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916B1 -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916B1
KR100299916B1 KR1019980054060A KR19980054060A KR100299916B1 KR 100299916 B1 KR100299916 B1 KR 100299916B1 KR 1019980054060 A KR1019980054060 A KR 1019980054060A KR 19980054060 A KR19980054060 A KR 19980054060A KR 100299916 B1 KR100299916 B1 KR 10029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olloid
weight
dressing material
herbal medicine
hydrocolloid d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904A (ko
Inventor
이영무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이영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무 filed Critical 이영무
Priority to KR101998005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9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고분자와 이소프렌 고무, 이소부틸렌 고무, 점착부여제, 오일을 100-160oC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점착성 매트릭스를 제조한 후에 여러 가지 종류의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와 당귀, 자초, 황련, 황백 등 상처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한약재를 오일에 끓인 후 첨가시켜 삼출액의 흡수와 화상, 창상, 욕창 등의 피부상처 치료에 효과적인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가 기존의 드레싱재보다 상처회복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Description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손상을 입은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인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착제부가 합성고무 또는 탄성체인 소수성 고분자와 하이드로콜로이드성을 갖는 친수성 고분자의 혼합부로 구성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에 피부손상을 입은 환자의 치료에 널리 쓰이는 한약재를 함유시킨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이용하여 상처치료용 재료로 사용 가능한 흡수성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현미경으로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원자 또는 저분자보다 커다란 입자가 매체 중에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을 때 콜로이드 상태로 되어 있다고 말하며 이 분산계를 콜로이드라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콜로이드는 액체를 분산매로 하고, 특히 분산매가 물이며 물과의 친화성이 좋은 콜로이드를 하이드로콜로이드라고 한다. 통상 친수성 고분자 화합물의 수용액은 하이드로콜로이드가 되며, 천연에 존재하는 고분자물질인 젤라틴, 펙틴 및 천연물로부터 가공된 고분자물질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MC) 등은 물에 용해되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형성한다. 상기 물질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드레싱재를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라 한다. 이런 드레싱재는 상처부위의 삼출액으로 인한 적당한 팽윤에 의해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상태가 되고 상처치료에 적합한 환경을 부여한다. 과다한 삼출액의 흡수는 드레싱재의 과다한 팽윤을 유발시켜서 드레싱재의 형태를 변형시켜 피부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이에 반해 팽윤이 일어나지 않으면 드레싱재와 피부사이에 삼출액이 축적되어 피부에서 떨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성분과 조성을 달리하거나 매트릭스자체에 들어가는 혼합물의 배합을 변화시키려는 방법들이 소개된 미국특허 4,496,357은 팽윤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이드로콜로이드 조성에 실리카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4,477,325는 하이드로콜로이드가 함유된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매트릭스에 이온빔을 주사하여 가교시키는 방법으로 기계적 강도와 팽윤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미국특허 4,952,618에서는 팽윤속도의 조절과 팽윤양의 조절 외에도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가 유연하고 부드러우면서 탄성적이고 형태 보존이 잘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미국특허 4,952,618에서는 양이온을 가진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음이온의 하이드로콜로이드나 중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사용하여 전체조성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발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이나 삼출물들의 흡수정도와 팽윤속도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물질의 물성 향상과 더불어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에 상처치료에 쓰이는 한약재를 함유시키면 상처회복능력이 향상됨에 안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성이며 점착력을 가지는 고무상의 매트릭스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화상과 욕창, 창상 등의 상처치료에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를 첨가하여 약물 치료효과가 뛰어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고분자(KRATON)와 이소프렌고무(IR), 이소부틸렌고무(PIB), 점착부여제, 오일로 이루어진 점착성 매트릭스안에 여러 가지 종류의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와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자초(Lithospermi Radix), 황백(Cortex Phellodendri), 및 황연(Rhizoma Coptidis)과 같은 한약재를 첨가시켜 삼출액의 흡수와 효과적인 피부상처 치료를 할 수 있는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드레싱재는 일반적인 열용융감압점착제의 조성에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피부손상 치료용 한약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더 상세히 나타내면 점착부는 건조상태에서 점착력을 줄 수 있는 재료인 이소부틸렌 고무 4~22중량%와 점착 부여제(rosin) 3~42 중량%, 매트릭스의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고분자 3~36 중량%, 매트릭스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오일 4~37 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이나 욕창과 같이 피부에 손상을 입은 환자로부터 삼출액을 흡수하고 팽윤하여 상처회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한 개 혹은 여러 가지 성분이 혼합된 7~26 중량%의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점착부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으며, 피부손상치료에 효과적인 여러 가지 한약재 7~14 중량%가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함께 함유되어있다. 마지막으로, 전체 중량 분율의 5% 미만인 산화방지제(Irganox 1010)와, 노화방지제(2,6-di-tert-butyl-p-cresol) 등의 부가제가 첨가되어 있다.
피부손상을 입은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재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자초(Lithospermi Radix), 황백(Cortex Phellodendri), 및 황연(Rhizoma Coptidis)등이 널리 쓰이고 있다. 당귀는 B 및 T 임파구 활성화작용, 항종양작용, 마크로파지의 식작용 증강효과등이 있으며, 자초는 창상 및 화상면의 세포의 신생을 촉진하고 항염증작용과 창상치유 촉진효과 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특히, 이 두 한약재를 참기름(Oleum Sesami)과 돈지(Adeps Suilus), 황납과 함께 가공한 자운고는 동상이나 화상, 욕창 및 창상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련과 황백 등도 항염작용과 살균작용 등의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피부상처치료에 이용되는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자초(Lithospermi Radix), 황백(Cortex Phellodendri), 황연(Rhizoma Coptidis) 같은 한약재를 하이드로콜로이드와 혼합하여 고무상 매트릭스안에 분산시켜 사용한다. 즉, 피부상처 치료에 사용되는 상기 약초들을 돈지나 여러 가지 기름 류에서 끓인 다음 점착성의 고무상안에 넣어준다. 이렇게 함유된 약재들은 상처에서 나오는 삼출액에 노출되어 상처에 작용함으로서 치료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온도가 150oC 되는 혼련기(kneader)에 오일 12 중량%와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고분자(Kraton) 4 중량%, 이소프렌 고무(IR) 5 중량%를 넣고 30분 동안 녹인다. 혼련기의 온도를 120oC로 내린 후에 이소부틸렌 고무(PIB) 56 중량%와 점착부여제(rosin) 3 중량%를 첨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녹인다. 마지막으로 혼련기의 온도를 100oC로 낮추고 분말형태의 알긴산 하이드로콜로이드 9 중량%, CMC 하이드로콜로이드 9 중량%와 산화방지제(Irganox 1010) 0.5 중량%, 노화방지제(2,6-di-tert-butyl-p-cresol) 0.5 중량% 및 AgSD (Silver sulfadiazine) 1 중량%를 넣고 20분 동안 잘 분산되게 교반한다. 잘 혼합된 용액을 혼합기에서 꺼내어 열압축기(Hot press)에 넣고 평평한 모양으로 만들어준 후에 상온에서 식혀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1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이루는 각 성분의 함량만 달리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실시예에 사용된 성분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조성
KRATON IR PIB 점착부여제 오일 CMC 셀룰로즈 아가 젤라틴 알긴산 펙틴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AgSD
실시예 2 36 - - 14 37 - 12 - - - - 0.5 0.5 -
실시예 3 16 - - 42 25 - 16 - - - - 0.5 0.5 -
실시예 4 9 5 - 37 22 26 - - - - - 0.5 0.5 -
실시예 5 17 5 - 29 22 26 - - - - - 0.5 0.5 -
실시예 6 28 17 - 6 22 26 - - - - - 0.5 0.5 -
실시예 7 23 4 - 32 14 26 - - - - - 0.5 0.5 -
실시예 8 25 7 19 7 15 - - 26 - - - 0.5 0.5 -
실시예 9 25 - 26 15 7 - - - - 26 - 0.5 0.5 -
실시예 10 25 7 19 15 7 - - - 26 - - 0.5 0.5 -
실시예 11 8 22 11 13 19 - - - - - 26 0.5 0.5 -
실시예 12 18 7 26 15 7 26 - - - - - 0.5 0.5 -
실시예 13 14 4 30 18 7 26 - - - - - 0.5 0.5 -
실시예 14 11 7 26 22 7 - - - - - 26 0.5 0.5 -
실시예 15 14 - 26 26 7 26 - - - - - 0.5 0.5 -
실시예 16 6 - 30 30 7 26 - - - - - 0.5 0.5 -
실시예 17 4 5 57 3 12 9 - - - 9 - 0.5 0.5 -
실시예 18 10 - 32 26 4 26 - - - - - 0.5 0.5 1
실시예 19 6 - 36 26 4 26 - - - - - 0.5 0.5 1
실시예 20 4 4 57 - 7 26 - - - - - 0.5 0.5 1
실시예 21 3 4 61 - 4 26 - - - - - 0.5 0.5 1
(단위 : 중량%)
상기 실시예 1 내지 21 에서 제조되어진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점착력과 최대 팽윤도를 표2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점착력과 최대 팽윤도
점착력(kgf)25oC 최대 팽윤도
도달시간 (시간) 최대 팽윤도 (%)
실시예 1 0.52 14 135.8
실시예 2 0.16 8 1.2
실시예 3 0.44 20 2.3
실시예 4 0.65 2 81.2
실시예 5 0.38 6 77.1
실시예 6 0.15 4 51.7
실시예 7 0.14 6 61.2
실시예 8 0.2 26 144.6
실시예 9 0.26 30 35.7
실시예 10 0.31 14 125.3
실시예 11 0.29 12 198.2
실시예 12 0.4 18 382.6
실시예 13 0.56 16 431.7
실시예 14 0.6 22 125.1
실시예 15 0.43 6 28.4
실시예 16 0.39 8 31.1
실시예 17 0.50 14 136.1
실시예 18 0.35 20 44.0
실시예 19 0.51 8 10.4
실시예 20 0.6 12 151.3
실시예 21 0.59 10 161.3
[팽윤실험]
2 ×2 cm의 크기로 시편을 만든다. 만들어진 시편을 50oC에서 감압하면서 하루동안 건조시킨다. 이때의 무게를W d라고 한다. 비커에 식염수를 넣고 37oC로 유지하면서 마그네틱 바로 천천히 교반시킨다. 이 곳에 시편을 넣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꺼내어 표면에 붙어있는 물을 제거한 다음 무게를 측정한다. 이때의 무게를W s라 한다. 팽윤도를 다음 식과 같이 구한다.
팽윤도 = (W s-W d)/W d×100
또한, 본원발명에서는 피부손상을 입은 환자의 치료용으로 사용하고자 실시예 1내지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에 7~10 중량%의 한약재를 함유시켜 최종적으로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22
오일을 불 위에 올려놓고 끓인 후에 불에서 내려놓고 당귀를 넣어 색이 우러나오도록 기다렸다가 약포로 짜서 당귀를 버리고, 이것을 다시 불 위에 올려놓고 끓인 다음 다시 불에서 내려놓고 자초를 넣은 후 적자색이 우러나오기를 기다려 약포로 짜서 자초를 버린 다음 약액을 방치하여 식힌다. KRATON 4 중량%, IR 5 중량%, PIB 57 중량%, 점착부여재 3 중량%, 오일 12 중량%, CMC 9중량%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콜로이드에 100oC에서 자초액 5 중량%, 당귀액 5 중량%를 함께 배합하여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내지 실시예 26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이루는 각 성분의 함량만 달리하여 실시예 2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함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조성
KRATON IR PIB 점착부여제 오일 CMC 알긴산 자초 당귀 황련 황백
실시예 23 3 4 55 3 17 10 - - - 8 -
실시예 24 4 4 58 3 16 - 8 - - - 7
실시예 25 4 5 56 3 14 9 - 9 - - -
실시예 26 4 4 58 3 11 - 10 - 10 - -
(단위 : 중량%)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 22 내지 26 이외에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각 성분 함량과 한약재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22 내지 실시예 26에 국한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실시예 22 내지 26에서 제조되어진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제의 점착력과 최대 팽윤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2
시중에서 판매되는 DuoDerm(ConvaTec)과 Comfeel(Coloplast)의 점착력과 최대 팽윤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점착력과 최대 팽윤도
점착력(kgf)25oC 최대 팽윤도
도달시간 (시간) 최대 팽윤도 (%)
실시예 22 0.53 14 136.7
실시예 23 0.46 15 102.2
실시예 24 0.51 16 99.3
실시예 25 0.55 10 123.2
실시예 26 0.49 12 145.1
비교예 1 DuoDerm 22 140.5
비교예 2 Comfeel 8 101.1
실시예 27 내지 29 및 비교예 3 내지 4
상기 실시예 16, 21, 24의 시료들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DuoDerm 및 Comfeel의 상처회복정도를 조직학적으로 평가 비교하기 위해 백서 수컷 180 내지 200g를 펜토바비탈로 마취시킨 후에 등 중앙부에 2.5cm의 원형 상처를 진피부분까지 박리하고 포비딘액으로 소독한다. 그 후, 멸균된 상처치료용재료들을 붙이고 그 위에 테가덤(3M)드레싱을 덧붙여 상기 재료들을 고정시킨다. 항온, 항습을 유지한 동물실험실에서 7일간 사육후 육안 촬영하고 조직검사를 위해 10% 포르말린 액에 넣어 3일간 조직을 경화시킨 후 헤모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상처의 재생속도 및 상처의 회복상태에 따라서 가장 좋은 것을 100, 가장 나쁜 것을 50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상처 회복의 정도는 진피내의 과립조직의 생성여부와 외피의 성장 길이를 광학현미경을 통해 측정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여러 가지 종류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상처회복정도
시 료 동물실험 (7일)
상처회복 정도의 조적학적 점수 외피의 성장 길이 (cm)
실시예 27 실시예 16 80 1.15 ±0.1
실시예 28 실시예 21 70 0.9 ±0.2
실시예 29 실시예 24 100 2.0 ±0.2
비교예 3 DuoDerm 50 0.2 ±0.1
비교예 4 Comfeel 60 0.6 ±0.2
상기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욕창치료에 효과적인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는 소수성을 가지는 점착성 성분의 다양한 중량분율에 의해 기계적 강도와 팽윤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친수성을 가지는 하이드로콜로이드에 의해서 팽윤속도와 팽윤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가 기존의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보다 상처회복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소수성을 가지는 점착부,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첨가제 및 한약재로 구성된 상처치료용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황련, 당귀, 자초, 황백 또는 이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것을 7~10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을 가지는 점착부가 3~36 중량%,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고분자와 11~61 중량% 아이소부틸렌 고무, 4~22 중량% 아이소프렌 고무와 3~42 중량% 점착부여제, 4~37 중량% 오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상처치료용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즈, 셀룰로즈, 알긴산, 아가, 펙틴, 젤라틴 또는 이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것을 9~26 중량%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한약재 함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19980054060A 1998-12-10 1998-12-10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KR10029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060A KR100299916B1 (ko) 1998-12-10 1998-12-10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060A KR100299916B1 (ko) 1998-12-10 1998-12-10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04A KR20000038904A (ko) 2000-07-05
KR100299916B1 true KR100299916B1 (ko) 2001-10-29

Family

ID=1956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60A KR100299916B1 (ko) 1998-12-10 1998-12-10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9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2A (ko) * 2000-10-21 2001-01-05 신민교 자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055896A (zh) * 2013-03-19 2014-09-24 孙占全 皮肤抑菌滋养液
CN104721444A (zh) * 2015-03-26 2015-06-24 梁毅 一种治疗烧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44192B1 (ko) 2020-09-28 2021-04-30 주식회사 애니메디앤헬스케어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점착제의 교반 분쇄 장치
KR102389541B1 (ko) 2021-07-07 2022-04-21 윤광철 한약재를 적용한 습윤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3010B1 (ko) * 2023-01-17 2023-06-13 주식회사 이노트 고기능성 창상 피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74B1 (ko) * 2010-08-18 2016-08-26 동아제약 주식회사 활성 약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KR101708865B1 (ko) 2016-06-03 2017-02-21 박성호 하이드로 콜로이드가 첨가된 핫멜트 습윤성 드레싱 테이프의 제조 장치
KR102083002B1 (ko) * 2018-03-30 2020-02-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이중층 상처치유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9181A (ko) 2020-11-19 2022-05-27 조성준 한약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2A (ko) * 2000-10-21 2001-01-05 신민교 자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055896A (zh) * 2013-03-19 2014-09-24 孙占全 皮肤抑菌滋养液
CN104721444A (zh) * 2015-03-26 2015-06-24 梁毅 一种治疗烧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44192B1 (ko) 2020-09-28 2021-04-30 주식회사 애니메디앤헬스케어 하이드로콜로이드 핫멜트점착제의 교반 분쇄 장치
KR102389541B1 (ko) 2021-07-07 2022-04-21 윤광철 한약재를 적용한 습윤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3010B1 (ko) * 2023-01-17 2023-06-13 주식회사 이노트 고기능성 창상 피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04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1511B1 (en) Hemostatic material
CA2635381C (en) Hemostatic material
US7329417B2 (en)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n antimicrobial silver compound
CN103520764B (zh) 功能性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Shyna et al. A nonadherent chitosan-polyvinyl alcohol absorbent wound dressing prepared via controlled freeze-dry technology
AU2002365662B2 (en) Wound dressings
CN105617449B (zh) 一种多功能微孔止血粉及其制备方法
CA2776663C (en) Wound dressing stable to radiation sterilization
CN101954117A (zh) 止血抑菌生物敷料及其制备方法
JPH04502569A (ja) 創傷治療用ゲル配合物
KR100299916B1 (ko) 한약재함유하이드로콜로이드드레싱재의제조방법
CN110237295B (zh) 一种花青素藻酸盐敷料
CN112807153B (zh) 一种促进创面愈合的生物活性玻璃水胶体敷料
CN108926428B (zh) 水胶体敷芯及其制备方法、水胶体敷料及其用途
EP04725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N108421081B (zh) 一种抗感染、安全高效的止血气凝胶及其制备方法
TW202000242A (zh) 傷口護理用敷料及其製造方法
CN117159784B (zh) 用于难愈性创面修复的液体创可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770323B (zh) 一种重组胶原蛋白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51574B1 (ko) 활성 약물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콜로이드
RU2331444C1 (ru) Повязка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Nobre Drug loaded electrospun Casein/PVA nanofibers for wound dressings
CN115820502A (zh) 一种抑菌、止血新型复合伤口敷料的制备及其应用
CN115487338A (zh) 一种甲壳素改性交联透明质酸钠外伤敷料及其制备方法
CN115887738A (zh) 一种聚丙烯酰胺-壳聚糖/高岭土多孔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