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202B1 -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202B1
KR100300202B1 KR1019990023155A KR19990023155A KR100300202B1 KR 100300202 B1 KR100300202 B1 KR 100300202B1 KR 1019990023155 A KR1019990023155 A KR 1019990023155A KR 19990023155 A KR19990023155 A KR 19990023155A KR 100300202 B1 KR100300202 B1 KR 10030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ate
machine
weigh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036A (ko
Inventor
장철
Original Assignee
장철
한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 한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철
Priority to KR101999002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2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발명의 명칭)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목적) 벼의 수매시 벼의 현수율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제현율 측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구성) 측정장치 케이스(1) 내에서 중력이 미치는 수직방향의 위로 부터 벼의 중량측정기(2), 임페라형 현미기(3), 분리기(4), 입선별기(5), 승강기(6), 수납통(7), 컴퓨터(8) 등을 상하로 콤팩트하게 배치하여 일관된 일방향 처리동작으로 벼의 수분과 중량과 현미의 중량 등을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벼의 수매시에 벼의 제현율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것이다.

Description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A INSTRUMENT MEASURING OF RATE OF RACE}
본 발명은 정부에서 농민으로 부터 벼를 수매할 때 수매가를 정하기 위하여 벼의 제현율(벼와 현미의 중량비)을 측정하는 벼의 제현율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수매할 때의 수매가는 벼의 제현율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벼가 고수분의 경우에는 왕겨부분의 중량비가 높고 벼의 저수분의 경우에는 현미부분의 중량비가 높다. 따라서 벼의 고수분과 저수분의 제현율에 다소의 편차가 있기 때문에 벼의 등급판정에 다소의 어려움이 있다.
종래 제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벼의 수분을 15% 정도로 건조하고 (건조하는데 약 8시간 소요됨) 건조된 벼의 수분과 무게를 측정하고 도정한 다음 왕겨와 현미의 각 중량을 측정하여 현미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 종래의 측정장치는 벼의 투입장치와 승강기기를 각각 구비한 정선기와 현미기를 좌우 횡열로 배치하고 현미기의 측방에 입선별기를 배치하여 일측방에서 원료를 투입하면 타측방에서 현미가 배출되는 횡방향의 처리시스템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었다.
종래의 제현율 측정장치는 횡열로 배되어 있고 2대의 승강기가 정선기와 현미기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부피가 크고 운반취급이 불편하며 특히 고무롤러형 현미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벼를 탈부할 수 없고 벼를 적어도 8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이 15% 이하로 유지해야만 탈부되었다.
따라서 벼의 신속한 수매작업이 어렵고 농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현율의 측정장치에 있어서, 측정장비의 구조가 간단하고 콤팻트화 되어 운반 취급이 용이하고 벼의 수분함량에 제한 받지 않고 즉석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제현율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판정하여 농민들예게 신속하게 벼의 수매가격을 지불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측에서 부터 벼의 수분 및 중량측정기, 임페라형 현미기, 입선별기 등을 상하로 배치하고 현미기의 타측방에는 싸이크론형 분리기를설치하며 현미기의 일측방에는 승강기를 배치하여 상부의 투입구에 측정할 벼를 투입하면 자동적으로 벼의 수분과 중량을 측정하는 동시 현미기에 의하여 수분이 많은 벼인 경우에도 탈부되고 1차 탈부된 현미를 승강기에 의하여 현미기에 재차 투입하여 반복하여 완전하게 탈부하는 동시 탈부된 현미를 분리하여 입선별하고 현미의 중량을 측정한 다음 벼의 수분과 중량 및 현미의 중량의 측정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시키어 미리 입력된 수분함량에 따른 제현율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각종 수분량을 가진 벼의 제현율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처리 프로세서의 플로우 차트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스, 2 : 벼의 중량측정기, 3 : 임페라형 현미기,
4 : 분리기, 5 : 입선별기, 6 : 승강기,
7 : 수납통, 8 : 컴퓨터 이다.
제현율 측정장치의 케이스(1)의 중앙 상단부에 로드셀(2a)과 수분 측정 셀(2b)이 구비된 벼의 수분 및 중량측정기(2)를 배치하고 그 하방측에 홉퍼(3a)를 가진 임페라형 현미기(3)를 모터(3m)에 의하여 구동되게 설치하여 홉퍼에 담긴 벼가 유입구(3b)를 통하여 임페라 중심부에 투입되어 원심력으로 탈부되게 한다.
현미기(3)의 타측방에 싸이크론형 원심분리기(4)를 현미기와 도관(4a)으로 연관되게 배치하여 공기는 상방 개구부(4b)로 배출되고 왕겨는 분리되어 배출관(4c)으로 배출되게 하며, 현미기(3)의 하방에 입선별기(5)를 배치하여 현미기에서 탈부된 현미가 입선별기(5)의 유입구(5a)로 유입되어 현미는 유출구(5b)로 유출되어 중량측정 셀(7s)이 구비된 수납통(7)에 수납되고 절미는 유출구(5b')로 유출되어 별개의 수납통(7')에 담기게 한다.
현미기의 측방에는 승강기(6)를 배치하여 승강홉퍼(6a)가 승강기(6)의 상단부센서(s), 중간부센서(s'), 하단부센서(s')에 의하여, 현미기(3)의 홉퍼(3a)와,입선별기(5)의 유입구(5a) 및 중간 홉퍼(3d)의 유출구(3d')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여, 곡류를 이송하여 반복적으로 탈부하거나 선별처리 할 수 있게 하며 입선별기의 타측방에는 프린터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용 컴퓨터(8)를 배치하여 홉퍼에 투입된 피측정벼가 낙하중력의 방향으로 순차 이동되면서 탈부 및 입선별되어 자동으로 제현율을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매할 벼의 시료로서 약 300g의 벼를 중량측정기(2)에 투입하면 로드셀(2a)과 수분 측정셀(2b)에 의하여 벼의 전체 중량과 벼의 수분이 측정되는 동시 벼는 하락하여 현미기(3)의 홉퍼(3a)를 통하여 유입구(3b)로 유입되어 모터(3m)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되는 임페러에 의하여 탈부된다.
벼껍질은 도관(4a)을 통하여 싸이크론형 분리기(4)로 유입되어 공기는 상부의 개구부(4b)로 유출되고 가라앉은 왕겨는 배출구(4c)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현미기(3)의 유출구(3c)로 유출된 현미는 중간홉퍼(3d)를 통하여 승강홉퍼(6a)에 담긴다. 이때 승강기(6)가 작동되어 승강홉퍼(6a)는 상단부 센서(s)에서 전자적으로 정지되면, 승강홉퍼(6a)의 개구가 열리면서 다시 현미기(3)의 홉퍼(3a)에 유입되어 재 탈부된다. 완전 탈부된 현미는 중간 홉퍼(3d)를 통하여 승강홉퍼(6a)에 담긴 다음 승강기(6)의 중간부 센서(s')에서 정지된 다음 입선별기(5)의 유입구(5a)에 유입되어 입(粒)선별된다.
여기에서 잡석과 절미 등이 분리된 현미는 유출구(5b)를 통하여, 중량 측정셀(7s)이 구비된 수납통(7)에 수납되고 절미 등은 다른 유출구(5b')로 유출되어 다른 수납통(7')에 담긴다.
이렇게 측정된 벼의 수분과 중량 및 현미의 중량 등의 데이터는 컴퓨터(8)에 입력되어 미리 입력되어 있는 수분별 제현율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확한 제현율을 계산 판정한다.
본 발명의 제현율 측정 시스템은 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러, 벼의 수분 및 중량측정기와, 임페라형 현미기 및 입선별기 등을 상하로 배치하고 현미기의 타측방에는 왕겨분리기를, 그 일측방에는 승강기를 설치하고 입선별기의 타측방에는 컴퓨터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승강기 수도 하나로 줄고 기체가 간단하며 소형으로 콤팩트화 되어 운반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벼를 투입하여 현미로 나오기까지의 일관된 단일 처리순서대로 모든 장치가 합리적으로 배치되어 작업성이 높고 측정시간이 단축되며, 수분이 많은 벼의 수분과 벼와, 현미의 중량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보다 정화하고 신속하게 제현율을 파악하여 지체 없이 벼 수매금액을 지불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벼의 제현율 측정시스템에 있어서, 케이스(1)에 벼의 수분 및 중량측정기(2)와 임페라형 현미기(3)와, 입선별기(5)를 상하로 배치하고 현미기(3)의 타측방에는 싸이크론형 분리기(4)를 현미기와 연관되게 배치하며, 현미기의 일측방에는 승강홉퍼(5a)가 상단부 센서(s)와 중간부 센서(s') 및 하단부 센서(s')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된 승강기(6)를 배치하고 입선별기의 타측방에 프린터를 구비한 컴퓨터(8)를 배치하여, 중량측정기에 투입된 벼의 시료가 순차적으로 하락되는 중에 측정된 벼의 수분과 중량 및 탈부된 현미의 중량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된 수분별 제현율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제현율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의 제현율 측정시스템.
KR1019990023155A 1999-06-19 1999-06-19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KR10030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55A KR100300202B1 (ko) 1999-06-19 1999-06-19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55A KR100300202B1 (ko) 1999-06-19 1999-06-19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598 Division 199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36A KR20010003036A (ko) 2001-01-15
KR100300202B1 true KR100300202B1 (ko) 2001-09-22

Family

ID=1959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155A KR100300202B1 (ko) 1999-06-19 1999-06-19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95A (ko) 2021-01-05 2022-07-12 대한민국(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제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025A (ja) * 1993-05-18 1994-11-22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籾あるいは麦の自主検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43883A (ja) * 1993-06-07 1994-12-20 Iseki & Co Ltd 穀物検査装置
JPH10277486A (ja) * 1997-04-09 1998-10-20 Seirei Ind Co Ltd 穀粒の検定装置
JPH1144686A (ja) * 1997-07-29 1999-02-16 Kubota Corp 穀粒の品質判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025A (ja) * 1993-05-18 1994-11-22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籾あるいは麦の自主検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43883A (ja) * 1993-06-07 1994-12-20 Iseki & Co Ltd 穀物検査装置
JPH10277486A (ja) * 1997-04-09 1998-10-20 Seirei Ind Co Ltd 穀粒の検定装置
JPH1144686A (ja) * 1997-07-29 1999-02-16 Kubota Corp 穀粒の品質判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95A (ko) 2021-01-05 2022-07-12 대한민국(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제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36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202B1 (ko) 벼의 제현율의 측정시스템
JP2974335B2 (ja) 穀類乾燥調製施設における穀粒仕分方法及びその装置
JP3765169B2 (ja) 穀粒貯留サイロの穀粒量管理装置
JPH0798154B2 (ja) 玄米歩留り検定装置
JPS6320178B2 (ko)
JPH01147324A (ja) 米選、計量機の作業能率表示装置
KR0173557B1 (ko) 벼 품위 자동 판정기
KR100306022B1 (ko) 벼 도정수율 자동판정기
JPS5830348A (ja) 籾摺り精選機のサンプル粒取出装置
JPS58113833A (ja) 自主検定装置
JPH1144686A (ja) 穀粒の品質判別装置
JP3443860B2 (ja) 穀物調製装置
Litchfield et al. Dry milling of US hard-endosperm corn in Japan: product yield and corn properties
JP2002090064A (ja) 穀物共同乾燥施設
JPS6023036Y2 (ja) 穀類粒大選別装置における選別粒取出装置
JPH0233907Y2 (ko)
JP3887921B2 (ja) 穀物の自主検装置
JPH07185370A (ja) 穀物品質検定装置における穀物サンプル搬送装置
JPH0134654B2 (ko)
JPH06320025A (ja) 籾あるいは麦の自主検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952940B2 (ja) 穀物自主検定装置
JPH10213526A (ja) サンプルローダー
JPH02234609A (ja) 大型共同籾乾燥調整施設
JPS61111625A (ja) 穀物乾燥貯蔵施設
JPH07213930A (ja) 穀物品質検定装置の穀物サンプル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