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764B1 -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764B1
KR100304764B1 KR1019990034698A KR19990034698A KR100304764B1 KR 100304764 B1 KR100304764 B1 KR 100304764B1 KR 1019990034698 A KR1019990034698 A KR 1019990034698A KR 19990034698 A KR19990034698 A KR 19990034698A KR 100304764 B1 KR100304764 B1 KR 10030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ie
plate
lower mold
co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660A (ko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101999003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7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콜랫 성형을 위해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형의 상형판이 하형의 하형판에 접촉되더라도 이 과정에서 상기 상형판 및 하형판에 이물질이 끼여 있거나 사출 원료가 붙어 있거나 하더라도 상기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와 함께 콜랫의 절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가 부러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금형의 수명 연장과 함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는 그 상형(200)쪽 끝단이 하형판(113)의 상형(200) 대향면상에 일치되게 원통체 성형부(114) 둘레에서 부터 하형 후크 성형부(116) 둘레에 까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는 그 하형(100)쪽 끝단이 상형판(212)의 하형(100) 대향면상에 일치되게 형성되어 상형(200)이 하형(100)쪽으로 이동되어 상형판(212)이 하형판(11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와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의 접촉지점이 상기 상형판(212)과 하형판(113)의 접촉지점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metal mold structure for molding collet of connector for coupling hose}
본 발명은 기체 또는 액체 등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호스를 연결하는 컨넥터의 구성 부품중에서 호스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랫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일부 달리하여 콜랫 성형을 위해 상형과 하형이 서로 접촉되더라도 이 과정에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파손되거나 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흐르는 호스를 연결하는 컨넥터는 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가 압력을 받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러가지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컨넥터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와 이 필터조립체에서 정수된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라인(유출호스)을 연결하거나, 공압기기와 같이 공압라인으로 부터 압축공기를 기기내에 공급하는 공급라인(공급호스)을 연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데, 통상 도 1 내지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중공상태인 컨넥터 몸체(1)의 양단부에 오링삽입공(2)이 형성되어 이 오링삽입공으로 오링(3)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컨넥터 몸체(1)의 양단부에는 오링삽입공(2)에 삽입된 오링(3)이 이탈되지 않도록 통공(4)이 형성된 캡(5)이 융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4)의 안쪽부분에는 경사면(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5)에 형성된 통공(4)에는 호스(7)를 지지하기 위한 콜랫(8)이 끼워져 조립되어 있다.
상기 콜랫(8)은 중공상태의 원통체(8a)와, 상기 원통체의 바깥측단에 형성되어 콜랫(8)의 삽입량을 제어하는 플랜지(8b)와, 상기 원통체(8a)의 안측단에 형성되어 캡(5)의 경사면(6)과 접촉되는 후크(8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콜랫(8)을 구성하는 후크(8c)와 원통체(8a)의 일부는 탄성력을 갖도록 다수의 절결홈(8d)에 의해 분할 형성되어 있고, 각 후크(8c)의 내측에는 호스(7)의 외부면과 접속되는 금속재의 지지편(8e)이 인서트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7)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컨넥터 몸체(1)에 형성된 오링삽입공(2)으로 오링(3)을 삽입한 다음 계속해서 캡(5)을 끼우고, 상기 컨넥터 몸체(1)에 끼워진 캡(5)의 통공(4)으로 콜랫(8)을 끼워야 한다.
그럼 여기서 컨넥터 몸체(1)에 끼워진 캡(5)의 통공(4)으로 콜랫(8)을 끼우는 과정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콜랫(8)을 형성하는 원통체(8a)를 내측으로 약간 오므린 상태에서 캡(5)에 형성된 통공(4)을 통해 상기 원통체(8a)를 끼워 넣으면, 상기 원통체의 끼워짐이 완료됨과 동시에 오므라들었던 원통체(8a)는 다시 복원되므로 상기 원통체의 안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8c)가 캡(5)의 경사면과 접촉되고, 이에따라 콜랫(8)이 캡(5)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하여 상기 캡의 통공(4)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콜랫(8)에 호스(7)를 밀어 넣으면, 삽입력에 의해 상기 콜랫(8)은 바깥측단의 플랜지(8b)가 캡(5)에 접촉될 때 까지 내부로 밀려 들어가므로 상기 콜랫(8)을 구성하는 후크(8c)는 캡(5)의 경사면(6)으로 부터 이탈되고, 이에따라 절결홈(8d)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원통체(8a) 및 후크(8c)가 복원되면서 외부로 확장된다.
상기 원통체(8a) 및 후크(8c)가 외부로 확장된 상태에서 호스(7)를 계속해서 밀어 넣으면, 상기 호스의 외주면이 컨넥터 몸체(1)의 오링삽입공(2)에 삽입되어 있는 오링(3)의 내경과 기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컨넥터 몸체(1)의 내부로 깊숙히 삽입되고, 이에따라 호스(7)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호스(7)가 연결된 상태에서 만약 외력을 가해 상기 호스를 잡아 당기거나 유체의 이동압력에 의해 호스가 밀려가갈려는 힘을 받게 된다면 상기 호스(7)를 지지하는 콜랫(8)이 호스(7)와 함께 외부로 빠져 나올려고 하므로 상기 콜랫(8)을 구성하는 후크(8c)가 캡(5)에 형성된 경사면(6)에 접촉되면서 눌려지는데, 상기 콜랫(8)의 후크(8c)는 원통체(8a)의 일부와 함께 절결홈(8d)에 의해 분할된 상태에 있으므로 결국 경사면(6)에 접촉되면서 오므라 들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8c)의 내부에 인서트된 지지편(8e)이 호스(7)의 외주면을 힘껏 눌러주게 되어 호스가 분리되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호스(7)를 꼭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5)에서 콜랫(8)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콜랫을 외부에서 눌러준 다음 호스(7)를 잡아 당기면 되는데, 이때에는 호스를 잡아당기더라도 콜랫(8)이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상기 콜랫의 후크(8c)에 인서트된 지지편(8e)이 호스(7)의 외주면을 눌러주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호스가 큰 어려움 없이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컨넥터에서 호스(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랫(8)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금형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 금형을 사출기에 장착하여 상기한 콜랫(8)을 성형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콜랫(8)을 성형하는 금형은 콜랫 성형시 후크(8c)의 내측으로 인서트될 지지편(8e)을 기준으로 하여 하형(100)과 상형(200)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도 3은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의 하형(100)은, 사출기의 하형고정틀에 고정될 수 있게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이 구비되고,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의 상형(200) 대향면에는 원형의 하형돌기(102)가 형성되며,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는 하형돌기(102)를 기준으로 내,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한쌍의 하형판(103)이 대향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형판의 대향면에는 하형판(103)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그 대향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돌기(102)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감싸도록 반원형의 원통체 성형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의 하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측 끝단에는 원통체 성형부(104)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반원형의 플랜지 성형부(105)가 형성되며,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104)의 상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101) 반대측 끝단에는 원통체 성형부(104)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반원형의 하형 후크 성형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104)의 둘레에는 한쌍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가 형성된다.
또한 상형(200)은, 사출기의 상형고정틀에 고정될 수 있게 상형판 지지브라켓(201)이 구비되고, 상기 상형판 지지브라켓에는 상형판(20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형판의 하형(100) 대향면에는 상형판 지지브라켓(201)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201)에 형성되어 있는 하형 돌기(102)에 접촉되게 원형의 상형 돌기(203)가 형성되고, 상기 상형판(202)의 하형(100) 대향면에는 상형 돌기(203)를 감싸면서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하형판(103)에 형성된 하형 후크 성형부(106)와 일체로 연통되게 원형의 상형 후크 성형부(204)가 형성되며, 상기 상형 후크 성형부에는 끝단이 하형판(103)의 상형 대향면 보다 돌출되어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끝단이 각 하형판(103)의 하형 후크 성형부(106) 끝단 및 하형 후크 성형부(106)의 단차면에 접촉되게 복수개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금형을 이용하여 콜랫(8)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사출기에 금형을 고정하여야 하는데, 상기 금형을 이루는 하형(100)은 사출기의 하형고정틀(도시는 생략함)에 고정하면 되고, 상형(200)은 사출기의 상형고정틀(도시는 생략함)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하형(100)이 사출기의 하형고정틀에 고정되고, 상형(200)이 사출기의 상형고정틀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형(100)과 상형(200)이 대향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데, 이후 후술하는 과정을 거쳐 콜랫(8)이 사출 성형되었을 때 콜랫(8)의 후크(8c) 내측으로 지지편(8e)이 인서트 되기 위해서는 먼저 박판상의 철판물을 프레싱하여 상기 지지편(8e)을 일체로 구비한 다음 상기 지지편이 구비된 철판물을 하형판(103)의 상형(200) 대향면이나 상형판(202)의 하형(100) 대향면에 지지시키고, 이후 상형(200)을 하형(100) 쪽으로 이동시켜 상형판(202)이 하형판(103)에 접촉되도록 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종래 금형의 하형(100)과 상형(200)이 사출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콜랫(8)을 성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형(100)을 구성하는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하형판(103)이 도시하지 않는 별도의 수단에 의해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되어 있는 하형 돌기(102)를 향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한쌍의 하형판(103)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하형판의 대향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원통체 성형부(104)가 원형을 이루게 됨은 물론 플랜지 성형부(105) 및 하형 후크 성형부(106)가 상기 원통체 성형부(104)와 단차진 상태로 각각 원형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원형의 원통체 성형부(104)와 플랜지 성형부(105) 그리고 하형 후크 성형부(106)는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감싸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형(200)을 구성하는 상형판 지지브라켓(201)에 일체 형성된 상형판(202)이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에 의해 상형판 지지브라켓(201)과 함께 하형(100) 쪽으로 이동하므로 어느 순간 상기 상형판(202)은 지지편(8e)이 구비된 철판물을 사이에 두고 하형판(103)에 접촉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형(200)의 상형 돌기(203)가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와 마주보는 상태로 접촉되고, 상기 상형(200)에 형성된 상형 후크 성형부(204)는 하형(100)의 하형 후크 성형부(106)와 마주보는 상태로 접촉되며, 상기 상형(200)의 상형 후크 성형부(204)에 그 끝단부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각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는 하형(100)의 원통체 성형부(104) 둘레에 형성된 각각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 및 상기 원통체 성형부(104)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하형 후크 성형부(106)의 단차면 적소에 동시에 접촉된다.
한편,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하여 상형판(202)이 하형판(10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형(100)의 원통체 성형부(104), 플랜지 성형부(105), 하형 후크 성형부(106)와 상형(200)의 상형 후크 성형부(204)가 일체화된 상태로 하나의 공간부를 이루게 되고, 이때에는 철판물에 일체로 구비된 지지편(8e)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형판(202)이 하형판(10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철판물이 상기 상형판(202)과 하형판(103) 사이에 위치됨을 감안할 때 상형판(202)의 하형(100) 대향면과 하형판(103)의 상형(200) 대향면에는 그 합쳐진 깊이가 철판물의 두께와 동일하게 철판물 안착홈부(216)(118)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한데, 만약 상형판(202)과 하형판(103)에 철판물 안착홈부(216)(118)가 각각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상형판(202)과 하형판(103) 사이로 철판물이 위치되었을 때 상기 상형판(202)과 하형판(103) 사이가 철판물의 두께만큼 이격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형판(202)이 하형판(103)에 접촉되면,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수단에 의해 액상의 사출 원료가 상기 하형판(203)과 상형판(202)이 접촉되면서 이루어진 공간부(하형판에 형성된 원통체 성형부, 플랜지 성형부, 하형 후크 성형부와 상형판에 형성된 상형 후크 성형부가 일체화된 상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공간부)로 공급되어 지고, 이 공급된 액상의 사출 원료는 상기 공간부에서 일정시간 후 경화되므로 하나의 콜랫(8)이 사출 성형된다.
이후에는 다시 상형(200)을 하형(10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형판(202)이 하형판(103)에서 떨어지도록 한 다음 상기 한쌍의 하형판을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와 반대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이젝트 핀을 이용해 성형 완료된 콜랫(8)을 밀어내면 된다.
한편, 상기한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 직후의 지지편(8e)을 후크(8c)의 안쪽에 인서트시키기 위한 철판이 그대로 붙어 있게 되므로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편만을 제외한 나머지 철판물을 분리하는 후작업을 실시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고, 후작업에 의해 철판물이 분리되고 난 상태의 콜랫은 도 5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데, 상기 콜랫(8)을 구성하는 원통체(8a)는 하형(100)의 원통체 성형부(104)와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 사이의 이격에의해 일정두께와 높이로 형성되고, 플랜지(8b)는 하형(100)의 플랜지 성형부(105)와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 사이의 이격에 의해 일정두께와 높이로 형성되며, 후크(8c)는 하형(100)의 하형 후크 성형부(106)와 하형판 지지브라켓(101)에 형성된 하형 돌기(102) 사이의 이격 및 상형(200)의 상형 후크 성형부(204)와 상형 돌기(203) 사이의 이격에 의해 일정두께와 높이로 형성되고, 절결홈(8d)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와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에 의해 복수개 형성되는데, 종래 금형에 의해 성형된 콜랫(8)의 절결홈(8d)은 상기 절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와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가 대략 일직선 상태에 있음을 감안할 때 절결홈(8d) 또한 대략 일직선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콜랫 성형용 금형은 콜랫(8)의 절결홈(8d)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가 원통체 성형부(104)의 둘레에만 국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와 함께 콜랫(8)의 절결홈(8d)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는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금형에 의해 콜랫을 성형하기 위해 사출기의 상형을 하형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형판(202)을 하형판(103)에 접촉시킬 때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 및 하형 후크 성형부(106)의 단차면에 접촉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107) 및 하형 후크 성형부(106)의 단차면에 이물질이 끼여 있거나 사출 원료가 붙어 있거나 하였을 경우(실제로 사출 원료에는 석분(石粉)성분이 들어 있음) 상기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05)가 부러지게 되고, 이 경우에는 더이상 콜랫의 성형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금형을 다시 만들어야 하므로 금형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콜랫 성형을 위해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형의 상형판이 하형의 하형판에 접촉되더라도 이 과정에서 상기 상형판 및 하형판에 이물질이 끼여 있거나 사출 원료가 붙어 있거나 하더라도 상기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와 함께 콜랫의 절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가 부러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 및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의 구조를 달리하여 콜랫의 성형을 위해 상형판이 하형판에 접촉될 때 상기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가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에 접촉되더라도 부러지거나 하지는 않도록 한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호스 연결용 컨넥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호스 연결용 컨넥터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a는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되기 전 상태도
도 4b는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된 후 상태도
도 5는 종래 콜랫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콜랫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되기 전 상태도
도 7b는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된 후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콜랫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형 111. 하형판 지지브라켓
112. 하형 돌기 113. 하형판
114. 원통체 성형부 115. 플랜지 성형부
116. 하형 후크 성형부 117. 하형 절결홈 성형부
200. 상형 211. 상형판 지지브라켓
212. 상형판 213. 상형 돌기
214. 상형 후크 성형부 215. 상형 절결홈 성형부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은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를 하형 후크 성형부 쪽으로 연장시켜 상형과의 대향되는 끝단이 하형판의 상형 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는 하형과의 대향되는 끝단이 상형판의 하형 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실시예에 따라 보다 구체화 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형(100)은, 사출기의 하형고정틀에 고정될 수 있게 하형판 지지브라켓(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의 상형(200) 대향면에는 원형의 하형돌기(112)가 형성되며,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111)에는 하형돌기(112)를 기준으로 내,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한쌍의 하형판(113)이 대향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 하형판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하형판(113)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그 대향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111)에 형성된 하형돌기(112)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도록 반원형의 원통체 성형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의 하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111)측 끝단에는 원통체 성형부(114)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반원형의 플랜지 성형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114)의 상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111) 반대측 끝단에는 원통체 성형부(114)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반원형의 하형 후크 성형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114)의 둘레에서 하형 후크 성형부(116) 둘레에 까지 연이어 지게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는 하형 후크 성형부(116) 둘레에 까지 연이어져 있으므로 그 상형(200) 대향부분 끝단이 하형판(113)의 상형(200) 대향면과 동일선상이 위치된다.
또한 상형(200)은, 사출기의 상형고정틀에 고정될 수 있게 상형판 지지브라켓(211)이 구비되고, 상기 상형판 지지브라켓에는 상형판(2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형판의 하형(100) 대향면에는 상형판 지지브라켓(211)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211)에 형성되어 있는 하형 돌기(112)에 접촉되게 원형의 상형 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형판(212)의 하형(100) 대향면에는 상형 돌기(213)를 감싸면서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하형판(113)에 형성된 하형 후크 성형부(116)와 일체로 연통되게 원형의 상형 후크 성형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상형 후크 성형부에는 그 하형(100) 대향부분 끝단이 상형판(212)의 하형(100) 대향면상에 일치되어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끝단이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접촉되게 복수개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되어 상형판(212)이 하형판(11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형 콜랫(8)에 절결홈(8d)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의 접촉지점이 상형(200)과 하형(100)의 접촉부분인 경계선상에 있게됨을 감안할 때 반드시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의 전부분이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와 접촉될 필요는 없고 일부분만이 접촉되어도 되는데, 오히려 일부분만이 접촉되게 하면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 및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이물질이 끼여 있거나 성형 원료가 붙어 있더라도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그만큼 큰 힘을 받지 않게됨에 따라 여러가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 일부분만이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접촉되기 위해서는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와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약간 엇갈리게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금형을 이용하여 콜랫(8)을 사출 성형하는 대부분의 과정은 기 설명된 종래 금형에 의해 콜랫(8)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므로 구체화하지는 않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 금형의 요부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일부 과정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콜랫(8)을 사출 성형하기 위해 상형(200)이 하형(10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형판(212)이 하형판(11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도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접촉되는데, 이 접촉점은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가 하형(100)의 원통체 성형부(114) 둘레에서 하형 후크 성형부(116) 둘레에 까지 연이어 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그 끝단이 상형판(212)의 하형(100) 대향면상에 일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형(200)과 하형(100)의 접촉점인 경계면상에 위치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형판(212)이 하형판(113)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접촉될 때 기 설명된바와같이 상기 하형 절결홈 성형부는 하형(100)의 원통체 성형부(114) 둘레에서 하형 후크 성형부(116) 둘레에 까지 연이어 지게 형성되어 상형(200) 대향부분 끝단이 하형판(113)의 상형(200) 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있고,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는 그 하형(100) 대향부분 끝단이 상형판(212)의 하형(100) 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있으므로 콜랫(8)에 절결홈(8d)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와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의 접촉은 이루어 지면서도 이 접촉 과정에서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가 부러지거나 하는 일은 없게된다.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콜랫(8)에 절결홈(8d)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와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는 반드시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게 하여 전부분이 서로 접촉될 필요는 없고,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게 하여 일부분만이 접촉되게 하여도 되고, 이렇게 일부분이 접촉되게 하였을 경우에는 상형판(212)이 하형판(113)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 및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에 이물질이 끼여 있거나 성형 원료가 붙어 있더라도 접촉에 따라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에 가해지는 힘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상형 절결홈 성형부의 파손율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에 의해 성형된 콜랫(8)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와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에 의해 형성된 콜랫(8)의 절결홈(8d)은 상형(200)과 하형(100)의 경계면상을 기준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약간 엇갈리게 되어 있고, 이는 상형(200)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215)와 하형(100)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117)가 일부만 접촉된 상태로 하여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콜랫 성형용 금형은 콜랫에 절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 절결홈 성형부은 그 끝단이 하형판의 상형 대향면상에 일치하도록 상기 하형판에 형성된 원통체 성형부 둘레에서 하형 후크 성형부 둘레에 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상형 절결홈 성형부는 그 끝단이 상형판의 하형 대향면상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형이 하형 쪽으로 이동하여 상형판이 하형판에 접촉될 때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가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에 접촉되더라도 부러지거나 하지 않아 금형의 수명을 오래도록 지속시킬 수 있게되어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갈할 수 있음은 물론 금형에 의한 제품(콜랫)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형은 하형판 지지브라켓의 상형 대향면에 형성된 원형의 하형돌기와, 상기 하형판 지지브라켓에 하형돌기를 기준으로 내,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하형판과, 상기 각 하형판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형성되어 하형판이 내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그 대향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하형 돌기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감싸도록 하는 반원형의 원통체 성형부와,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의 일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측 끝단에 원통체 성형부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된 반원형의 플랜지 성형부와,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의 다른 일단인 하형판 지지브라켓 반대측 끝단에 원통체 성형부와 단차지게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된 반원형의 하형 후크 성형부와, 상기 각 원통체 성형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각 하형판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하형 돌기의 둘레면에 접촉되는 하형 절결홈 성형부로 구성되고, 상형은 상형판 지지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된 상형판과, 상기 상형판의 하형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형판 지지브라켓이 하형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하형판 지지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하형 돌기에 접촉되는 원형의 상형 돌기와, 상기 상형판의 하형 대향면에 상형 돌기를 감싼상태로 형성되어 상형이 하형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각 하형판에 형성된 하형 후크 성형부와 일체로 연통되는 원형의 상형 후크 성형부와, 상기 상형 후크 성형부에 형성되어 상형이 하형 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끝단이 각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와 접촉되는 상형 절결홈 성형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는 그 상형쪽 끝단이 하형 후크 성형부 쪽으로 연장되어 하형판의 상형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는 그 하형쪽 끝단이 상형판의 하형 대향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상형이 하형쪽으로 이동되어 상형판이 하형판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와 하형 절결홈 성형부의 접촉지점이 상기 상형판과 하형판의 접촉지점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형의 하형 절결홈 성형부와 상형의 상형 절결홈 성형부가 길이방향으로 약간 엇갈리게 위치되어 상기 상형 절결홈 성형부의 일부분만이 하형 절결홈 성형부에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KR1019990034698A 1999-08-20 1999-08-20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KR10030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698A KR100304764B1 (ko) 1999-08-20 1999-08-20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698A KR100304764B1 (ko) 1999-08-20 1999-08-20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60A KR20010018660A (ko) 2001-03-15
KR100304764B1 true KR100304764B1 (ko) 2001-09-24

Family

ID=1960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698A KR100304764B1 (ko) 1999-08-20 1999-08-20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897B1 (ko) * 2004-07-05 2006-10-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660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786B1 (ko) 프레스 성형장치
US4531703A (en) Mold permitting air ejection of a flanged article
CA1184366A (en) Mold, process of molding, and article molded by such process
KR100304764B1 (ko) 호스 연결용 컨넥터의 콜랫 성형용 금형구조
JPH07241644A (ja) 押出装置
KR100255313B1 (ko) 복합 성형용 금형
KR200235741Y1 (ko) 압축성형 가공용 이젝터 핀
CN220297700U (zh) 一种便于从壳体内脱离的注塑模具
KR0136471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KR100542258B1 (ko) 폴리우레탄 포옴 성형용 금형의 에어벤트 장치
CN216937919U (zh) 卡压式管件水涨成型模具
KR100542253B1 (ko) 폴리우레탄 포옴 성형방법
KR102172870B1 (ko) 이형 특성이 우수한 콘택트 렌즈 제조용 주형
KR200476473Y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 및 오목주형 성형장치
SU1689093A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резиновых уплотнительных колец
KR200151275Y1 (ko) 프레스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100604226B1 (ko) 디스크 기판 성형용 금형
JP3190289B2 (ja) アキュムレータ
KR0169544B1 (ko) 리스트라이킹 금형 구조
JPH09208240A (ja) 前照灯レンズ成形装置
KR200394698Y1 (ko) 엘보우관 거푸집 제조장치
CN117656382A (zh) 一种罩壳加工用模具
CN109119868B (zh) 连接器封装模具
JP2724129B2 (ja) 合成樹脂製品
KR910004695Y1 (ko) 피에조 스피커(Piezo Speaker)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