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938B1 - 진공펌프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938B1
KR100307938B1 KR1019950703147A KR19950703147A KR100307938B1 KR 100307938 B1 KR100307938 B1 KR 100307938B1 KR 1019950703147 A KR1019950703147 A KR 1019950703147A KR 19950703147 A KR19950703147 A KR 19950703147A KR 100307938 B1 KR100307938 B1 KR 10030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evice
valve
pump
compressed air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413A (ko
Inventor
베르게만디에터
Original Assignee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푸츠마이스터-베르크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푸츠마이스터-베르크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Publication of KR96070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5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by using two or more rollers as squeezing elements, the rollers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4Charge or discharge systems therefor
    • B28C5/4244Discharging; Concrete conveyor means, chutes or spouts therefor
    • B28C5/4258Discharging; Concrete conveyor means, chutes or spouts therefor using pumps or transporting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54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jet pumps, e.g. combinations of two or more jet pumps of different type

Abstract

압축공기 제동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에 설치되며, 확실한 송출펌프로써 사용될 수 있는 압축 튜브펌프(12)의 펌프 하우징(11)을 펌핑하는 진공 펌프장치에 있어서, 진공 펌프장치(10)는, 이 장치의 흡입 측면에 압축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이 용기(recipient)로써 연결되며, 공기분사펌프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배출장치로써 설계되고, 이것의 공기제트는 자동차 제어시스템의 압축기(43)에 의해서 형성된 압축공기로부터 분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공 펌프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진공 펌프장치로서의 공기 제트 배출장치와 그리고 이 장치와 용기들 사이에 연결된 차단밸브를 가진 진공 펌프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제2도는 진공 펌프장치로서의 공기 제트 배출장치 및 이 장치 뒤에 연결된 차단밸브를 가진, 제1도에 상응하는 진공 펌프장치의 블럭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진공펌프장치 11 : 하우징
12 : 압축 튜브펌프 13 : 펌프튜브
14 : 중심축 16 : 로터
17,18 : 압축롤러 19,21 : 회전축
22 : 펌프입력 23 : 펌프출력
24 : 지지벽 27 : 압축영역
28 : 배출장치 29 : 하우징
31 : 공기제트 32 : 구동노즐
33 : 혼합노즐 34,36 : 개구부
37 : 챔버 38 : 흡입연결부
39 : 체크밸브 41 : 3-3웨이 밸브
42 : 챔버(용기) 43 : 압축기
44 : 공기출력 46,48 : 외부출입개구부
47 : 오버플로 밸브 49 : 소음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압축된 튜브펌프의 하우징을 펌핑하는 진공펌프에 관한 것으로, 이 튜브펌프는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는 윤활유 공급 펌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자동차에는 내장장치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압축공기 제동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압축기나, 또는 자동차에 내장되거나 또는 설치될수 있는 또 다른 장치들에 필요한 압축기가 갖추어 지며, 용기(recipient)로서 압축 튜브펌프의 하우징에 연결된 흡입구 쪽에 또한 진공펌프 장치가 갖추어 진다.
그러한 진공 펌프장치의 설치목적은, 상기 펌프튜브가 압축 튜브펌프의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펌핑하여, 하나의 하우징 벽이 펌프 로터의 압축 롤러에 의해 눌린 후에, 이 펌프 튜브의 원형 횡단면 형태의 재형성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최대 흡입 및 공급횡단면에 상응하는 튜브형태로 다시 최대한 빨리 복귀하도록 한다(DE 3607 836 A1).
용기로써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이 연결되는 펌프장치는, 보통 베인식 펌프(vane-type pump)와 같은 진공펌프장치에 있는 로타리 펌프로 설계되며, 이러한 펌프는 펌프로터를 가지고 있고, 이것의 구동을 위해서 독립적인 전기 또는 유압구동 모터나 결합 및 비결합식 변속기가 제공되며, 필요하다면 이 장치를 통해서 펌프로터를 자동차 모터의 보조 구동 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우징의 펌핑에 있어서 압축 튜브펌프의 효과적인 작동이 요구되므로 여러 기술적이 자료들이 고려되어야 하고, 또한 진공 펌프장치와 그 구동장치는 마모되어 수리를 필요로 하므로 자동차에 대한 투자비용과 또한 운전비용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로타리 펌프장치에 따라 작동하는 진공펌프들은 응결수에 영향을 받기 쉬우며, 이 응결수는 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이 물은 하우징 내에서 튜브를 교환하는 동안 압축튜브 펌프의 세척과정 동안 남아 있으며, 보통의 운전온도에서 증발하거나 진공펌프에서 응축될 수 있어서, 진공펌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발명의 목적]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된 형식의 진공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여 확실히 감소된 민감성과 이에 따르는 증가된 성능의 신뢰도 및 증가된 수명을 가지는 펌프장치가 상당히 간단한 기술적 방법과 낮은 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제트펌프(jet pump)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배출장치로서 설계된 진공 펌프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트펌프는 공기 제트펌프로 설계되는 것이 좋고, 이 배출장치의 구동가스제트(driving gas jet)는 압축기에 의해서 생성된 압축공기로부터 분출될 수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장치는 적어도 다음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배출장치는 진공 펌프장치로서 제공되며, 종래 기술에 의해 설계되고, 압축기의 압력 출력에 연결될 수 있는 구동노즐, 배출장치의 배출구를 형성하는 혼합노즐 그리고 구동 및 혼합노즐들의 출입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기능장치를 가지고 있다. 이 출입 개구부들은 압축공기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고 있고, 용기로서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이 이 개구부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하우징은 펌핑되게 된다. 배출장치는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한 작동요소로, 이 요소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 이것은 어떠한 운동부분들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어떤 형식의 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밸브에 있어서, 이것은 공기제트 배출장치의 흡입 연결부들과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 사이에 연결되며, 배출장치의 하우징 내에 그리고 용기 내에 존재하는 압력들에 반응하고, 그러한 밸브는 배출장치의 저압력(underpressure) 챔버에 있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압축 튜브펌프의 하우징 내에서의 압력을 통해서 열린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에 있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압력을 통해서 차단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저압력은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에 있는 압축 공기원이 없는 경우에 유지된다.
체크밸브(check valve)는 용기와 배출장치 사이의 압력차이에 반응하는 밸브로서 적당하며, 이 체크밸브는, 진공펌프장치의 단순 설계에 있어서, 플러터 밸브(flutter valve)로서 설계되고, 이 밸브는 단지 수 밀리바(millibar)의 매우 작은 압력차이 값에서 반응하여 작동위치들 사이에서 신뢰도 있게 전환될 수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진공펌프장치의 선호되는 설계에 있어서, 압축 공기원의 출력압력에 의해서 제어되는 오버플로 밸브(overflow valve)가 압축 공기원의 출력과 공기제트 배출장치의 압축 공기입력 사이에 제공될 경우, 이 오버플로 밸브는 압축 공기원의 출력 압력이 조절 가능하거나 미리 정해진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배출장치로 흐르는 압축공기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배출장치의 공기흐름 출력이 배출장치 출력과 주변대기 사이의 압력차이에 반응하는 밸브에 의해서 주변대기에 대해 차단될 수 있으면 보다 개선된 진공 펌프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 밸브는 주변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배출장치 출력에서의 압력에 의해서 열린 위치로 작동되도록 제어되며, 최소값 아래로 떨어질 때 차단위치로 이동하여, 적어도 제한된 시간동안 압축 공기원이 없거나 또는 압축 튜브펌프의 하우징에 있는 출력에서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에 최소진공을 유지시킨다.
또한, 이 압력 감지밸브는 출력 측에 있는 배출장치를 주변압력에 대해 차단시키며, 따라서 배출장치가 오버플로 밸브의 반응에 의해서 입력 측에서 차단될 때,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을 주변대기에 대해 차단하고, 단순한 플러터 밸브로써 설계될 수 있다.
배출장치의 압축공기입력 전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 1 관통흐름 위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3/3-웨이 밸브(3/3-way valve)를 이용하여, 배출장치의 구동 노즐 연결부가 차단위치를 통해 주변 대기와 차단되는 동안에, 압축 공기원으로부터 배출장치의 구동 노즐 연결부로의 압축 공기 흐름 경로는 릴리즈되며, 구동 노즐 연결부는 압축 공기원의 압축공기출력에 대해 또한 주변대기에 대해 제 2 관통흐름 위치 안으로 차단되고, 구동 노즐 연결부는 주위 대기와 연결되고 압축 공기원의 압축공기출력에 대해 차단되며, 필요하다면 배출장치를 통해서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을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진공펌프장치를 끈 상태에서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이 환기되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3/3-웨이 밸브가 제공되는 진공펌프장치의 또 다른 설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3/3-웨이 밸브는 압축튜브펌프의 하우징 전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제 1 관통 흐름위치로부터 전환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용기는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에 연결되고 차단위치를 통해서 주변대기에 대해 동시에 차단되며, 용기와 또한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는 환기위치인 제 2 관통 흐름위치 안으로 주변대기에 대해 차단되고, 용기는 주변대기에 상호작용할 수 있게 연결되지만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에 대해 차단되며, 이러한 설계에서 배출장치는 혼합노즐을 통해서 주변대기와 상호작용하는 연결상태에 있다.
그러한 3/3-웨이 밸브들은 직각 전환밸브들을 가지고 있는 단순한 수동조작 가능한 3-웨이 급수전(faucet)들로써 설계될 수 있다.
진공펌프장치의 조용한 작동은 배출장치 뒤에 연결되는 평범한 디자인의 소음기(sound absorber)에 의해서 단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더 세부적인 사항들과 특징들은 두개의 실시예와 도면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 나와있다.
제 1 도에 10번으로 표시된 진공펌프장치는 12번으로 표시된 압축튜브펌프로써 설계된 윤활제 공급펌프의 하우징(11)내에 저압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며, 그러한 저압력으로 압축영역의 반대쪽 측면들 상의 펌프튜브(13)의 이완이 강화될 것이고, 이 압축영역은 펌프가 작동하는 동안 그 길이에 걸쳐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펌프(12) 내로 운반되는 물질의 다음이동은 보다 더 쉬어진다.
원형의 디스크형 로터(16)는 드럼형 하우징(11) 내에 중심축(14)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며, 이 로터는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건설차량의 모터의 보조 구동 단부를 통해서 회전식으로 구동되고, 이 자동차에는 압축 튜브펌프와 함께 또 다른 장치들, 예를 들면 콘크리트 믹서나 또는 콘크리트용 분배암(arm)이 설치된다. 두개의 압축롤러들은 펌프(12)의 중심축(14)에 평행한 회전축(19,21) 둘레로 로터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회전축(19,21)은 180도의 각도로 중심축(14)으로부터 똑같은 거리에서 로터에 배치된다. 펌프입력(22)과 펌프출력(23) 사이에 뻗어 있으며, 180도의 주변 둘레로 로터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지지벽(24)은 펌프의 하우징(11)내에 배치된다. 이 지지벽(24)은 펌프 하우징(11)의 측벽들 사이에 고정되며, 실린더 표면의 반쪽 형태를 갖는다. 로터(16)가 도면과 같이 시계방향인 화살표(26) 방향으로 회전하는 펌프의 공급작용 동안에, 펌프튜브는 지지벽(24)과 두개의 압축롤러(17,18) 사이에서 압축되고, 이 롤러들은 지지벽 안쪽에 있는 튜브(13)와 번갈아 맞물리고, 압축영역(27)은 펌프입력(22)으로부터 지지벽(24)의 내부 주변영역에 걸쳐 펌프출력(23) 쪽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전달 물질은 펌프튜브(13)를 통해 이동한다.
진공 펌프장치에 의해서 압축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은 약 0.2 바(bar)의 절대 압력 값을 제외하고는 부분적으로 진공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공 펌프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28번으로 표시된 공기제트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배출장치는 입력측에 구동노즐(32), 출력측에 혼합노즐(33), 그리고 흡입연결부(38)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29)을 포함하며, 구동노즐(32)은 흐름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압축 공기제트(31)를 흐르게 한다. 하우징은 저압력 챔버(37)를 만들고, 각각 구동 노즐(32)과 혼합노즐(33)의 출입 개구부(34, 36)를 포함하며, 이 출입구들은 구동공기제트(31)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해 있고, 이 흡입연결부(38)에 압축 튜브펌프(12)의 챔버(42)는 입력 체크밸브(39)와 3/3-웨이 밸브(41)를 통해서 용기 로써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챔버는 압축 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에 의해 정의된다.
배출장치(28)와 펌프 챔버(42)의 배출작용동안 유도되며 배출장치(28)를 통해서 흡입연결부(38)에 연결되는 압축 공기흐름은, 압축기(43)에 의해 생성되며, 이 압축기는 자동차의 내장 장치로서 제공되고 또한 자동차의 압축공기 제동시스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압축기(43)는 자동차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면, 압축 튜브펌프(12)는 자동차 구동시스템의 보조 구동단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서 구동될 수 있으며, 이 보조 구동단부는 켜지고 꺼질 수 있다.
배출장치의 압축공기공급을 위해서 제공되는 압축기(43)의 압축공기출력(44)과 배출장치의 구동노즐(32)의 외부 출입 개구부(46)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출장치의 압축공기 입력사이에, 압력에 의해서 제어되는 오버플로 밸브(47)가 연결되며, 이 밸브는 압축기의 출력압력이 예를 들어 8바의 정의된 임계값보다 큰 동안에는 압축기(43)의 압축 공기출력(44)으로부터 배출장치(28)의 외부 출입 개구부(46)로의 압축공기흐름을 차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밸브는 압축기(43)의 출력압력이 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자마자 이 흐름경로를 차단한다. 구동노즐의 내부 출입 개구부(34)를 통해서 높은 속력을 가진 구동 공기제트(31)는, 구동 공기제트(31)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연속적으로 가늘어지는 흐름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배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장치(28)의 혼합노즐(33) 내로 편향시키며, 이 공기는 구동 공기제트(31)와 함께 배출장치(28)의 압축 공기출력으로 이동된다. 출력은 혼합노즐의 외부 출입 개구부(48)에 의해 형성되며, 이 개구부는 흐름방향으로 넓어져, 흐르는 공기제트의 속력이 혼합노즐의 설계의 결과로써 분명히 감소된다. 횡단면이 구동노즐(32)에 인접한 내부 출입 개구부(34)보다 더 넓은 내부 출입 개구부(36)와 외부 출입 개구부(48) 사이에서, 혼합노즐(33)은 흐름 횡단면을 갖으며, 이 횡단면은 초기에는 점점 가늘어지다가 다시 외부 출입 개구부(48)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넓어져, 외부 출입 개구부(48)의 영역에서는 압축기 쪽에 있는 구동노즐의 외부 출입 개구부(46)의 안쪽 횡단면보다 분명히 크므로, 배출장치(28)의 외부 출입 개구부(48)에서의 공기제트 출력은 확실히 가라앉게 되고, 또한 이 공기제트는 배출장치(28)뒤에 연결된 소음기(49)를 통해서 유도되어 작동소음을 감소시킨다.
제 1 도에 따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 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에 배치된 3/3-웨이 밸브(41)와 배출장치(28)의 흡입 연결부(38) 사이에 제공되는 체크밸브(39)는 플러터 밸브(flutter valve)로서 설계된다. 수납용기를 형성하는 압축펌프 하우징(11)의 챔버(42)와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37) 사이의 매우 낮은 압력차이들에서, 이 플러터 밸브로 설계된 체크밸브(39)는 열린 위치 내로 작동되거나, 또는 차단위치 내로 작동되며, 이 체크밸브(39)는 하우징의 챔버(42)에서보다 배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에서 약간 더 높은 압력에 의해서 차단 위치 내에 고정되며, 배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내에서보다 펌프 하우징(11)의 챔버(42)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압력에 의해서 열린 위치 내로 전환된다.
연결된 용기 내에서의 저압력은 체크밸브(39)에 의해서 유지되며, 구동공기 제트가 정지하고 따라서 배출장치의 저압력 챔버(37)에서의 압력이 증가할 때, 만약 동시에 3-웨이 탭이 도시된 배출위치에 있다면, 이 체크밸브는 차단위치 내로 이동한다.
3-웨이 탭은 도시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회전식 직각 전환밸브를 가지는 급수전(faucet)으로써 설계되었으며, 이 밸브는 3/3-웨이 밸브(41)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펌프 하우징(11)이 비워질 수 있는 도시된 제 1 관통 흐름위치로부터, 펌프 하우징(11)이 주변대기와 배출장치(28)에 대해 차단되는 차단위치를 통해서, 그리고 압축 튜브펌프(12)의 비울 수 있는 챔버(42)가 3/3-웨이 밸브(41)를 통해서 주변대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관통 흐름위치 내로 전환될 수 있다.
압축 튜브펌프의 펌프 튜브(13)와 로터(16)를 수용하는 하우징 챔버(42)의 배출에 적당한 진공 펌프장치(10')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는, 이제 제 2 도와 관련지어 설명될 것이며, 압축기(43), 오버플로밸브(47), 3/3-웨이 밸브(41), 배출장치(28), 체크밸브(39) 그리고 소음기를 포함하는 작동요소들을 가지며, 이 작동 요소들은 제 1 도에 따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대응하는 요소들과 동일하다.
제 1 도에 따른 실시예와는 달리, 배출장치(28)의 흡입연결부(38)는 제 2 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압축튜브펌프(12)의 하우징(11) 배출 챔버(4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3-웨이 탭은 오버플로 밸브(47)와 배출장치(28) 사이에 연결되고, 여기서는 배출장치(28)의 출력 체크밸브(39)로써 사용되는 플러터 밸브는 배출장치(28)와 소음기(49)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모두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예를 들어 압축기(43)의 출력압력이 압력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고, 이 값에서 오버플로 밸브(47)가 열리고 용기(42)를 주변대기에 대해 차단하여 똑같이 존재하는 저압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오버플로 밸브(47)가 차단위치에 이르면 체크밸브(39)는 또한 대기압이 한쪽만 작용함으로써 차단위치에 이르게 된다. 용기(42)는, 제 2 도에 따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3/3-웨이 밸브(41)와 배출장치(28)의 구동노즐(32)을 통해서 환기되고, 이 배출장치는 방출밸브인 체크밸브(39)가 닫히면 3-웨이 탭에 의해 주변대기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43)의 출력압력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진공 펌프장치(10, 10')의 전형적인 설계에 있어서 6~8바 사이에 있으며, 배출장치(28)의 구동제트로써 사용되는 압축 공기제트는 200L/min 의 보통 상태(1바의 압력과 약 20도의 공기온도)를 갖는다.
용기(42)를 통한 배출작용이 시작될 때, 진공 펌프장치(10, 10')의 이러한 설계에 의한 빠져나올 수 있는 공기의 양은 대략 150L/min 이며, 펌프장치(10, 10')가 정상작동상태(stationary operating state)일 동안 용기(42)에는 저압력이 만들어지며, 이 저압력은 약 0.2~0.3 바의 절대값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확실한 송출이나 공급 펌프로 사용될 수 있는 압축 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을 비우는 진공펌프장치에 있어서, 이는 압축공기 제동시스템과 함께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제트 배출장치(28)는, 압축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이 용기로써 연결되는 흡입 측면에, 증기분사펌프의 원리에 따라서 작동하는 배출장치로써 설계되고, 이 펌프의 구동 공기제트는 자동차 제동시스템의 압축기(43)에 의해서 발생된 압축공기로부터 분사될 수 있다.

Claims (10)

  1. 벌크제, 특히 콘크리트 운반펌프로 사용되는 압축 튜브펌프 하우징에 진공을 만들기 위해서 진공펌프를 사용하며, 도로차량에는 예컨대 차량의 공압 제동장치 작동용 및 차량에 탑재 또는 설치된 기타 장비 작동용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 그리고 공기제트 배출장치가 설치되고, 이 공기제트 배출장치에는 환기를 위한 3/3-웨이 밸브(41)가 있으며, 배출장치 흡입측에 용기로서 역할을 하는 호스압착 펌프하우징이 연결되는 진공펌프에 있어서, 공기제트 배출장치(28)는 가스분사 펌프원리로 작동되는 배출기(ejector)로 구성되며, 압축기(43)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배출기 분사기체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압축기(43)인 압축 공기원의 출구에서의 공기출력(44)과 공기제트 배출장치(28)의 외부출입 개구부(46)인 압축공기입구사이에 압축기(43)의 출구압력에 의해 조절되는 오버플로밸브(47)가 설치되고, 이 밸브는 압축 공기원의 출구압력의 최소 값에서부터 흐름 횡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열린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만약 압축기(43)의 출구압력이 설정치 이하 또는 규정된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면 폐쇄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공기제트 배출장치(28)의 흡입연결부(38)와 압축 튜브펌프(12)의 하우징(11)사이에 용기의 저압에 반응하는 체크밸브(39)가 연결되며, 이 밸브는 방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보다 펌프 하우징(11)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개방상태로 조절되며, 방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폐쇄위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과 챔버(42)의 저압력에 반응하는 상기 밸브(39)가 플러터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 튜브펌프(12)의 하우징(11) 직전에 환기 밸브 역할을 하는 3/3-웨이 밸브(41)가 설치되며, 이 밸브는 챔버(42)가 방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와 연결됨과 동시에 주변 대기와는 차단되는 제 1흐름상태로부터, 챔버(42) 및 방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가 주변과 차단되는 폐쇄상태를 거쳐, 챔버(42)가 주변과 연결되는 제 2흐름상태(환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3/3-웨이 밸브(41)는 L-플러그가 있는 특히 수작동 3-웨이 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방출장치(28) 뒤에 소음기(4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
  6. 벌크제, 특히 콘크리트운반펌프로 사용되는 압축 튜브펌프의 하우징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진공펌프를 사용하며, 도로차량에는 예컨대 차량의 공압 제동장치 작동용 및 차량에 탑재 또는 설치되는 기타 장비 작동용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 그리고 공기제트 배출장치가 설치되고, 이 공기제트 배출장치에는 환기를 위한 3/3-웨이 밸브(41)가 있으며, 이 배출장치의 흡입측에 용기로서 역할을 하는 압축 튜브펌프 하우징이 연결되는 진공펌프에 있어서, 공기제트 배출장치(28)는 가스분사펌프원리로 작동되는 배출기(ejector)로 구성되며, 압축기(43)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배출된 분사기체류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압축기(43)인 압축 공기원의 출구에서의 공기출력(44)과 공기 제트 배출장치(28)의 외부출입 개구부(46)인 압축공기입구사이에 압축기(43)의 출구압력에 의해 조절되는 오버플로밸브(47)가 설치되고, 이 밸브는 압축 공기원의 출구압력의 최소 값에서부터 흐름횡단면적이 최대가 되는 열린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으며, 만약 압축기(43)의 출구압력이 설정치 이하 또는 규정된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면 폐쇄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공기제트 방출장치(28)의 외부 출입 개구부(48)인 공기출구는 상기 개구부(48)와 주변의 압력차이에 반응하는 밸브에 의해 주변으로부터 차단되며, 이 밸브는 주변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방출장치(28) 출구의 압력에 의해 개방상태에 도달하며, 방출장치(28)의 상기 개구부(48)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변압력에 의해 폐쇄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도 2)
  7. 제6항에 있어서, 주변 압력과 방출장치(28)의 저압력 챔버(37) 압력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반응하는 체크밸브(39)가 플러터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
  8. 제6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환기밸브로써 방출장치(28)의 외부출입 개구부(46)인 압축공기 입구 직전에 3/3-웨이 밸브(41)가 설치되며, 이 밸브는 압축기(43)로부터 방출장치(28) 구동노즐(32)까지의 압축공기 흐름통로로 열리고, 방출장치(28)의 구동노즐 파이프유니온이 주변과 차단되는 제 1흐름상태로부터, 구동노즐 파이프유니온이 압축기(43)의 압축 공기출력(44) 및 주변과 차단되는 폐쇄상태를 거쳐, 구동노즐 파이프유니온이 주변과 연결되고 압축기(43)의 압축 공기출력(44)에 대해 차단되는 제 2흐름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도 2)
  9. 제8항에 있어서, 3/3-웨이 밸브(41)가 L-플러그의, 특히 수작동 3-웨이 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방출장치(28) 뒤에 소음기(4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장치.
KR1019950703147A 1993-02-05 1993-12-17 진공펌프장치 KR10030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03319A DE4303319A1 (de) 1993-02-05 1993-02-05 Vakuum-Pumpeinrichtung
DEP4303319.9 1993-02-05
PCT/EP1993/003589 WO1994018453A1 (de) 1993-02-05 1993-12-17 Vakuum-pump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413A KR960700413A (ko) 1996-01-20
KR100307938B1 true KR100307938B1 (ko) 2001-11-30

Family

ID=647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147A KR100307938B1 (ko) 1993-02-05 1993-12-17 진공펌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82751B1 (ko)
JP (1) JPH08506398A (ko)
KR (1) KR100307938B1 (ko)
DE (2) DE4303319A1 (ko)
ES (1) ES2107803T3 (ko)
WO (1) WO1994018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67B1 (ko) 2000-09-01 2007-08-22 가쓰조 소무라 투명구 입체형 얼음의 제조법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5068U1 (de) 2002-03-30 2002-08-29 Festo Ag & Co Druckluft-Schalldämpfer
DE10357320A1 (de) * 2003-12-05 2005-06-30 Crane Process Flow Technologies Gmbh Schlauchpumpe mit Vorrichtung zur Vakuumerzeugung
TWI334918B (en) * 2004-02-17 2010-12-21 Panasonic Corp Combustible refrigerant-processing system and method
NL2000167C2 (nl) * 2006-07-28 2008-01-29 Bredel Hose Pumps B V Peristaltische pomp.
JP4821926B2 (ja) * 2010-11-29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JP2015132180A (ja) * 2014-01-10 2015-07-23 東亜工業株式会社 チューブポンプ
DE102017203877A1 (de) * 2017-03-09 2018-09-13 Polytec Plastics Germany Gmbh & Co. Kg Geschaltete Saugstrahlpum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9809A (en) * 1949-09-15 1952-04-09 Glaci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mps
US3421447A (en) * 1966-10-26 1969-01-14 Challenge Cook Bros Inc Fluid pump
FR2239362A1 (en) * 1973-08-03 1975-02-28 Eta Sa Vehicle driven by I.C. engine - exhaust pipe is connected to tank to inspire fluid using exhaust vacuum
DE3431188A1 (de) * 1984-08-24 1986-03-06 Linnhoff & Thesenfitz Maschinen- und Anlagenbau GmbH, 8754 Großostheim Rotationsschlauchpumpe
DE3607836A1 (de) * 1986-03-10 1987-09-17 Wibau Ag Transport-, misch und foerderkombination zur herstellung und aufrechterhaltung der mischqualitaet breiiger massen, insbesondere zementbeton
DE3703124A1 (de) * 1987-02-03 1988-08-11 Manfred Streicher Schlauchpumpe
US5007803A (en) * 1989-09-28 1991-04-16 Global Pumps, Inc. Air operated vacuum pu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67B1 (ko) 2000-09-01 2007-08-22 가쓰조 소무라 투명구 입체형 얼음의 제조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413A (ko) 1996-01-20
WO1994018453A1 (de) 1994-08-18
EP0682751A1 (de) 1995-11-22
DE4303319A1 (de) 1994-08-11
JPH08506398A (ja) 1996-07-09
ES2107803T3 (es) 1997-12-01
EP0682751B1 (de) 1997-08-06
DE59307092D1 (de) 199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938B1 (ko) 진공펌프장치
JP4216801B2 (ja) サブプレッシャー生成用の真空ポンプ及び方法
EP1055832B1 (en) Bearing device
JP4388478B2 (ja) 調量ポンプアセンブリ
FI77082C (fi) Vakuumavloppsanordning.
CN100564841C (zh) 带有次级推进空气出口通路的压缩机
KR20120112736A (ko) 펌프
US5263826A (en) Device for refueling a gaseous fuel tank
CN110195670B (zh) 特别是用于供应高压气体设有通气口的节流阀体或致动器
US4337830A (en) Pump assembly
US5605445A (en) Liquid ring machine having a relief passage for excess liquid
US4525129A (en) Oil-sealed vacuum pump
US7311491B2 (en) Molecular drag, turbomolecular, or hybrid pump with an integrated valve
EP1085214A3 (en) Vacuum pumps
JPH0331917B2 (ko)
US20080080982A1 (en) Evacuation apparatus
CN110678641B (zh) 用于内燃机的调节设备
JPH0457878B2 (ko)
GB2041450A (en) Rotary positive-displacement fluid-machines
US20030150516A1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irculation lubrication system
WO2022014513A1 (ja) 可変容量型ターボチャージャの軸受防錆装置
EP3837460B1 (en) Air valve with external liquid level sensor
EP1059392A3 (en) Portable device for unblocking pipes, typically the waste pipes of sinks and the like
KR200151551Y1 (ko) 연료탱크의 연료누출 검출을 위한 리크 검출 펌프
KR20170088158A (ko) 소음방지구조 링 블로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