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853B1 -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853B1
KR100310853B1 KR1019990021111A KR19990021111A KR100310853B1 KR 100310853 B1 KR100310853 B1 KR 100310853B1 KR 1019990021111 A KR1019990021111 A KR 1019990021111A KR 19990021111 A KR19990021111 A KR 19990021111A KR 100310853 B1 KR100310853 B1 KR 10031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bipolar
word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699A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8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38Special circuits to enhance selectivity of receiv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호 절단 확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신 복조 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 신호의 연판정을 수행하며, 상기 연판정에 따른 출력을 미리 정해진 범위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워드 동기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와 그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ADVANCED DIGITAL FREQUENCY MODULATION RECEI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호 절단 확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디지털 FM 수신기는 내부에 광대역 데이터(Wide Band Data; 이하 WBD라 칭함) 수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비된 광대역 데이터 수신부의 수신 신호 처리 동작을 통해 적절한 상태로서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연결 및 절단이 행해지게 된다. 통상의 상기 WBD 수신부 내부 구성은 첨부된 도 1의 내부 구성을 가지며, 이의 동작을 하기에 간략히 살펴본다. 한편 디지털 FM 수신기는 통상 디지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 적용되는 수신기이다. 그 외에도 CDMA/AMPS, TDMA/AMPS 의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기에서도 통상 적용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복조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 FM 수신기의 기저대역아날로그 처리부(Base Band Analog processor;BBA)에서 처리된I, Q 신호를 A/D변환기를 통하여 입력받아 이의 복조를 행한다. 이때의 복조 과정은 FM복조 과정이 된다. 상기 복조부(110)에서 복조된 신호는 수신 음성처리단(Rx Audio)으로 전달되어 음성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되며, 동시에 WBD 타이밍 복원부(120)로 전달된다. 상기 WBD 타이밍 복원부(120)에서 타이밍이 복원된 신호는 워드동기 검출부(140)로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는 상기 워드동기 검출부(140)를 통해 경판정에 따른 0과 1의 값 판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워드동기 검출부(140)의 판별 결과에 따른 워드 동기 플래그의 세팅 상태로서 순방향음성채널(Forward Voice Channel;FVC) 및 순방향제어채널(Forward Control Channel;FOCC) 메시지 복호 및 흐름(Flow) 제어부(150)의 제어로서 호의 연결 여부에 따른 신호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워드동기 검출부(140)의 판별 결과에 따른 FVC 및 FOCC 메시지 복호 및 흐름 제어부(150)의 처리 결과와, 수신 양극 플래그의 세팅 결과로서 신호 수신의 정확도를 좀더 높이기 위하여 다수결선택부(160)를 통한 신호의 처리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BCH 복호부(170)를 거쳐 수신 신호의 블록 복호가 이루어지고, 블록 복호된 신호는 메시지 필터 및 수신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필요한 메시지의 필터링과 구비되는 중앙처리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디지털 FM수신기의 신호 처리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워드동기검출부(140)의 동작에 워드 동기 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판별된 값은 소정 버퍼에 저장된 후 미리 정해진 워드 동기값과 비교 되어 진다. 이 과정에서 각각의 비트는 아주 정확하게 같아야 워드 동기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의 세팅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FM수신기에서는 워드 동기 검출부(140)에 있어서 정확한 비트동기를 필요로 하게 되어 수신감도가 열악한 지역에서 어느 정도 호가 연결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 연결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결과가 발생된다. 물론 수신감도가 좋은 지역에서는 호 연결이 잘 되고 비트 동기의 정확한 획득이 가능하므로 그러한 결과가 발생될 여지가 없게된다.
그러한 상태는 첨부된 도 2에 있어서 도시된 종래 방식의 워드 동기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참조함으로서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WBD 타이밍 복원을 끝낸 신호는 1,0 판별부(142)에서 판별된 후 준비된 워드동기 값의 비교를 위해 버퍼(144)에 저장되고, 저장된 값은 이후 준비된 워드동기 값과 경판정 비교부(146)에서 그리고 상기 준비된 워드동기 값의 반전된 워드 동기 값과 경판정 비교부(148)를 통해 비교된다. 그리고 비교 결과는 플래그 세팅부(149)로 인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플래그 세팅부(149)는 상기한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의 세팅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경판정 비교부(146, 148)을 통해 판별된 신호는 워드동기 값 - 실 예로서 11100010010 이 동기 되었다는 플래그(워 동기 플래그)와 데이터 비트의 극성이 반대로 수신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반전 워드동기 값 -실 예로서 00011101101 - 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의 극성을 바꾸기 위한 플래그인 상기 수신 극성 플래그 값의 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워드 동기를 이루는, 즉, 경판정 비교 결과에 따라 워드동기의 획득 여부를 결정하는 종래의 디지털 FM 수신기는, 사용자가일정 정도 음질이 좋지 않은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호를 절단하지 않고 통화를 유지하고 하고 싶을 경우에 이를 만족하도록 하지 못하는 제한을 낳았다. 즉, 사용자의 선택 여지없이 종래의 방식으로는 호의 절단이 일정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를 낳았다. 이는 다시 말해,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워드동기의 일부 비트가 순간적으로 문제가 있어 정확한 동기의 획득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연판정하여 그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호의 절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까지는 그러한 방법의 실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호 절단 확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신호의 수신 감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감도가 열악한 지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연결 확률을 높임으로써, 수신자의 요구에 따라 통화음질의 열악을 감수하고 호연결을 지속하도록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DFM으로의 핸드오버에 따른 호 절단 확률을 감소시켜 보다 쾌적한 통화 환경을 이루도록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FM 수신기에서, WBD 타이밍복원부에서 전달된 타이밍 복원 신호를 1 또는 0인 데이터로 판별하는 판별기를 구비하여, 상기 판별기의 판별 동작을 통해 상기 복원된 신호가 후에 사용할 데이터 경로로 전송하도록 하고, 전송된 데이터가 임의의 임계값과 비교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의 비교결과로서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가 세팅되도록 하는 워드동기검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FM 광대역 데이터 수신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 워드 동기 검출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워드 동기 검출부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 상관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임계값 검출 및 플래그 세팅부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의 사용자 제어 값 및 임계치 값 설정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결과로서의 DFM기지국과 CDMA기지국 간의 핸드오버 경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실시에 따른 결과로서 나타나는 이용 요금 및 통화음질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관기의 출력과 그에 따른 임계치 값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FM 수신기의 워드동기검출부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며, 이는 상기 도 2에 있어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FM 수신기의 워드동기검출부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워드동기검출부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WBD 타이밍 복원부(120)에서 전달된 타이밍이 복원된 신호는 이후 1 또는 0 인 데이터로의 판별을 이루는 판별부(242)를 통하여 후에 사용할 데이터 경로로 보내진다. 한편 상기 타이밍이 복원된 신호는 상기 1,0 판별부(242)로의 입력 외에 상관기(244)로 인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상기 상관기(244)는 첨부된 도면 도 4에 그 내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관기(244)의 구비는 경판정에 따른 플래그의 세팅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연판정에 따른 플래그의 세팅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 된다. 상기 도 도 4에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상관기(244)로 입력된 상관 처리되어 첨부 도면 9에 도시된 형태로서의 신호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상관기(244)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보내진 임계치 값( +Th_Val, -Th_Val)과 비교되어 진다. 이때 나오는 비교 결과는 임계값 체크 및 플래그 셋팅부(248)로 인가되고, 인가된 결과로서 상기 임계값 체크 및 플래그 셋팅부(248)는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의 세팅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1,0판별부(242)를 통한 판별 결과는 버퍼(246)에 임시 저장된 후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인터페이싱 값을 제조업체에서 복호부(248-1)를 통해 디코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개념에 따른 도면이고, 상기 디코딩은 상기 도 9의 a, b영역을 참조하여 임계치 실험값과 매핑하여 사용된다.
이를, 상기 도 3에 따른 워드동기 검출부의 동작 상태에 있어 양극성매핑부(Bipolar Mapping Block)(244-2)의 임계치 값은 양(+)의 값과 반전(Invert)된 워드동기를 획득하기 위하여 음(-) 값으로 매핑하는 블록으로서 이는 첨부된 도면 도 5의 참조로서 알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그 실 예를 들자면, 이 블록의 입력이 +15가 왔다면 출력은 +15와 -15가 될 것이다. 이 값을 상기한 상관기 출력과 비교기(244-1)를 통해 비교를 하면 도 5에 있어 도시된 판정부(244-3)의 a, b, c 단자 값으로 나오게 된다. 상기 a, b, c 단자 값의 경우,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 a : 상관기 출력 ≥ + Th_Val
- b : 상관기 출력 ≤ - Th_Val
- c : +Th_Val > 상관기 출력 > -Th_Val
상기한 a, b, c 단자를 입력으로 판정부(244-3)는 다음과 같은 함수 기능으로 워드 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게 된다.
- a가 인에이블(Enable) : 워드동기 플래그 = 인에이블(enable)
수신 양극 플래그 = 인에이블(enable)
- b가 인에이블(Enable) : 워드 동기 플래그 = 인에이블(Enable)
수신 양극 플래그 = 디스에이블(disable)
- c가 인에이블(Enable) : 워드 동기 플래그 = 디스에이블(disable)
즉 a가 인에이블 되면 도 9에서의 a부분이 선택되는 것이며, b와 c의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방법으로 해당 부분이 선택될 것이다. 이때 a부분이 선택되면 정상적인 워드동기가 검출된 것으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호 연결 처리를 이루고, b부분이 선택되면 이는 데이터가 반전되어 검출되는 것이므로, 도 1에 있어서 도시된 다수결 선택부(160)의 처리에 따라 최종 검출된 데이터를 반전 시켜줌으로서 호 연결 처리를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이룸에 있어 해당되는 DFM과 CDMA 방식의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황에 있어서의 핸드오버 지점을 그래프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참조로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DFM에서 CDMA로의 핸드오버 지점은 사용자의 선택 여부없이 무조건 a 지점이 될 것이다. 이는 앞서 종래 기술에 설명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CDMA로의 접속 가능 지점은 b 지점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DFM에서 CDMA로의 핸드오버 지점은 c 지점이 된다. 즉, 연판정에 따른 워드동기의 검출을 이루게 되므로, c 지점가지도 DFM으로의 호연결이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는 상기 핸드오버 지점을 사용자의 인터페이싱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실시로서 c지점을 핸드오버 지점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경우는, 일정 정도 통화 품질의 악화를 감수하고서라도 호의 연결을 지속하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가 될 것이다.
첨부 도면 도 8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임계치값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트래드 오프(trade Off)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프이다. a와 같은 경우는 임계치 값을 높임에 따라 정확한 워드동기만 감지하게 되므로 통화 음질이 깨끗한 경우만 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결과적으로 통화 요금의 절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b와 같은 경우는 임계치 값의 낮힘에 따라 일정 정도 조건에 만족하는 워드동기를 감지하게 되므로, 통화음질이 떨어져도 호 연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호 절단 확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신호의 수신 감도를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현에 있어 그 효과가 더욱더 드러난다.
특히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을 이루고, 각 모드에 따라 과금방식의 차이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보다 더 저렴한 모드로의 호 연결 지속 확률을 높일 수 있어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통화요금의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일정 정도의 통화 음질 악화를 감안하고 DFM모드로의 호 연결을 지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유용하게 적용된다.

Claims (23)

  1.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복조 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 신호의 연판정을 수행하며, 상기 연판정에 따른 출력을 미리 정해진 범위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워드 동기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은,
    상기 타이밍 복원 신호의 상관 출력에 따라 구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된 값을 디코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4.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수신 복조 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연판정 하여 출력하는 연판정 과정과,
    상기 연판정 과정을 통한 연판정 출력을 미리 정해진 범위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을 통한 비교 결과로서,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플래그 세팅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판정 과정은,
    수신 복조 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상관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워드 동기 검출에 따른 사용자 및 제조자의 요구 상태에 따라 적절한 범위내의 값으로 정해지며, 정해진 값은 상기 상관 출력과 비교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세팅 과정은,
    상기 연판정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상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인에이블 세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판정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하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는 인에이블, 수신 양극 플래그는 디스에이블 세팅하는 과정과,
    상기 연판정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디스에이블 세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
  8.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 복조 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경판정하는 판별기와,
    상기 타이밍 복원된 신호의 상관 출력을 내는 상관기와,
    상기 판별기의 경판정 동작을 통해 상기 타이밍 복원된 신호가 후에 사용할 데이터 경로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과 비교되도록 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의 비교결과로서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플래그 셋팅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기는,
    상기 타이밍 복원된 신호의 연판정에 따른 상관 출력을 냄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동기 검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소정 양(+)값과 반전된 워드동기 획득에 따른 소정 음(-) 값으로 지정되어,
    상기 지정 범위내의 상기 상관 출력의 포함 여부를 비교 판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동기 검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플래그 셋팅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상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인에이블 세팅하고,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하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는 인에이블, 수신 양극 플래그는 디스에이블 세팅하고,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디스에이블 세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는,
    상기 복원된 신호를 1 또는 0인 데이터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3. 제8항에 았어서,
    상기 판별기, 상기 상관기, 상기 플래그 셋팅부는 워드동기 검출부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기를 통해 판정된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는 소정 버퍼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15.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수신 복조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경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경판정을 통해 상기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후에 사용할 데이터 경로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타이밍 복원된 신호의 상관 출력을 내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 따른 상관 출력을 미리 정해진 임의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수신 복조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를 1 또는 0으로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상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인에이블 세팅하는 과정과,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이하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는 인에이블, 수신 양극 플래그는 디스에이블 세팅하는 과정과,
    상기 상관 출력이 임의의 임계값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디스에이블 세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18.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임계치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수신 복조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의 상관 출력을 내는 상관기와,
    상기 복호된 임계치와 상기 상관기의 상관 출력을 비교 판정하는 비교판정부와,
    상기 비교판정부의 비교 판정 결과에 따라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플래그 세팅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주파수 변조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된 임계치를 양극 매핑하여, 매핑 결과와 상기 상관기의 상관 출력이 비교되도록 하는 양극매핑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주파수 변조 수신기.
  20.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의 워드 동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임계치를 복호하여 설정하는 제1과정과,
    수신 복조되어 광대역 타이밍 복원된 신호의 상관 출력을 내는 제2과정과,
    상기 설정된 임계치와 상기 상관 출력을 비교하는 제3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세팅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설정된 임계치를 양극 매핑하고, 매핑된 결과로서 상기 상관 출력을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워드동기 플래그와 수신 양극 플래그를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상태로 조합하여 세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상기 상관 출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인에이블 세팅하고,
    상기 상관 출력이 상기 임계치 이하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는 인에이블, 수신 양극 플래그는 디스에이블 세팅하고,
    상기 상관 출력이 상기 임계치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비교된 경우, 워드동기 플래그 및 수신 양극 플래그를 디스에이블 세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워드 동기 검출 방법.
KR1019990021111A 1999-06-08 1999-06-08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31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11A KR100310853B1 (ko) 1999-06-08 1999-06-08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11A KR100310853B1 (ko) 1999-06-08 1999-06-08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99A KR20010001699A (ko) 2001-01-05
KR100310853B1 true KR100310853B1 (ko) 2001-10-17

Family

ID=195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111A KR100310853B1 (ko) 1999-06-08 1999-06-08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8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688A (ja) * 1992-05-21 1993-12-10 Sanyo Electric Co Ltd 同期装置
JPH08242201A (ja) * 1995-03-03 1996-09-17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通信装置
KR970072768A (ko) * 1996-04-26 1997-11-07 가네꼬 히사시 불일치 카운트와 비교하기 위한 가변 기준치를 사용하는 동기 검출 회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7688A (ja) * 1992-05-21 1993-12-10 Sanyo Electric Co Ltd 同期装置
JPH08242201A (ja) * 1995-03-03 1996-09-17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通信装置
KR970072768A (ko) * 1996-04-26 1997-11-07 가네꼬 히사시 불일치 카운트와 비교하기 위한 가변 기준치를 사용하는 동기 검출 회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99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1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telephone in an extended stand-by mode of operation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US630806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2512045B1 (en) Dynamic alternative frequency channel switching in wireless terminal
US57152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ference in a receiver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1244879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7065136B1 (en) Receiver having equalizing demodulator and a non-equalizing demodul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54467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soft symbols into soft bits
KR100310853B1 (ko)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털 주파수 변조 수신기 및 그 방법
US20060142009A1 (en) Prevention of unnecessary hand-over caused by fading
GB2290198A (en) Monitoring link quality in a TDMA radio communication system during silent periods
US5708682A (en) Demodulator control system and a receiver capable of quickly acquiring a desired carrier wave
JP29833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通信装置
US7110471B2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which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tart point of the standby period timer
CN111884754A (zh) 小区搜索方法、芯片和可读存储介质
US20040053596A1 (en) Radio receiver
US20010021232A1 (en) DC-offset eliminating method and receiving circuit
JP3274781B2 (ja) 時間ダイバーシチ受信機
US6064867A (en) Receiv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requency controlling
JPS6351737A (ja) ダイバ−シテイ受信装置
JP3302160B2 (ja) ディジタル移動無線通信装置
KR970007359B1 (ko) 하드 복호기와 소프트 복호기를 이용한 에러 정정회로
US6977969B2 (en) Digital FM receiver for recovering FM digital data fr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12166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soft symbols into soft bits
JPH083250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到達時間補正方法
JP20061973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