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766B1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766B1
KR100306766B1 KR1019980038027A KR19980038027A KR100306766B1 KR 100306766 B1 KR100306766 B1 KR 100306766B1 KR 1019980038027 A KR1019980038027 A KR 1019980038027A KR 19980038027 A KR19980038027 A KR 19980038027A KR 100306766 B1 KR100306766 B1 KR 10030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roller
applied voltage
developer supply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757A (ko
Inventor
도기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76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37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electrical parameter, e.g.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 로울러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형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는 현상기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현상 로울러에 인가 전압을 공급할 시에 적응성을 부여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현상제 공급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켜 양질의 인쇄 화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o supply voltages to a developer of the electrophotography syste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현상 로울러에 인가 전압을 공급할 시에 적응성을 부여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현상제 공급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켜 양질의 인쇄 화질을 확보하도록 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사기, 레이져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고 있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원고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감광체에 노광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며 이 가시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한 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 되어 있다.
오늘날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대안이 되고 있으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속이고 인쇄 상태가 미려하며 보존성이 뛰어난 등의 월등한 인쇄 성능에 힘입어 날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 사진 현상 기기와 관련해서는 다수의 선출원예들이 공지되어 있는 데, 대표적인 최근의 선출원예들로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89768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740504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92262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734390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79242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65510 호,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625437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95846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007690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2765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51298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8846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43873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26496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10419 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5426496 호 등과 같은 예들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OPC; Organic PhotoConductive Drum, 9)과 노광 장치(LSU; Laser Scanning Unit, 11)와 더불어 픽업 로울러(pickup roller, 1), 공급 로울러(feed roller, 4), 아이들 로울러(idle roller, 5), 현상 로울러(developing roller, 7), 전사 로울러(transfer roller, 8), 대전 로울러(10), 히팅 로울러(heating roller, 12), 정착 로울러(13)와 같은 각종 로울러들이 상호 작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대전(S10), 노광(S20), 현상(S30), 전사(S50), 정착(S60), 제전(S70)과 같은 화상 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쇄 용지(2) 위에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시킨다.
우선, 인쇄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픽업 로울러(1)는 급지 카세트(3)의 최상층 인쇄 용지(2)에 접촉하여 한 장을 픽업한 후에 이를 공급 로울러(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더불어 감광 드럼(9)에는 대전 로울러(10)와 노광 장치(11)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즉,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 전하층이 형성된부위에 호펴(hopper; 6)에 수납된 현상제(즉, 토너)가 현상 로울러(7)의 작용에 의해 입혀지면서 가시상을 형성한다.
이후, 픽업된 인쇄 용지(2)가 공급 로울러(4)를 경유하여 전사 로울러(8)와 감광 드럼(9)사이를 지나갈 때, 전사 로울러(8)에 고압의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9)에 형성된 가시상을 인쇄 용지(2)에 전사한 후, 히팅 로울러(12)와 정착 로울러(13)를 통해 물리적인 압력과 열로 인쇄 용지(2)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한다.
특히, 이러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현상부와 관련된 바,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호퍼(6) 내의 현상제(즉, 토너)가 현상제 공급 로울러(21)를 통해 현상 로울러(7)에 공급된다. 현상 로울러(7)로 이동된 현상제는 규제 블레이드(22)를 지나면서 현상 로울러(7)의 표면에 균일하게 현상제층을 규제하여 일정한 층을 형성시키게 되며 잠상이 현상된 감광 드럼(9)과 접촉할 때 가시상으로 현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역할은 현상되지 않고 남아서 돌아온 현상 로울러(7) 표면의 현상제를 제거(cleaning)시키고 새로운 현상제를 공급하는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급 전계가 음극성(-)인 경우에 현상제의 공급 특성에 기인하여 공급 로울러(21)에 비해 현상 로울러(7)의 전위가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현상된 현상제(즉, 음극성 현상제)를 기구적인 힘으로만 제거하기에는 어렵게 되어 있다. 예컨대, 현상 로울러(7)와 현상제 공급 로울러(21) 및 규제 블레이드(22)에 공급되는 인가전압은 각각 Vdeve=-300V, Vspply=-500V와 Vblade=-500V이다. 이와 같은 원인에 기인하여 현상 로울러(7)의 표면의 현상제가 모두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이 제거되지 않은 현상제가 현상 로울러(7)의 표면에 계속적으로 잔류하면서 현상 로울러(7)가 회전함에 따라 기구적인 스트레스(stress)를 받게되어 규제 블레이드(22)에 융착되기 쉽게 된다. 결과적으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어 현상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현상 로울러에 인가 전압을 공급할 시에 적응성을 부여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기능을 향상시켜 양질의 인쇄 화질을 확보하도록 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현상기에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제 1 대향면 및 제 2 대향면에 대해 각각의 전후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각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 변화를 시간축에 대해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현상 로울러 21 : 현상제 공급 로울러
30 :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 100 : 현상기 전압 인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는, 기설정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향하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입혀 현상함으로써 가시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현상 로울러; 및 상기 제 1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형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 로울러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고 상기 현상 로울러의 인가 전압을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는 현상기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설정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향하는 감광 드럼(9)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입혀 현상함으로써 가시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현상 로울러(7)와;
상기 제 1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7)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7)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와 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고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을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는 현상기 전압 인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원고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감광 드럼(9)에 노광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현상 로울러(7)가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면, 전사 로울러(8)가 이 가시상을 인쇄 용지(2)에 전사한 후, 정착 로울러(13)가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 되어 있다.
이때, 현상 로울러(7)와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상호 작용에 의한 현상제의 공급 및 제거와 관련된 시스템의 성능이 인쇄 화질이나 현상기의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의 공급성과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현상기 내의 현상 로울러(7), 현상제 공급 로울러(21), 규제 블레이드(22) 외에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plate)를 별도로 구비한다.
우선, 현상 로울러(7)는 기설정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향하는 감광 드럼(9)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입혀 현상함으로써 가시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현상제 공급 로울러(21)는 상기 제 1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7)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공급 로울러(21)에 비해 현상로울러(7)의 전위가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현상된 현상제를 기구적인 힘으로만 제거하기에는 어렵게 되어 있는 데, 이러한 원인에 기인하여 현상 로울러(7)의 표면의 현상제가 모두 제거되지 않을 경우, 이 제거되지 않은 현상제가 현상 로울러(7)의 표면에 계속적으로 잔류하면서 현상 로울러(7)가 회전함에 따라 기구적인 스트레스(stress)를 받게되어 규제 블레이드(22)에 융착되기 용이함에 따라 결국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어 현상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를 채택하여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고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을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도록 하여 도 6에 나타낸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각 위치의 표면 전위 상태가 도 6과 같이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킨다.
다시 말해서,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7)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와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도 5는 현상기에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제 1 대향면 및 제 2 대향면에 대해 각각의 전후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각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 변화를 시간축에 대해 나타낸 파형도이다.
현상기 전압 인가부(100)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고 상기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을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의 인가 전압 보다 크게 유지하여 공급한다.
예컨대, 전술한 인가 전압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일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로울러(7),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와 규제 블레이드(22) 및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22)에 공급되는 인가전압이 각각 Vdeve=-300V, Vspply=-500V와 Vblade=-700V 및 Vblade=-700V일 때,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탄성층은 저항을 갖고 정전 용량이 있는 고무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 t에 대해, 도 5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상기 제 2 대향면의 직전인 제 3 위치(ⓐ), 상기 제 2 대향면의 직후인 제 4 위치(ⓑ),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2 위치(ⓓ)를 가상적으로 설정할 경우에 현상제 공급 로울러(21) 자체의 저항값과 용량성 리액터스값의 조정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도 6과 같은 표면 전위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현상제 공급 로울러(21)가 회전함에 따라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에서는 T1의 시간이 소요되며 표면 전위가 -200V에서 -700V로 충전되는 충전 곡선을 형성하면서 전압 변화가 일어난다. 제 3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 -200V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인가 전압에 의한 것이며, 제 4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 -700V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의 인가 전압에 의한 완충 상태가 된 것으로,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의 구간의 전압 변화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30)에 의해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의 저항 및 용량성 리액턴스 특성에 따라 충전되는 과정인 것이다.
한편, 제 4 위치(ⓑ)에서 제 1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에서는 T2의 시간이 소요되며 표면 전위가 -700V에서 -500V로 방전되는 방전 곡선을 형성하면서 전압 변화가 일어난다. 제 1 위치(ⓒ)에서 방전 전압의 하한이 -500V인 것은 현상 로울러(7)의 인가 전압이 -500V인 것에 기인하다.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까지의 이동 구간에서는 T3의 시간이 소요되며 표면 전위가 -500V에서 -200V로 방전되는 방전 곡선을 형성하면서 전압 변화가 일어난다. 제 2 위치(ⓓ)에서 방전 전압의 하한이 -200V으로 점근해가는 것은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인가 전압이 -200V인 것에 기인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21)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7)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상기의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 로울러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형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는 현상기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 전압 제어 장치에 따르면,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현상 로울러에 인가 전압을 공급할 시에 적응성을 부여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현상제 공급 및 제거 기능을 향상시켜 양질의 인쇄 화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기 설정된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향하는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입혀 현상함으로써 가시상을 생성하도록 하는 현상 로울러와;
    상기 제 1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로울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대향면의 직전인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대향면의 직후인 제 2 위치에서는 미현상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공급 로울러; 및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현상 로울러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대향면의 직전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와 제 2 대향면을 형성하면서 위치하여 상기 공급 로울러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와,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 로울러의 인가 전압보다 크게 유지하고, 상기 현상 로울러의 인가 전압을 상기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의 인가전압 보다 크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전위를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현상제의 공급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표면 전위를 상기 현상 로울러의 표면 전위 보다 크게 유지하여 상기 미현상된 현상제의 제거성을 증대시키는 현상기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기기의 현상기 인가전압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로울러의 인가 전압은 -300V이고, 상기 현상제 공급 로울러의 인가 전압은 -500V이며, 상기 현상제 공급 플레이트의 인가 전압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인가전압 제어 장치.
KR1019980038027A 1998-09-15 1998-09-15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KR100306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27A KR100306766B1 (ko) 1998-09-15 1998-09-15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027A KR100306766B1 (ko) 1998-09-15 1998-09-15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57A KR20000019757A (ko) 2000-04-15
KR100306766B1 true KR100306766B1 (ko) 2002-03-21

Family

ID=1955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27A KR100306766B1 (ko) 1998-09-15 1998-09-15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7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757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222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uppressing movement of developer on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carrier when the voltages applied to the charging and developing devices are raised or lowered
US5365325A (en) Method of multi-color recording using electro-photography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wherein mixed colors generation is prevented
US622997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amount of use control feature and cartridge removably mounted on the apparatus
US5722022A (en) Device for regulating thickness of toner layer on developing roller
TWI363936B (en) An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and th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3197514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H10161426A (ja) 画像形成装置
US5805962A (en) Auxiliary charging device of electrophotography printing apparatus
KR100306766B1 (ko)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인가전압제어장치
US114356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og suppression feature
JP427749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196572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역전사 감소방법과 장치
KR100242117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2004219654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60375A (ja) 現像装置
JP42696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14995A (ja) 画像形成装置
JP5187175B2 (ja) 潤滑剤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65218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H10232544A (ja) 現像装置
JP420752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595655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formation of background image i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16016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JP3528069B2 (ja) 現像装置
KR19990002141U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현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