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762B1 -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762B1
KR100306762B1 KR1019980027445A KR19980027445A KR100306762B1 KR 100306762 B1 KR100306762 B1 KR 100306762B1 KR 1019980027445 A KR1019980027445 A KR 1019980027445A KR 19980027445 A KR19980027445 A KR 19980027445A KR 100306762 B1 KR100306762 B1 KR 10030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pixel valu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878A (ko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7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정지 화상 합성에 있어서,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화소 데이터를 화소단위로 가산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의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선명한 화면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음에 따라 화질이 우수한 천문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마다 정지 장면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인터벌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천문 관측을 위한 천문 촬영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인터벌 촬영된 각각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모을 때, 단순히 데이터를 가산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의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선명한 화면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간의 차가 기설정된 역치(threshold)보다 작으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와의 평균값을 취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합산하는 값을 산출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화질이 우수한 천문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astronomical pictures in a video camera)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또는 캠코더)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자기 기록 방식에 입각하여 기록한 테이프를 자기 헤드를 통해 판독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텔레비젼, 촬상 장치 등과 같은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녹화/녹음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 VTR)의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의 기능을 일체화한 장치를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어서, 보급형으로 제공되는 홈 비디오(home video) 방식의 비디오 카메라(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JVC(Japan Victor Company)의 VHS(Video Home System) 방식과 베타(β) 방식이 있으며, 이외에도 유럽에서는 필립스(Philips) 방식도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에서 만들어진 VHS(Video Home System) 방식과 베타(β) 방식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음에 따라 현재 홈 비디오(home video) 방식의 비디오 카메라(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이 두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데, 소니(Sony), 도시바, NEC, 산요, 제너럴(General) 등이 베타(β)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JVC, 마쓰시다, 히다찌, 미쯔비시, 샤프(Sharp), LG, 삼성, 대우 등이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에 기인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은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전, 후퇴하면서 피사체를 확대 및 축소하며 아울러 피사체의 상(Image)을 입력받는 포커스렌즈와 줌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100)과; 상기 렌즈군(100)에 포함되는 포커스렌즈를 지지하여 좌, 우회전시키는 포커스 모터(113)와; 상기 렌즈군(100)에 포함되는 줌렌즈를 지지하여 피사체의 배율을 확대 및 축소하는 줌모터(112)와; 노출을 제어하는 조리개(101)와; 피사체의 촬상시 상기 줌모터(112)와 포커스모터(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줌모터 구동부(110) 및 포커스모터 구동부(111)와; 상기 렌즈군(100)을 통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타이밍 발생부(103)에서 발생된 수직, 수평동기 펄스에 따라 촬상화상신호로 변환하는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102)과; 그 촬상관(102)으로부터 촬상된 화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득 제어하여 출력하는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와; 상기 이득 조절되어 얻어진 촬상 화상신호를 한 필드 단위로 디지털화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와; 상기 디지털화 된 한 필드분의 화상신호를 엔코딩 처리하여 NTSC 또는 PAL 포맷의 칼라, 휘도 신호로 분리 처리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그 분리된 휘도 데이터에 따른 자체의 초점 필터링 계수에 기인하여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초점데이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106)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106)에서 변화되어 입력되는 초점데이터에 따라 줌모터 구동부(110) 및 포커스모터 구동부(111)를 제어하여 주밍과 초점을 조절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7)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7)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106)에서 입력되는 한 필드분의 휘도/칼라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출력하는 메모리(108)와; 상기 메모리(108)에 저장된 한 필드분의 디지털 화상신호를 화면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114)를 통해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9)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비디오 카메라는, 먼저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되어 피사체의 상(Image)이 렌즈군(100) 및 조리개(101)를 통해 고체촬상소자(CCD)를 갖는 촬상관(102)에 입력되면 촬상관(102)은 입력된 피사체의 상을 타이밍 발생부(103)에서 제공되는 수평, 수직 촬상구동 펄스에 동기 시켜 한 필드분의 촬상화상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한 필드분의 촬상화상 신호는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에 제공된다.
상기 샘플링 및 이득제어부(104)는 입력된 촬상화상 신호를 한 필드 단위로 샘플링하고 이득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5)는 입력된 피사체의 화상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디지털신호 처리부(106)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106)는 상기 디지털화 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에 대한 화상신호를 NTSC 또는 PAL 방식 포맷에 맞게 칼라, 휘도 데이터로 엔코딩 처리하여 메모리(108)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휘도 데이터는 디지털신호 처리부(106)에 세팅되어 있는 필터링 계수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변화되어 자동 초점데이터(AFD)로 마이크로 컴퓨터(107)에 제공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7)는 디지털신호 처리부(106)로부터 일정범위의 자동 초점데이터(AFD)가 입력되면, 포커스모터 구동부(111)를 통해 포커스모터(113)를 광축방향으로 전, 후진시키면서, 즉 다시 말해서 렌즈군(100)의 포커스렌즈를 가까운 쪽(Near)에서 먼쪽(Far)으로 이동시키면서 자동 초점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줌모터 구동부(110)를 통해 줌모터(112)를 와이드(Wide)에서 텔리(Tele)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사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주밍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디오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기록하고 이를 재생하는 주기능 외에도 그 기능성(functiona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부기능들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부기능들 중의 하나가 바로 포토 샷(photo shot) 기능인 데, 포토 샷 기능이란 주용도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정지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말한다.
또한, 이 포토 샷 기능을 좀 더 고도하고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인터벌 촬영 기능이 부가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데, 인터벌 촬영 기능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마다 정지 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포토 샷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이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포토 샷 기능과 인터벌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천문 촬영을 수행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바, 이를 좀 더 상술하면, 통상적으로 천문 촬영은 망원렌즈의 도움을 받아 천체 상의 항성들의 운행을 관측하기 위한 것으로, 관찰자가 관측소에서 상주하면서 천체를 관측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해소시켜 줄 수 있으며 더불어 고속 재생을 통해 항성의 이동 경로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천체의 관측 상황에 대한 기록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촬영 기법은 장시간에 걸친 꽃의 개화 장면, 곤충의 변태 과정, 조류의 둥지를 트는 장면이나 알의 부화 장면 등을 오랜 시간에 걸쳐 자동 관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기법으로 잘 알려진 바 있는 데, 천문 촬영은 촬영 대상체의 특성상, 특정 기간에 걸친 항성의 운행을 하나의 화면으로 촬영하면 하나의 화면에서 전체적인 운행 상황을 종합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인터벌 촬영한 각각 화면을 모으기 위해서는 통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데, 이때, 단순히 데이터를 화소단위로 가산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의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선명한 화면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마다 정지 장면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인터벌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천문 관측을 위한 천문 촬영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인터벌 촬영된 각각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모을 때, 단순히 화소 데이터를 화소단위로 가산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의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선명한 화면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간의 차가 기설정된 역치보다 작으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와의 평균값을 취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를 합산하는 값을 산출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화질이 우수한 천문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디오 카메라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데이터 획득부 20 : 지연 메모리부
30 : 데이터 합산부 40 : 데이터 평균부
50 : 차분 데이터 산출부 60 : 역치 판단부
70 : 데이터 합성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정지 화상 합성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정지 화상 합성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정지 화상 합성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시간 간격 주기와 화상 합성 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시간 간격 주기와 상기 화상 합성 횟수가 선택됨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함에 따라,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입사되는 피사체로부터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화상 데이터 획득부(10)와;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10)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한 시간 간격 주기만큼 지연시킨 후에 출력함으로써 이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연 메모리부(20)와;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10)와 상기 지연 메모리부(20)로부터 각각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합산하는 데이터 합산부(30)와;
상기 데이터 합산부(30)의 출력을 입력받아 평균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평균부(40)와;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50)와;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는 역치 판단부(60)와;
상기 역치 판단부(60)의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합산부(30)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평균부(40)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데이터 합성부(70)로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포토 샷 기능과 인터벌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천문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천문 촬영은 촬영 대상체의 특성상, 특정 기간에 걸친 항성의 운행을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하여 촬영하면 하나의 천문 합성 화상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전체적인 천체 운행 상황을 종합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데, 이때, 다수의 화면을 하나로 합성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화질 열화를 최소화시킴으로써 관측성이 우수한 천문 합성 화상을 획득하고자 한다.
특히, 천문 화상은 야간에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따라 주관측 대상인 항성, 행성, 해성과 같은 천체는 밝은 화소로 촬상되며, 관측점의 직선상에 천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우주 공간은 어두운 화소로 촬상된다. 이때, 천체의 운행 상황을 하나의 화면에서 관측하고자 천문 합성 화상을 합성할 시에 배경에 해당되는 빈 우주 공간에 대응하는 화소값이 계속적인 합산에 의해 화소값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천문 합성 화상의 종합적인 관측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화상 데이터 획득부(1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피사체(즉, 우주 공간 및 천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지연 메모리부(20)는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10)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한 시간 간격 주기만큼 지연시킨 후에 출력함으로써 이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합산부(30)는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10)와 상기 지연 메모리부(20)로부터 각각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합산하고, 데이터 평균부(40)는 상기 데이터 합산부(30)의 출력을 입력받아 평균값을 산출한다.
한편, 차분 데이터 산출부(50)가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면, 역치 판단부(60)는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차분 화소값의 크기가 기준 역치보다 크면 해당 화소 위치를 천체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화소 위치를 배경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역치 판단부(60)의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데이터 합성부(70)는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합산부(30)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데이터 합성부(70)는 상기 데이터 평균부(40)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설정된 화상 합성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천체를 촬영한 다수의 정지 화상을 관측성이 우수한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정지 화상 합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0);
상기 정지 화상 합성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시간 간격 주기와 화상 합성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S20)와;
상기 시간 간격 주기와 상기 화상 합성 횟수가 선택됨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30)와;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40)와;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단계(S60);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절차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S10에서는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정지 화상 합성 모드를 선택하고, 단계 S20에서는 상기 정지 화상 합성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시간 간격 주기와 화상 합성 횟수를 설정한다.
단계 S30에서 상기 시간 간격 주기와 상기 화상 합성 횟수가 선택됨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면, 단계 S40에서는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한다.
단계 S50에서는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한다.
단계 S50의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 S60에서는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70에서는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정지 화상 합성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정지 화상 합성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정지 화상 합성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시간 간격 주기와 화상 합성 횟수를 설정하며, 상기 시간 간격 주기와 상기 화상 합성 횟수가 선택됨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함에 따라,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여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인터벌 촬영된 각각의 화면을 하나의 화면에 모을 때, 단순히 화소 데이터를 화소단위로 가산하게 되면, 어두운 부분의 레벨이 증가하게 되어 선명한 화면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음에 따라 화질이 우수한 천문 합성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화상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한 시간 간격 주기만큼 지연시킨 후에 출력함으로써 이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연 메모리부와;
    상기 화상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지연 메모리부로부터 각각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합산하는 데이터 합산부와;
    상기 데이터 합산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평균값을 산출하는 데이터 평균부와;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와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차분 데이터 산출부와;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는 역치 판단부와;
    상기 역치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합산부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평균부의 출력을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데이터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2.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간격 주기로 복수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복수의 정지 화상을 하나의 합성 화상으로 합성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정지 화상 합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정지 화상 합성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시간 간격 주기와 화상 합성 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간격 주기와 상기 화상 합성 횟수가 선택됨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을 통해 정지 화상을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현시점을 기준하여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한 시간 간격 주기 이전에 인가된 이전 화상 데이터간의 차분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분 데이터에서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기설정된 기준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화소 단위로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의 합산값을 산출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이 상기 기준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각각의 차분 화소값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과 상기 이전 화상 데이터의 화소값을 평균하여 상기 합성 화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화소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방법.
KR1019980027445A 1998-07-08 1998-07-08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030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445A KR100306762B1 (ko) 1998-07-08 1998-07-08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445A KR100306762B1 (ko) 1998-07-08 1998-07-08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78A KR20000007878A (ko) 2000-02-07
KR100306762B1 true KR100306762B1 (ko) 2001-10-19

Family

ID=1954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445A KR100306762B1 (ko) 1998-07-08 1998-07-08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892B1 (ko) * 2004-11-23 2006-12-04 김해시시설관리공단 천체사진 영상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78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4752B2 (en) Electronic still camera with peaking function
JP4473363B2 (ja)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補正方法
KR100325491B1 (ko) 파노라마화상작성방법및장치
JP3395770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03283978A (ja) 多機能デジタルカメラ
KR20010039880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WO2011065000A1 (ja) 電子カメラ
JP3798544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撮像制御方法
KR920010512B1 (ko) 촬상장치
JP2007027845A (ja) 撮像装置
US7719727B2 (e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for preventing white balance offset and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4033456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306762B1 (ko) 비디오 카메라의 천문 화상 합성 장치 및 방법
JP3092577B2 (ja) デジタルカメラの多重撮影装置
JP2929956B2 (ja) ビデオカメラにおける静止画像データの作成方法
JP458592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3738654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050599A (ja) 電子カメラ
JP3727841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0059656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0240068B1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편집방법 및 장치
EP0989746B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high-speed imaging function with electronic zoom circuit
JP2005117276A (ja) 撮像装置
KR1013148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재생 모드 시 영상의 포커스지점을 표시하는 방법
JP3697050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