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136B1 -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136B1
KR100303136B1 KR1019970058972A KR19970058972A KR100303136B1 KR 100303136 B1 KR100303136 B1 KR 100303136B1 KR 1019970058972 A KR1019970058972 A KR 1019970058972A KR 19970058972 A KR19970058972 A KR 19970058972A KR 100303136 B1 KR100303136 B1 KR 10030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ion
digital signal
logic operation
arithmetic logic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030A (ko
Inventor
유대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5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1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07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data operands
    • G06F9/30029Logical and Boolean instructions, e.g. XOR, N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 G06F9/30043LOAD or STORE instructions; Clear i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36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또는 상기 명령어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인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산술논리 연산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타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출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명령어 인출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상기 신호 발생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명령어 인출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입력된 명령어를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로 각각 분리하는 명령어 분리부와; 상기 명령어 분리부의 분리 동작에 의해 분리된 상기 신호 발생부의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종속관계에 따라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의 실행순서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실행순서를 결정하는 실행순서 제어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 동작이 이루어지는 디지탈신호 처리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에 따라 산술논리 연산 동작이 이루어지는 산술논리 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발생경로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발생경로를 분리 운용하여 단일의 동작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명령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구조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발생경로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발생경로를 분리 운용하여 단일의 동작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명령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기억장치와 연산장치로 구성되어 소정의 데이타 처리에 의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운용하는 프로그램이 대용량화되고, 이와 같은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의 크기 또한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타(디지탈신호)만을 처리하기 위한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는 화상정보 또는 음악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장치가 매우 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사실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프로그램 메모리(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곳이다. 이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프로그램 카운터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계수값에 따라 여러 가지 명령어를 출력한다.
또다른 저장수단인 데이타 메모리(4)는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또는 명령어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가 저장되는 곳이다.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는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명령어를 인출하도록 명령어 인출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산술논리 연산에 필요한 신호를 각각 생성하며, 데이타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데이타 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출한다.
명령어 인출부(2)는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생성된 명령어 인출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어드레스 생성부(3)로 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는 디지탈신호 처리부(5)의 동작에 의해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치게된다. 또한 산술논리 연산부(6)에서는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출력되는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를 처리하는 일련의 산술논리 연산동작이 이루어진다.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는 이때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는 단일의 경로를 통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 또는
그러나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어드레스 생성부(3)의 명령어 출력경로는 하나이며, 이 단일의 명령어 출력경로를 통하여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각각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로 전달되는 것이다.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의 출력 경로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의 출력 경로 역시 단일의 출력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비록 디지탈신호 처리동작과 산술논리 연산동작이 동시에 수행된다 하더라도 그 입력과 출력은 순차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각각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번의 동작 사이클이 발생해야 한다. 또한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의 출력과 산술논리 연산장치(6)의 출력이 모두 이루어지기 위해서도 역시 두 번의 동작 사이클이 발생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발생경로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발생경로를 분리 운용하여 단일의 동작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명령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로그램 메모리 2 : 명령어 인출부
3 : 어드레스 생성부 4 : 데이타 메모리
5 : 디지탈신호 처리부 6 : 산술논리 연산장치
7 : 명령어 분리부 8 : 실행순서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또는 상기 명령어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인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산술논리 연산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타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출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명령어 인출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상기 제 1 메모리에서 상기 신호 발생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명령어 인출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입력된 명령어를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로 각각 분리하는 명령어 분리부와; 상기 명령어 분리부의 분리 동작에 의해 분리된 상기 신호 발생부의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종속관계에 따라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의 실행순서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실행순서를 결정하는 실행순서 제어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 동작이 이루어지는 디지탈신호 처리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에 따라 산술논리 연산 동작이 이루어지는 산술논리 연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메모리인 프로그램 메모리(1)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곳이다. 이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제로 프로그램 카운터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계수값에 따라 여러 가지 명령어를 출력한다.
제 2 메모리, 즉 또다른 저장수단인 데이타 메모리(4)는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또는 명령어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가 저장되는 곳이다.
신호 발생부인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는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명령어를 인출하도록 명령어 인출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산술논리 연산에 필요한 신호를 각각 생성하며, 데이타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데이타 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출한다.
명령어 인출부(2)는 어드레스 생성부(3)에서 생성된 명령어 인출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어드레스 생성부(3)로 인출되도록 한다.
명령어 분리부(7)는 어드레스 생성부(3)에 입력된 명령어를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로 각각 분리한다. 디지탈신호 처리 과정에서는 대개 승산과 가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명령어 분리부(7)에 의해 분리되는 명령어들은 승산과 가산에 관련된 함수들이지만, 이보다는 실제로 처리되어야 할 디지탈신호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로 분리되는 명령어들은 디지탈신호 처리과정에서 요구되는 연산 관련 명령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행순서 제어부(8)는 명령어 분리부(7)의 분리 동작에 의해 분리된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종속관계(dependancy)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의 각각의 실행순서를 결정한다. 이와 함께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종속관계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실행순서도 결정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에서 어드레스 생성부(3)로 인출된 명령어들은 일련의 실행순서를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실행순서 제어부(8)를 통하여 각 명령어의 실행순서를 또 한번 결정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 분리부(7)에 의해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새롭게 분리되면서 기존의 실행순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실행순서를 결정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행순서 제어부(8)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는 디지탈신호 처리부(5)의 동작에 의해 일련의 처리과정을 거치게되며, 산술논리 연산부(6)에서는 실행순서 제어부(8)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를 처리하는 일련의 산술논리 연산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어드레스 생성부(3)와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전달경로와 어드레스 생성부(3)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 사이의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전달경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명령어 분리부(7)와 실행순서 제어부(8)에 의해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서로 분리되고 또 독립된 실행순서를 갖기 때문에, 디지탈신호 처리장치(5)와 산술논리 연산장치(6)의 입출력 동작이 단일의 동작 사이클 동안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발생경로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발생경로를 분리 운용하여 단일의 동작 사이클 동안에 복수의 명령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정정) 복수의 명령어처리가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제1메모리와; 상기 제1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 또는 상기 명령어의 실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타가 저장되는 제2메모리와; 상기 제1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인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디지탈신호 처리에 필요한 신호와 산술논리 연산에 필요한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타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인출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명령이 인출신호에 따라 디지탈신호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가 상기 제1메모리에서 상기 신호 발생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명령어 인출부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입력된 명령어를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로 각각 분리하는 명령어 분리부와; 상기 명령어 분리부의 분리 동작에 의헤 분리된 상기 신호 발생부의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종속관계에 따라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의 실행순서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의 실행순서를 결정하는 실행순서 제어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 동작이 이루어지는 디지탈신호 처리부와; 상기 실행순서 제어부에 의해 실행순서가 결정된 상기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에 따라 산술논리 연산 동작이 이루어지는 산술논리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와 상기 디지탈신호 처리부 사이의 디지탈신호 처리 명령어 전달경로와 상기 신호 발생부와 상기 산술논리 연산부 사이의 산술논리 연산 명령어 전달경로가 상호 독립된 전달경로를 갖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구조.
  2. (정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분리부의 명령어 분리 동작이 상기 신호 발생부의 디코딩 동작 이후 또는 이전에 실시되는 것이 특징인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를 구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구조.
  3. (삭제)
  4. (삭제)
KR1019970058972A 1997-11-10 1997-11-10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KR10030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72A KR100303136B1 (ko) 1997-11-10 1997-11-10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72A KR100303136B1 (ko) 1997-11-10 1997-11-10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30A KR19990039030A (ko) 1999-06-05
KR100303136B1 true KR100303136B1 (ko) 2001-11-22

Family

ID=3752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972A KR100303136B1 (ko) 1997-11-10 1997-11-10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1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863A (en) * 1989-10-23 1992-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gnal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independently, simultaneously operable alu and mac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863A (en) * 1989-10-23 1992-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gnal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independently, simultaneously operable alu and mac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30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6525A (en) Pipeline-controlled data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instructions simultaneously
JP2992223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命令ビット長圧縮方法、命令発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動作方法
US53576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concurrent multiple instruction thread processing by a single pipeline processor
EP0094535B1 (en) Pipe-line data processing system
US4954947A (en) Instruc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branch instruction at high speed
US5095426A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effectively handling exceptions during execution of two different types of instructions
JP3004108B2 (ja) 情報処理装置
EP0297943B1 (en) Microcode reading control system
KR930003124B1 (ko) 파이프라인방식의 분기명령제어장치
US4924377A (en) Pipelined instruction processor capable of reading dependent operands in parallel
KR100303136B1 (ko) 디지탈신호처리장치를구비한마이크로프로세서구조
JPS62226231A (ja) プロセツサ
US5819081A (en) Method of executing a branch instruction of jumping to a subroutine in a pipeline control system
JPS5991551A (ja) 分岐先アドレス予測を行なう命令先取り装置
JP3035108B2 (ja) 並列演算処理装置
JPH0228723A (ja) ループ命令実行方式
JP2583614B2 (ja) ベクトル演算装置
JPH0816392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動作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命令シーケンス実行方法
KR900002601B1 (ko)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방식
JPH0248733A (ja) 情報処理装置
KR900005340B1 (ko) 파이프라인 제어방식(pipeline control system)
JPH04213727A (ja) 情報処理装置
JPH06332698A (ja) 情報処理装置
JPH0348535B2 (ko)
JPS62446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