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766B1 -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766B1
KR100302766B1 KR1019960036317A KR19960036317A KR100302766B1 KR 100302766 B1 KR100302766 B1 KR 100302766B1 KR 1019960036317 A KR1019960036317 A KR 1019960036317A KR 19960036317 A KR19960036317 A KR 19960036317A KR 100302766 B1 KR100302766 B1 KR 10030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timing
amount
throttle valve
advance
advanc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645A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3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7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는 절약 모드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며 상기 절약 모드에서보다 낮은 차속일 때 변속이 이루어지는 파워모드 등을 갖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자동 변속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엔진 제어장치의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변속패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패턴의 상태에 따라 점화시기의 진각량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의 진각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과 함께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에 따른 진각량을 엔진 점화시기의 진각량을 설정하는데 이용하므로 보다 정확한 점화시기를 설정할 수 있어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배출되는 유해 배기 가스의 농도가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의해서 엔진 점화시기의 진각량을 조절하는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이 변속을 할 때에는 변속 제어장치가 스로틀 포지션 센서(TPS : throttle position sensor)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감지하고, 상기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변화하는 자동 변속기의 입력 토오크와 출력 토오크의 차로 점화시기 진각량을 계산하여 엔진 제어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엔진 제어장치는 계산된 점화시기 진각량을 이용하여 엔진 점화시기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은 저연비, 저소음 상대의 주행을 하는 절약(ECONOMY) 모드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며 상기 절약 모드에서보다 낮은 차속일 때 변속이 이루어지는 파워(POWER) 모드 등의 변속패턴을 고려하지 않고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만으로 점화시기 진각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유해 배기 가스의 농도가 짙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의해서 엔진점화시기의 진각량을 조절하여 유해 배기 가스의 농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는 절약 모드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할때 사용하며 상기 절약 모드에서보다 낮은 차속일 때 변속이 이루어지는 파워모드를 구비하는 변속패턴을 갖는 자동변속기의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속패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파워모드이면 파워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절약 모드이면 절약 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의 진각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는 절약 모드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할때 사용하며 상기 절약 모드에서보다 낮은 차속일때 변속이 이루어지는 파워모드를 구비하는 변속 패턴을 갖는 자동변속기의 엔진 전화시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속패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파워모드이면 파워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절약 모드이면 절약 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의 진각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출력 제어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변속 제어장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이 파워모드인지 절약 모드인지 판단한다(S100 ∼ S101).
상기 판단 결과 절약 모드이면 절약 모드에 따른 진각량(T1)을 점화시기 진각량(t)으로 설정하고, 파워모드이면 파워모드에 따른 진각량(T2)을 점화시기 진각량(t)으로 설정한다(S103 ∼ S105).
다음으로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을 변속 제어장치내에 설정된 스로틀 밸브의 제1기준 개도량(Th1)과 스로틀 밸브의 제2기준 개도량(Th2)과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한다(S107).
상기 대소 판단 결과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이 스로틀 밸브의 제1기준 개도량(Th1) 보다 작으면, 이때의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과 상기 과정에서 변속패턴에 의해 설정된 진각량(T1 또는 T2)에 따라 설정되는 진각량(Tx1)을 점 화시기 진각량(t)으로 설정하고(S109),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이 스로틀 밸브의 제1기준 개도량(Th1) 보다는 크고 스로틀 밸브의 제2기준 개도량(Th2) 보다 작으면, 이때의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과 상기 과정에서 변속패턴에 의해 설정된 진각량(T1 또는 T2)에 따라 설정되는 진각량(Tx2)을 점화시기의 진각량(t)으로 설정하고(S111),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이 스로틀 밸브의 제2기준 개도량(Th2) 보다는 크면, 이때의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과 상기 과정에서 변속패턴에 의해 설정된 진각량(T1 또는 T2)에 때에 따라 설정되는 진각량(Tx3)을 점화시기의 진각량(t)으로 설정한다(S113).
(T1 : 절약 모드에 따른 진각량, T2 : 파워모드에 따른 진각량,
Th :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 Th1 : 스로틀 밸브의 제1기준 개도량, Th2 : 스로틀 밸브의 제2기준 개도량, t : 엔진 제어장치로 전송되는 점화시기 진각량, Tx1, Tx2, Tx3 :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Th)과 밴속패턴(T1 또는 T2)에 따라 설정되는 진각량.)
상기의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점화시기의 진각량(t)은 변속패턴이 절약 모드냐 파워 모드냐에 따른 진각량과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의 조합에 의해 설정되는 진각량이므로 각 단계에서 설정된 점화시기의 진각량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상기 변속 제어장치는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설정된 점화시기 진각량을 엔진 제어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엔진 제어장치는 변속 제어장치에서 입력된 점화시기 진각량을 이용하여 엔진의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과 함께 자동 변속기의 변속패턴에 따른 진각량을 엔진 점화시기의 진각량을 설정하는데 이용하므로 보다 정확한 점화시기를 설정할 수 있어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배출되는 유해 배기 가스의 농도가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저연비, 저소음 상태의 주행을 하는 절약 모드와,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하며 상기 절약 모드에서보다 낮은 차속일 때 변속이 이루어지는 파워 모드를 구비하는 변속패턴을 갖는 자동변속기의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빈속패턴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파워 모드이면 파워 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상기 변속패턴이 절약 모드이면 절약 모드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 진각량으로 대입하는 단계와; 스로틀 밸브의 실제 개도량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변속패턴과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른 진각량을 점화시기의 진각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점화시기의 제어방법.
KR1019960036317A 1996-08-29 1996-08-29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KR10030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17A KR100302766B1 (ko) 1996-08-29 1996-08-29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17A KR100302766B1 (ko) 1996-08-29 1996-08-29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45A KR19980016645A (ko) 1998-06-05
KR100302766B1 true KR100302766B1 (ko) 2001-11-22

Family

ID=3752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317A KR100302766B1 (ko) 1996-08-29 1996-08-29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7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45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1115A (en) Method for controlling fuel supply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 deceleration
EP0825336A3 (en) Air-fuel ratio feedback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0004282A1 (fr) Procede d'appreciation des deteriorations d'un dispositif catalyseur pour la regulation des gaz d'emission
JPS62258131A (ja)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付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KR100194174B1 (ko)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
KR100302766B1 (ko) 엔진점화시기의제어방법
KR950014574A (ko) 차량용 불꽃점화식 2싸이클엔진의 감속제어장치
KR950019103A (ko)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제어 장치
JPS63176635A (ja) 電子燃料噴射制御装置
KR101827513B1 (ko) Egr 장치
KR100308984B1 (ko) 희박연소엔진의와류형성밸브제어방법
KR970011347A (ko) 엔진 출력 제어 장치
JPS5848748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方法
KR200205667Y1 (ko) 산소 희박/농후 판정장치
KR100401840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337340B1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KR100290409B1 (ko) 자동차의희박연소엔진장치및제어방법
KR100748647B1 (ko)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KR970027740A (ko) 린번엔진의 공연비제어방법
KR100440111B1 (ko) 희박연소엔진제어방법
KR100412726B1 (ko) 자동차의 공연비 제어방법
KR100270549B1 (ko) 무부하최고속도제어방법
KR100428174B1 (ko) 디젤 엔진의 초기 시동시 매연 저감 제어 방법
WO1999050549A3 (de) Motorsystem mit einem verbrennungsmotor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JPH0759907B2 (ja) 内燃機関の減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