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293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293B1
KR100311293B1 KR1019940002073A KR19940002073A KR100311293B1 KR 100311293 B1 KR100311293 B1 KR 100311293B1 KR 1019940002073 A KR1019940002073 A KR 1019940002073A KR 19940002073 A KR19940002073 A KR 19940002073A KR 100311293 B1 KR100311293 B1 KR 10031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er
lever
fe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486A (ko
Inventor
무라꼬시게이지
네바시미쯔히꼬
이께가미마꼬또
오쯔끼노보루
Original Assignee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사마 사부로
Publication of KR94001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movable tables or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에 임의의 복수행을 인쇄하기 위해 카드 위치 결정, 카드 유지, 카드 이송, 카드 유지 해제의 동작을 실행하는 기구를 하나의 프레임에 집약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고 영구적으로 카드 이송량에 변화가 없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카드를 이송하기 위해 슬라이더 및 카드를 협지하기 때문에 슬라이더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카드 누름 레버와, 슬라이더에 카드를 안내해서 슬라이더와 결합하는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프레임과, 슬라이더를 카드 이송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프린터이다.

Description

프린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프린터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프린터 본체에 대한 부착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의 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카드 유지 및 카드 이송 기구의 설명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유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기구의 카드 삽입 가능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를 가이드 프레임에 유지하는 기구의 상면에서 본 부분 확대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정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기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모터(1)의 동력을 캐리지 구동 벨트 시트(4)에 전달하는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외형과 프린터 본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슬라이더의 구동 설명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래크와 피니언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을 선택하기 위한 트리거 구동 설명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유지 상태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삽입 가능 상태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인쇄 및 카드 이송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도.
제 2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를 카드 삽입 가능하게 초기 설정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 2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슬라이더의 역학 관계도.
제 2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외부 사시도.
제 2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외부 사시도.
제 2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외부 사시도.
제 28 도는 종래 기술의 제 1 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 29 도는 종래 기술의 제 2 예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인쇄 헤드
3 : 캐리지 4 : 캐리지 구동 벨트 세트
5 : 가이드 프레임 6 : 카드 이송 모터
7 : 카드 이송 벨트 8 : 슬라이더
9 :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 10 :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열
11 : 밸트 구등 풀리 12 : 벨트 종동 풀리
13 : 카드 이송 구동핀 14 : 카드 누름 레버
15 : 카드 누름 스프링 16 : 카드 누름 고무 A
17 : 카드 누름 고무 B 18 : 카드 검출기 T
19 : 카드 검출기 B 20 : 슬라이더 누름 레버
21 : 슬라이더 누름 스프링 22 : 벨트 텐션 레버
25 : 플래튼 51 : 타이밍 펄스 발생기
52 : 리세트 펄스 발생기 R 53 : 리세트 펄스 발생기
L 71 : 프린트 기구부 72 : 인터페이스(I/F)
73 : CPU 74 : ROM
75 : RW 100 : 카드
105 : 캐리지 구동 기구 106 : 헤드 이송 치차열
107 : 헤드 이송 치차 108 : 용지 이송 치차열
111 : 가이드 프레임 A 112 :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
113 :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 114 : 동력 전달 스프링
115 : 카드 이송 전달 치차 116 :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 열
118 : 카드 가이드판 121 : 슬라이더 A
122 :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 123 : 슬라이더 구동 돌기차
124 : 슬라이더 구동 치차 125 : 카드 이송 코일
126 : 슬라이더 구등 트리거 흡입판 127 : 흡입판 스프링
128 :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 129 :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B
131 : 카드 누름 레버 A 132 : 카드 누름 레버 B
133 : 카드 누름 고무 A 141 :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151 : 모터 구동 신호 152 : 타이밍 신호
153 : 리세트 신호 154 : 인쇄 영역
155 : 카드 이동 신호 156 : 카드 신호
157 :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
158 : 카드 신호 171: 프린터 기구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POS 시스템(point-of-sale system) 또는 ECR(electronic cash register) 등에 사용되는 카드(card) 용지나 복사 용지에 복수행의 인증 인쇄 등을 실행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이런 종류의 기술은 예로서, 제 1 도의 프린터에 제 28 도(종래기술의 제 1 예)나 제 29 도(종래기술의 제 2 예)외 대표예로 도시되는 카드 이송 기구가 탑재된 형식의 것이 있었다.
종래 기술의 제 1 예인 제 28 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28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횡방향으로 도시한 개략 설명도로서, 카드 이송 롤러(301)는 카드 이송 모터(6)의 회전이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열(10)을 경유하여 전달되어 회전된다. 카드 이송 롤러(301)와 대향해서 카드 누름 롤러(304)가 배치 설치되고, 회전 이동 가능한 카드 누름 롤러(304)는 카드 누름 레버 스프링(305)에 따라 대기시에는 파선과 같이 항상 카드 이송 롤러(301)로부터 분리되고, 카드 누름 전자석(302)에 의해 압접된다.
카드(100)는 상향 방향에서 삽입되어 인쇄 헤드(2)와 플래튼(25)의 간극을 통과하고, 또한 카드 이송 롤러(301)와 카드 누름 롤러(304) 사이를 통과해서 카드 정지부(306)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프린터에 세트된다.
카드(100)를 삽입한 후, 카드 누름 전자석(302)에 통전하면 카드 누름 레버 스프링(305)의 힘을 극복하여 카드 누름 레버(303) 및 카드 누름 롤러(304)가 실선의 위치까지 회전 이동된다. 카드(100)는 카드 이송 롤러(301)와 카드 누름 롤러(304)에 끼이고, 롤러의 마찰력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카드(100)가 도달할 때까지 카드 이송 모터(6)를 기동시켜서 인쇄한다.
인쇄후, 카드 이송 모터(6)를 기동해서 다음 인쇄 위치까지 카드(100)를 이동시킨 다음 인쇄한다. 이 사이클을 반복해서 최종행까지 인쇄한다. 인쇄 종료후 카드 누름 전자석(302)의 통전이 차단되고, 카드 누름 레버 스프링(305)의 작동에 따라 카드 누름 레버(303) 및 카드 누름 롤러(304)는 파선의 위치로 복귀되고, 카드(100)는 떨어져서 카드에 인쇄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에 종래 기술의 제 2 예인 제 29 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29 도는 카드 용지 이송 기구를 횡방향으로 도시한 개략 설명도이고, 카드 이송 기구만 도시하고 인쇄부 등은 생략되어 있다. 카드 이송 롤러(323)는 카드 이송 갈구리(328)에 의해 간헐적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카드 이송 래칫(327; ratchet)과 타이밍 밸트(325)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구동된다. 카드 이송 롤러(323)와 대향하는 위치에 카드 누름 플런저(321)에 의해 이동되는 카드 누름 롤러(322)가 배치 설치되고, 이 카드 누름 롤러(322)는 대기시에는 스프링에 의해 카드 이송 롤러(323)와 분리되어 위치되고;카드 누름 플런저(321)에 통전되면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어 카드 이송 롤러(323)에 카드 누름 롤러(322)가 압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드 누름 롤러(322)가 실선 상태에 있기 때문에 카드(100)를 상부 방향에서 삽입한 후 카드 누름 플런져(321)에 통전되면 카드 누름 롤러(322)는 화살표 방향의 2 점 쇄선까지 이동하고, 카드(100)는 카드 이송 롤러(323)와 카드 누름 롤러(322)에 끼워지고, 카드 이송 롤러(323)의 롤러 마찰력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카드(100)가 도달할 때까지 카드를 이송한다.
카드 이송 갈구리(328)에 의해 사이에 걸린 용지를 이송하는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고무에 의해 카드 이송 레버(329)가 소정 타이밍시에 화살표 X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기구이고, 대기시에는 카드 누름 레버 홈부(329a)에 카드 이송 트리거 레버(331)를 결합하여 카드 이송 레버(329)가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지만, 용지 이송 지령이 입력되면 카드 이송 마그네트(330)에 통전되고, 카드 이송 트리거 레버(331)를 화살표 Y 방향으로 흡인하여 카드 이송 트리거 래버(331)가 카드 이송 레버 홈부(329a)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카드 이송 레버(329)는 캠에서 제어되어 카드 이송 스프링(332)의 스프링 부하에 따라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카드 이송 레버(329)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카드 이송 갈구리(328)는 카드 이송 래칫(327)을 1 톱니만큼 회전시킨다. 그후 카드 이송 레버(329)는 캠에 의해 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고, 카드 이송 트리거 레버(331)가 카드 이송 레버 홈부(329a)에 떨어져서 카드 이송 레버(329)를 록크해서 카드(100)의 카드 이송 동작을 종료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선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1) 카드 이송 수단으로서 롤러의 마찰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복수개 적층한 기록 용지의 경우 표의 1 매째와 저부의 기록 용지가 어긋난 상태로 용지를 이송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인쇄할 수 없다.
2) 인쇄 헤드 하부에 카드 이송 롤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이송 롤러의 반경분 이상의, 최종 인쇄로부터 용지의 단면까지 인쇄할 수 없는 영역이 있다.
3) 카드 누름에 관련하여, 손으로 집을 때 등의 소정의 외력에 대해서 카드를 유지하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카드 누름 플런저에 그만큼의 유지력을 발생할 수 있는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전원이 커지게 되어 소형화할 수없다.
4) 카드 수납부가 프린터 저부에 있기 때문에 카드를 손으로 카드 수납부까지 삽입할 필요가 있고, 프린터내부에 들어가버린 부분의 카드에는 인쇄가 완성되지 않는다.
5) 카드를 이송하는 수단과 카드를 누루기 위한 카드 누름 수단의 양쪽을 구동할 필요 때문에 제어 회로가 복잡하여 전체적인 비용이 상승 된다.
6) 카드 이송 기구와 카드 누름 기구가 카드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니트로 구성할 수 없고 조립 공정수가 많아 제품 단가가 비싸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동력원을 줄여서 유니트화하고, 프린터 내부에 들어가버린 카드에 인쇄가 가능하고 영구적으로 카드 이송 피치의 변화없이 신뢰성이 높은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프린터는 단표(單票) 등의 카드를 꽂아 넣어서 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카드의 하단이 맞닿는 카드 수납부와 카드를 협지하는 협지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와 결합해서 슬라이더를 평행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를 구비한 가이드 프레임과, 카드를 협지한 슬라이더를 안내부를 따라서 인쇄 수단에 대해서 상호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협지 수단은 카드를 협지하는 하나 이상의 협지부를 가지고, 협지부는 가이드 프레임에 배열 설치된 고정 협지 부재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카드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카드 누름 레버에 배열 설치된 가동 협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 구동 수단은 동력원으로서 스텝핑 모터와,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장착 설치된 타이밍 벨트와,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고 카드 누름 레버와 결합하여 카드 누름 레버를 거쳐서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카드 이송 구동 핀을 가지며, 슬라이더의 이동 가능 영역내에 배열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정지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이동이 정지부에 의해 규제되어 정지된 후에도 카드 이송 구동핀에 의해 카드 누름 레버를 회전 이동킴으로서 가동 협지부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 설치된 안내부와, 안내부를 따라 주행하는 슬라이더에 배치 설치된 결합부와,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결합부를 안내부에 가압하는 슬라이더 누름 레버를 가지며, 카드 수납부는 이동 방향에 대해서 항상 거의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 구동 수단은 슬라이더에 배치 설치된 래크와 이 래크에 맞물리는 치차를 가지며,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치차 조립체와, 슬라이더를 이등 방향의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가지고, 치차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후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차 조립체는, 프린터 본체의 구동축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클러치 치차와, 일단이 클러치 치차와 결합하고 타단이 치차 조립체와 결합한 클러치스프링과, 클러치 치차와 결합해서 회전을 정지시키는 작동판을 구비한 트리거 마그네트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치차 조립체에 설치된 캠과, 카드 누름 레버가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 설치되고 치차 조립체의 회전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협지부를 개폐 제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되는 가이드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자유단이 슬라이더와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개폐하는 안내 부재를 가지며 슬라이더가 인쇄 수단으로부터 먼 지점에 있을 때 자유단은 카드 용지를 안내하도록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상기 구성과 같이, 카드는 가압되어 슬라이더에 협지되고, 그 슬라이더는 가이드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기록 용지는 인쇄 수단에 대해서 슬라이더에 유지된 상태로 이동된다. 또, 카드를 가압하는 카드 누름 레버가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 회전 이동되기 때문에 카드 누름 레버가 회전 이동되어서 카드가 세트되는 슬라이더의 위치와, 카드 누름 레버가 카드를 가압하고 있는 슬라이더의 위치가 존재하고,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카드의 이동 및 협지가 가능하다.
또는, 프린터 본체에서 구동하는 구동축과, 클러치 수단 및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마그네트와 클러치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캠 및 치차가 배열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력을 슬라이더에 배치된 래크를 구동시켜서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고, 슬라이더를 대기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에 의해 복귀된다. 카드 누름 레버는 트리거 마그네트로 제어되는 캠에 의해 회전 이동되고, 카드의 세트 및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11 도 및 제 27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고, 제 27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외형의 사시도이다.
1 은 전기 신호에 따라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이고, 차륜을 경유하여 회전 구동되는 캐리지 구동 밸트 세트(4)에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 구동 벨트 세트(4)는 인쇄 헤드(2)를 탑재한 캐리지가 결합되어 롤 용지 주행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프린터 본체에 대한 부착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카드 이송 기구는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부와, 카드 이송 기구부와, 카드 유지 기구부와, 카드 이송 위치 검출 기구부로 구성되고,5 는 카드 이송 기구 전체를 유지하는 가이드 프레임이고, 슬라이더(8)를 평행 이동시키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안내부(5C)를 구비하고, 카드 이송 기구는 인쇄 헤드(2)의 하부에 위치되어 본체 프레임에서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제 3 도는 카드 이송 기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4 도는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의 설명도이다. 6은 카드 이송의 동력을 발생하는 스텝핑 모터로 정역전 회전되는 카드 이송 모터이고, 그 회전은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차열(10)을 지나서 벨트 구동 풀리(11)에 전달되고, 벨트 구동 풀리(11)와 벨트 종동 풀리(12)에 현가되어 슬라이더(8)외 이동 방향으로 장착 설치되는 카드 이송 구동핀(13)이 고착된 타이밍 벨트인 카드 이송 벨트(7)를 회전시킨다.
슬라이더(8)에는 또한 카드 저부의 도달 지점 역할을 하는 카드 수납부(8e)가 있고, 카드 이송 벨트(7)에 고착된 카드 이송 구동핀(13)과 결합하여 카드 이송 벨트(7)와 일체로 구동된다. 9는 슬라이더(8)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투과형 센서인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이다.
제 5 도는 카드 이송 기구의 카드 유지 및 카드 이송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4 는 카드 이송 구동핀(13)과 결합된 슬라이더(8)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카드 누름 레버이고, 15 는 한쪽 아암이 슬라이더(8)에 결합되고, 다른쪽의 아암이 카드 누름 레버(14)에 결합되어, 카드 누름 레버(14)를 슬라이더(8)에 대해 가압하는 동작을 하는 나사 코일 스프링인 가압 누름 스프링이다. 17은 카드 누름 레버(14)에 배치된 가동 협지 부재인 카드 누름 고무 B 이다. 18 은 카드(100)를 검출하기 위해 카드 출구부에 설치되어 본체 프레임에 고착된 투과형 광센서인 카드 검출기 T 이다. 19 는 카드 검출기 T(18)의 하부에 설치된 카드 검출기 T(18)와 동일한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한 카드 검출기 B 이다.
제 6 도는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제 7 도는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삽입 가능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8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가이드 프레임에 유지하는 기구를 상부에서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제 9 도는 제 8 도의 정면도이다.
20 은 양단이 가이드 프레임(5)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 누름 레버이며, 슬라이더 누름 레버(20)와 가이드 프레임(5)에 장착된 슬라이더 누름 스프링(21)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슬라이더 누름 스프링은 슬라이더(8)의 결합부를가이드 프레임(5)의 안내부(5C)에 대해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22 는 카드 이송 벨트(7)에 장력을 가하는 위치로 배열 설치된 벨트 텐션 레버이다. 슬라이더(8)는 양측에 홈(8C)을 형성하고, 홈(8C)에 가이드 프레임(5)을 결합시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슬라이더 누름 스프링(21)의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 누름 레버(20)를 거쳐서 가이드 프레임(5)의 단면에 슬라이더(8) 결합부의 미끄럼 이동부(8d)를 눌러붙이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8)가 가이드 프레임(5)에서 요동하는 일이 없이 이동 방향에 대해서 항상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5)의 슬라이더 미끄럼 이동부 및 슬라이더 누름 레버(20)의 슬라이더 미끄럼 이동부(20a)는 카드 이송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마찰 계수가 적게 되도록 표면이 거울면 형상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슬라이더(8)의 쓰러짐 방지는 제 9 도에 도시된 모양으로 슬라이더(8)의 가이드 프레임(5)의 면의 형상이 상하 2 개소만 접촉하고 중앙 부근은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8)는 2 개소에서 안정되고 가이드 프레임(5)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따라 슬라이더(8)의 쓰러짐에 강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동일하게, 슬라이더(8)와 슬라이더 누름 레버(20)의 접촉부도 2 개소에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쇄시 카드에서의 외력에 의해 슬라이더(8)가 쓰러지지 않도록 슬라이더 누름 스프링(21)의 하중이 설정되어 있다.
제 10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좌측 상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9 는 슬라이더(8)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 투과형 센서인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이고, 슬라이더(8)에 형성된 슬라이더 위치 검출부(8a)가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의 홈으로 이동해서 광을 차단하여 슬라이더의 위치가 검출된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71 은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프린터의 기구부이고, 2 는 인쇄 헤드(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 은 모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6 은 카드 이송 모터(6)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51 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쇄 헤드(2)의 인쇄 타이밍을 발생시키는 타이밍 펄스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52 및 53 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쇄 헤드(2)의 위치를 검출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세트 펄스 발생기 R 과 리세트 펄스 발생기 L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9 는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8 은 카드 검출기 T(1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19 는 카드 검출기 B(19)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73 은 CPU 로서 인쇄 헤드 제어 회로(81)와, 모터 제어 회로(82) 및, 카드 이송 모터 제어 회로(87)에 접속되어 있다. 72 는 인터페이스, 74 는 ROM, 75 는 RAM 이다. 76 은 인쇄 헤드 제어 회로(81)에서의 인쇄 헤드 제어 신호, 77 은 모터 제어 회로(82)에서의 모터 제어 신호, 78 은 카드 이송 모터 제어 회로(87)에서의 카드 이송 모터 제어 신호이다.
83 은 타이밍 신호 정형 회로를 나타내고, 타이밍 펄스 발생기(51)에서 생성된 신호를 파형 정형하고, 상기 인쇄 헤드(2)에서 통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신호인 타이밍 신호를 CPU(73)로 보내다. 84 는 리세트 신호 R 정형 회로를 나타내고, 리세트 펄스 발생기 R(52)에서 생성된 캐리지(3)가 대기 위치에 왔을 때에 인쇄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리세트 신호 R 을 CPU(73)로 보낸다. 85 는 리세트 신호 J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리세트 펄스 발생기(53)에서 생성된 캐리지(3)가 대기 위치에 왔을 때에 인쇄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리세트 신호 J 를 CPU(73)로 보낸다.
86 은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에서 생성된 슬라이더(8)가 대기 상태 인지 아닌지(카드 삽입 가능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파형 정형해서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 신호를 CPU(73)로 보낸다. 88 은 카드 신호 T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카드가 삽입되어있는지 아닌지외 판단 및 카드가 빼내졌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한 카드 검출기 T(18)의 카드 신호 T 를 CPU(73)로 보낸다. 89 는 카드 신호 B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한 카드 검출기 B(19)의 카드 신호 B 를 CPU(73)로 보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카드 삽입 가능 상태에 도달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투입시에는 이하의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 먼저, 제 10 도에서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가 슬라이더(8)의 위치 검출부(8a)를 검출하고 있는가를 제 11도의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 정형 회로(86)의 출력에 따라 CPU(73)에서 판단한다.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8a)를 검출한 상태일 경우에는 제 4 도의 카드 이송 모터(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카드 이송 구동핀(13)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5 도의 카드 누름 레버(14)의 카드 이송 구동핀(13)의 결합부(14a)의 결합에 따라 슬라이더(8) 및 카드 누름 레버(14)도 하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8)의 위치 미검출 상태로 한다. 초기에, 슬라이더(8) 위치 미검출의 경우는 상기 동작을 생략한다.
그때에 카드 누름 고무 A(16) 및 카드 누름 고무 B(17)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쇄 상태에 있다. 다음에, 제 4 도의 카드 이송 모터(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더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 위치 검출부(8a)가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의 광축을 차단해서 슬라이더 위치 검출 상태로 된다. 또한, 카드 이송 모터(6)를 소정의 스텝수로 이송하면 제 10 도의 슬라이더(8)의 가이드 프레임 정지부(8b)와 가이드 프레임(5)의 슬라이더 정지부(5a)가 맞닿고, 슬라이더(8)는 이동을 멈추게 된다.
또한, 모터를 회전하면 카드 이송 벨트(7)에 부착된 카드 이송 구동핀(13)은 카드 누름 레버(14)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때문에 카드 누름 레버(14)는 카드 누름 스프링(15)의 힘을 이겨내고 슬라이더 결합부(14a)를 지점으로 회전 이동한다.
카드 누름 레버(14)에 배치된 카드 누름 고무 B(17)가 회전 이동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8)에 배치된 카드 누름 고무 A(16)와의 위치 관계가 제 7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개방 상대로 되고, 카드(100)가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카드 이송 모터(6)에 유지 전류를 흐르게 한다.
다음에, 카드(100)가 제 6 도의 가이드 프레임 카드 안내면(5b)으로 안내되어 삽입되므로써 카드 유지 동작, 카드 흡입 동작, 카드 이송 인쇄 동작, 카드 유지 개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카드 유지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100)를 프린터내부의 슬라이더(8)의 상부에 맞닿아서 흐뜨려 삽입하면 제 5 도의 카드 검출기 T(18)가 삽입된 카드(100)를 검출하고, 제 11 도의 카드 신호 T 정형 회로(88)의 출력이CPU(73)에 입력되고 카드 인쇄 가능을 인식한다.
CPU(73)에서 카드 이송 모터 제어 신호(78)가 출력되고, 카드 이송 제어 회로(88)를 거쳐서 제 4 도의 카드 이송 모터(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카드 이송 벨트(7)에 부착된 카드 이송 구동핀(13)이 하방으로 이동을 시작하면 카드 누름 레버(14)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가 해제되고, 카드 누름 레버(14)는 카드 누름 스프링(15)에 따라 회전되고, 카드 누름 레버(14)에 배치된 카드 누름 고무 B(17)는 슬라이더(8)에 배치된 카드 누름 고무 A(16)를 카드(100)를 거쳐서 압접하고, 제 6 도와 같은 카드(100)는 카드 누름 고무 B(17)와 카드 누름 고무 A(16)에 의해 협지된다.
또한, 모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드 이송 구동핀(13)은 슬라이더(8)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 l0 도의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의 광축에서 슬라이더 위치 검출부(8a)가 어긋나서 슬라이더 위치 미검출 상태로 된다. 여기서부터 인쇄 위치까지는(인쇄 위치까지 필요한 이동 거리분의 스텝수+소정의 스텝수 M) 카드 이송 모터(6)를 구동해서 모터 이송 구동핀(13)을 이동하고 슬라이더(8)와 더불어 카드(100)를 밀어넣는다.
여기서, M 은 동력 전달계의 백래쉬(back-lash)를 흡수하는 것에 필요한 스텝수이다. 카드(100)를 밀어넣는 중에,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한 카드 검출기B(19)가 제 5 도와 같이 하방 위치에 부착되어 있어서 카드(100)가 카드 검출기B(19)의 광축을 차단하고, 제 11 도의 카드 신호 B 정형 회로(89)의 출력에 따라 CPU(73)가 슬라이더(8) 및 카드 누름 레버(14)에 의해 카드(100)를 확실히 유지하고 있는지의 인식을 실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카드 이송 인쇄헤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드를 끌어들이는 동작 종료후 제 4 도의 카드 이송 모터(6)를 시계방향으로 M 스텝 이송 동력 전달계의 백래쉬를 취한후 카드 이송 모터(6)에 유지전류를 흐르게 하여 카드 이송 기구부를 유지한다. 또한 백래쉬를 적게 하기 때문에 제 9 도에 도시한 벨트 텐션 레버(22)에 따라 카드 이송 벨트(7)의 여유를 적게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제 11 도의 CPU(73)에 따라 인쇄 명령이 나와서 인쇄 동작을 행한다. 인쇄 동작 종료후 다음 인쇄 위치까지 슬라이더(8) 및 카드(100)를 보내다. 이때에 카드 이송의 1 스텝은 인쇄 헤드(2)의 종방향 도트 피치의 1/N(N 은 자연수)이다. 상기 동작의 반복에 의해 카드(100)에 복수행의 인쇄가 가능하다. 최종 인쇄행은 슬라이더(8)의 카드 정지부가 인쇄 헤드(2)의 근방까지 도달해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카드(100)의 하단 부근까지 인쇄 가능하다.
전체의 인쇄가 종료하면 상기 카드 삽입 가능 상태에 도달하는 동작의 카드 누름 레버(14)의 개방 동작과 동일하고, 최후에 카드 이송 모터(6)에 유지 전류를 흐르게 해서 카드를 제거하여 카드 삽입 가능 상대로 종료한다. 또한, 카드(100)에 인쇄하는 데이타를 ROM(74)에서 전부 판독한 경우에는 끌어들일 때에 카드(100) 하방으로 인쇄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이송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해서 카드 유지 동작, 카드 인입 동작, 카드 이송 동작, 카드 유지 개방 동작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기구가 가이드 프레임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유니트화가 실현되고, 본체 프레임에 용이하게 부착, 분해가 가능한 프린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선 카드 누름 레버의 기구 및 회전 이동이 카드 이송 구동핀(13)과 카드 누름 레버(14)가 결합하고, 가이드 프레임(5)에 슬라이더(8)가 맞닿고, 카드 이송 모터(6)를 구동하면 카드 이송 모터핀(13)이 카드 누름 레버(14)를 회전 이동시켜서 카드(100)가 삽입 가능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선 슬라이더와 카드 누름 레버의 기구 및 회전 이동이 카드 이송 구동핀(13)과 슬라이더가 결합되고, 카드 누름 레버(14)의 회전 이동부를 가이드 프레임(5)에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게 고려해 볼 수 있다. 그 경우에, 슬라이더(8)가 카드 이송 구동핀(13)에 따라 카드의 삽입 방향(배출부)측으로 밀어올리면 가이드 프레임의 맞닿음부가 카드 누름 레버(14)를 회전 이동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슬라이더 위치 검출부(8a)가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의 광축을 차단하도록 슬라이더 위치 검출기(9)를 배치해서 신호를 얻는다. 또한, 카드 이송 모터(6)를 구동하면 가이드 프레임의 정지부가 카드 누름 레버(14)를 회전 이동시켜서 카드(100)가 삽입 가능한 상태로 된다. 카드(100)가 설정된 후의 동작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카드 누름 레버(14)의 회전이동은 카드의 삽입 방향(배출부)측과 반대 방향측의 프린터의 저부측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 2 실시예를 제 12 도 내지 26 도 및 제 1 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외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제 2 실시예의카드 이송 기구가 탑재된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외 제 2 실시예의 모터(1)의 동력을 캐리지 구동 벨트 세트(4)에 전달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모터(1)의 회전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모터(1)에 고착된 모터 치차에서 헤드 이송 치차열(106)을 지나서 캐리지 구동 풀리(105)에 전달되고, 캐리지 구동 벨트 세트(4)가 구동된다. 또, 모터(1)의 회전은 도시되어 있지 않고 선택적으로 롤 용지 이송을 행하는 기구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용지 이송 치차열(108)에도 전달 된다. 107 은 헤드 이송 치차열중 하나로서 3 방향의 돌기(107a)를 갖는 헤드 이송 전달 치차로 후술하는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의 외형과 프린터 본체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25 도는 카드 이송 기구의 외형 사시도, 제 26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외형 사시도이다.
본 기구는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와 카드 이송 기구와 카드 누름 기구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기구로 구성되고, 111 은 카드 이송 동력 전달 기구와 카드 이송 기구와 카드 누름 기구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기구 전체를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A 이고, 112 는 한쪽 방향에서 헤드 전달 치차(107)의 세방향의 돌기(107a)와 결합하도록 3 방향의 구멍(112a)을 가지며 다른 방향에서 치차를 형성하는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이고, 118 은 가이드 프레임 A(111)에 고정된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카드의 안내를 이루는 카드 가이드판이다.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이송 기구에 부착된 동력 전달 기구만의 사시도이다. 113 은 카드 이송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 114 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 권취된 스프링 클러치인 동력 전달 스프링이고, 한쪽으로 구부려 돌출된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의 하강시 과부하가 가해질 때 미끄러지게 설정되어 있다. 115 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동력 전달 스프링(114)외 구부려진 부분과 결합하는 구멍을 갖는 카드 이송 전달 치차이며, 116 은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112)의 회전력을 감속해서 카드 이송 전달 치차(115)에 전달하기 위한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열이다.
제 15 도는 카드 이송 기구를 후방에서 본 슬라이더의 구동 설명도이고, 제 16 도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 배치된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제 17 도는 슬라이더에 배치된 래크와 피니언 구동 치차축(113)에 배치된 피니언 기구의 설명도, 제 18 도는 카드 이송을 선택하기 위한 트리거 기구의 설명도이다.
121 은 수지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A(111)에 평행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카드(100)의 하단이 맞닿는 카드 수납부(121d)가 구비된 슬라이더 A 이며, 최초로 맞물림하는 첫번째 이(121a) 1 개와 다른 이(121b)가 오프셋되어 형성된 래크를 가지면서 카드의 정지부와 카드의 전송 역할을 한다.
122 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서 가압된 스프링 클러치로서 양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 123 은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주가 동일 부분으로 분할되어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122)의 한쪽 방향으로 구부려진 부분과 결합하는 슬라이더 구동 돌기차, 124 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주의 일부에서 슬라이더 A(121)의 래크중 첫번째 이(121a)와 맞물림 가능한 치차(124a)와 다른 이(121b)와 맞물림가능한 이(124c)와 다이형 캠(124b)을 가지는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122)의 다른쪽으로 구부려진 부분과 결합하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이다.
125 는 전기 신호에 따라 도시되어 있지 않는 카드 이송 철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카드 이송 코일, 126 은 선단의 한쪽 방향이 슬라이더 구동 돌기차(123)에 결합 가능하게 카드 이송 코일(125)로 통전하는 것에 따라 결합이 벗겨지는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 127 은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126)외 다른쪽 선단에 걸릴때에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126)의 선단이 슬라이더 구동 돌기차(123)의 갈구리에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흡입판 스프링이다.
128 은 한쪽 방향이 가이드 프레임 A(111)에 다른쪽 방향이 슬라이더 A(121)에 장착되어 슬라이더 A(121)를 하부 대기 위치로 복귀 및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가입하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 이고, 129 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128)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B 이고, 슬라이더 A(121)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128) 및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B(129)가 좌우로 균형 좋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동할 때에 가이드 프레임 A(111)와 유연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9 도 및 제 20 도는 카드 누름 기구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유지 상태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미검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 20 도는 본 발명의 카드 누름 기구의 카드 삽입 가능 상태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31 은 슬라이더 A(121)의 좌우에 형성된 고정 협지부재(121C)와 대향하여 카드(100)를 협지하기 위한 가동 협지부재인 카드 누름 고무(C133)가 배치되고, 슬라이더 A(12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카드 누름 레버 A 이다. 카드 누름 레버 A(131)에는 또한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다이형 캠(124b)과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된 아암(131a)과,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를 작동시키는 검출 레버부(131c)가 배치되어 있다.
132 는 카드(100)를 끼우는 힘을 헝성하는 나사 코일 스프링인 카드 누름 스프링 A 이고,141 은 가이드 프레임 A(111)에 고정되어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검출 레버부(C)와 결합 가능한 레버(141a)를 갖는 기계적 스위치인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에서 레버(141a)가 오른쪽으로 회전 이동되면 LOW, 회전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왼쪽 방향으로 가압되는 신호는 HIGH 로 되는 것이다.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는 광 센서로서도 누름 레버 A(131)에 따라 광을 차단하고,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18 은 카드(100)의 입구부에 설치된 투과형 광 센서에서 카드를 가지고 있을 시에 신호를 출력하여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한 카드 검출기 T, 19 는 슬라이더 A(121)의 카드 정지부 부근에 설치된 카드 검출기(18)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카드 검출기 B 이다.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카드 인쇄 및 카드 이송의 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도이다. 151 은 모터(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신호, 152 는 모터(1)의 회전량에 동기해서 인쇄 헤드(2)의 구동 타이밍을 결정하는 도시되어 있지않는 타이밍 파형 발생기(51)의 파형 정형후의 출력인 타이밍 신호, 153 은 본체 프레임의 레시드측에 배치되어 캐리지(3)가 레시드측의 홈 포지션에 도달한 때에 신호를 출력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광 센서인 리세트 펄스 발생기 R(52)의 파형 정형후의 출력인 리세트 신호 R, 159 는 본체 프레임의 저널측에 배치 설치하여 캐리지(3)가 저널측의 홈 포지션에 도달한 때에 신호를 출력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광센서인 리세트 펄스 발생기 J(53)의 파형 정형후의 출력인 리세트 신호 J, 154는 인쇄 가능한 타이밍 영역을 도시한 인쇄 영역이다.
155 는 제 18 도의 카드 이송을 선택하는 트리거 기구의 카드 이송 코일(125)을 구동하기 위한 카드 이송 신호, 157 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의 출력으로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 상태(카드 삽입 가능 상태)에서 LOW 의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156 은 카드가 없을 때에는 HIGH로 카드가 있을 때에는 LOW 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0 도의 카드 검출기 B(19)의 출력 신호인 카드 신호 B, 158 은 카드 검출기 B(19)와 동일한 카드가 없을 때에는 HIGH 로 카드가 있을 때에는 LOW 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0 도의 카드 검출기 T(18)의 출력 신호인 카드 신호 T 이다.
제 22 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171 은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프린터의 기구부이며, 2 는 인쇄 헤드(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 은 모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25 는 카드 이송 코일(125)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51 은 타이밍 펄스 발생기(5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41 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52 는 리세트 펄스 발생기 R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53 은 리세트 펄스 발생기 J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18 은 카드 검출기 T(1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19 는 카드 검출기 B(19)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73 은 CPU 이며, 인쇄 헤드 제어 회로(81)에 나란한 모터 제어 회로(82) 및 카드 이송 코일 제어 회로(181)에 접속되어 있다. 72 는 인터페이스, 74 는 ROM, 75 는 RAM 이다. 76 은 인쇄 헤드 제어 회로(81)에서의 인쇄 헤드 제어 신호,77 은 모터 제어 회로(82)에서의 모터 제어 신호, 186 은 카드 이송 코일 제어 회로(181)에서의 카드 이송 코일 제어 신호이다.
83 은 타이밍 신호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타이밍 펄스 발생기(51)에서 생성된 신호를 파형 정형하고 상기 인쇄 헤드(2)에서외 통전을 제어하기 때문에 기준 신호인 타이밍 신호(152)를 CPU(73)로 보낸다. 84 는 리세트 신호 R 정형 회로를 나타내고, 리세트 펄스 발생기(52)에서 생성된 캐리지(3)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인쇄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리세트 신호(153)를 CPU(73)로 보낸다. 85 는 리세트 신호 J 정형 회로를 나타내고, 리세트 펄스 발생기(53)에서 생성된 캐리지(3)가 대기 위치에 왔을 때 인쇄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리세트 신호 J(159)를 CPU(73)에 보낸다.
180 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카드 누름 레버 A(131)가 대기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카드 삽입 가능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한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157)를 CPU(73)로 보낸다. 88 은 카드 신호 T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 및 카드가 빼내어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헹하는데 필요한 카드 검출기 T(18)의 카드 신호 T(158)를 CPU 에 보낸다. 89 는 카드 신호 B 정형 회로를 나타내며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행하는데 필요한 카드 검출기 B(19)의 카드 신호 B(156)를 CPU 에 보낸다.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카드 이송 기구를 카드 삽입 가능시 초기 설정을 위한 플로챠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카드 이송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대기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0 도와 같은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다이형 캠(124b)은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아암 A(131a)을 밀어 올리며, 슬라이더 A(121)의 좌우에 형성된 유지부(121C)와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카드를 끼우는 아암(131b) 사이가 개방되어 카드 삽입 가능 상태에 있다. 또한, 슬라이더 A(121)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검출 레버부(131C)는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의 레버(141a)를 회전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에서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157)는 LOW 로 카드 삽입 가능을 도시한다.
다음에. 카드(100)가 가이드 프레임 A(111)와 카드 가이드판(118)에 안내되어 삽입되면 카드(100)가 슬라이더 A(121)와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아암 B(131b) 사이에 삽입된다. 카드(100)의 측면은 삽입 경로에 배치되어 슬라이더 A(121)의 하부 대기 위치 부근에 설치된 카드 검출기 B(19)의 광을 차단하고, 카드 검출기 B(19) 신호의 변화를 받는 제 21 도의 카드 신호 B(156)는 LOW 로 변화한다. 이때 카드 신호 T(158)도 동일한 변화를 한다.
이 카드 신호 B(156)는 제 22 도의 카드 신호 B 정형 회로(89)를 통해서 CPU(73)에 입력되고, CPU(73)에서 모터 제어 회로(82)를 통해서 제 21 도의 모터 구동 신호(151)를 HIGH 로 해서 모터(1)를 구동한다. 모터(1)가 회전하기 시작할때 제 12 도의 헤드 이송 치차열(106) 및 용지 이송 치차열(108), 제 14 도의 헤드 이송 전달 치차(107) 및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112), 카드 이송 동력 전달 치차열(116), 카드 이송 전달 치차(115),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이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 구동 걸림차(123)는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126)에 따른 회전을 예방하고, 그에 의해 클러치 기구의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122)이 느슨해지고,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의 회전은 슬라이더 구동치차(124)에는 전달되지 않아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 22 도의 CPU(73)에서 카드 이송 코일 파형 정형 회로(181)를 통해서 타이밍 신호(152)의 통전폭(T1)만 카드 이송 코일(125)에 인가한다[제 21 도의 카드 이송 신호(155)의 파형 CH의 LOW의 부분]. 또, 제 18 도의 카드 이송 코일(125)의 자계의 동작에 따라 흡인판(127)의 힘을 극복하여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126)은 화살표 방향으로 흡인되고, 슬라이더 걸림차(123)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더 걸림차(123)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된다.
그에 의해, 슬라이더 구동 스프링(122)이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을 꽉죄고,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가 슬라이더 구동 치차축(113)과 함께 회전한다. 한편, 카드 이송 코일(125)에는 통전폭(T1)만 인가되기 때문에 통전이 종료되면 슬라이더 구동 트리거 흡인판(126)은 흡인판 스프링(127)에 따라 회전 이동되어 슬라이더 구동 걸림차(123)의 다음 갈구리와 결합하고, 슬라이더 구동 걸림차(123)는 1톱니만큼 회전한다. 또, 제 20 도의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다이형 캠(124b)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드 누름 레버 A(131)가 벗겨지고, 카드 누름 스프링 A(132)의 동작에 의해 카드를 카드 누름 고무 C(133)를 거쳐서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의 레버(141a)와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검출 레버부(131c)가 분리되고, 제 21 도의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157)가 HIGH 로 되어 카드 유지 상대에 따라 인쇄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인쇄 및 카드 이송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1)를 구동시키면 캐리지(3)의 홈 포지션을 인식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리세트 검출기 R(52) 및 리세트 검출기 J(53)의 출력 신호인 제 21 도의 리세트 신호 R(153) 및 리세트 신호 J(159)가 얻어진다. 이 신호에 따라 캐리지(3)의 홈 포지션을 제 22 도의 CPU(73)가 인식한다. 이 리세트 신호 R(153) 및 리세트 신호 J(159)를 기준으로 타이밍 신호(152)와 동기해서 CPLT(73)에 의해 인쇄 헤드 제어 회로(81)를 통해서 필요 위치에 1 라인 인쇄 영역(154)에 인쇄 명령이 출력되어 인쇄를 행한다.
1 라인 인쇄후 제 21 도의 카드 이송 신호(155)의 CF1을 같은 LOW 로 해서 카드 이송 코일(125)에 통전을 행하면 슬라이더 구동 걸팀차(123)를 1 톱니만큼 이송하고,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가 카드 이송 1 라인만큼 회전하고,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치차부와 맞물려서 슬라이더 A(121)의 래크부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더 A(121)가 1 라인만큼 이송되어 탑재되어 있는 카드도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선 6 라인 인쇄 가능한 구성을 도시한다. 인쇄 가능 라인수는 프린터의 스페이스에 따라 설정된다. 상기 인쇄 카드 이송 동작을 5회(CF1 내지 CF5)까지 반복해서 6 라인 인쇄한다.
최종행을 인쇄한 상태에선 카드(100)가 최상 위치에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 신호(151)의 정지 시간(T2)은 카드를 뽑아내는 시간으로 설정한다. 여기에 카드 검출기 T(18)가 부착되어 있지만 카드 신호 T(158)의 HIGH에 의해 카드가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 A(121)와 슬라이더 A(121)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A(111)에는 부품 제조상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카드 인쇄중에 슬라이더 A(121)가 간극만큼 작동 인쇄가 혼란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인쇄 혼란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 제 24 도에 도시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 24 도에서 슬라이더 A(121)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작동하는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에 의해 슬라이더 A(121)가 받는 힘(F)에 대해서 L1 의 거리에서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128)가 하중 fa로 장착되고 L2 의 거리에서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B(129)가 하중 fb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0 점에 있는 모멘트 M=faL1-fbL2 를 크게 해서 슬라이더 A(121)가 항상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선 fa>fb, L1>L2 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슬라이더 A(121) 복귀 및 카드 누름 레버 A(131) 개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드가 없어진 후 제 21 도의 모터 구동 신호(151)를 HIGH 로 해서 모터(1)를 구동한다. 다음에 카드 이송 신호(155)중 SF 신호의 LOW 에 따라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를 회전시키면 제 17 도의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최후의 치차와 슬라이더 A(121)의 래크의 맞물림이 어긋나고 슬라이더 A(121)는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A(128)와 슬라이더 복귀 스프링 B(129)의 동작에 따라 홈 위치로 복귀한다. 카드 이송 신호(155)의 대기 시간(T3)은 슬라이더 A(121)의 복귀에 요구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1 도의 카드 이송 신호(155)의 LOW 의 파형 입력에 따라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를 회전시키면 제 20 도와 같이 슬라이더 구동 치차(124)의 다이형 캠(124b)이 카드 누름 레버 A(131)를 개방한다. 동시에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검출 레버부(131C)가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141)의 스위치를 넣고, 제 21 도의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157)외 신호가 LOW 로 되는 카드 삽입 가능으로 된다. 이상 3 단계로 1 사이클이 종료한다.
다음에, 프린터 전원 투입시의 카드 용지 이송 기구의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초기 설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초기 설정은 제 23 도에 도시한다. 제 23 도의 플로챠트도에 있어서 단계 207, 단계 210, 단계 215 등의(TC)는 타이밍 신호 카운트, T3 및 T1 은 제 21 도의 카드 이송 신호(155)의 LOW 사이에 카운트하는 타이밍 신호(152)의 타이밍수이고, 스텝 218 의 N 은(1사이클의 카드 이송 신호 동작 +1)이다.
먼저, 전원을 투입해서(단계 201)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가 LOW 레벨인지를 확인한다(단계 202). "예"이면 카드 인쇄가 가능하므로 카드가 삽입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203).
"아니오"이면 제 19 도의 슬라이더 A(121)와 카드 누름 레버 A(131)의 아암 B(131b)가 열려진 상태에 의해 카드 삽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단계에 따라 초기 설정을 행한다. 먼저, 모터(1)를 구동하고(단계 204), n=(TC)+3, m=1 로 설정한다(단계 205). 타이밍 신호수를 계산해서(단계 206), (TC)=n+T1(m-1)로 될 때까지 카운트한다(단계 207).
다음에, 카드 이송 신호를 ON 해서(단계 208), T1 만 통전한다(단계 209, 210, 211). m=m+1 로 해서(단계 212), 타이밍 신호를 카운트해서(TC)+n+T3(m-1)-1로 될 때까지 계산한다(단계 213,214). 카드 누름 레버 위치 검출기 신호가 LOW 레벨인지를 확인해서(단계 215), "예"이면 카드 인쇄 가능하므로 모터를 정규의 위치에 정지해서(단계 216), 카드 삽입까지 대기한다(단계 217). 또, "아니오"라면 단계 206 에서 단계를 반복해서 m=n 으로 되면(단계 208), 기구에 이상이 있으므로 모터를 정지한다(단계 219).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 용지 이송 및 캐리지 이송을 행하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서 저가의 트리거 기구 1 개로 카드 유지, 이송 및 대기 상태가 용이하게 달성되고, 기구가 유니트화 해서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한 카드 이송 기구를 구현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는다.
카드의 하단이 맞닿는 카드 수납부와 카드를 협지하는 협지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와 결합해서 슬라이더를 평행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부를 구비한 가이드 프레임과, 카드를 협지하는 슬라이더를 안내부에 따라서 인쇄 수단에 대해 상호 이등시키는 이동 구동 수단을 가지는 것에 의해 카드가 협지되고 카드 이송은 슬라이더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카드의 매수가 복수매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카드를 이송하게 된다.
또한, 카드 이송은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종래의 변동 되기 쉬운 마찰력을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지 이송 정밀도가 보다 신뢰성 높은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특히 카드 용지가 포맷되어 있는 것에서 그 효과가 커지게 된다.
또, 카드의 유지는 기계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카드를 유지하기 위해 전자 마그네트나 플런저가 장시간 인가되지 않으므로 발열에 의한 문제점이 없어져 장시간 인쇄 및 인쇄행수의 증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비 전력이 작아 전원이 작아질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 및 저전력화가 양호하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정지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이동이 정지부에 의해 규제되어 정지한 후에도 카드 이송 구동핀에 따라 카드 누름 레버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동 협지부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슬라이더가 카드 용지 삽입구의 부근에서 카드를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드의 세트가 용이하게 되고, 또는 기록 용지의 길이가 짧아져도 용이하게 세트되는 것 등의 사용상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인쇄 수단의 부근까지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카드의 저면의 단면 부근까지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드 이송 기구는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수단 등이 탑재될 수 있으므로, 조립 유니트화하는 것에 의해 조립 비용의 저감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또, 프린터 본체의 조립시에 임의로 용이하게 조립 가능한 것에 의해 프린터의 설계 사양이 간단히 변경될 수 있는 것의 효과도 있고, 또, 슬라이더를 이등시키는 경우 스텝핑 모터 또는 트리거 마그네트가 제어될 때, 단일 수단에 신호를 적용함으로써 카드만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극히 간단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실용적 효과는 매우 크다.

Claims (9)

  1. 단표(單票) 등의 카드를 꽂아 넣어서 인쇄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하단이 맞닿는 카드 수납부와, 상기 카드를 협지하는 협지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평행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안내부를 구비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카드를 협지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안내부를 따라서 인쇄 수단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이동 구송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2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 수단은 상기 카드를 협지하는 하나 이상의 협지부를 가지며, 상기 협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된 고정 협지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카드를 협지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카드 누름 레버에 배치된 가동 협지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정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동 수단은 동력원으로서의 스텝핑 모터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장착 설치된 타이밍 벨트와, 상기 타이밍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카드 누름 레버와 결합해서 상기 카드 누름 레버를 경유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카드 이송 구동핀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가능 영역내에 배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2회 정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정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상기 정지부에 의해 규제되어 정지된 후에도 상기 카드 이송 구동핀에 의해 상기 카드 누름 레버를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협지부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2회 정정)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를 따라 주행하는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 상기 결합부를 상기 안내부에 가압하는 슬라이더 누름 레버를 가지며, 상기 카드 수납부는 이동 방향에 대해서 항상 거의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면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2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래크와, 이 래크에 맞물리는 치차를 가지며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치차 조립체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 방향의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치차에 의해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2회 정정)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조립체는, 프린터 본체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클러치 치차와, 일단이 상기 클러치 치차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치차 조립체와 결합한 클러치 스프링과, 상기 클러치 치차와 결합해서 회전을 정지하는 작동판을 구비한 트리거 마그네트에 의해 회전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정정)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조립체에 설치된 캠과, 상기 카드 누름 레버가 접촉할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치차 조립체의 회전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협지부를 개폐제어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2회 정정) 제 6 항에 있어서,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로 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자유단이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외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안내 부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인쇄 수단으로부터 먼 지점에 있을 때, 상기 자유단은 상기 카드 용지를 안내하도록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40002073A 1993-02-04 1994-02-04 프린터 KR10031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71393 1993-02-04
JP93-17713 1993-02-04
JP12014693 1993-05-21
JP93-120146 1993-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86A KR940019486A (ko) 1994-09-14
KR100311293B1 true KR100311293B1 (ko) 2001-12-15

Family

ID=2635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2073A KR100311293B1 (ko) 1993-02-04 1994-02-04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68079A (ko)
EP (1) EP0609845B1 (ko)
KR (1) KR100311293B1 (ko)
CN (1) CN1040188C (ko)
DE (1) DE69409985T2 (ko)
SG (1) SG85052A1 (ko)
TW (1) TW240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2233C1 (de) * 1995-11-13 1997-01-23 Siemens Nixdorf Inf Syst Ein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Formularen in einem Drucker
US5837991A (en) * 1996-03-08 1998-11-17 Card Technology Corporation Card transpor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US5813781A (en) * 1997-01-10 1998-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feed roller opener and method therefor
US6089773A (en) * 1997-12-12 2000-07-18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 media feed system for an ink jet printer
US9025335B2 (en) 2012-04-30 2015-05-0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moving a card reader
CN102642412B (zh) * 2012-05-17 2014-08-13 南京华桠融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卡片式凹凸字打码机的卡片夹持装置
DE112012006599T5 (de) * 2012-06-26 2015-04-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enführung
CN103085498B (zh) * 2012-11-16 2015-04-15 新会江裕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可翻出的打印机上导板组件
CN103395299B (zh) * 2013-07-11 2016-05-11 汤振华 一种打印介质纵向定位机构
CN104191837B (zh) * 2014-08-04 2017-10-03 新会江裕信息产业有限公司 票据打印机的接口导向架结构
WO2016082722A1 (zh) * 2014-11-25 2016-06-02 广州航新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驱动组件以及带该组件的打印机及飞机数据打印机
CN104369555B (zh) * 2014-11-25 2018-01-30 广州航新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机机座及带该机座的打印机以及飞机用数据打印机
CN109993905B (zh) * 2017-12-29 2024-04-1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自动售货机
CN112478843B (zh) * 2020-12-14 2021-06-22 南京涵铭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发票打印机用送纸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5089A (en) * 1969-05-29 1971-10-26 Singer General Precision Card transport
US4058056A (en) * 1976-06-21 1977-11-15 Sensor Technology, Inc. Microprocessor controlled card reader/printer
IT1162812B (it) * 1983-01-11 1987-04-01 Olivetti & Co Spa Stampante per punto di vendita
JPS59229371A (ja) * 1983-04-12 1984-12-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給紙装置
GB2165492B (en) * 1984-10-17 1988-11-09 Pa Consulting Services Improved cheque writing apparatus
US4795285A (en) * 1986-11-17 1989-01-03 Citizen Watch Co. Ltd. Toothed belt and split pin carriage drive
DK0431172T3 (da) * 1989-07-04 1996-09-02 Toppan Printing Co Ltd Apparatur til forberedelse af databærekort
JPH089250B2 (ja) * 1990-05-31 1996-01-31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ード作製装置
JPH05229199A (ja) * 1992-02-25 1993-09-07 Sony Corp カード印刷装置
JPH05229197A (ja) * 1992-02-25 1993-09-07 Sony Corp カード印刷装置
JPH05229200A (ja) * 1992-02-25 1993-09-07 Sony Corp カード印刷装置
JPH05229198A (ja) * 1992-02-25 1993-09-07 Sony Corp カード印刷装置
US5193458A (en) * 1992-06-23 1993-03-16 Keller James J Gripper bar conveyor for multiple color offset rotary printing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338A (zh) 1995-03-01
DE69409985T2 (de) 1998-11-12
KR940019486A (ko) 1994-09-14
DE69409985D1 (de) 1998-06-10
TW240196B (ko) 1995-02-11
EP0609845B1 (en) 1998-05-06
US5468079A (en) 1995-11-21
SG85052A1 (en) 2001-12-19
EP0609845A3 (en) 1995-03-29
EP0609845A2 (en) 1994-08-10
CN1040188C (zh)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293B1 (ko) 프린터
US6530704B2 (en) Platen mechanism, a printing device with the platen mechanis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device
US6668716B2 (en) Printing apparatus
KR101018918B1 (ko) 열전사 프린터
US772202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heets inserted vertically, in particular an automatic validating machine for documents, such as cheques
JPH0299360A (ja) 記録装置
US7494120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6259808B1 (en) Thermal transfer MICR printer
US4684276A (en) Individual sheet feeder device for printer
JP3293290B2 (ja) プリンタ
JP2002234220A (ja) プリンタ
US4367964A (en) Serial impact calculator printer with dual feed and validation mechanism
JP4088747B2 (ja) クラッチ機構、該機構を備えた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JPH08267844A (ja) カード送り機構付きプリンタ
JPS6325166Y2 (ko)
JPS60165275A (ja) プリンタ
JPS642205Y2 (ko)
JPS5831784A (ja) 印字装置の駆動方法
JP2000067311A (ja) カード発行装置
JP2552718B2 (ja) プリンタのプリント用紙搬送装置
JPS6160791B2 (ko)
JPS5953878B2 (ja) 印字機
JPH03230987A (ja) 画像記録装置
JPH0586919B2 (ko)
JPS61319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