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833B1 - 통신망상의정보를로컬메모리에자동보존하는단말 - Google Patents

통신망상의정보를로컬메모리에자동보존하는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833B1
KR100304833B1 KR1019980705611A KR19980705611A KR100304833B1 KR 100304833 B1 KR100304833 B1 KR 100304833B1 KR 1019980705611 A KR1019980705611 A KR 1019980705611A KR 19980705611 A KR19980705611 A KR 19980705611A KR 100304833 B1 KR100304833 B1 KR 100304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image
user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899A (ko
Inventor
유이치로 이타쿠라
유이치로 츠츠이
Original Assignee
배종렬
주식회사 제일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렬, 주식회사 제일기획 filed Critical 배종렬
Publication of KR1999008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상의 메시지를 그 특성에 따른 기간 보존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장치로서, 단말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를 지정하는 메시지 지정정보를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정정보수신수단과, 메시지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메시지를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수신수단과,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구비하였다. 보존수단은 메시지 지정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통신망상의 정보를 로컬 메모리에 자동 보존하는 단말
최근,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망의 트래픽의 증가에 따라 액세스 속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NETSCAPE (상표)사의 인터넷 브라우저는 한번 액세스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단말장치에 캐싱하여, 동일한 정보가 요구되었을 경우에는 단말장치에 저장한 캐시로부터 정보를 읽어 내어 화면에 표시하고 있다. 이미 캐싱된 정보만을 읽어 내고 있는 동안은 통신망에 접속하지 않고 통신망상에서 제공되어 있던 정보를 볼 수 있다.
또 "POINTCAST NETWORK"(상표)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지정한 장르의 뉴스를 고정수만큼의 이용자에게 송신하여 단말장치에 저장하고 있다. 이용자는 단말장치로부터 뉴스를 반복하여 읽어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캐싱방법에 의하면 통신망상의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캐싱된 데이터가 이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또한 종래 방법에 의하면 이용자는 캐싱된 정보와 통신망상의 실제의 정보 중 어느 것이 제공되어 있는가를 파악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통신망상의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도 이용자가 잘못하여 오래된 정보를 읽는 경우가 있었다. 또 종래 방법에 의하면 캐싱된 정보를 이용자가 반복하여 보았을 경우에 그 정보의 이용빈도를 정보제공자가 파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수신하여 로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출원은 하기 5건의 일본출원에 관련된다. 문헌의 참조에 의한 편집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하기의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편집하여 본 출원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1. 일본국 특원 평8-9521 출원일 1996년 1월 23일
2. 일본국 특원 평8-67278 출원일 1996년 2월 28일
3. 일본국 특원 평8-139689 출원일 1996년 5월 10일
4. 일본국 특원 평8-139690 출원일 1996년 5월 10일
5. 일본국 특원 평8-163679 출원일 1996년 6월 5일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통신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단말(1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체(14)의 CPU(4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디스플레이(12)의 표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및 호스트 컴퓨터(3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메시지분배시스템(39)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단말(10), 인터넷(32) 및 메시지분배시스템(3928)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HTML 문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메시지를 보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4는 하드 디스크에 보존한 메시지의 인덱스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이용자에 의해 메시지 뷰어(76)가 기동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7은 메시지 뷰어 윈도우(62)가 조작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8은 메시지 뷰어(76)의 메시지수신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9는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를 기동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0은 접속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1은 접속관리장치(23)의 접속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2는 메시지관리장치(24)의 접속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3은 메시지분배장치(39)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단말장치는 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장치로서, 해당 단말에 송신해야 할 메시지를 지정하는 메시지 지정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지정정보수신수단과, 상기 메시지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수신수단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 보존수단을 구비하였다.
여기에서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통신망」에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PSTN, IDSN, 정보제공장치(20), 메시지분배장치(39), 지불시스템(35) 또는 인터넷(32) 모두가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이 상기 메시지 지정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하여 해당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이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보존설정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보존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해당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보존수단이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지정정보수신수단이 상기 이용자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메시지를 지정하는 메시지 지정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내지 제 6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한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1 내지 제 6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시지를 보존해야 하는 기한을 각각 정하는 기한정보를 입력하는 보존기한입력수단과, 상기 기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더욱 구비한다.
여기에서「기한정보」는 직접력상의 날짜를 지정하는 정보여도 되고, 보존을 개시하는 날 등을 기준으로 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보존기한입력수단은 상기 지정정보수신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기한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보존기한입력수단은 상기 메시지수신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기한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보존기한입력수단은 상기 기한정보를 상기 단말의 이용자로부터 입력한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가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이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한도를 가지며, 상기 삭제수단이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메시지의 용량이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기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메시지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량의 한도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메시지의 용량이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메시지의 보존일이 오래된 메시지부터 차례로 삭제한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메시지의 용량이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기한이 가까운 메시지부터 차례로 삭제한다.
본 발명의 제 18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는 상기 메시지의 보존을 종료하는 지정종료시와, 상기 메시지를 보존하는 기간을 가지며, 상기 메시지의 보존을 개시하였을 때에 상기 기간을 더하였을 때 또는 상기 지정종료시 중 빠른 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제 19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와 동일한 종류의 정보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동일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한다.
본 발명의 제 20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메시지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1 형태의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에 제공해야 할 복수의 정보를 보존하는 통신망으로서, 해당 정보를 상기 이용자의 단말장치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22 형태의 단말장치는, 제 21 형태의 통신망으로서, 더하여 상기각각의 메시지를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23 형태의 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의 각각에 대응시켜진, 해당 정보를 보존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를 보존한다.
본 발명의 제 24 형태의 단말장치는, 통신망으로부터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정보의 각각에 대응시켜진, 해당 정보를 보존하는 기한을 정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보를 보존한다.
본 발명의 제 25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거쳐 제 1 및 제 2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된 제 1 화상의 하나를 특정하는 상기 단말장치의 이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능동적 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이 되지 않는 제 2 화상을 특정하는 지정정보를 상기 제 2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지정정보수신수단과, 상기 능동적 정보수신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화상의 수신과 병행하여, 상기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을 거쳐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수동적 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장치상에 설치한 제 1 및 제 2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청구범위에 있어서의「호스트 컴퓨터」는 통신망을 거쳐 단말장치에 화상, 명령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스트 컴퓨터(30)의 개개, 복수의 호스트 컴퓨터(30)의 전체, 정보제공장치(20) 및 메시지분배시스템(39)을 포함한다. 또 청구범위에 있어서의「화상」에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터넷(32)을 거쳐 수신하는 홈 페이지 및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 26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화상의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가지며, 상기 제 2 화상이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링크화상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7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였을 경우에 해당 제 1 화상이 요구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28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에 의해 보존한 상기 제 2 화상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표시수단을 더욱 가지며,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링크정보로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상기 이용자에 의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링크정보를 가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9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링크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요구되어 있지 않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화상을 다른 제 2 화상보다 상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30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였을 경우에 해당 제 1 화상이 요구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31 형태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다른 제 2 화상을, 해당 제 2 화상을 가지는 메시지에 의해 링크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요구되었을 때가 오래된 순으로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설명한다.
1 실시형태 1
1.1 구성
1.1.1 시스템 전체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 전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의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10)이 모뎀(16, 18), 공중망(통신망)(17) 및 공중망 게이트웨이(19)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는 소위 인터넷의 프로바이더가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32)을 거쳐 복수의 호스트 컴퓨터(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정보제공장치(20)는 전용회선(29)을 거쳐 지불시스템(35)에 접속되어 있다.
지불시스템(35)에 있어서,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CAFIS 등의 클로즈드 네트워크(27)를 거쳐 크레디트 카드회사의 컴퓨터(28)와 접속되어 있다. 또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전용선을 거쳐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망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점으로부터 제공된 광고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메시지라고 함)를 정보제공장치(20)를 거쳐 단말(10)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정지화상, 동화상, 음성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각 메시지에는 그 판매점의 월드 와이드 웹(WWW)상의 홈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의 메시지관리장치(24)는 메시지분배시스템(39)으로부터 수취한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의 식별번호(메시지 URL)에 대응하여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저장한다.
각 취급점의 홈 페이지(및 그 하위의 페이지)가 호스트 컴퓨터(30)에 저장되어 있다. 단말(10)은 정보제공장치(20)의 인터넷 게이트웨이(22)를 거쳐 인터넷(32)으로부터 홈 페이지 등의 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이용자는 취급점의 홈 페이지 및 하위의 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상품을 주문한다. 또 단말(10)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를 수취할 수 있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로부터 읽어 낸 메시지를 단말(10)에 송신한다. 이용자는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를 거쳐 인터넷 게이트웨이(22)에 접속하기 위한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를 얻기 위한 ID (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가진다.
1.1.2 본체(14)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10)의 본체(14)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CPU(40)는 ROM(42) 및 RAM(4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타이머(46)는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입력장치(48)를 거쳐 이용자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다. 저장장치의 일례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는 화상 등의 데이터, 이용자에 관한 정보 및 CPU(40)가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캘린더 IC(51)는 배터리에 의해 백업되어 있고, 현재의 일시를 CPU(40)에 제공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52)는 플로피 디스크(56)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40)에 제공한다. CD-ROM 드라이브(54)는 CD-ROM(58)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40)에 제공한다. 또한 본체(14)는 모뎀(16) 및 디스플레이(12)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1.1.3 단말(10)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3은 도 2에 나타낸 CPU(4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플로피 디스크(56) 또는 CD-ROM(58)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압축되어 있어도 되고 비압축이어도 된다.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로부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인스톨되어 RAM(44)에 읽어 내어져 CPU(40)에 의해 실행된다.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즉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인스톨되는 소프트웨어는 기능구성으로서 PPP 드라이버(70) 및 TCP/IP 드라이버(72)를 가지는 통신모듈(73)과 브라우저(74)와 메시지 뷰어(76)를 구비한다. PPP 드라이버(70)는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도 1)와의 사이의 물리적으로 1개의 회선 상에 데이터 링크를 생성한다. 브라우저(74)는 PPP 드라이버(70)가 생성한 데이터 링크 상에서 TCP/IP 드라이버(72)를 거쳐 인터넷 게이트웨이(22)와 통신하여 수신한 화상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한다. 브라우저(74)로서는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상표) 또는 모자이크(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시지 뷰어(76)는 PPP 드라이버(70)가 생성한 데이터 링크 상에서 TCP/IP 드라이버(72)를 거쳐 메시지관리장치(24)와 통신하여, 수신한 화상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한다. 메시지 뷰어(76)는 기능구성으로서, 메시지관리장치(24)에 접속하는 접속모듈(80),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처리모듈(82) 및 내부 또는 통신회선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생긴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모듈(84)을 가진다.
1.1.4 단말(10)의 화면 구성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디스플레이(12)에는 브라우저(74)의 윈도우(브라우저 윈도우)(60) 및 메시지 뷰어(76)의 윈도우(메시지 뷰어 윈도우)(62)가 열린다. 브라우저 윈도우(60)에는 인터넷(32)으로부터 수신한 홈 페이지 등의 정보가 표시되고,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는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는 소정 기간, 예를 들어 1분마다 새로운 메시지를 표시한다.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되는 정보와 같이, 이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정보를 본 명세서 및 클레임에서는 능동적 정보라고 부른다. 한편,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되는 정보와 같이, 이용자의 조작이 없어도 네트워크로부터 자동적으로 되는 정보를 본 명세서 및 클레임에서는 수동적 정보라고 부른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는 홈 페이지 버튼(64), 자료청구버튼(66), 접속버튼(65), 절단버튼(67), 보존메시지버튼(68) 및 설정버튼(69)을 가진다. 각 메시지에는 홈 페이지가 대응시켜져 있다. 홈 페이지 버튼(64)이 눌러지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홈 페이지가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된다. 자료청구버튼(66)이 눌러지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관한 다양한 상품의 자료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송신되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된다. 메시지 또는 자료에는 표시된 상품을 발주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버튼(65)이 눌러지면 단말(10)로부터 정보제공장치(20)에 호(呼)가 접속된다. 절단버튼(67)이 눌러지면 호가 절단된다. 보존메시지버튼(68)이 눌러지면 단말(10)에 저장된 메시지의 일람이 표시된다. 설정버튼(69)에 의해 메시지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1.1.5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호스트 컴퓨터(30)의 구성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및 호스트 컴퓨터(3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CPU(90)는 ROM(92) 및 RAM(9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타이머(96)는 소정의 시간을 카운트한다. 통신인터페이스(98)는 통신회선과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입력장치(100)를 거쳐 이용자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다.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102)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와의 접속을 행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104)는 플로피 디스크(106)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90)에 제공한다. 캘린더 IC는 일시를 CPU(9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108)는 통신상태 등을 오퍼레이터에 표시한다.
1.1.6 메시지분배시스템(39)의 구성
도 6에, 도 1에 나타낸 메시지분배시스템(39)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의 구성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5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으므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각 단말(10)의 메시지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각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통신이력을 저장하는 접속로그(38)를 가진다. 또 통신인터페이스(98) 대신에 클로즈드 네트워크(27)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와 정보제공장치(20)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1.7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는 각 메시지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ID(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 하나의 정보제공장치(20)를 식별하는 프로바이더 ID, 이용자가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이용자의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메시지의 표시시간 및 생년월일(312), 성별(314), 혼력(316), 직종(318) 및 주소(320) 등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이용자정보라 함)를 가진다.
도 8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도 7에 나타낸 것 이외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는 또한, 이용자가 사용하는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 및 유효기한, 성명 및 최종통신일시를 가진다. 각 이용자에게는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내에 대한 메시지의 표시량에 따른 파라미터가 부여된다.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34)에는 전전월, 전월 및 금월의 파라미터(332, 334, 336)가 저장된다.
이용자는 예를 들어 메시지 뷰어(76)를 최초로 사용할 때 또는 메시지 뷰어(76)를 단말(10)에 인스톨할 때에 이용자정보를 단말(10)에 입력한다. 단말(10)은 입력된 이용자정보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함과 동시에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이용자정보를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송신한다.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이용자정보를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 저장한다. 이용자정보로서는 그 외에도 연령, 직종, 수입, 취미 등을 저장하여도 좋다.
1.1.8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
도 9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는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 URL과 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조건을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다. 메시지의 송신조건으로서는 각 이용자에 대한 표시빈도의 제한, 전 이용자에 대한 표시빈도의 제한, 메시지를 표시해야 할 시각 및 메시지를 표시해야 할 이용자의 연령범위, 성별, 혼력, 직종 및 주소 등을 저장한다.
도 10은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도 9에 나타낸 이외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가 이용자의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될 때마다 메시지에 요금이 부과된다. 그래서 각 메시지에 대한 부과금의 한도액(210)이 각 정보제공장치(20)마다 설치되어 있다. 한도액(210)은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제공에 대한 부과금의 한도액을 저장한다. 또 총한도액(220)은 전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제공에 대한 부과금의 합계치의 한도액을 저장한다.
한도액(210)은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게 메시지가 표시되었을 경우에 메시지에 부과되는 메시지단가(212), 각 메시지 내의 버튼이 눌려졌을 경우에 각 메시지에 부과되는 버튼단가(214), 소정의 기간을 정하는 기간종별(216), 기간종별(216)에서 규정되는 각 기간에 있어서의 부과금의 한도액(기간한도액 217) 및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 대한 표시에 대한 부과금 전체의 한도액(전 한도액 218)을 가진다.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로부터 이용자정보를 읽어 내고, 이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로부터 메시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메시지의 URL을 단말(10)에 송신한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알맞은 메시지(예를 들어, 이용자에게 관련되는 상품의 광고)의 메시지 URL을 각 단말(10)에 송신할 수 있다.
1.2 접속시퀀스
도 11을 이용하여 단말(10),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메시지분배시스템(39), 인터넷 게이트웨이(22) 및 인터넷(32)의 접속시퀀스를 설명한다. 단말(10)의 통신모듈(73)이 PPP 접속요구를 행하면(S102) 접속관리장치(23)는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S104).
ID 및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접속관리장치(23)는 단말(10)에 PPP 접속허가를 송신한다(S106). 또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통지한다(S108). PPP 접속이 허가되면 단말(10)의 브라우저(74)는 인터넷 게이트웨이(22)에 TCP/IP 접속하여(S110) 인터넷 게이트웨이(22)를 거쳐 인터넷(32)과 통신한다(S112). 또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은 메시지관리장치(24)와 TCP/IP 접속한다(S114). 그러면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말(10)의 메시지 뷰어(76)에 인증정보를 요구한다(S118).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은 인증정보요구를 수취하면 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정보로서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S120). 메시지관리장치(24)는 접속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와,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와, 정보제공장치(20)의 프로바이더 ID를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송신한다(S121). 그러면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가 메시지이용자 DB(34)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 이들이 등록되어 있으면 메시지 뷰어(76)에 접속허가를 송신한다(S124).
브라우저(74)와 인터넷 게이트웨이(22) 및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는 각각 다른 TCP/IP 포트번호를 사용한 논리적으로 독립된 호에 의해 서로 독립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시지 뷰어(76)는 기존의 브라우저의 기능을 손상하는 일없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브라우저(74)와 인터넷(32)과의 통신방법은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메시지 뷰어(76)는 타이머(46)를 이용하여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주기적으로 메시지 URL을 요구한다(S134). 또 메시지분배시스템(39)이 검색한 메시지 URL을 수취하면 그 메시지 URL의 메시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요구한다(S136).
메시지관리장치(24)는 수취한 메시지 URL의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서 검색하여 메시지 뷰어(76)로 송신한다(S136). 이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의 광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이용자는 광고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인터넷(32)과 브라우저(74) 사이의 통신은 값이 싸나, 인터넷 내에서는 많은 컴퓨터를 거쳐 통신되므로 신뢰성이 낮다. 이에 대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와 메시지분배시스템(39)과의 통신에는 전용회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도 12에 도 11의 S136에서 단말(10)이 수신하는 메시지중의 HTML 문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는 이 HTML 문서 외에 화상을 가진다. 또, 각각의 메시지중의 HTML 문서는 「메시지 타이틀」, 그 메시지의 제공자를 나타내는 「클라이언트명」, 그 메시지를 단말(10)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보존플래그」, 단말(10)에 있어서 그 메시지의 표시를 시작하는 날을 나타내는 「개시일」, 단말(10)에 있어서의 보존을 종료해야 하는 날을 나타내는 「보존종료일」, 그 메시지를 보존해야 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보존기간」 및 그 메시지로부터 링크되는 홈 페이지의 인터넷(32)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링크정보」를 가진다. S136에서 단말(10)이 수신한 메시지의 보존플래그가 YES인 경우에는 단말(10)의 메시지 뷰어(76)는 수신한 메시지를 하드 디스크(50)에 저장한다.
도 13에 메시지 뷰어(76)가 메시지를 하드 디스크에 보존할 때의 처리를 나타낸다. 먼저 메시지 뷰어(76)는 HTML 문서 중에서 보존종료일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 보존종료일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보존기간이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보존기간도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재일에 보존기간을 가산함으로써 보존기간의 종료일시를 계산한다(S206). 다음에, 보존기간의 종료일로 지정된 보존종료일과의 어느 쪽이 빠른지를 판단한다(S2O8). 지정된 보존종료일쪽이 빠른 경우에는 하드 디스크에 대해 저장을 종료하는 날로서 지정된 종료일을 세트한다(S210). 한편, 지정된 보존종료일쪽이 늦는 경우에는 하드 디스크(50)에 대해 저장을 종료하는 날로서 S208에서 계산한 보존기간의 종료일을 세트한다(S210).
S202에서 보존종료일의 지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보존기간의 지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2). 보존종료일도 보존기간도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보존기간을 미리 정한 기간, 예를 들어 30일로 한다(S214). 다음에, 현재일에 보존기간을 가산함으로써 보존기간의 종료일을 계산하고(S216) 그 날을 하드 디스크(50)에 대해 보존을 종료하는 날로 한다(S218). 하드 디스크(50)에 저장한 메시지를 나타내는 보존메시지 인덱스가 별도 하드 디스크(50)에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메시지 인덱스에 신규레코드를 추가하고, 보존해야 할 메시지의 타이틀, 클라이언트명, 보존일시, 개시일, 종료일, 메시지에 대한 포인터 등을 기입한다(S220). 또, 포인터로 지정한 개소에 메시지를 저장한다.
1.3 보존메시지 인덱스의 데이터 구성
도 14에 보존메시지 인덱스의 구성을 나타낸다. 보존메시지 인덱스는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 ID」, 각 메시지의 「타이틀」, 「클라이언트명」, 표시를 개시하는 날을 나타내는 「개시일」, 하드 디스크(50)에 대한 보존을 종료하는 날을 나타내는 「종료일」, 메시지를 보존한 날을 나타내는 「보존일」, 하드 디스크(50) 내에서 그 메시지의 HTML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HTML 포인터」, 각각의 메시지를 표시한 횟수를 나타내는 「표시기록」 및 각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를 마지막으로 표시한 날을 나타내는 「홈 페이지 표시일」을 저장한다.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를 아직 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홈 페이지 표시일에는 00.00.00.(0년0월0일)이 저장된다. 또 하드 디스크(50)에는 메시지 뷰어(62)에 표시하는 메시지를 보존일, 종료일 또는 홈 페이지 표시일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는지를 나타내는 「분류 타입」을 저장한다.
도 15는 디스플레이(12)상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낸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중의 보존메시지버튼(68)이 눌러지면 보존메시지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63)를 디스플레이(12)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단말(10)과 정보제공장치(2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나, 또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일람이 표시된다.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63)에는 「표시버튼」(57), 「삭제버튼」(59) 및 「닫기버튼」(61)이 설치되어 있다.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63)에 표시된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여 표시버튼(57)을 누르면 그 메시지가 메시지 뷰어(62)의 메시지표시영역에 표시된다. 또, 메시지를 선택하여 삭제버튼(59)을 누름으로써 그 메시지가 하드 디스크(50)로부터 삭제된다. 닫기버튼(61)이 눌러지면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63)가 닫힌다.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가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된 일이 없을 경우에는 그 메시지의 리스트의 오른쪽에 적색의 애스터리스크를 점멸시킨다. 또 대응하는 홈 페이지가 표시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메시지의 오른쪽에는 황색의 애스터리스크를 점멸시킨다. 단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가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된 일이 없는 기간이 미리 정한 기간을 넘는 경우에만 그 메시지의 리스트의 오른쪽에 애스터리스크 「*」를 점멸시켜도 좋다. 상기 소정의 기간은 미리 정해 두어도 되고, 도 12에 나타낸 HTML 형식의 메시지 파일에 기재하여 정보제공장치(20)로부터 단말(10)에 송신하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메시지 인덱스(도 14) 중에 상기 소정 기간을 기재하는 난을 마련하여 각각의 메시지의 상기 소정의 기간을 기록한다.
1.4 단말(10)의 동작
도 16에 이용자가 메시지 뷰어(76)를 기동하였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다. 메시지 뷰어(76)가 기동하면(S402) 메시지 뷰어(76)는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를 연다(S404). 이 때, 미리 하드 디스크(5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가 표시해야 하는 순서대로 분류된다. 다음에, 하나의 메시지를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한다(S406). 여기에서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RAM(44)중의 버퍼에 있으면 버퍼중의 선두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메시지가 RAM(44)의 버퍼에 없으면 하드 디스크(50)에 보존한 보존메시지중의 하나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S406에서는 RAM(44) 내에 설치된 메시지 버퍼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으면 그 메시지가 표시된다. 메시지 버퍼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S404에서 분류된 메시지가 차례로 표시된다. 이 때, 메시지 인덱스 내의 해당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표시횟수 데이터를 인크리멘트한다. 단 메시지 버퍼에 메시지가 없고, 또한 하드 디스크(50)에 미리 저장한 모든 메시지가 이미 표시되었을 경우에는 분류한 메시지를 다시 처음부터 순서대로 표시한다. 표시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 단, 정보제공장치와의 사이에 호가 생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표시메시지정보)를 하드 디스크(50)에 저장해 둔다.
다음에, 소정의 기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1)를 세트한다(S410). 타이머가 타임 아웃하면(S412) S406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타이머(1)의 기간마다 다음의 메시지가 차례로 표시된다. S410에서 타이머가 타임아웃하고 있지 않으면 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상의 표시버튼(57)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6). 표시버튼(57)이 눌러지면 선택되어 있던 메시지를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한다(S418). 이에 따라, 이용자는 이미 보존된 메시지 중에서 보고 싶은 메시지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표시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통지한다(S420). 단, 정보제공장치(20)와의 호가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표시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표시메시지정보)를 하드 디스크(50)에 저장한다. 다음에, 타이머(2)를 세트하여(S422) S412로 되돌아간다. 타이머(2)는 타이머(1)보다 긴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선택한 메시지를, 차례로 선택된 메시지보다 긴 시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상에서 메시지가 선택되어 삭제버튼(59)이 눌러지든지, 메시지분배시스템(39) 또는 정보관리장치(20)로부터 메시지를 삭제해야 하는 명령을 수취하면, 삭제가 지시된 메시지 중에 표시중인 메시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중인 메시지가 포함되면 그 메시지를 삭제하여(S428) S406으로 되돌아간다. 삭제할 메시지 중에 표시중인 메시지가 포함되지 않으면 그 메시지를 삭제하고(S430) 다시 닫기버튼(61)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32). 닫기버튼(61)이 눌러지면 타이머를 정지하고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를 닫는다(S434). 다음에,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내의 조작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S440) S412로 되돌아간다,
도 17에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내의 조작에 대한 처리(S440)의 상세한 내용을 나타낸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의 접속버튼이 눌러지면(S450) 정보제공장치(20)와의 사이에 호가 생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52)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처리를 행한다(S454). 접속처리(S454)에 의해 통신중으로 되면 S490으로 점프하여 통신처리를 행한다(S455). 통신중으로 되지 않으면 도 16의 처리로 리턴한다(S455).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의 홈 페이지 버튼(64), 자료청구버튼(66) 또는 메시지중의 버튼이 눌러지면(S456) 통신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58) 통신상태가 아니면 접속처리를 행한다(S460). 접속처리에 의해서도 통신중으로 되지 않으면 도 16의 처리로 리턴한다(S455). 통신중으로 되면(S455) 브라우저(74)를 기동하여(S462) 눌러진 버튼에 대응시켜진 URL(인터넷상의 정보를 지정하는 식별정보)을 브라우저(74)에 건넨다(S464). 그러면 브라우저(74)는 수취한 URL에 대응하는 홈 페이지를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한다. 따라서, 통신중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메시지 윈도우(62)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홈 페이지를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인터넷상에 설치된 정보의 액세스가 있었다는 취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로 통지(S466)한다. 이어서, 보존메시지 인덱스(도 14)에 있어서의 표시중인 메시지의 홈 페이지 표시일을 현재의 날짜로 갱신한다(S467). 또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63)가 표시되어 있으면 표시중인 메시지의 애스터리스크를 소거하고(S468) 통신처리(S490)를 행한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의 보존메시지버튼(68)이 눌러지면(S470) 보존 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를 연다(S472). 따라서, 통신중에도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를 열 수 있다. 다음에, 정보제공장치(20)와의 사이에 호가 생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호가 생성되어 있으면 통신처리(S490)를 행하고 호가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도 16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18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를 수취하는 통신처리(S490)의 상세를 나타낸다. 먼저, 단말(10)의 RAM(44)에 설치한 메시지 버퍼에 빈곳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빈곳이 없는 경우에는 S520으로 점프한다. 빈곳이 있는 경우에는 메시지를 지정하는 「메시지 지정정보」의 일례로서의 URL을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대하여 요구한다(S502). 그러면 메시지분배시스템(39)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서 그 이용자의 특성을 읽어 내고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검색하여 검색된 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지정정보를 단말(10)로 송신한다.
메시지 뷰어(76)는 메시지 지정정보를 수취하고(S504) 그 메시지 지정정보로 지정되는 메시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요구한다(S506). 메시지를 수취하면(S508) 메시지 버퍼에 보존한다(S510). 메시지 버퍼에 저장된 메시지는 저장된 순서대로 다음에 표시할 메시지로서 선택되고 S406(도 16)에서 표시된다. 수신한 메시지의 보존플래그가 YES가 아닌 경우에는(S512) S520으로 점프한다. 보존플래그가 YES인 경우에는(S514) 다시 타이틀 및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메시지가 이미 하드 디스크(50)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메시지가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는 구메시지를 삭제한다(S516). 또한, 새로운 메시지를 보존하는 「메시지보존처리」(도 13)를 행한다(S518).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내의 절단버튼(67)이 눌러지면(S520) 정보제공장치(20)와의 사이의 호를 절단한다(S522). 그리고 도 16의 S412로 되돌아간다. 통신중이더라도 S412로 되돌아가므로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의 메시지표시버튼의 내리누름에 따라(S416) 선택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418).
메시지보존처리에 있어서는, 이미 보존되어 있는 메시지의 기억용량과 이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억용량을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메시지를 기억할 빈 기억용량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빈 기억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메시지 인덱스의 표시횟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하드 디스크(50)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중에서 표시횟수가 많은 것을 선택하여 삭제한다. 단,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메시지를 1회 표시하였을 때에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여도 된다. 표시횟수가 같은 메시지가 복수 있을 경우에는 메시지 인덱스 중에 설치된, 각 메시지의 종료일(보존을 종료하는 날)을 참조하여 종료일이 가까운 메시지부터 차례로 삭제한다. 이에 따라, 빈 기억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장기간 보존해야 할 메시지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보존일이 오래된 메시지부터 차례로 삭제하여도 된다.
도 19는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 오픈처리(S404, S472)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하드 디스크(50)에 저장된 메시지를 어떠한 순서로 표시하는지를 나타내는 「분류타입」을 하드 디스크(50)로부터 읽어 낸다. 이 「분류타입」은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의 설정버튼(69)을 누름으로써 보존일순, 종료일순 또는 홈 페이지 표시일순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분류타입」이 종료일순인 경우에는 메시지 인덱스 중의 종료일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오름차순으로, 즉 종료일이 가까운 메시지부터 순서대로 분류한다(S522). 분류타입이 보존일순인 경우에는 메시지를 내림차순으로, 즉 보존일이 새로운 메시지부터 순서대로 분류한다(S544). 분류타입이 홈 페이지 표시일인 경우에는 홈 페이지 표시일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오름차순으로, 즉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를 표시한 날이 오래된 메시지부터 순서대로 분류한다(S556). 홈 페이지가 한번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메시지의 홈 페이지 표시일란에는 00.00.00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홈 페이지가 한번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메시지는 가장 위에 분류된다.
이어서, 각 메시지에 관하여 현재의 날짜가 메시지 인덱스에 저장된 종료일을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8). 종료일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메시지를 삭제한다(S560). 여기에서는 메시지 인덱스 중의 레코드, HTML문서 및 HTML 문서에 첨부되어 있는 이미지 등의 파일이 삭제된다. 따라서, 보존기간이 짧은 메시지는 빨리 삭제된다. 이 때문에, 하드 디스크 내의 기억용량을 절약함과 동시에 오래된 정보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메시지를 체크할 때까지 S558 및 S560을 반복한다(S562). 이어서, 분류한 메시지를 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63)에 표시한다(S564).
다음에, 각 메시지의 리스트의 오른쪽에 표시하는 애스터리스크의 타입을 계산하고(S568) 계산된 타입의 애스터리스크를 표시한다(S570). 여기에서,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가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된 일이 없을 경우에는 그 메시지의 리스트의 오른쪽에 적색의 애스터리스크를 점멸시킨다. 또 대응하는 홈 페이지가 표시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메시지의 오른쪽에는 황색의 애스터리스크를 점멸시킨다. 마지막으로, 분류된 선두의 메시지를 다음에 표시해야 할 메시지로서 선택하여(S580)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단, 정보제공장치(2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이미 메시지 버퍼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는 분류된 선두의 메시지를, 메시지 버퍼에 보존한 메시지의 다음에 표시해야 할 메시지로서 선택하여(S580)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 선택된 메시지는 S406(도 16)에서 차례대로 표시된다.
도 20은 접속처리(S454, S460)에 있어서의 메시지 뷰어(76) 동작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접속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를 닫는다(S600). 다음에,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의 표시메시지영역에 타이틀 메시지를 표시한다(S602). 타이틀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어 본 서비스 제공자의 로고마크를 표시하여도 좋다. 이어서 타이머를 리세트하고(S604) PPP 드라이버(70)를 이용하여 다이얼 업에 의해 정보제공장치(20)에 PPP 접속한다(S606). 타임 업하기 전에 PPP 접속되면(S607) 다시 메시지 뷰어(76)는 TCP/IP 드라이버(72)를 이용하여 TCP/IP 접속한다(S608). 정보제공장치(20)로부터 인증정보가 요구되면(S609)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를 송신하여(S610) 응답을 기다린다.
정보제공장치(20)가 접속을 허가하면 ACK가 송신되고(S612) 호가 설립된다. 그러면 메시지 뷰어(7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보존한 표시메시지 데이터(오프라인시에 메시지 뷰어 윈도우 62에 표시한 메시지의 내용 및 표시횟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보제공장치(20)로 송신한다(S618). 이에 따라, 각 메시지가 오프라인에서 몇 번 이용자에게 제공되었는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 또는 메시지분배시스템(39)이 파악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20)가 접속을 허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NAK가 송신된다(S614). 이 경우에는 메시지 뷰어(76)는 PPP를 절단하여(S6l6) 도 1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1.5 접속관리장치(23)의 동작
도 21은 단말(10)과의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접속관리장치(23)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를 거쳐 단말(10)로부터 PPP 접속이 요구되면(S310) 접속관리장치(23)는 단말(10)에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요구하여 그것들을 수신한다(S312). 다음에,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조회한다(S314).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는 각 프로바이더 이용자의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패스워드(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기억되어 있다.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관리장치(23)는 회선을 절단하여(S318) 처리를 종료한다(S330).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으면 단말(10)에 PPP 접속을 허가하여(S322) 메시지관리장치(24)에 접속통지를 송출하고(S324) 처리를 종료한다(S330).
1.6 메시지관리장치(24)의 동작
도 22는 단말(10)과의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메시지관리장치(24)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접속관리장치(23)로부터 접속의 통지를 받으면(S810)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RAM(94)에 기록한다(S812). 다음에 타이머(96)를 개시하고(S814)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TCP/IP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6). TCP/IP 접속되지 않으면 그대로 대기한다(S816, S818). 대기 중에 타이머(96)가 타임 아웃하면(S818) 처리를 종료한다(S840).
TCP/IP 접속되면(S816) 메시지 뷰어(76)에 인증정보를 요구한다(S822). 또 타이머(96)를 리세트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한다(S824). 인증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타이머(96)가 타임 아웃하면(S828) 처리를 종료한다(S840). 또 인증정보를 수신하면(S826) RAM(94)으로부터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읽어 내고(S832) 해당 프로바이더를 식별시키는 프로바이더 ID,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와 함께 메시지분배시스템(39)으로 송신한다(S834). 그 후, 메시지 뷰어(76) 및 메시지분배시스템(39) 사이에서 통신한다(S836).
1.7 메시지분배시스템(39)의 동작
도 23은 메시지분배시스템(39)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프로바이더 ID, 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수신하면(S900) 그것들을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서치한다(S902).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NAK를 송신하여(S906) 절단처리(S926)로 점프한다.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ACK를 송신하여(S908) 해당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읽어 낸다. 또한 읽어 낸 특성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표시후보를 검색한다(S910). 따라서, 각 이용자의 특성에 알맞은 메시지가 검색된다. 예를 들어, 송신조건이 2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는 메시지는 이용자의 특성으로서 연령이 20대이고 또한 성별이 여성인 이용자에 대해서만 검색된다.
이어서, 단말(10)로부터 메시지식별정보가 요구되는 것을 기다린다(S912). 메시지가 요구되었을 때에(S912) 표시후보가 존재하면(S9l4) S910에서 검색한 메시지를 송신한다(S916). 표시후보가 없어졌을 경우에는 S910으로 되돌리고 다음 후보를 검색한다(S918). 단말(10)로부터 메시지가 요구되었을 때에(S912) 표시후보가 없으면(S914) 미리 정한 디폴트 메시지를 송신한다(S920). 로그 아웃의 요구가 없으면 S912로 되돌아간다. 로그 아웃의 요구가 있으면 절단처리를 행하여(S926) 처리를 종료한다.
2 실시형태 2
도 24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가 메시지관리장치(24)가 아니라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메시지 뷰어(76)로부터의 메시지의 요구는 메시지관리장치(24)를 거쳐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전해진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순히 메시지분배시스템(39)과 메시지 뷰어(76)의 접속 및 그들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 내에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메시지관리장치의 구성을 간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를 싼값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단일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만이 설치되므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분배시스템(39)과 정보제공장치(20)가 다른 나라 등 물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도 메시지분배시스템(39)이 설치된 장소에서만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분배시스템(39) 및 전용회선(29)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대한 액세스 빈도가 클 경우에는 실시형태 1의 구성쪽이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3 실시형태 3
도 25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3에 기재된 구성과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분배시스템(39)이 전용회선(29)이 아니라 인터넷(32)을 거쳐 정보제공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관리장치(24)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시지 뷰어(76)로부터의 메시지의 요구는 메시지관리장치(24)를 거쳐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전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 내에 메시지관리장치(24)가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 전체를 싼값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정보제공장치(20)로서 기존의 인터넷제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신속히 보급시킬 수 있다. 특히, 메시지분배시스템을 한정된 나라에만 설치하였을 경우에도 인터넷제공장치가 존재하는 세계각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 또는 2의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분배시스템(39) 및 전용회선(29)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대한 액세스 빈도가 클 경우에는 실시형태 1 또는 2의 구성쪽이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4 실시형태 4
도 26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제공장치(20)로서 인터넷(32)의 접속장치 대신에 컴퓨서브(상표), 니프티서브(상표), AOL(상표) 등의 BBS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는 각 이용자에 의한 BBS의 사용요금을 메시지분배시스템(39)에 청구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BBS 내의 정보가 각각의 정보에 알맞은 기간단말장치(10)에 보존된다. 예를 들어, 뉴스 등의 갱신빈도가 높은 정보에는 짧은 보존기간을 할당함으로써 최신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역사적 사항이나 백과사전에 기재된 사항 등의 갱신빈도가 낮은 정보에는 긴 보존기간을 할당함으로써 BBS에 대한 액세스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5 기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브라우저(74)는 인터넷(32)의 홈 페이지 정보 등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브라우저(74)는 인터넷을 거쳐 음성 통신하는 인터넷 전화 또는 인터넷 텔레비전 전화를 제공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접속로그(38)를 독립한 디스크장치의 도면으로 나타냈으나, 이들은 동일한 디스크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각 필드의 데이터 상호의 관련은 다양한 파일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파일 내의 다른 영역에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접속로그(38)를 구성하여도 된다.
기록매체의 일례로서의 플로피 디스크(56) 또는 CD-ROM(58)에는 본 출원에서 설명한 단말(10)의 동작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또 플로피 디스크(106)에는 다른 장치의 동작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RAM에 읽어 내어져 실행되어도 좋다.
기록매체로서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외에도 DVD 등의 광학기록매체, MD 등의 자기기록매체, PD 등의 광자기기록매체, 테이프매체, 자기기록매체, IC 카드나 미니어처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는 단말(10), 메시지관리장치(28) 또는 메시지분배시스템(39)을 제조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며, 그와 같은 기록매체의 업으로서의 제조 및 판매 등이 본 출원에 의거하는 특허권의 침해를 구성하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여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발명이 본 출원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도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마다 로컬 메모리에 보존하는지 여부 및 보존기간이 정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캠페인정보나 뉴스와 같이 빈번하게 갱신되는 정보는 단기간 로컬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갱신빈도가 높은 정보에 대해서는 최신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토지의 판매나 회사의 안내와 같이 갱신빈도가 낮은 정보는 장기간 단말장치의 로컬 메모리에 보존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망에 대한 액세스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보존메시지 다이얼로그 윈도우를 설치함으로써 통신망상의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지, 로컬 메모리에 보존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지를 이용자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메모리에 보존된 정보가 이용자에게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도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버튼을 누름으로써 이용자는 최신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Claims (29)

  1. 통신망을 거쳐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특정되어 있지 않은 화상을 특정하는 지정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차례로 수신하는 지정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을 거쳐 차례로 수신하는 수동적 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수동적 정보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화상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수동적 정보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 보존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지정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메시지에 의해 상기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보존설정수단과,
    상기 보존설정수단에 의한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화상을 보존하는지 여부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보존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지정정보수신수단은, 상기 이용자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화상을 지정하는 지정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1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거쳐 수신한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한 상기 화상을 삭제하는 수단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보존해야 할 기한을 특정하는 기한정보를 입력하는 기한입력수단과,
    상기 기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정보가 상기 기한정보를 가지고,
    상기 지정정보수신수단이 상기 기한입력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기한정보를 가지고,
    상기 수동적 정보수신수단이 상기 기한입력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보존기한입력수단은 상기 기한정보를 상기 단말의 이용자로부터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가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은, 상기 화상을 저장하는 용량의 한도를 나타내는 한도정보를 가지고,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메시지의 용량이 상기 한도정보로 나타나는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기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의 한도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화상의 용량이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화상의 보존일이 오래된 화상부터 순서대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는 상기 화상의 용량이 상기 한도에 근접하였을 경우에 상기 기한이 가까운 화상부터 순서대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한정보는 상기 화상의 보존을 종료하는 지정종료시와 상기 화상을 보존하는 기간을 가지고, 상기 화상의 보존을 개시하였을 때에 상기 기간을 더하였을 때 또는 상기 지정종료시 중 빠른 쪽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상과 동일한 종류의 정보가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동일한 화상을 삭제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화상을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보존수단에 보존한 화상을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화상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1. 통신망으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수신하여 보존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대응시켜진, 해당 화상을 보존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화상을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을 보존하는 기한을 특정하는 기한정보를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기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의 각각을 보존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3. 통신망을 거쳐 제 1 및 제 2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에 저장된 제 1 화상의 하나를 특정하는 상기 단말장치의 이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능동적 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되어 있지 않는 제 2 화상을 특정하는 지정정보를 상기 제 2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차례로 수신하는 지정정보수신수단과,
    상기 능동적 정보수신수단에 의한 상기 제 1 화상의 수신과 병행하여 상기 지정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화상을 포함하는 정보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망을 거쳐 차례로 수신하는 수동적 정보수신수단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화상을 상기 단말장치에 보존하는 보존수단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화상을, 상기 표시장치상에 설치한 제 1 및 제 2 표시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화상의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인 링크정보를 가지고,
    상기 제 2 화상이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상기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링크화상수신수단과,
    상기 링크화상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제 1 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였을 경우에 해당 제 1 화상이 요구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수단에 의해 보존한 상기 제 2 화상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표시수단을 더욱 가지고,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상기 이용자에 의해 요구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링크정보를 가지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링크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요구되어 있지 않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2 화상을, 다른 제 2 화상보다 상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제 1 화상의 요구를 상기 이용자로부터 입력하였을 경우에, 해당 제 1 화상이 요구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상기 제 2 화상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표시수단은 상기 다른 제 2 화상을, 해당 제 2 화상을 가지는 메시지에 의해 링크되는 상기 제 1 화상이 요구되었을 때가 오래된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19980705611A 1996-09-27 1997-09-26 통신망상의정보를로컬메모리에자동보존하는단말 KR100304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83896P 1996-09-27 1996-09-27
US60/026,838 1996-09-27
US3647597P 1997-01-28 1997-01-28
US60/036,475 1997-01-28
PCT/JP1997/003426 WO1998013761A1 (fr) 1996-09-27 1997-09-26 Terminal permettant une mise en memoire automatique dans une memoire locale d'informations transmises sur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99A KR19990081899A (ko) 1999-11-15
KR100304833B1 true KR100304833B1 (ko) 2001-11-22

Family

ID=2670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611A KR100304833B1 (ko) 1996-09-27 1997-09-26 통신망상의정보를로컬메모리에자동보존하는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3369577B2 (ko)
KR (1) KR100304833B1 (ko)
AU (1) AU4321197A (ko)
WO (1) WO1998013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9812A (en) * 1996-11-18 2000-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rowser and plural active URL manager for network computers
US6766369B1 (en) 1998-03-09 2004-07-20 Net Zero, Inc. Internet service error tracking
JP2000222327A (ja) * 1999-01-28 2000-08-11 Nec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366298B1 (en) 1999-06-03 2002-04-02 Netzero, Inc. Monitoring of individual internet usage
US6928615B1 (en) 1999-07-07 2005-08-09 Netzero, Inc. Independent internet client object with ad display capabilities
US7020690B1 (en) 1999-10-19 2006-03-28 Netzero, Inc. Inactivity timer for an internet client
US6847992B1 (en) 1999-10-19 2005-01-25 Netzero, Inc. Data pass-through to sponsors
US6757661B1 (en) 2000-04-07 2004-06-29 Netzero High volume targeting of advertisements to user of online service
US7353267B1 (en) 2000-04-07 2008-04-01 Netzero, Inc. Targeted network video download interface
KR100690601B1 (ko) * 2000-05-2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331524A (ja) * 2000-05-23 2001-11-30 Nec Corp 小売店商品広告システムおよび広告方法
JP2002064630A (ja) * 2000-06-09 2002-02-28 Hammers Inc 留守電メッセージ及びお知らせメッセージの提供方法
JP4929545B2 (ja) * 2001-08-14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JP3724730B2 (ja) * 2002-04-24 2005-12-07 村田機械株式会社 構造化文書の処理装置及び処理プログラム
US7584203B2 (en) 2002-05-14 2009-09-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rchiv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information-processing-apparatus-readable program that implements the method, and program
US9196304B2 (en) 2006-01-26 2015-11-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ilies and edited video to us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3018A (ja) * 1993-02-15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分散型文書ファイ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5741A (ja) * 1987-02-23 1988-08-25 Hitachi Ltd フアイル管理方法
JPH064369A (ja) * 1992-06-24 1994-01-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3018A (ja) * 1993-02-15 199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分散型文書ファイル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69577B2 (ja) 2003-01-20
WO1998013761A1 (fr) 1998-04-02
AU4321197A (en) 1998-04-17
JP2000250802A (ja) 2000-09-14
KR19990081899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833B1 (ko) 통신망상의정보를로컬메모리에자동보존하는단말
KR100363266B1 (ko) 메시지검색시스템및단말장치
US6314467B1 (en) Method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system using such method
KR100866063B1 (ko) 정보 표시 장치, 분배 장치 및 엑세스 이력 수집 방법
EP0698981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EP1357734A1 (en) Contents directory service system
EP1298545A2 (en) Server apparatus for image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3050922A (ja) パーソナル天気予報システム
KR100304835B1 (ko) 이용자의특성에따른화상을제공하는통신시스템및해당통신시스템에사용하는단말장치및정보제공장치
EP1531602A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02009165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 billing system for use in a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CN112307339A (zh) 基于用户画像的推荐信息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JP2002222138A (ja) 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475121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EP1357496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where program for charging and using content and program-loaded device
KR20040000474A (ko) 정보 제공 방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정보 서버 장치
US7319470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server, and content delivery method
US200200954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electronic communications
JP200200774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上で動作する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143588A (ja) 動画配信センタ装置、動画配信システム、移動体端末並びに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0229792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用の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を配信する方法
US20020188634A1 (en) Method to provide pre-selected information
US20030043112A1 (en) Cont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0304836B1 (ko)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EP1195698A1 (en) A process for supplying a web site designer or web site host type customer with a tool for transforming an image from a first format into a second for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