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347B1 - 탄력복합 경고제 - Google Patents

탄력복합 경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47B1
KR100305347B1 KR1019990030102A KR19990030102A KR100305347B1 KR 100305347 B1 KR100305347 B1 KR 100305347B1 KR 1019990030102 A KR1019990030102 A KR 1019990030102A KR 19990030102 A KR19990030102 A KR 19990030102A KR 100305347 B1 KR100305347 B1 KR 10030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ing
adhesive layer
band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949A (ko
Inventor
추동권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추동권
최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동권, 최석원 filed Critical 추동권
Priority to KR101999003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3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관절 보호 및 지혈을 요구할때나 상처보호, 습포용(파스류), 피부의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에 위생적으로 사용되는 탄력복합 경고제를 제공하려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한정된 용도에만 사용되고 있는 밴드류나 반창고류 또는 압박붕대, 파스류, 거즈, 밸런스테이핑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물품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경방향 신축성 면직물로 직조되어 신장율이 140±5%의 다양한 색깔로 형성되는 탄력부재의 이면에는 아크릴에스테르 중합물로 조성된 점착제를 습포성 약물을 혼합한 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 위에는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사용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박리지를 결합하여 띠 형태로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절 보호나 지혈을 요구할 매 종래 압박붕대 등으로 탄력을 가하여 부상부위를 감은 후 압박붕대 등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별개의 점착력이 있는 반창고류 등으로 고정하여야 했던 번거로움을 지양하고, 반창고류의 용도로서도 요구하는 규격별로 절단하여 사용하므로서 반창고류의 사용 목적을 이룰 수 있으며 압박붕대나 거즈용으로도 원하는 두께로 합하여 사용하므로서 점착제층에 의하여 견고히 접착되어 이탈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방혈 효과도 얻을 수 있고 피부에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의한 밸런스 테이핑 또는 습포성 약리성분이함유되어 근육 및 관절의 통증을 완화하고 부착한 상태에서 알러지 등의 부작용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사용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그 적용이 간편하고 쉽게 테이핑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상 편의성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Description

탄력복합 경고제{Elasticity complex adhesive plaster}
본 발명은 인체의 관절 보호 및 지혈을 요구할 때나 상처보호, 습포용(파스류), 피부의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테이핑에 위생적으로 사용되는 탄력복합 경고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관절 보호나 지혈을 요구할 때 사용되고 있는 밴드류는 작은 상처의 일시적 보호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반창고류는 거즈나 붕대의 고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압박붕대는 부상부위를 압박하는 용도로 구별 사용되고 있고 파스류는 습포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밸런스 테이핑은 그 용도로만 구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밴드류는 피부의상처 부위를 통한 2차 감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상처가 크지 않은 열상부위에 둘러 상처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반창고류는 단지 붕대류나 거즈 등을 상처 부위에 고장시키기 위한 접착 전용의 접착성 띠로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정인 바, 습포용(파스류)은 근육 및 관절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밸런스테이핑은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이며 이와같은 밴드류나 반창고류 등은 모두 나름대로의 목적을 가지고 극히 한정된 용도에만 사용되고 있고 특히 인체의 관절 보호 및 지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 사용고 있는 압박붕대는 탄력을 가하여 부상 부위를 감은 후 압박붕대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별개의 점착력이 있는 반창고류 등으로 고정해야 하였으므로 사용상 대단히 번거로움이 많았고 설령 반창고류로 압박붕대를 고정하였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시간이 지나면 반창고류의 이탈로 압박붕대가 쉽게 풀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나름대로의 한정된 용도를 하나의 물품으로 다양하게 적용하고 휴지모터 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한정된 용도에만 각기 사용되고 있는 밴드류나 반창고류, 파스류, 피부의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요법 또는 압박붕대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물품으로 다양한 용도에 적용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탄력성을 갖는 경방향 신축성 면직물로 직조되어 신장율이 140±5%을 유지하는 다양한 색깔의 천연면으로 평직된 천소재로 되는 탄력부재의 이면에는 아크릴에스테르 중합물로 조성된 점착제에 습포성 약물을 혼합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위에는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사용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PE 코팅 이면에 이형제층을 형성시킨 박리지를 결합하여 띠 형태로 형성된 것인 바, 종래 관절 보호나 지혈을 요구할 때 탄력성을 갖는 압박붕대으로 탄력을 가하여 부상부위를 감은 후 압박붕대 등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별개의 점착력이 있는 반창고류 등으로 고정하여야 했던 번거로움을 지양하고 반창고류의 용도로서도 요구하는 규격별로 절단하여 사용하므로서 반창고류의 사용 목적을 이룰 수 있으며 압박붕대나 거즈용으로도 원하는 두께로 접어서 사용하므로서 점착제층에 의하여 이탈이 생기지 않을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방혈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다목적 용도의 위생용 탄력복합 경고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습포성 약물을 첨가하므로서 근육의 통증완화와 피부의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용으로 아주 적합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A-A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탄력 경고제 200 : 탄력부재 300 : 점착제층
301 : 비점착제층 400 : 박리지 401 : 이형제층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탄력복합 경고제(100)를 형성 함에 있어, 경사는 85% 코튼(Cotton), 15% 스판덱스(Spandex) 140데니아 코아 스판 얀 (Core Spun Yarnne) 20'S/1(30±1)의 비율로 공급하게 하고 위사는 100% 코튼 스판 얀(Cotton Spun yarnne)20'S/1(40±2)의 비율로 공급하여 신장율이 140±5%의 한계를 유지하면서 44-45inch의 폭을 갖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편직하여 얻어진 경방향 신축성 면직물 (#2828P Cotton Warp Stretch Woven Fabric)을 탄력부재(100)로 한다.
탄력부재(200)의 혼율은 92% Cotton, 8% Spandex 140Dennier Plan Piece Dyed Woven Fabric 이고, 중량은 약 120gr/yd 이며, 밀도는 30 X 40(70±3) 이고, 인장강도는 12kg 이상(50mm X 200mm) 을 유지하도록 평직되므로 신장율이 140±5%의 한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탄력부재(200)의 이면에는 아크릴에스테르 중합물로 조성된 점착제를 습포성 약물을 혼합하여 도포한 점착제층(30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제층(400)을 보호하고 사용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PE코팅 이면에 이형제층(401)을 형성시킨 박리지(400)를 결합하여 띠 형태의 두루마리로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것이다.
탄력부재(100)의 색상은 다양한 색깔의 미색(피부색), 적색, 칭색, 백색 등으로 염색된 천연면으로 직조하는데 이에 사용되는 반응성 염료는 아래와 같다.
Yellow 색일때 S3R 적량
Red 색일때 BSF 적량
Navy Blue 색일때 HBR 적량
White 색일때 HER 적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밴드류나 반창고류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력복합경고제(100)를 요구하는 규격별로 절단하여 사용하므로서 밴드류나 반창고류의 사용 목적을 이룰 수 있으며 압박붕대나 거즈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력복합 경고제(100)를 원하는 두께로 접어서 사용하므로서 점착제층(300)에 의하여 고정 되므로서 이탈이 생기지 않아 압박붕대나 거즈의 사용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의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용으로서 부위별로 절단하여 테이핑 할 수 있고 습포성(파스류) 약물이 혼합되어져 있으므로 근육(관절) 통증 완화에 적합하므로 부위별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관절 보호나 지혈을 요구할 경우 종래와 같이 압박붕대 등으로 탄력을 가하여 부상부위에 감은 후 압박붕대 등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개의 반창고류 등으로 압박붕대를 고정하던 것을 지양하고 본 발명은 탄력복합 경고제(100)로 탄력을 가하여 부상 부위에 감으면 점착제층(300)이 비점착제층(301)에 접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생용 탄력복합 경고제(100)를 형성하는 탄력부재(200)는 탄력성을 갖는 경방향 신축성 면직물로 짜여진 천소재로서 장시간 부착 하더라도 피부에 대해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도포되는 점착제층(300)은 피부와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피부에 대해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일으키지 않는 통상의 위생용 경고류 등에 사용되는 점착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점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신축성을 갖는 탄력복합 경고제를 사용하여 관절보호 및 근육통증 완화나 지혈을 요구할 경우에는 탄력복합 경고제를 탄력을 가하여 부상 부위에 감으면 점착제층이 비점착제층에 접착되면서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압박붕대 등으로 탄력을 가하여 부상부위에 감은후 압박붕대 등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개의 반창고류 등으로 압박붕대를 고정하여야 했던 번거로움이 지양되고 피부에 휴지모터반사작용의 기전에 근거한 밸런스 테이핑 또는 파스류의 습포성 약물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테이핑 또는 부착한 상태에서 알러지 등의 부작용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사용이 간편할 뿐만아니라 손쉽게 간편히 제거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그 적용이 간편하고 쉽게 테이핑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탄력복합 경고제(100)를 형성 함에 있어, 경사는 85% 코튼,15% 스판덱스140데니아 코아 스판 얀 20'S/1(30±1)의 비율로 공급하게 하고 위사는 100% 코튼스판 얀 20'S/1(40±2)의 비율로 공급하여 신장율이 140±5%의 한계를 유지하면서 44-45inch의 폭을 갖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직조하여 얻어진 경방향 신축성 면직물을 탄력부재(200)로 하고 이 탄력부재(200)의 이면에는 아크릴에스테르 중합물로 조성된 점착제에 습포성 약물을 혼합하여 도포한 점착제층(300)을 형성하며 그 위에 점착제층(300)을 보호하고 사용할 때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PE 코팅 이면에 이형제층(401)을 형성시킨 박리지(400)를 결합하여 띠 형태의 두루마리로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복합경고제
KR1019990030102A 1999-07-23 1999-07-23 탄력복합 경고제 KR10030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102A KR100305347B1 (ko) 1999-07-23 1999-07-23 탄력복합 경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102A KR100305347B1 (ko) 1999-07-23 1999-07-23 탄력복합 경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949A KR20010010949A (ko) 2001-02-15
KR100305347B1 true KR100305347B1 (ko) 2001-09-24

Family

ID=1960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102A KR100305347B1 (ko) 1999-07-23 1999-07-23 탄력복합 경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36B1 (ko) 2012-09-24 2014-06-13 정아원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반창고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336B1 (ko) 2012-09-24 2014-06-13 정아원 크기조절이 자유로운 반창고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949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3419B2 (en) Elastic adhesive wound dressing for control of bleeding and for dressing bleeding wounds
US4832009A (en)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polymer backsheet bandage
IE893708L (en) Composite compression and support dressing
JPH0349953B2 (ko)
JP2004174202A5 (ko)
US20090053441A1 (en) Adhesive fabric
CN100594018C (zh) 皮肤贴敷用粘合性被覆材料
PL195179B1 (pl) Opatrunek
EP1608505B1 (en) An adhesive fabric
US5921948A (en) Surgical dressing
AU742636B2 (en) Substrate for adhesive dressing, and medical adhesive dressing and adhesive tape using the same
US6120470A (en) Self-adhesive ready-to-use bandage for elbows
KR100305347B1 (ko) 탄력복합 경고제
JP4358354B2 (ja) 伸縮性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US3417749A (en) Surgical bandage
CN212037937U (zh) 一种水膜疗伤贴
CN209808748U (zh) 一种可自由拼接的敷料贴
JP2690112B2 (ja) 医療用貼付剤
JP2001145655A (ja) 絆創膏
CN215821315U (zh) 一种便捷型医用外固定夹板
JP3086861U (ja) 膝関節固定用粘着テープ
JP4181934B2 (ja) 膝部用粘着部材
JP3237715U (ja) もぐさ線毛繊維層シート状パッド
CN214434803U (zh) 一种用于胸部的医用压力绷带
JPH04481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