된 자동 번호 식별(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 ANI)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 테이블(lookup table)에 의해 식별된다. 셀룰러 이동 가입자 단말기가 가변 위치를 가지므로, 긴급 액세스 호출이 셀룰러 이동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경우, 긴급 액세스 호출에 응답하기에 적절한 긴급 조치국을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것은 중요한 임무이다.
따라서, 긴급 조치국에 대한 서비스 지역 경계의 중첩이 빈번히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긴급 조치국의 서비스 지역 경계와 전화 서비스 경계 간의 대응 관계가 결여되기 때문에, 긴급 호출을 발생시키는 가입자로부터의 긴급 액세스 호출을 적절한 긴급 조치국에 정확하게 접속시키는 것은 어려운 임무이다. 제한된 데이터만을 사용할 수 있고 시간이 중요한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긴급 조치국을 조작하는 오퍼레이터가 가입자 위치와 요구되는 긴급 조치국 간의 대응 관계를 수동으로 수행해야 하고/하거나 그 긴급 조치에 참여해야 하는 보조국에 다른 호출을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현존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은 그 효용성에 제한이 있다.
긴급 액세스 호출 발생 지점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 위치를 서비스하는 적절한 긴급 조치국을 긴급 액세스 호출에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를 수행하면서 적절한 보조국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보조 감시 시스템'으로도 지칭함)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되고 기술적 발전이 달성된다. 보조 감시 시스템은 관할 영역을 각각 하나의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 및 서비스하는 보조국을 규정하는 다수의 셀로 나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긴급 조치국이 경찰서 및 긴급 구조대와 같이 특정한 영역에 대해 이중 지배권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셀들의 관할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전화 단말기로부터 착신 긴급 호출을 수신하는 즉시, 교환 시스템은 긴급 액세스 호출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보조 감시 시스템은 어떤 셀(들)이 그 위치에 대한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을 규정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보조 감시 시스템은 착신 긴급 호출과 연관된 정보를 더 분석하여 착신 긴급 호출에 대한 긴급 조치에 참여해야 하는 모든 보조 조치국을 식별한다. 식별된 보조 긴급 조치국에는 다수의 가능한 방식, 즉 추가 데이터가 없는 단순한 경보 알람, 착신 긴급 호출에 대한 청취 모드 중계, 착신 긴급 호출 중의 양자간 음성 접속 중 한 방식으로 경보를 발한다. 선택된 경보 모드는 서비스하는 보조국이 적절한 긴급 조치국에 적시의 액세스를 제공하고/하거나 그 조치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셀룰러 셀을 서비스하는 데에 있어 이러한 보조 감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혹은 더 정확한 다른 이동 가입자 단말기 위치 판단 장치에 의한 셀/섹터 규정을 사용하여 호출 발생부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 호출 발생 위치 데이터가 일단 이용 가능하면, 판단된 위치와 이 위치를 서비스하는 적절한 긴급 조치국 및 보조국 간의 대응 관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달성된다. 또다른 구현으로서, 사무실 건물과 같이 폐쇄되거나 담당이 분명한 사이트로부터 발생하는 긴급 액세스 호출은 사설 경비국과 같은 보조국이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경우와 같이 그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지역 고객 재산 설비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은 호출 처리 책임을 분산시키고 보조국과 긴급 조치국의 지역적 통합을 가능케 한다. 이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하기 위해, 어떤 셀(들)이 이러한 위치에 대해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을 규정하는지를 판단하는 보조 감시 시스템의 전술한 더 일반적인 경우를 본 명세서에 설명한다.
도 1a는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를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 아키텍쳐(architecture)의 블럭도,
도 1b는 본 발명의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의 포맷(format) 및 전형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성능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서비스 영역의 분할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화 교환 시스템 102 : 이동 전화 교환 시스템
111 : 긴급 액세스 시스템 112 : 보조 감시 시스템(AMS)
300 : 서비스 영역
긴급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긴급 액세스 시스템(911 시스템)을 사용하여 가입자를 긴급 액세스 오퍼레이터(operator)와 자동적으로 접속하는데, 이 긴급 액세스 오퍼레이터는 긴급 상황의 성향을 판단하여 가입자를 돕기 위해 필요한 긴급 요원을 급파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각 호출의 발생과 함께 발생되는 자동 번호 식별(Automatic Number Identification : ANI) 데이터가 가입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데에 사용된다. 긴급 액세스 오퍼레이터에 의해 판단된 위치 데이터 및 긴급 상황의 성향을 사용하여 적절한 긴급 조치국을 긴급 액세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긴급 조치국까지 직접 통신 접속을 통해 공지한다. 그러나, 많은경우에 보조국이 가입자 위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고, 긴급 호출을 인지하여 보조국의 노력이 긴급 조치국의 노력과 조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의 예로서는 캠퍼스(campus) 경비대, 헌병대, 사무소 건물 혹은 출입구 있는 거주 지역의 사설 경비대, 공원 경찰, 사설 유흥 시설의 사설 경비대가 있다. 더욱이, 다수의 경찰국은 전형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경찰대가 순찰하는 지방 자치 단체 내에 있는 주립 경찰이 순찰하는 액세스가 제한된 US 고속도로와 같은 소정의 위치에서 활동한다. 이러한 예에서 두 경찰국 간의 노력이 조화되기는 현재로서는 어렵다.
현존하는 긴급 액세스 서비스
도 3은 보조 감시 시스템의 성능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긴급 액세스 시스템 서비스 영역 분할의 예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도 3에 도시한 영역(300)은 전화 교환 시스템(101)(도 1에 도시함)에 의해 서비스되며, 이 전화 교환 시스템(101)은 표준 유선 기반형 전화 단말기 TSS1 내지 TSSm을 구비하는 다수의 가입자를 상호 접속시키도록 동작한다. 또한, 셀룰러(celluar) 통신 시스템(102)은 동일한 영역 내에 있는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하며, 다수의 트렁크(trunk) 회로 T1 내지 Tn을 통해 전화 교환 시스템(101)에 접속되어 전화 교환 시스템(101)에 의해 서비스되는 가입자와 셀룰러 통신 시스템(102)에 의해 서비스되는 이동 가입자 단말기 간의 호 접속을 가능케 한다.
다수의 가입자 중 한 가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긴급 호출을 그 영역에서 동작 중인 다수의 긴급 서비스국 중 적절한 하나에 자동적으로 라우팅(routing)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Emergency Access System : EAS)(111)이 전화 교환 시스템(101) 내에 포함된다. 각각의 긴급 서비스국은 통신 시스템 ES1 내지 ESk를 구비하며, 이 통신 시스템 ES1 내지 ESk는 긴급 서비스국 오퍼레이터에 의해 동작되어 긴급 서비스국 오퍼레이터가 가입자로부터의 긴급 호출에 응답하는 긴급 요원뿐만 아니라 호출한 가입자와도 통신할 수 있게 한다. 긴급 액세스 시스템(111)은 호출한 가입자를 전화 교환 시스템(101)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물리적 플랜트(plant)에 의해 판단된 바에 따라 호출한 가입자의 물리적 위치에 근거하여 호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긴급 액세스 호출의 보조 감시 시스템
도 1은 전체적인 아키텍쳐(architecture)를 블럭도 형태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 감시 시스템(Auxiliary Monitoring System : AMS)(112)의 동작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다. 이 보조 감시 시스템(112)은 현존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911 시스템)(111)에서 사용 중이며, 전형적으로 현존하는 제어 소프트웨어와 통합되거나 현존하는 그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보충하는 보조적인 처리를 구현한다. 양자의 경우에, 보조 감시 시스템(112)은 수신된 긴급 호출에 대한 조치에 참여해야 하는 임의의 보조국에 대한 접속뿐만 아니라 호출한 가입자를 구비하는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에 대한 접속을 자동적으로 통합시킨다.
단계(201)에서, 전화 단말기 TSS1의 가입자가 긴급 액세스 시스템(111)에 긴급 액세스 호출을 개시하는 경우 긴급 호출 처리가 시작된다. 단계(202)에서, 가입자의 전화 단말기 TSS1을 서비스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101)은 다이얼링(dialing)된 번호로부터 호출의 성향을 식별한 다음에 가입자 전화 단말기 TSS1의 위치를 판단하여 이 호출을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으로 라우팅 해야 한다. 단계(203)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각각의 호출 발생과 함께 발생된 자동 번호 식별(ANI) 데이터를 검색한다. 호출한 가입자가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화 교환 시스템(101)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102)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검색한다. 많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는 특정한 셀 사이트(cell site) 혹은 섹터(sector)의 레벨(level)로만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발전된 셀룰러 통신 시스템(TDMA 및 CDMA)은 호출을 타임 스탬핑(time stamping)하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는 특정 영역 내에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양자의 경우에,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호출한 가입자 정보를 전화 교환 시스템(101)에 제공하여 긴급 액세스 시스템(111)이 이 호출을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에 자동적으로 라우팅할 수 있게 한다.
단계(204)에서, 보조 감시 시스템(112)이 호출한 가입자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조 감시 시스템(112)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도 1b에 도시함)를 액세스 함으로써 호출한 가입자 위치에 대응하는 셀을 식별한다. 다음에, 서비스 영역을 셀로 분할하는 것과 이들의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205)에서, 보조 감시 시스템(112)이 1차 셀 데이터로부터 1차 긴급 서비스국을 식별하고, 단계(206)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이렇게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시설 EF1로 가입자 긴급 호출을 라우팅한다. 이러한 호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205) 및 단계(206)와 동시에 혹은 이러한 호 접속을 확립한 직후에, 단계(207)에서 보조 감시 시스템(112)이 호출한 가입자 위치에 대한 지배권 및 제어권을 갖는 보조 서비스국을 셀 데이터로부터 식별하고, 단계(208)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긴급 호출이 수신되었다는 경보를 보조 서비스국의 통신 시설 EFk와 전화 교환 시스템(101)에 접속시키는 액세스 라인 ELk를 통해 보조 서비스국에 발한다. 이 경보는 보조국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단계(209) 내지 단계(211) 중에서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209)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시설 EFk에 대한 호 접속을 개시하고, 이 호 접속을 이렇게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시설 EF1에 의해 현재 처리되고 있는 가입자 긴급 호출에 3자간 호출로 연계시킨다. 식별된 보조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의 온라인(on-line) 도움을 받아,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는 호출한 가입자로부터 정보를 얻어 긴급 요원 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호출이 입구가 잠겨 있는 아파트 건물 내의 거주자에 대한 의학적 도움에 관한 것이면, 식별된 보조국의 오퍼레이터가 구조대 요원이 그 건물 안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스태프(staff)에게 경보를 발할 수 있으며,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에게 상세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긴급 조치를 진척시킬 수 있다. 호출한 가입자가 전화 단말기를 끊더라도 긴급 액세스 호출이 전화 교환 시스템(101) 내에서 활성 상태이기 때문에,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와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는 이들이 호 접속을 종료하려 할 때까지 3자간 호출에 관한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달리, 단계(210)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시설 EFk에 대한 호 접속을 개시하고, 이러한 호 접속을 이렇게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시설 EF1에 의해 현재 처리되고 있는 가입자 긴급 호출에 3자간 호출에 관한 청취 모드로 연계시킨다. 호출한 가입자와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 간의 통신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긴급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식별된 보조국의 오퍼레이터 도움을 받아,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는 호출한 가입자로부터 정보를 얻어 긴급 요원 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가 호출의 통신 상태를 선택 사양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적절한 경우에는 청취 모드를 해제하여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가 호 접속에서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예와 같이,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는 비록 훈련된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도 긴급 조치 처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긴급 조치를 도울 수 있으며, 착신되는 긴급 호출의 처리를 선량한 의도로 무심코 간섭할 수도 있지만 일단 초기 데이터가 수집되면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와 제한된 모드로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계(211)에서 전화 교환 시스템(101)이 식별된 보조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설비 EFk에 대해 경보 신호를 개시하여, 이렇게 선택된 1차 긴급 서비스국을 서비스하는 통신 설비 EF1에 의해 현재 처리되고 있는 가입자 긴급 호출이 있다는 것을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에게 경보한다. 이 경보 신호에는 긴급 요청 상황의 성향을 나타내는 소정의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를 포함할수 있는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가 있다. 전술한 예와 같이, 식별된 보조 서비스국의 오퍼레이터는 긴급 조치 처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긴급 조치를 도울 수 있다.
또다른 구현으로서, 사무실 건물과 같이 폐쇄되거나 경계가 분명한 사이트로부터 발생하는 긴급 액세스 호출은 사설 경비국과 같은 보조국이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경우와 같이 그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지역 고객 재산 설비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은 호출 처리 책임을 분산시키고 보조국과 긴급 조치국의 지역적 통합을 가능케 한다.
서비스 영역의 분할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감시 시스템(112)의 성능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긴급 액세스 시스템 서비스 영역(300)의 분할 예를 도시한다. 서비스 영역(300)은 전형적으로 시설을 포함할 수 있는 타운(town) T1, T2와 같은 다수의 지역을 포함하는데, 이 시설은 인가 받지 않은 개인이 시설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세스가 제한된다. 액세스가 제한된 시설의 예로는 출입문이 있는 거주 지역, 입구가 잠겨 있는 아파트 건물, 사무실 건물, 학교 캠퍼스, 군사/정부 시설, 공원 등이 있다. 액세스가 제한된 이러한 시설에는 전형적으로 시설에 대한 액세스를 통제하고/하거나 이러한 시설의 점유자에게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 스태프(on-site staff)가 있다. 경찰서(주립, 지방, 보안관), 소방서, 긴급 구조대를 포함하는 다수의 긴급 서비스국이 긴급 액세스 시스템 영역에 포함된다.
긴급 액세스 시스템(112)은 관할 영역(300)을 다수의 1차 셀 P 및 2차 셀 S로 나누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적절한 경우에 각각의 1차 셀 P는 긴급 조치국을 규정하고 각각의 2차 셀 S는 보조국을 규정한다. 긴급 조치국이 경찰서와 긴급 구조대와 같이 특정 지역에 대해 이중 지배권을 가질 수 있고 1차 조치국이 보조국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을 서비스하기 때문에, 1차 셀 P 및 2차 셀 S는 이들의 관할 지역에서 중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운 T1과 T2는 자체의 긴급 조치국을 가지며, 이들 타운은 각각 별도의 1차 셀 P1 및 P2로 경계가 결정된다. 그 다음 영역(300)의 나머지 지역은 제 3의 1차 셀 P3으로서 정의되며, 전형적으로 지역 보안관 및 소방서와 같은 하나의 긴급 조치국에 의해 서비스된다. 영역(300) 내에는 보조국에 의해 관리되는 전형적인 지역을 나타내는 다수의 2차 셀이 있다. 예를 들어, 2차 셀 S1은 출입문이 있는 거주 지역을 포함하는데, 그 거주 지역 내에서는 상주하는 경비대가 이곳에 거주하는 개인에게만 그 지역에 대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주하는 경비대가 보조국이고, 이들의 통신 시설은 2차 셀 S1 데이터 구조에서의 대응 관계로 표시된다. 유사하게, 2차 셀 S2가 공원 시설을 포함하는데, 공원 시설에서는 상주하는 공원 감시원이 공원 지역을 순찰하지만 지역 보안관이 1차 경찰 지배권을 갖는다. 따라서, 2차 셀 S2 데이터 구조는 공원 감시 시설을 이 셀에서 동작 중인 보조국으로서 나타낸다.
서비스 영역(300)을 전술한 1차 셀 P 및 2차 셀 S로 분할하는 것은 전화 회사 서비스 요원이 도 1b에 예시한 데이터 구조에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함으로써 달성되며, 그에 따라 가입자 전화 단말기 위치와 서비스하고 있는 1차 셀 P 및 2차셀 S 간의 대응 관계가 규정된다. 셀의 크기는 보조국 성향에 관한 함수이다. 예를 들어, 각각 보안 액세스 로비(lobby)를 구비한 다수의 개별적인 건물을 포함하는 출입문 있는 아파트 단지 공동체는, 보조국(지역 경비대)에서의 가용 오퍼레이터가 있어서 그 오퍼레이터가 아파트 단지 내에 있는 하나의 아파트와 같은 최종 목적지에 대해 긴급 조치 요원의 액세스를 도울 수 있으면 하나의 2차 셀 S1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공동체 입구에 대한 2차 셀 S1과 마찬가지로 공동체 내에 있는 각 건물에 대한 별도의 2차 셀 S11 내지 셀 S14가 필요할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 호출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건물의 지역 요원과 공동체 입구의 공동체 요원과의 4자간 통신 접속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보다 중요한 것은, 각 전화 단말기의 서비스 어드레스가 데이터 구조에 프로그래밍 되어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 보조국에 대한 대응 관계가 데이터 구조 내에 기록되므로, 수신된 긴급 호출에 응답하여 보조 감시 시스템(112)이 이들 데이터 구조로부터 긴급 호출을 서비스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서비스국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즉시 검색하고, 이들 서비스국을 통신 상태에 두어 긴급 조치를 돕게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 인터페이스
호출한 가입자가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긴급 액세스 시스템(112)은 호출한 가입자와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을 접속시키기 위해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해야만 한다. 이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서비스 영역의 분할은 서비스 영역을 다수의 셀 사이트/섹터(도면을 간단히 하기위해 도 3에는 CS1 내지 CS3만을 도시함)로 나누는 것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셀 사이트/섹터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이 적절한 긴급 서비스국 및 보조국으로 긴급 호출을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1차 셀 P 및 2차 셀 S와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긴급 서비스국 및 각각의 보조국에 대한 서비스 지역의 지리적 범위를 공지하는 데이터 구조 세트가 긴급 액세스 시스템 내에 유지되며, 이 데이터를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지리 좌표 및/또는 셀 사이트/섹터 데이터와 함께 유선 전화 시스템의 ANI 데이터에 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수신된 긴급 호출을 적절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액세스 시스템은 관할 영역을 다수의 셀로 분리하도록 프로그래밍 되는데, 각각의 셀은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 및 서비스하는 보조국을 규정한다. 전화 단말기로부터 착신 긴급 호출을 수신하는 즉시, 교환 시스템은 긴급 액세스 호출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하고, 긴급 액세스 시스템은 이 위치에 대해 어떤 셀(들)이 서비스하는 긴급 조치국 및 서비스하는 보조국을 규정하는지를 식별한다.

Claims (19)

  1.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에 응답하여 보조 긴급 조치국에 경보를 발하는 장치가,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과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각각의 서비스 지역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와 연관된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식별된 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식별된 위치를 서비스하는 각 하나씩의 조치국을 식별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에 경보를 발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가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식별 수단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위치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지리적 위치와 상기 지리적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 간의 대응 관계를 식별하는 데이터 구조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상기 식별된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과 가입자 전화 단말기 간의 대응 관계를 각각 식별하는 다수의 데이터 구조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으로 라우팅(routing)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operator)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다수의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 간의 제어 가능한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으로 라우팅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수단과,
    경보 신호를 상기 다수의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에게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이,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의 수신을 식별하는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를 발생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9.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의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에 응답하여 보조 긴급 조치국에 경보를 발하는 방법이,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과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각각의 서비스 영역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와 연관된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식별된 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식별된 위치를 서비스하는 각 하나씩의 조치국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에 경보를 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가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식별 단계가,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위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지 단계가,
    지리적 위치와 상기 지리적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 간의 대응 관계를 식별하는 데이터 구조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지 단계가,
    상기 식별된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과 가입자 전화 단말기 간의 대응 관계를 각각 식별하는 다수의 데이터 구조를 보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단계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으로 라우팅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단계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으로 라우팅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다수의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 간의 제어 가능한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단계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으로 라우팅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단계와,
    경보 신호를 상기 다수의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한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의 수신을 식별하는 텍스트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시스템 운용 방법.
  17.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에 응답하여 보조 긴급 조치국에 경보를 발하는 장치가,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를 서비스하는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각 하나씩의 조치국과 가입자 전화 단말기 간의 대응 관계를 각각 식별하는 다수의 데이터 구조를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와 연관된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와 상기 식별된 위치로부터, 상기 식별된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을 식별하는 수단과,
    전화 회의 접속을 확립하여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에 있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착신 긴급 액세스 호출을 한 가입자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케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전화 단말기가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식별 수단이,
    상기 이동 가입자 단말기를 서비스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 가입자 단말기 위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지 수단이,
    지리적 위치와 상기 지리적 위치를 서비스하는 상기 다수의 긴급 조치국 및 보조 긴급 조치국 중 상기 각 하나씩의 조치국 간의 대응 관계를 식별하는 데이터 구조
    를 포함하는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KR1019990022842A 1998-06-22 1999-06-18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311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2,177 1998-06-22
US09/102,177 US6052574A (en) 1998-06-22 1998-06-22 Auxiliary monitoring of emergency access ca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74A KR20000006274A (ko) 2000-01-25
KR100311841B1 true KR100311841B1 (ko) 2001-10-17

Family

ID=2228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842A KR100311841B1 (ko) 1998-06-22 1999-06-18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2574A (ko)
EP (1) EP0967820B1 (ko)
JP (1) JP3889900B2 (ko)
KR (1) KR100311841B1 (ko)
AU (1) AU3389899A (ko)
BR (1) BR9917127A (ko)
CA (1) CA2270700C (ko)
DE (1) DE699013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605A (en) * 1997-08-29 2000-09-05 Ppm,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dynamic receiver addressing
US6408172B1 (en) * 1999-09-23 2002-06-1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low battery indicator for emergency calls
US6415018B1 (en) * 2000-02-08 2002-07-02 Lucent Technologies Inc.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pecial number calls having geographic sensitivity
EP1179267A4 (en) * 2000-02-08 2002-11-06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AGENCY FOR SPECIAL NUMBERS CALL RESPONSE AND A MOBILE ACTION UNIT
US6886045B1 (en) 2000-08-14 2005-04-26 At&T Corp. Subscription-based priority interactive help services on the internet
JP2002092265A (ja) * 2000-09-19 2002-03-29 Nec Corp 緊急情報送信方法、緊急情報送信システム、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及び移動端末
US7428301B1 (en) 2000-10-09 2008-09-23 Clawson Jeffrey J Method and system for the exit protocol of an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US20040218732A1 (en) * 2001-01-22 2004-11-04 Royal Thoughts, L.L.C. Assiste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1407624A2 (en) * 2001-07-16 2004-04-14 Wavemarket, Inc. System for providing alert-based services to mobile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417533B2 (en) * 2001-09-25 2013-04-09 Jeffrey J. Clawson Method and system for the fire response dispatch protocol of an emergency dispatch system
US7436937B2 (en) * 2001-09-26 2008-10-14 Clawson Jeffrey J Method and system for the police response dispatch protocol of an emergency dispatch system
US8494868B2 (en) * 2002-05-07 2013-07-23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seamless interface between an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and a nurse triage system
US7181234B2 (en) * 2002-09-17 2007-02-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talk groups in public/private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102178A1 (en) * 2002-11-15 2004-05-27 John Williams Emergency backup communications system
US7937066B2 (en) * 2003-12-22 2011-05-03 911Tracker, Inc. Emergency conference calling system
US7728871B2 (en) * 2004-09-30 2010-06-01 Smartvue Corporatio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 method with input capture and data transmission prioritization and adjustment
US7784080B2 (en) * 2004-09-30 2010-08-24 Smartvue Corporatio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single click-select actions
US20060095539A1 (en) * 2004-10-29 2006-05-04 Martin Renkis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mesh networking
US8457314B2 (en) 2004-09-23 2013-06-04 Smartvue Corporation Wireless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self-configuring network
US8842179B2 (en) 2004-09-24 2014-09-23 Smartvue Corporation Video surveillanc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8281899B2 (en) * 2004-09-29 2012-10-09 Order In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food brokering menus
EP1672942A1 (fr) * 2004-12-20 2006-06-21 Alcatel Transmission d'informations dans une zone géographique limitée
US20070223658A1 (en) * 2006-03-17 2007-09-27 Moore Barrett H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Deployment of One or More Private Civil Security Resources
US8155619B2 (en) 2007-06-01 2012-04-10 Cisco Technology, Inc. Interoperability and collaboration system with emergency interception monitoring
US8066638B2 (en) 2007-06-13 2011-11-29 Clawson Jeffrey J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s for emergency medical dispatch
US7645234B2 (en) 2007-06-13 2010-01-12 Clawson Jeffrey J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s for emergency medical dispatch
US8971501B2 (en) 2009-04-13 2015-03-03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identify code hierarchy bias in medical priority dispatch systems
US8355483B2 (en) * 2009-09-11 2013-01-15 Clawson Jeffrey J Stroke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335298B2 (en) * 2009-09-14 2012-12-18 Clawson Jeffrey J Pandem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294570B2 (en) * 2010-02-24 2012-10-23 Clawson Jeffrey J Burn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582866B2 (en) 2011-02-10 2013-11-12 Edge 3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rity computation in stereo images
GB2489875A (en) 2011-01-19 2012-10-10 Jeffrey Johnson Clawson Meningitis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670526B2 (en) 2011-02-11 2014-03-11 Jeffrey J. Clawson Hate crime diagnostic and intervention tool for emergency dispatch
US8396191B2 (en) 2011-02-11 2013-03-12 Jeffrey J. Clawson Anti-social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8712020B2 (en) 2012-09-06 2014-04-29 Jeffrey J. Clawson Pandemic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EP3279880B1 (en) 2013-01-31 2018-10-17 Jeffrey J. Clawson System and method for text messaging for emergency response
US8873719B2 (en) 2013-01-31 2014-10-28 Jeffrey J. Clawson Active assailant protocol for emergency dispatch
US9288329B2 (en) * 2013-08-02 2016-03-15 Freeus, Llc Remote call control
US9510152B2 (en) 2014-04-11 2016-11-29 Location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location measurements
US10110724B2 (en) 2014-07-02 2018-10-23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Community safety, security, health commun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with inter-organizational compatibility
US9516166B1 (en) 2015-05-28 2016-12-06 Jeffrey J. Clawson Chemical suicide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US10657614B2 (en) 2015-12-23 2020-05-19 Jeffrey J. Clawson Locator diagnostic system for emergency dispatch
US9877171B2 (en) 2016-04-08 2018-01-23 Jeffrey J. Clawson Picture/video messaging protocol for emergency response
WO2017204831A1 (en) * 2016-05-27 2017-11-30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Community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with inter-organizational compatibility
US10192427B2 (en) 2016-05-27 2019-01-29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Community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with inter-organizational compatibility
AU2019256700A1 (en) 2018-04-19 2020-11-26 Jeffrey Clawson Expedited dispatch protocol system and method
US11910471B2 (en) 2021-04-23 2024-02-20 Priority Dispat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060A (en) * 1973-06-04 1975-04-29 Bell Telephone Labor Inc Emergency reporting system
US5235630A (en) * 1991-04-17 1993-08-10 Telident, Incorporated Emergency call sta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BR9405399A (pt) * 1993-06-14 1999-09-08 Motorola Inc Radiotelefone celular remoto, sistema de comunicação e processo para operar transceptor de localização remota
US5388147A (en) * 1993-08-30 1995-02-07 At&T Corp. Cellular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for providing public emergency call location information
US5596625A (en) * 1994-09-28 1997-01-21 U S Wes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outing emergency calls during busy interface channel conditions
WO1997018540A1 (en) * 1995-11-13 1997-05-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mmoning police or security personnel for assistance in an emergency situation
US6078804A (en) * 1995-12-19 2000-06-20 Ericsson Inc. Providing different routing treatments for emergency calls based on subscriber specified data
US5797093A (en) * 1996-01-30 1998-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outing of an emergency cellular telephone call
US5740532A (en) * 1996-05-06 1998-04-14 Motorola, Inc. Method of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s in a RF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0700A1 (en) 1999-12-22
KR20000006274A (ko) 2000-01-25
DE69901326D1 (de) 2002-05-29
EP0967820A3 (en) 2000-08-23
JP2000172971A (ja) 2000-06-23
AU3389899A (en) 2000-01-06
DE69901326T2 (de) 2002-11-14
EP0967820A2 (en) 1999-12-29
JP3889900B2 (ja) 2007-03-07
BR9917127A (pt) 2001-12-11
EP0967820B1 (en) 2002-04-24
US6052574A (en) 2000-04-18
CA2270700C (en)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841B1 (ko) 긴급 액세스 전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938719B1 (ko) 발신 전화단국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한 긴급호출의 경로지정 방법 및 시스템
US6940950B2 (en) Enhanced E911 location information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S5479482A (en) Cellular terminal for providing public emergency call location information
US5388147A (e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 for providing public emergency call location information
CN100566435C (zh) 为特殊号码服务站提供移动呼叫方信息的系统及方法
US6914896B1 (en) Emergency services management network utilizing broadband voice over data networks
US20030109245A1 (en) Routing of emergency calls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of originating telephone end office
US9467836B2 (en) Enhanced E911 location information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N102982665A (zh) 报警处理方法及报警系统
AU2007267306B2 (en) Method, emergency system and emergency call center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from a communication terminal
WO2006029305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c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65383B2 (en) Emergency number integrated information assimilation device
EP1111888A2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telephone network to expedite delivery of emergency calls to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US7187758B2 (en) Organization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exceptional cases
JP2000165928A (ja) 移動端末の緊急通報方式
JPH05268319A (ja) 自動応答制御の方法及び装置
Appiah-Kubi et al. Emergency Call Routing Schemes
Armstrong Communications for civil defe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