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313B1 -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313B1
KR100299313B1 KR1019990038741A KR19990038741A KR100299313B1 KR 100299313 B1 KR100299313 B1 KR 100299313B1 KR 1019990038741 A KR1019990038741 A KR 1019990038741A KR 19990038741 A KR19990038741 A KR 19990038741A KR 100299313 B1 KR100299313 B1 KR 10029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dm
processing
bus
w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150A (ko
Inventor
안정준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313B1/ko
Priority to US09/657,983 priority patent/US6721308B1/en
Publication of KR2001002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4User Network Interface
    • H04L2012/5615Network termination, e.g. NT1, NT2, 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4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8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WAN(Wide Area Network) 액세스 시스템에서 해당 물리 계층 상위의 데이터 계층이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는 물리 계층에서 특정 데이터 계층만을 지원하므로 하드웨어 유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해당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하는 WAN 프로토콜의 변화에 따라 하드웨어 형상과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변경하거나 새로운 액세스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경우 상위의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하는 WAN 프로토콜인 데이터 교환 방식이 변경되더라도 하드웨어 형상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만 변경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고,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의 WAN 접속 처리 모듈부를 TDM 버스와 UTOPIA 버스 및 프로세서 모듈부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프로세서 버스로 내부 인터페이스를 규정함으로써, 해당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을 초과하고, 데이터 계층이 ATM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의 변경만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Line Switching And Packet Switching Possible WAN Access System}
본 발명은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Wide Area Network) 액세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해당 물리 계층 상위의 데이터 계층이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특정한 물리 계층에서 특정한 데이터 계층의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데, 해당 물리 계층이 T1/E1급인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WAN 프로토콜상의 데이터 계층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교환 방식이 회선 교환 방식이냐, 패킷 교환 방식이냐에 따라 동일한 물리 계층이지만 별도의 액세스 시스템을 구현해야 했다.
특히, 최근에는 동일한 물리 계층인 경우 해당 물리 계층의 상위인 데이터 계층에서의 교환 방식에 따른 시스템 하드웨어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시스템 내부의 소프트웨어만을 변경하려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해당 데이터 계층에서 회선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11)와 시리얼(Serial) 접속부(12) 및 LAN(Local Area Network) 접속부(13)를 구비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요구를 처리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스위칭부(21)와 음성 처리부(22) 및 프로세서 모듈부(23)를 구비하여 전체적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와, 물리매체 접속부(31)와 프레임 변환부(32)를 구비하여 데이터 전달, 추출 및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10)는 전화 및 팩스와의 아날로그 접속 처리와 디지털 사설 교환 시스템과의 디지털 접속 처리를 수행하고, 해당 시리얼 접속부(12)는 V.35 또는 RS(Recommended Standard)-449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며, 해당 LAN 접속부(13)는 LAN 접속을 수행한다.
해당 TDM 스위칭부(21)는 TDM 버스간의 스위칭을 수행하고, 해당 음성 처리부(22)는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11)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복원 처리를 수행하며, 해당 프로세서 모듈부(23)는 ATM(Asynchronouse Transfer Mode) 계층의 일부를 지원하고 각 모듈 처리부내의 부분 처리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TDM 버스라 함은 프레임 동기 신호, 데이터 클럭 신호, 송신 데이터 신호, 수신 데이터 신호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해당 해당 물리매체 접속부(31)는 WAN과의 물리매체 접속을 수행하며, 해당프레임 변환부(32)는 물리 계층에서 통용되는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물리매체 접속부(31)를 통해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이 T1/E1급을 지원하고, 공중전화망과 같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1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1TDM 버스와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의 TDM 스위칭부(21) 및 제4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프레임 변환부(32)로 전달되거나, 해당 TDM 스위칭부(21)에 의해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22)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후, 제4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프레임 변환부(32)로 전달되어져 물리매체 접속부(31)를 통해 WAN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시리얼 접속부(12)와 LAN 접속부(1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의 프로세서 모듈부(23)로 전달된 후,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는 제2TDM 버스와 TDM 스위칭부(21) 및 제4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프레임 변환부(32)로 전달되어져 물리매체 접속부(31)를 통해 WAN으로 송신된다.
반대로,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프레임 변환부(3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는 전술한 역과정을 통해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한편, 해당 데이터 계층에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1의 하드웨어 구성상에 SAR(Segmantation And Reassembly) 처리부(24)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처리부(33)가 더 포함된다. 이때, 도 1의 하드웨어 구성과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해당 SAR 처리부(24)는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에 구비되어 AAL1(ATM Adaptation Layer 1) 및 AAL5 셀 분해/조립 기능을 수행하며, PLCP 처리부(33)는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에 구비되어 UTOPIA(Universal Test & Operation Physical Interface for ATM) 버스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물리 계층에서 통용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여 프레임 변환부(32)로 전달하거나 프레임 변환부(32)를 통해 수신된 물리 계층의 프레임 형태에서 UTOPIA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의 SAR 처리부(24)로 전달되어질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UTOPIA 버스라 함은 물리 계층과 상위 계층인 데이터 계층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표준으로 제정된 송수신 신호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이 T1/E1급을 지원하고, ATM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11)에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1TDM 버스와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의 TDM 스위칭부(21) 및 제2TDM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 모듈부(23)로 전달된 후, SAR 처리부(24)에 의해 AAL1 형태로 변환되어 UTOPIA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PLCP 처리부(33)로 전달되거나, 해당 TDM 스위칭부(21)에 의해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22)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후, HP(Host Processor) 인터페이스를 통해 SAR 처리부(24)로 전달되어 AAL5 형태로 변환된 후, UTOPIA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PLCP 처리부(33)로 전달된다. 여기서, HP 인터페이스라 함은 프로세서 모듈부(23)의 프로세서와 음성 처리부(22)내의 보조 프로세서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어드레스/데이터 버스 및 관련된 제어 신호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10)의 시리얼 접속부(12)와 LAN 접속부(1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20)의 프로세서 모듈부(23)로 전달된 후,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는 SAR 처리부(24)에 의해 AAL5 형태로 변환되어 UTOPIA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30)의 PLCP 처리(33)로 전달된다.
이때, 해당 PLCP 처리부(33)는 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물리 계층의 T1/E1 프레임으로 변환한 후, 로컬 TDM 버스인 제4TDM 버스를 통해 프레임 변환부(32)로 전달하여 물리매체 접속부(31)를 통해 WAN으로 송신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는 특정한 물리 계층에서특정한 데이터 계층만을 지원하므로, 해당 액세스 시스템 측면에서의 하드웨어 유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해당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하는 WAN 프로토콜의 변화에 따라 하드웨어 형상과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변경하거나 새로운 액세스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경우 상위의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하는 WAN 프로토콜인 데이터 교환 방식이 변경되더라도 하드웨어 형상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만 변경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의 WAN 접속 처리 모듈부를 TDM 버스와 UTOPIA 버스 및 프로세서 모듈부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프로세서 버스로 내부 인터페이스를 규정함으로써, 해당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을 초과하고, 데이터 계층이 ATM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의 변경만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데이터 계층에서 회선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의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
도 2는 데이터 계층에서 패킷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의 종래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 41 :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
42 : 시리얼 접속부 43 : LAN 접속부
50 :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 51 : TDM 스위칭부
52 : 음성 처리부 53 : 프로세서 모듈부
54, 65 :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 60 : WAN 접속 처리 모듈부
61 : 물리매체 접속부 62 : 프레임 변환부
63 : TDM 선택부 64 : PLCP 처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 요구를 처리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데이터 전달, 추출 및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WAN 접속 처리 모듈부와, 전체적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를 구비하는 WAN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하도록 각 TDM 버스간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TDM 스위칭부와; AAL5 SAR 처리와 SAAL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TDM 스위칭부에 대한 스위칭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모듈부와; AAL1 SAR 처리와 UTOPIA 버스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는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와;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TDM 버스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TDM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TDM 스위칭부와 TDM 선택부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회선 교환용 TDM 버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는, 데이터 계층에서 패킷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TDM 스위칭부에 의해 음성 처리부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데이터를 AAL5 셀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로부터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중에서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를 AAL5 셀로 변환하여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는,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된 AAL5 셀과 상기 TDM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변환한 AAL1 셀을 다중화하여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WAN 접속 처리 모듈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WAN 접속 처리 모듈부로부터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에서 추출한 AAL1 셀은 셀 재결합을 수행하여 TDM 버스를 통해 상기 TDM 스위칭부로 전달하고, AAL5 셀은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와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 및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과 같이, 주로 전화 및 팩스와의 아날로그 접속 처리와 디지털 사설 교환 시스템과의 디지털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와, V.35 또는 RS-449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시리얼 접속부(42) 및 LAN 접속을 담당하는 LAN 접속부(4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하도록 각 TDM 버스간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TDM 스위칭부(51)와,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압축/복원 처리를 담당하는 음성 처리부(52)와, ATM 계층의 일부를 지원하고 각 모듈 처리부내의 부분 처리부에 대한 제어를 담당하며, AAL5 SAR 처리와 SAAL(Signaling AAL)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모듈부(53) 및 AAL1 SAR 처리와 UTOPIA 버스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는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를 포함한다.
한편,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는 물리매체 접속을 담당하는 물리매체 접속부(61)와, 물리계층에서 통용되는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물리매체 접속부(61)를 통해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하는 프레임 변환 처리부(62)와, 프로세서 모듈부(53)의 제어에 따라 소정 TDM 버스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TDM 선택부(63) 및 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물리계층에서 통용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여 TDM 선택부(63)를 통해 프레임 변환부(62)로 전달하거나, 프레임 변환부(62)를 통해 수신된 물리계층의 프레임 형태에서 UTOPIA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로 전달되어질 데이터를 추출하는 PLCP 처리부(6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으로 T1/E1급을 지원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PSTN과 같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1TDM 버스와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TDM 스위칭부(51) 및 제5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TDM 선택부(63)로 전달되거나, 해당 TDM 스위칭부(51)에 의해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52)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후, 제5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TDM 선택부(63)로 전달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시리얼 접속부(42)와 LAN 접속부(4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프로세서 모듈부(53)로 전달된 후,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는 제2TDM 버스를 통해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되어 제5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TDM 선택부(63)로 전달된다.
이때, 해당 제5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TDM 선택부(63)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제한된 타임슬롯의 갯수를 초과할 수 없으며, 해당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프로세서 모듈부(53) 제어에 따라 선택되어 제6TDM 버스를 통해 프레임 변환부(62)로 전달되어져 물리매체 접속부(61)를 통해 WAN으로 송신된다.
반대로,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프레임 변환부(62)를 통해 WAN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6TDM 버스와 TDM 선택부(63) 및 제5TDM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된다.
이에, 해당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된 데이터는 프로세서 모듈부(53)에 의해 정의된 경로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TDM 버스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가 전달된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프레임 릴레이와 같은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1TDM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50)의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되고, 해당 TDM 스위칭부(51)에 의해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52)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후, HP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 모듈부로 전달되어 소프트웨어적으로 프레임 릴레이 포맷으로변환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시리얼 접속부(42)와 LAN 접속부(4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프로세서 모듈부(53)로 전달되어 프레임 릴레이 포맷으로 변환된다.
이후, 해당 프로세서 모듈부(53)에 의해 프레임 릴레이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는 제2TDM 버스를 통해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된 후, 해당 TDM 스위칭부(51)에 의해 제5TDM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TDM 선택부(63)로 전달되어 상술한 회선 교환 방식인 경우의 동작과 같이 WAN으로 송신된다.
반대로,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프레임 변환부(62)를 통해 WAN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6TDM 버스와 TDM 선택부(63) 및 제5TDM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된다.
이렇게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된 데이터는 제2TDM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 모듈부(53)로 전달되고, 해당 프로세서 모듈부(53)에 의해 프레임 릴레이 포맷 형태의 데이터가 소프트웨어적으로 분석되어 시리얼 접속부(42)나 LAN 접속부(43)로 전달할 데이터는 각각의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그 외의 데이터는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52)로 전달되어 음성 복원된 후, 제3TDM 버스와 TDM 스위칭부(51) 및 제1TDM 버스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로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ATM과 같은 패킷 교환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1TDM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50)의 TDM 스위칭부(51)로 전달되고, 해당 TDM 스위칭부(51)에 의해 제3TDM 버스를 통해 음성 처리부(52)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후, 프로세서 모듈부(53)에 의해 AAL5 셀로 변환되어 제1UTOPIA 버스를 통해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로 전달되거나, 해당 TDM 스위칭부(51)에 의해 제4TDM 버스를 통해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로 전달되어져 AAL1 셀로 변환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40)의 시리얼 접속부(42) 및 LAN 접속부(4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각각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프로세서 모듈부(53)로 전달된 후,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는 해당 프로세서 모듈부(53)에 의해 AAL5 셀로 변환되어 제1UTOPIA 버스를 통해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로 전달된다.
이후, 해당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는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된 AAL5 셀과 제4TDM 버스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변환한 AAL1 셀을 다중화하여 제2UTOPIA 버스를 통해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PLCP 처리부(64)로 전달한다.
이에, 해당 PLCP 처리부(64)는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물리 계층의 T1/E1 프레임으로 변환한 후, 제7TDM 버스와 TDM 선택부(63) 및 제6TDM 버스를 통해 프레임 변환부(62)로 전달하여 물리매체 접속부(61)를 통해 WAN으로 송신되도록 한다.
반대로,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의 프레임 변환부(62)를 통해 WAN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6TDM 버스와 TDM 선택부(63) 및 제7TDM 버스를 통해 PLCP 처리부(64)로 전달된 후, 해당 PLCP 처리부(64)에 의해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의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로 전달된다.
이에, 해당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54)는 AAL1 셀을 추출한 후, 셀 재결합을 수행하여 제4TDM 버스를 통해 TDM 스위칭부(51)로 전달하고, 그 외의 경우인 AAL5 셀은 제1UTOPIA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 모듈부(53)로 전달한다.
그러면, 해당 프로세서 모듈부(53)는 AAL5 셀에 대한 셀 재결합을 수행한 후, 시리얼 접속부(42)나 LAN 접속부(43)로 전달할 데이터는 각각의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그 외의 데이터는 음성 처리부(52)로 전달되어 음성 복원된 후, 제3TDM 버스와 TDM 스위칭부(51) 및 제1TDM 버스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로 전달된다.
이때, 해당 TDM 스위칭부(51)는 제3TDM 버스와 제5TDM 버스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프로세서 모듈부(53)에서 정의한 경로인 제1TDM 버스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접속부(41)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WAN 액세스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서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에 위치하던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65)를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에 구성하였는데, 이 경우 해당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을 초과하고 ATM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의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50)와 WAN 접속 처리 모듈부(60)에 대한 하드웨어 형상을 변경해야 하지만, 해당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 급인 경우에는 하드웨어 형상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WAN 액세스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경우 상위의 데이터 계층에서 사용하는 WAN 프로토콜인 데이터 교환 방식이 변경되더라도 하드웨어 형상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만 변경하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WAN 액세스 시스템의 WAN 접속 처리 모듈부를 TDM 버스와 UTOPIA 버스 및 프로세서 모듈부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프로세서 버스로 내부 인터페이스를 규정함으로써, 해당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을 초과하고, 데이터 계층이 ATM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WAN 접속 처리 모듈부의 변경만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사용자 요구를 처리하는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와, 데이터 전달, 추출 및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WAN 접속 처리 모듈부와, 전체적인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 처리 모듈부를 구비하되, 물리 계층의 접속 속도가 T1/E1급인 WAN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하도록 각 TDM 버스간의 스위칭을 담당하는 TDM 스위칭부와; AAL5 SAR 처리와 SAAL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TDM 스위칭부에 대한 스위칭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모듈부와; AAL1 SAR 처리와 UTOPIA 버스 다중화 처리를 수행하는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와;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의 제어에 따라 소정 TDM 버스를 선택하여 처리하는 TDM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DM 스위칭부와 TDM 선택부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회선 교환용 TDM 버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는, 데이터 계층에서 패킷 교환 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TDM 스위칭부에 의해 음성 처리부로 전달되어 음성 압축된 데이터를 AAL5 셀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접속 처리 모듈부로부터 시리얼 버스 및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중에서 WAN으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를 AAL5 셀로 변환하여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는, 제1UTOPIA 버스를 통해 수신된 AAL5 셀과 상기 TDM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변환한 AAL1 셀을 다중화하여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WAN 접속 처리 모듈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5.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AAL1 처리/UTOPIA 다중화부는, 상기 WAN 접속 처리 모듈부로부터 제2UTOPIA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에서 추출한 AAL1 셀은 셀 재결합을 수행하여 TDM 버스를 통해 상기 TDM 스위칭부로 전달하고, AAL5 셀은 제1UTOPIA 버스를통해 상기 프로세서 모듈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KR1019990038741A 1999-09-10 1999-09-10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KR10029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741A KR100299313B1 (ko) 1999-09-10 1999-09-10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US09/657,983 US6721308B1 (en) 1999-09-10 2000-09-08 WAN access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line switching and a packet switc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741A KR100299313B1 (ko) 1999-09-10 1999-09-10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150A KR20010027150A (ko) 2001-04-06
KR100299313B1 true KR100299313B1 (ko) 2001-11-07

Family

ID=1961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741A KR100299313B1 (ko) 1999-09-10 1999-09-10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21308B1 (ko)
KR (1) KR100299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1694B1 (en) 1998-04-03 2001-01-30 Vertica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ode voice and data communciations using intelligently bridged TDM and packet buses
US20090059818A1 (en) * 1998-04-03 2009-03-05 Pickett Scott K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igurable caller id iformation
US7072330B2 (en) * 1998-04-03 2006-07-04 Consolidated Ip Holdings, Inc. Systems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having TDM and packet buses and telephony station cards including voltage generators
US6389009B1 (en) 2000-12-28 2002-05-14 Vertica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ode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ing intelligently bridged TDM and packet buses
KR100394017B1 (ko) * 2001-07-24 200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시스템
US7869424B2 (en) * 2002-07-01 2011-01-11 Converged Dat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including a scalable TDM switch/multiplexer
US7706359B2 (en) * 2002-07-01 2010-04-27 Converged Dat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including a network drop and insert interface for an external data routing re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106B2 (ja) * 1997-10-28 2004-01-06 富士通株式会社 固定長セルデータ・時分割データハイブリッド多重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21308B1 (en) 2004-04-13
KR2001002715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5558B2 (ja) 総合情報通信網(isdn)と連動可能な非同期伝送モード(atm)網接続映像電話端末装置
US56109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variable length frames by fixed length cell handling exchange
US6295297B1 (en) Gateway for connecting ATM-based access network to existing network
JPH04207839A (ja) 広帯域網における電話加入者収容方法
JP3452549B2 (ja) Atmを基にする接続構造を有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99313B1 (ko)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이 가능한 웬 액세스 시스템
US5920559A (en) Vo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be connected to ATM network
JPH11331191A (ja) 加入者アクセス装置
KR20020050578A (ko) 다양한 데이터 계층에 대해 지원 가능한 액세스 장치
US6301250B1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face device as well as interface device and exchange with such an interface device
US20040101115A1 (en) System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via a common subscriber line
US6486970B1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receiving facsimile data and communication data by using a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JP2631801B2 (ja) アナログ回線用非同期転送モード加入者回路
CA2349453A1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mmunication terminals which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s system via a packet-oriented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3567B1 (ko) 공중전화교환망과 비동기전송모드 망의 접속을 위한시그널링 시스템 넘버.7 연결 장치
US200401609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oice data on ADSL subscriber Board
US6791972B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rivate branch exchange with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7881312B2 (en) DSL terminal-exchange device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KR10028571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가입자신호직접변환방법
KR100542703B1 (ko) 다양한 망과의 연동을 통한 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341300A (ja) Atmネットワークに於けるセル多重化システム
JP2689061B2 (ja) 非同期転送モード交換機
KR0166197B1 (ko) Atm스위칭기능이 구비된 회선 교환기
JP3449861B2 (ja) 網終端装置
KR100412974B1 (ko) 브이티오에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아이에스디엔 디 채널 메시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